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486A - 원통형 압착필터 - Google Patents

원통형 압착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486A
KR20000074486A KR1019990018461A KR19990018461A KR20000074486A KR 20000074486 A KR20000074486 A KR 20000074486A KR 1019990018461 A KR1019990018461 A KR 1019990018461A KR 19990018461 A KR19990018461 A KR 19990018461A KR 20000074486 A KR20000074486 A KR 2000007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ylinder member
filter
filtrat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210B1 (ko
Inventor
안원수
Original Assignee
안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수 filed Critical 안원수
Priority to KR101999001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2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2Tiltable stand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리 상태의 여과액을 압착시켜 여과시키는 원통형 압착필터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공급 및 배출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배출공과, 내주면에 상기 공급/배출공으로 부터 공급 및 배출되는 가압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가압부재가 설치된 외통부재와; 상기 삽입공에 상응되게 외주면에 지지망과 여과포가 설치되어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 사이로 여과액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인입면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삽입공에서 통상적인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체결고리와, 상기 충진부로 여과액을 주입할 수 있는 여과액주입관 및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외주면으로 압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기주입관과,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인입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내통부재로 구성되는 원통형 압착필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면에 여과시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여과포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출공부를 구비하여서 된 원통형 압착필터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여과시 추출액의 배출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시켜 신속한 여과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여과공정 후 여과포의 세척시에도 보다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압착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형 압착필터{Filter press}
본 발명은 슬러리(slurry) 상태의 여과액을 압착(壓搾)시켜 여과시키는 원통형 압착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시 추출액의 배출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시켜 신속한 여과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여과공정 후 여과포의 세척시에도 보다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압착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료(顔料), 장유(醬油=간장) 및 주박(酒粕) 등과 같은 슬러리(slurry) 상태의 여과액에서 필요로 하는 추출액을 얻고자 여과시키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부분이 압착필터를 사용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압착필터는 박스형태의 여과실내에 다수의 판형상의 여과판과 여과포를 설치하고 상기 여과판과 여과포 사이에 가압용 고무판을 설치한 다음 상기 여과실내로 여과시키고자 하는 여과액을 투입시킨 후 상기 가압용 고무판과 여과판 사이에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 등과 같은 공급수단으로 공기나 물 등과 같은 가압체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압체에 의해 가압용 고무판이 가압되어 팽창되면서 여과판과 여과포 사이의 여과액을 가압하여 여과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착필터는 그 부피가 커서 넓은 설치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 조건과, 또 여과실내에 설치된 다수의 여과판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많은 여가판으로 분산됨에 따라 여과판으로 큰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써,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원통형 압착필터를 사용하는 데 이를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원통형 압착필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52)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공급 및 배출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배출공(54)과, 내주면에 상기 공급/배출공(54)으로 부터 공급 및 배출되는 가압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가압부재(56)가 설치된 외통부재(50)와;
상기 삽입공(52)에 상응되게 외주면에 지지망(501)과 여과포(502)가 설치되어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 사이로 여과액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부(550)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통공(504)이 형성된 인입면부(50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삽입공(52)에서 통상적인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체결고리(506)와, 상기 충진부(550)로 여과액을 주입할 수 있는 여과액주입관(507) 및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외주면으로 압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기주입관(508)과,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504)을 통하여 인입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509)이 형성된 내통부재(5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부재(5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으로 내통부재(5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충진부(550)가 밀폐될 수 있도록 밀폐패킹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통형 압착필터(1)의 작동은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에 내통부재(50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여과액주입관(507)을 통하여 여과시키고자 하는 슬러리 상태의 여과액을 외통부재(50)와 내통부재(500) 사이에 형성된 충진부(550)에 충진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여과액주입관(507)을 폐쇄시킨 후 외통부재(50)에 형성된 공급/배출공(54)으로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주입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외통부재(50)의 내주면으로 설치된 가압부재(56)가 일점쇄선과 같이 팽창되면서 충진부(550)에 충진된 여과액을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54)의 압착에 의해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액은 여과포(502) 및 지지망(501)을 거쳐 내통부재(500)에 형성된 통공(504)을 통하여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509)으로 배출되어 진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압착과정을 통하여 여과공정이 완료되면 공급수단의 밸브를 폐쇄시킨 다음 가압체를 공급/배출공(54)을 통하여 다시 배출시킴으로써,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팽창되었던 가압부재(56)가 다시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수축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6)의 가압에 따른 여과액에 함유된 슬러리 등은 내통부재(500)의 여과포(502)에 케이크 상태로 부착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상기 내통부재(500)의 여과포(502)에 부착되어 진 케이크 등의 제거는 도 4에서와 같이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으로 삽입되어 있는 내통부재(500)를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고리(506)를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인출수단과 연결하여 내통부재(500)를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으로 부터 하강시키면서 공기주입관(508)으로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내통부재(500) 내로 유입된 공기가 통공(504)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그 배기 압력에 의하여 여과포(502)에 부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킨다.
