KR20000075123A -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123A
KR20000075123A KR1019990019528A KR19990019528A KR20000075123A KR 20000075123 A KR20000075123 A KR 20000075123A KR 1019990019528 A KR1019990019528 A KR 1019990019528A KR 19990019528 A KR19990019528 A KR 19990019528A KR 20000075123 A KR20000075123 A KR 20000075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s
junction
wing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598B1 (ko
Inventor
박장묵
Original Assignee
박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묵 filed Critical 박장묵
Priority to KR101999001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01B5/14Rails for special parts of the track, e.g. for cur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10Frogs
    • E01B7/12Fixed frogs made of one part or compo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4Nature of the support or bearing
    • E01B2202/06Use of friction-reduc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차 레일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로 부터 두쌍의 레일로 분기되는 분기부의 "X"형 접합부 및 윙레일의 구조를 개량하여 기차가 분기부를 통과 할 때 발생하는 소음, 진동 및 마모를 줄이려는 것이다.
(2)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진동, 마모, 소음이 최대한 없도록 철도레일의 접합부와 윙레일의 구조를 개선 함으로써 기차바퀴와 레일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고 또한 승차감을 매우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3)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이 분기되는 분기부(1)의 접합부(10)와 윙레일(20)(20')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접합부(10)의 구성을 도2 및 도3을 통해 살펴 보면, 일측 접합레일(11)의 경사부(12) 바로 뒷쪽에 요부(13)를 형성 한 후 다른 접합레일(11')의 선단이 요부(13)에 삽입 시킨 다음 볼트셋팅 등의 수단으로 접합 하였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접합부(10)에 가까운 윙레일(20)(20')의 상면 일부, 즉 기차바퀴(30)가 통과 하면서 닿게 되는 접촉부(21)의 바깥쪽 상면을 조금더 높게 형성한 접촉 경사면(22)을 형성하여 구성 하였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접합부(10)와 윙레일(20)(20')의 구성을 간단하게 개량함으로써 기차바퀴(30)가 굴러 갈때 소음과 진동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그에따른 기차바퀴 및 레일의 마모가 줄어드는 효과로 인해 수명을 길게 연장 할 수 있게 되면서 아울러 쇳가루의 발생도 줄어 환경오염도 예방 될 수 있으며,특히 기차에 승차하는 승객의 승차감을 크게 높일 수 있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A rail way rail diverging part structure}
본 발명은 기차 레일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로 부터 두쌍의 레일로 분기되는 분기부에 있어서 중앙의 "X"형 접합부 및 윙레일의 구조를 개량하여 기차가 분기부를 통과 할때 발생하는 소음, 진동 및 마모를 줄이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차는 한 쌍의 레일 위를 바퀴가 굴러가는 형태로 주행하므로 한쌍의 레일로 부터 두쌍의 레일로 분기시켜, 기차가 분기된 두쌍의 레일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는 기차바퀴가 어느쪽의 레일을 타고 가든지 계속 레일을 타면서도 걸림이 없도록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기부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즉 분기되는 부분의 중앙부에 두개의 레일이 뾰족한 형태로 맞닿는 접합부가 필요하고 또한 그주변에는 분기되는 레일에 기차바퀴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기 위한 윙레일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기부의 종래 구성에는 소음이 많이 발생 하면서 기차바퀴 및 레일에 마모가 많게 되며, 진동 또한 클 수 밖에 없는 구조상의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이를 도4와 도6에 도시한 종래 구성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4는 접합부(1O)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의 접합 레일(11a)을 한쪽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끝이 뾰족하게 만든후 다른측 접합 레일(11a')은 그반대 형태로 만들면서 끝단에는 약간의 절삭부(14)를 만들며, 후자의 접합 레일(11a') 경사부(12a')를 전자의 접합 레일(11a) 경사부(12a) 바로 뒷쪽에 접합시켜 접합부(1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합부(10)를 형성할 경우 끝이 뾰족한 접합 레일(11a)(11a')을 서로 맞닿게 접합한 것이므로 기차가 자주 통행함에 따라 강도가 크게 떨어져 매우 취약 할 수 밖에 없고, 특히 기차바퀴(30)가 접합부(10)를 통과할 때 절삭부(14)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므로 소음과 차량의 진동은 물론, 기차바퀴(3)와 접합 레일(11a)(11a')의 마모가 심하여 수명이 매우 단축되는 폐단이 있었던것이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것은 종래 윙레일(20a)(20a')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기존의 레일을 절단하여 그대로 윙레일(20a)(20a')로 사용하므로 기차바퀴(30)가 접합부(10)를 통과시 기차바퀴(30)의 바깥쪽이 윙레일(20a)(20a')의 일부분에만 닿는 상태, 즉 점또는 선접촉만 이루어 지는 상태로 굴러가므로 윙레일(20a)(20a')과 기차바퀴(30) 의 접촉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하중과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소음발생과 승차감의 저하가 큰 문제로 대두 되었던 것이다.
