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779A -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779A
KR20000074779A KR1019990018954A KR19990018954A KR20000074779A KR 20000074779 A KR20000074779 A KR 20000074779A KR 1019990018954 A KR1019990018954 A KR 1019990018954A KR 19990018954 A KR19990018954 A KR 19990018954A KR 20000074779 A KR20000074779 A KR 2000007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ontent
registered
ca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이혜정
오픈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정, 오픈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혜정
Priority to KR101999001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779A/ko
Publication of KR2000007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2Arrangements for calling a subscriber at a specific time, e.g. morning call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컨텐트 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교환기가 가지고 있는 컨텐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에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화라인을 통해 컨텐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컨텐트를 원하는 시간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음성메시지에 따라 컨텐트 등록요청 및 등록정보를 중계기를통해 교환기로 송출하여 등록되도록 하고, 교환기에서 등록된 정보를 체킹하면서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컨텐트를 등록된 시간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교환기에 본인이 원하는 시간 및 컨텐트를 등록하는 경우 신청한 시간에 휴대용 단말기로 등록된 컨텐트를 자동으로 송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본인이 원하는 컨텐트를 장소에 상관없이 항상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A PORTABLE COMMUNICATOR}
본 발명은 컨텐트 공급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환기가 가지고 있는 컨텐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에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화라인을 통해 컨텐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컨텐트 공급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많은 통신기기가 값싸게 보급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단말기를 가지고 있으며, 기지국 및 중계기가 전국적으로 폭넓게 분포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는 장소에 관계없이 쉽게 통화라인이 연결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는 기술발달로 인해 많은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물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공받을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모든 기능들을 휴대용 단말기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통화라인을 연결한 후 그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각종 정보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받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환기가 가지고 있는 컨텐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에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화라인을 통해 컨텐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컨텐트 공급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교환기
200 : 중계기
300 : 휴대용 단말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등록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등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면 등록된 번호와 통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통화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등록된 컨텐트를 전송하는 교환기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 및 컨텐트를 중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송출되는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중계기와,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의해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트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교환기로 중계기를 통해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송출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상기 과정(1)의 판단 결과,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등록번호 및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3) 상기 과정(2)을 수행한 후,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4) 상기 과정(3)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5) 상기 과정(4)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과 등록된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통신기기의 번호를 읽어들여 통화라인이 연결되도록 시도하고, 연결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6) 상기 과정(5)의 판단 결과,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트를 통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과정과, (7) 상기 과정(6)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해지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8) 상기 과정(7)의 판단 결과, 해지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9) 상기 과정(8)의 판단 결과,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이미 등록된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갱신된 정보로 대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교환기(100)는 사용자의 등록요청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등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면 등록된 번호와 통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통화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등록된 컨텐트를 전송한다.
상술한 교환기(100)는 휴대용 단말기(300)와 통화라인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컨텐트를 음성사서함으로 남기고, 그에 대한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기(300)로 송출한다.
상술한 컨텐트는 어학 회화용 음성신호 등을 비롯한 음성신호로 송출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중계기(200)는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 및 컨텐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송출되는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의해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중계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트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교환기(100)로 중계기(200)를 통해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공급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환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S200)하고, 판단 결과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등록번호 및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S210)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어학 학습을 하기 위해 원하는 언어로 작성된 문장에 대한 음성신호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0) 및 중계기(200)를 이용하여 상술한 어학 학습용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교환기(100)로 통화요청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중계기(200)를 통해 통화요청신호를 수신받은 교환기(100)는 사용자가 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렇게 송출되는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는 후술하는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0)에 구비된 키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제공받고자 하는 시간, 통화라인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교환기(100)가 휴대용 단말기(300)로 통화라인을 연결하고자 할 때 그 시도 회수, 음성사서함 이용에 대한 정보 등이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교환기(100)로 모든 정보를 전송하고 나면, 교환기(100)는 내부 메모리에 모든 정보를 등록하면 초기 과정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초기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의해 갱신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이상 지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과정이 완료되면 교환기(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시계를 이용하여 현재의 시간을 카운트(S220)한다. 물론 교환기(100)는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 중 시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S230)한다.
상술한 과정(S23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과 등록된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통신기기의 번호를 읽어들여 통화라인이 연결되도록 시도(S240)하고, 통화라인이 연결되는지를 판단(S250)한다.
상술한 과정(S250)을 판단한 결과,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중계기(200)에 의해 형성된 통화라인을 통해 송출(S260)한다. 그리고, 어학학습용 음성신호 송출과정(S260)이 완료되면 교환기(100)는 어학 학습용 음성신호의 송출과정(S260)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변경되는 정보의 유무를 체크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정보 변경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S270)하고, 판단 결과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교환기(100)에 이미 등록된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는 정보로 대체(S280)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해지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S280)하고, 입력되는 해지신호가 없는 경우 상술한 과정(S220)부터 반복 수행한다.