이와같이 케이크의 박리공정이 완료되면 다시 내통부재(500)를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을 삽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여과공정을 반복하여 여과를 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통형 압착필터(1)에서는 외통부재(50)의 가압부재(56)를 사용하여 여과액에 가압력의 분산없이 큰 압력을 가하여 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력에 비하여 여과액에서 추출되는 추출액의 배출면적이 단지 내통부재(5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504)을 통해서만 배출됨으로써, 여과공정에 따른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압착에 따른 케이크 등과 같은 슬러리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도 에어로써만 제거함에 따라 깨끗한 세척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러리 상태의 여과액을 압착하여 여과시키는 원통형 압착필터에서 여과시 추출액의 배출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시켜 신속한 여과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여과공정이 완료된 후 압착에 따른 케이크 등과 같은 슬러리 또한 보다 깨끗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공급 및 배출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배출공과, 내주면에 상기 공급/배출공으로 부터 공급 및 배출되는 가압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가압부재가 설치된 외통부재와; 상기 삽입공에 상응되게 외주면에 지지망과 여과포가 설치되어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 사이로 여과액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인입면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삽입공에서 통상적인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체결고리와, 상기 충진부로 여과액을 주입할 수 있는 여과액주입관 및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외주면으로 압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기주입관과,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인입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내통부재로 구성되는 원통형 초고압 압착필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면에 여과시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여과포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출공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그 돌기와 돌기 사이로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통부재의 삽입공 하단의 외측과 상기 내통부재의 상단 외측에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작업시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과 같은 세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원통형 압착필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세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원통형 압착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세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형 압착필터 10 : 배출부
12 : 돌기 14 : 배출로
15, 502 : 여과포 20 : 배출공부
30 : 세척수단 50 : 외통부재
52 : 삽입공 54 : 공급/배출공
56 : 가압부재 500 : 내통부재
501 : 지지망 504 : 통공
505 : 인입면부 506 : 체결고리
507 : 여과액주입관 508 : 공기주입관
509 : 배출관 550 : 충진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원통형 압착필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52)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공급 및 배출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배출공(54)과, 내주면에 상기 공급/배출공(54)으로 부터 공급 및 배출되는 가압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고무와 같은 복원을 갖는 가압부재(56)가 설치된 외통부재(50)와;
상기 삽입공(52)에 상응되게 외주면에 지지망(501)과 여과포(502)가 설치되어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 사이로 여과액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부(550)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통공(504)이 형성된 인입면부(50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삽입공(52)에서 통상적인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체결고리(506)와, 상기 충진부(550)로 여과액을 주입할 수 있는 여과액주입관(507) 및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외주면으로 압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기주입관(508)과,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504)을 통하여 인입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509)이 형성된 내통부재(500)로 구성되는 원통형 압착필터(1)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원통형 압착필터(1)에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56)의 가압면에 여과시 가압에 따른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여과포(15)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배출부(10)와;
상기 외통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부(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출공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배출부(10)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다수의 돌기(12)를 형성시키고 그 돌기(12)와 돌기(12) 사이로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로(14)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부재(50)의 삽입공(12) 하단의 외측과 상기 내통부재(500)의 상단 외측에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작업시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과 같은 세척수단(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세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한 상태에서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에서 내통부재(500)의 상단으로 형성된 체결고리(506)와 연결된 통상적인 인출수단에 의해 내통부재(500)를 하강시키면서 공기주입관(508)을 통하여 내통부재(500)에 공기를 주입시킴에 따라 내통부재(500)의 통공(504)으로 상기 공기가 배기 되면서 내통부재(500)의 여과포(502)로 가압에 의해 부착된 케이크 등과 같은 슬러리가 박리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크의 박리가 완료되어 인출수단에 의해 다시 내통부재(500)를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으로 인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 하단의 외측과 상기 내통부재(500)의 상단 외측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사노즐과 같은 세척수단(30)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외통부재(50)의 배출부(10) 표면으로 설치된 여과포(15)와 내통부재(500)에 설치된 여과포(502)를 다시 한번 더 세척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에 내통부재(50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여과액주입관(507)을 통하여 여과시키고자 하는 슬러리 상태의 여과액을 외통부재(50)와 내통부재(500) 사이에 형성된 충진부(550)에 충진시킨다.