그 이유는 기차바퀴(30)가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고 있는데다가 상면이 거의 평면인 윙레일(20)(20a')이 기차바퀴(30)의 바깥면을 받쳐주기 때문에 서로간의 경사각이 일치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들은 갈 수록 기차의 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승차감과 소음 등에 매우 민감한 등 갈수록 선진화 되는 승객들의 취향을 감안 할때 써비스 개선 측면에서 조속히 해결 하여야 할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진동, 마모, 소음이 최대한 없도록 철도레일의 접합부와 윙레일의 구조를 개선 함으로써 기차바퀴와 레일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고 또한 승차감을 매우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철도 레일의 분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분기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레일 접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 레일 접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윙레일 구성을 나타낸 도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윙레일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분기부
10:접합부 11,11':접합 레일
12:경사부 13:요부
20,20':윙레일 21:접촉부
22:접촉 경사면
30:기차 바퀴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이 분기되는 분기부(1)의 접합부(10)와 윙레일(20)(20')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접합부(10)의 구성을 도2 및 도3을 통해 살펴 보면, 일측 접합레일(11)의 경사부(12) 바로 뒷쪽에 요부(13)를 형성 한 후 다른 접합레일(11')의 선단을 요부(13)에 삽입 시킨 다음 볼트셋팅등의 수단으로 접합 하였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접합부(10)에 가까운 윙레일(20)(20')의 상면 일부, 즉 기차바퀴(30)가 통과 하면서 닿게 되는 접촉부(21)의 바깥쪽 상면을 조금더 높게 형성하여 기차바퀴(30)의 경사각과 같은 각도의 접촉 경사면(22)을 형성하여 구성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접합부(10)의 접합레일(11)(11')이 요부(13)에 의해 견고히 결합 되므로 수명이 매우 길어 질 수가 있고 결합 부분이 매우 매끈하여 기차바퀴(30)가 통과시 걸림이 없게 되며, 그에따라 소음, 마모, 진동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윙레일(20)(20')의 접촉 경사면(22)형성에 따라 기차바퀴(30)가 접합부(10)를 통과시 기차바퀴(30)의 바깥쪽이 경사면(22)에 완전히 얹혀진 상태, 즉 면접촉이 이루어 지는 상태로 굴러가게 되므로 하중이 넓게 분산된 상태에서 매우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접합부(10)와 윙레일(20)(20')의 구성을 간단하게 개량함으로써 기차바퀴(30)가 굴러 갈때 소음과 진동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그에따른 기차바퀴 및 레일의 마모가 줄어드는 효과로 인해 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있게 되면서 아울러 쇳가루의 발생도 줄어 환경오염도 예방 될 수 있으며, 특히 기차에 승차하는 승객의 승차감을 크게 높일 수 있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철도 레일이 분기되는 분기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접합부(10)를 구성시 일측 접합레일(11)의 경사부(12) 바로 뒷쪽에 요부(13)를 형성 한 후 다른 접합레일(11')의 선단을 요부(13)에 삽입 시킨 다음 접합 하고 상기 접합부(10)에 가까운 윙레일(20)(20')의 상면 일부, 즉 기차바퀴(30)가 통과 하면서 닿게 되는 접촉부(21)의 바깥쪽 상면을 조금더 높게 형성하여 기차바퀴(30)의 경사각과 같은 각도의 접촉 경사면(2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KR1019990019528A 1999-05-25 1999-05-25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KR10032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528A KR100320598B1 (ko) 1999-05-25 1999-05-25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528A KR100320598B1 (ko) 1999-05-25 1999-05-25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123A true KR20000075123A (ko) 2000-12-15
KR100320598B1 KR100320598B1 (ko) 2002-01-15

Family

ID=1958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528A KR100320598B1 (ko) 1999-05-25 1999-05-25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48B1 (ko) * 2011-02-23 2015-05-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4691A (en) * 1988-05-18 1991-07-26 Peter George Linklater Vehicle mounted device for winding or unwinding reels in unison
JPH0814082B2 (ja) * 1990-08-27 1996-02-14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クロッシング用ノーズレールの形成方法およびクロッシングの形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48B1 (ko) * 2011-02-23 2015-05-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598B1 (ko)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598B1 (ko)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WO2010012227A1 (zh) 插接式单元钢轨及包含该钢轨的轨道
CN208455379U (zh) 一种磁浮列车轨道、轨排及其f轨轨缝伸缩接头结构
JPH08296201A (ja) 両輪両フランジ車輪用分岐器
KR100440502B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CN201128847Y (zh) 铁路导轨连接接头
CN2541506Y (zh) 斜茬对接式无振动、低噪音轨道接头
CN201099824Y (zh) 斜向接缝的铁轨
CN201485757U (zh) 一种低噪铁路钢轨
CN1357669A (zh) 斜茬对接式无振动、低噪音轨道接头
CN201056659Y (zh) 交叉连接无缝轨道
CN2255999Y (zh) 新型有缝斜面对接铁轨
CN218373035U (zh) 一种单开道岔结构
JPH08290701A (ja) 両輪両フランジ車輪
JP2002173026A (ja) 鉄道車両用連結装置の連結機構
RU2357034C2 (ru) Накладка стыкова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CN207535981U (zh) 一种直拉杆臂
CN2227140Y (zh) 铁路钢轨断面斜线对接装置
CN2206799Y (zh) “v”型铁轨接头
KR200296639Y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FR2827879A1 (fr) Rail a gorge pour voie ferree et utilisation d'un tel rail pour la realisation d'un reseau ferre en zone urbaine ou peri-urbaine
CN2339610Y (zh) 轨道接头对接装置
CN205839488U (zh) 一种用于高速列车转弯的铁轨
CN2533150Y (zh) 无直断缝衔接铁路导轨
CN2740654Y (zh) 无冲击振动钢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