만약 상술한 과정(S250)의 판단 결과, 통화라인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등록된 정보 중에 음성사서함 요청신호가 있는지를 판단(S300)한다. 판단 결과, 음성사서함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음성사서함으로 남기고(S310), 음성사서함 메시지를 중계기(2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송출(S320) 한다
여기서, 교환기(100)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와 통화라인을 형성하기위해 시도를 하는 중 통화라인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사서함에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남기기 이전에 교환기(100)는 자체에 등록된 정보인 연결회수 또는 무응답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연결회수만큼 연결을 시도한 후 상술한 과정(S310)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100)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정보는 어학학습용 음성신호 뿐만 아니라 음성 및 문자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는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300) 사용자는 교환기(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는 전술한 것과 같이 통화라인을 통해 바로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음성사서함을 통해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이외에 상술한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문자데이터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즉, 사용자가 교환기(100)에 등록된 정보를 음성신호 청취방식에서 문자출력 방식을 선택하면, 교환기(100)는 등록된 정보를 문자출력방식으로 갱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어학학습용 음성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계기(2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300)는 이를 수신받아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에 구비된 제어수단 및 OSD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데이터를 디스플레이창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눈을 보고 익힐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교환기에 본인이 원하는 시간 및 컨텐트를 등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신청한 시간에 휴대용 단말기로 등록된 컨텐트를 자동으로 송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본인이 원하는 컨텐트를 장소에 상관없이 항상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등록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등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면 등록된 번호와 통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통화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등록된 컨텐트를 전송하는 교환기;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 및 컨텐트를 중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송출되는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의해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트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교환기로 중계기를 통해 등록요청정보 또는 갱신되는 요청정보를 송출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어학용 회화 오디오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급 시스템.
  3. (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2) 상기 과정(1)의 판단 결과, 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등록번호 및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3) 상기 과정(2)을 수행한 후,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
    (4) 상기 과정(3)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5) 상기 과정(4)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과 등록된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통신기기의 번호를 읽어들여 통화라인이 연결되도록 시도하고, 연결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 상기 과정(5)의 판단 결과, 통화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트를 통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과정;
    (7) 상기 과정(6) 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해지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8) 상기 과정(7)의 판단 결과, 해지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9) 상기 과정(8)의 판단 결과, 갱신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이미 등록된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갱신된 정보로 대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5)의 판단 결과, 통화라인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5-1) 등록된 정보 중에 음성사서함 요청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5-2) 상기 과정(5-1)의 판단 결과, 음성사서함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음성사서함으로 남기고, 음성사서함 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공급 방법.
KR1019990018954A 1999-05-25 1999-05-25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4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54A KR20000074779A (ko) 1999-05-25 1999-05-25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54A KR20000074779A (ko) 1999-05-25 1999-05-25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79A true KR20000074779A (ko) 2000-12-15

Family

ID=195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954A KR20000074779A (ko) 1999-05-25 1999-05-25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7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25A (ko) * 2002-03-04 2003-09-15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유/무선 환경 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활용한 트리거 처리에 관한 방법
KR20040005110A (ko) * 2002-07-08 2004-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초기화면의 자동 업 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0478919B1 (ko) * 2002-07-04 2005-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사서함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유아 놀이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07978B1 (ko) * 2006-03-20 2008-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170A (ko) * 1993-11-27 1995-06-17 김광호 교환시스템에서 약속전화 예약호출방법
KR960006337A (ko) * 1994-07-06 1996-02-23 김종길 페이징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정보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9980082264A (ko) * 1997-05-02 1998-12-05 이일호 통신기기의 메시지 전달장치
KR19990032198A (ko) * 1997-10-16 1999-05-06 김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KR19990078819A (ko) * 1999-08-10 1999-11-05 양형준 다기능 무선호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170A (ko) * 1993-11-27 1995-06-17 김광호 교환시스템에서 약속전화 예약호출방법
KR960006337A (ko) * 1994-07-06 1996-02-23 김종길 페이징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정보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9980082264A (ko) * 1997-05-02 1998-12-05 이일호 통신기기의 메시지 전달장치
KR19990032198A (ko) * 1997-10-16 1999-05-06 김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KR19990078819A (ko) * 1999-08-10 1999-11-05 양형준 다기능 무선호출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25A (ko) * 2002-03-04 2003-09-15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유/무선 환경 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활용한 트리거 처리에 관한 방법
KR100478919B1 (ko) * 2002-07-04 2005-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사서함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유아 놀이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05110A (ko) * 2002-07-08 2004-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초기화면의 자동 업 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978B1 (ko) * 2006-03-20 2008-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39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US6490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non-spoken telephone communication
KR10025398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서비스방법
KR20000074779A (ko)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84902B2 (ja) 携帯端末装置
JPS6059854A (ja) 発呼者表示機能付インタ−ホン装置
JP2001251429A (ja) 携帯電話を使用した音声翻訳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20078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KR100329620B1 (ko) 특정 캐릭터의 음성을 통한 교육 컨텐트 제공방법 및 그장치
CN212696059U (zh) 一种基于WiFi的网络电话终端及系统
KR100604522B1 (ko) 단문 메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49320A (ko) 광고 음향을 사용한 착발신 기능을 갖는 전화 시스템 운영 방법
KR950022646A (ko) 사설교환기 시스템의 메세지등록/통보방법 및 그 장치
JP2002218016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を用いた翻訳方法
JPH10108234A (ja) 連絡システム
KR20050051088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검색방법
KR200257083Y1 (ko) 에이알에스 중계시스템
JP2000216892A (ja) 案内サ―ビス切替システム及び切替方法
KR20040061780A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일정 설정 방법
KR20050055107A (ko) 휴대폰을 이용한 해외전송 단문메세지의 번역 전송장치
KR100744298B1 (ko) 문자 메시지의 효과음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08072A (ko)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동영상 메일 전송 방법
JPH09284403A (ja) 通信装置
KR20060074374A (ko) 문자메시지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