그런 다음 여과액주입관(507)을 폐쇄시킨 후 외통부재(50)에 형성된 공급/배출공(54)으로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주입시키게 되면 상기 주입되는 가압체에 의하여 외통부재(50)의 내주면으로 설치된 가압부재(56)가 일점쇄선과 같이 팽창되면서 충진부(550)에 충진된 여과액을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56)의 압착에 의해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일부의 추출액은 여과포(502) 및 지지망(501)을 거쳐 내통부재(500)에 형성된 통공(504)을 통하여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509)으로 배출되어 지고, 나머지 일부의 추출액은 상기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지는 가압부재(56)의 가압면에 여과포(15)가 설치되어 형성된 배출부(10)의 배출로(14)를 통하여 배출공부(20)를 거쳐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부재(56)가 가압체에 의해 여과액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시키는 면 측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의 돌기(12)를 형성시키고 그 돌기(12)와 돌기(12) 사이로 형성된 배출로(14)를 통하여 가압에 의해 추출되는 추출액을 동시에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압착과정을 통하여 여과공정이 완료되면 공급수단의 밸브를 폐쇄시킨 다음 가압체를 공급/배출공(54)을 통하여 다시 배출시킴으로써,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팽창되었던 가압부재(56)가 다시 처음과 같은 위치로 수축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6)의 가압에 따른 여과액에 함유된 슬러리 등은 내통부재(500)의 여과포(502)에 대부분이 케이크상태로 부착되어 지고 일부 슬러리 등은 가압부재(56)의 여과포(15)에 부착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내통부재(500)의 여과포(502) 및 외통부재(50)의 여과포(15)에 부착되어 진 케이크 등의 제거는 도 2에서와 같이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에서 내통부재(500)의 상단으로 형성된 체결고리(506)와 연결된 통상적인 인출수단에 의해 내통부재(500)를 하강시키면서 공기주입관(508)을 통하여 내통부재(500)에 공기를 주입시킴에 따라 내통부재(500)의 통공(504)으로 주입되는 공기 등이 배기되면서 여과포(502)에 가압으로 인해 부착된 케이크 등이 박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크의 박리가 완료되어 인출수단에 의해 다시 내통부재(500)가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으로 인입되는 시점에서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 하단의 외측과 내통부재(500)의 상단 외측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사노즐과 같은 세척수단(30)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외통부재(50)의 배출부(10) 표면으로 설치된 여과포(15)와 내통부재(500)에 설치된 여과포(502)를 더욱더 깨끗하게 세척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케이크의 박리공정과 세척공이 완료되면 다시 내통부재(500)를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을 삽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여과공정을 반복하여 여과를 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러리 상태의 여과액을 가압하여 여과시키는 원통형 압착필터에서 상기 여과액을 가압시키는 가압부재의 가압면에 배출부를 형성시켜 가압에 따른 추출액의 배출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신속한 여과공정이 이루어져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여과공정이 완료된 후 압착에 따른 케이크 등과 같은 슬러리 또한 1차 제거공정이 완료된 후 재차 세척수단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실린더 또는 컴프레셔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공기 또는 물등의 가압체를 공급 및 배출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배출공과, 내주면에 상기 공급/배출공으로 부터 공급 및 배출되는 가압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가압부재가 설치된 외통부재와; 상기 삽입공에 상응되게 외주면에 지지망과 여과포가 설치되어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 사이로 여과액을 충진할 수 있는 충진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인입면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삽입공에서 통상적인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체결고리와, 상기 충진부로 여과액을 주입할 수 있는 여과액주입관 및 여과공정이 완료되어 외주면으로 압착된 케이크 등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기주입관과,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인입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내통부재로 구성되는 원통형 압착필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6)의 가압면에 여과시 여과액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여과포(15)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배출부(10)와; 상기 외통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부(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출공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압착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0)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다수의 돌기(12)를 형성시키고 그 돌기(12)와 돌기(12) 사이로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로(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압착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50)의 삽입공(52) 하단의 외측과 상기 내통부재(500)의 상단 외측에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작업시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과 같은 세척수단(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압착필터.
KR1019990018461A 1999-05-21 1999-05-21 원통형 압착필터 KR10031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461A KR100315210B1 (ko) 1999-05-21 1999-05-21 원통형 압착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461A KR100315210B1 (ko) 1999-05-21 1999-05-21 원통형 압착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486A true KR20000074486A (ko) 2000-12-15
KR100315210B1 KR100315210B1 (ko) 2001-11-26

Family

ID=1958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461A KR100315210B1 (ko) 1999-05-21 1999-05-21 원통형 압착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893U (ko) * 1985-01-22 1986-08-11
JPS625807U (ko) * 1985-06-27 1987-01-14
JPH02229510A (ja) * 1989-03-02 1990-09-12 Kikkoman Corp 濾過機
JP3211867B2 (ja) * 1996-08-19 2001-09-25 横河電機株式会社 通信中継装置
JPH1176711A (ja) * 1997-09-09 1999-03-23 Kawasaki Eng Kk 加圧式濾過装置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5210B1 (ko)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210B1 (ko) 원통형 압착필터
JPH07116409A (ja) ろ過板加圧装置
CN212417128U (zh) 一种隔膜式压滤机滤布水洗装置
ATE253980T1 (de) Vorrichtung zum filtern und beseitigen von flüssigkeiten
JP2006223946A (ja) フィルタプレス装置,及び当該フィルタプレス装置におけるスラリーの圧搾方法
CN214415854U (zh) 一种布袋除尘器
JPS6115711A (ja) フイルタプレスにおけるダイヤフラムの排水方法
KR20020027180A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장치, 그것을 사용한 필터 프레스 및필터 프레스에서의 케이크 취출방법
CN210495372U (zh) 染料生产的板框压滤机
CN209033898U (zh) 金线莲多糖的提取装置
CN208553271U (zh) 一种小型藻油脱色过滤装置
US2293120A (en) Filter
JP356899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と、そのフィルタープレスによる脱水方法
KR100326234B1 (ko) 여과포밀폐(密閉)동시세정식필터프레스
JPS6485B2 (ko)
JPH04300606A (ja) フイルタプレスにおけるケーキの剥離装置
CN214711906U (zh) 一种过滤装置及飘逸杯
CN209583947U (zh) 一种污水处理用污泥压滤装置
CN220609383U (zh) 一种便于清洁的抽滤槽
CN213725060U (zh) 自动过滤装置
KR20040005367A (ko) 식용기름 침전물의 정제장치
JP2859342B2 (ja) 圧力フィルタに付着したフィルタケーキを分解する方法
CN210674386U (zh) 一种过滤洗涤机
JP3738885B2 (ja) 金属ろ材を用いたフイルタープレス
JP3066590B1 (ja) 円筒型フィルタープ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