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349A -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349A
KR20000074349A KR1019990018243A KR19990018243A KR20000074349A KR 20000074349 A KR20000074349 A KR 20000074349A KR 1019990018243 A KR1019990018243 A KR 1019990018243A KR 19990018243 A KR19990018243 A KR 19990018243A KR 20000074349 A KR20000074349 A KR 2000007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addle
lid body
toile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773B1 (ko
Inventor
심재곤
Original Assignee
심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곤 filed Critical 심재곤
Priority to KR10-1999-001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7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 상에 사용자가 앉게 되는 안장 부위에 주위로부터 물기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구성은, 좌변기의 안장 부위에 대응하여 그 상측 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뚜껑본체가 상기 안장과 더불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측부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를 따라 연장된 갓 형상을 이루는 커버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안장에 대향하는 상기 뚜껑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통상의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뚜껑본체가 삽입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가장자리 부위가 연장된 갓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장판 측부에 대응하는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커버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이 커버패드에 의해 안장판 상에 주위의 물기 또는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안장판을 닦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깨끗한 상태의 안장판에 의한 쾌적함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 assembled lid of night chair }
본 발명은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 상에 사용자가 앉게 되는 안장 부위에 주위로부터 물기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사람의 신진대사에 의한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들 변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그 형태가 발전되어 왔다.
이들 변기의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좌변기가 있으며, 이러한 좌변기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장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루며 사용자가 앉기 용이한 의자 형상을 갖는 몸체(12)가 통상의 방법으로 정화조(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함)와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12)의 상측 중심 부위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용기 형상을 이루는 거취부(去取部)(13)가 형성되고, 몸체(12)의 상측 후방 위치에는 거취부(13)의 상측 주연에 걸쳐지는 고리 형상 또는 고리 형상에서 전방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것으로 사용자가 앉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안장판(14)과 이 안장판(14)의 상측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판 형상의 뚜껑본체(16)가 힌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뚜껑본체(16)는 통상적으로 상술한 안장판(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장판(14)의 측부는 뚜껑본체(16)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뚜껑본체(16) 또는 안장판(14)을 회동 개폐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좌변기(10)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장소에 설치됨에 따라 뚜껑본체(16)로부터 노출되는 안장판(14)의 측부와 이 측부의 주연 부위는 주위로부터 물 또는 각종 이물질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시 안장판(14)에 묻은 물기 또는 각종 이물질을 닦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불쾌감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기 또는 각종 이물질로부터 안장판의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장판을 닦아 사용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의 불쾌감을 방지하도록 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좌변기 12: 몸체
13: 거취부 14: 안장
16, 22: 뚜껑본체 24: 커버패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좌변기의 안장 부위에 대응하여 그 상측 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뚜껑본체가 상기 안장과 더불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측부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를 따라 연장된 갓 형상을 이루는 커버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안장에 대향하는 상기 뚜껑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통상의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뚜껑본체가 삽입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가장자리 부위가 연장된 갓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 또는 상기 안장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패드 부위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의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장소에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는 몸체(12)가 있고, 이 몸체(12)의 상측 후방 부위에는 몸체(12)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거취부(13) 가장자리 주연 부위에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걸쳐지도록 고리 형상 또는 고리 형상에서 전방 부위가 개방된 형상의 안장판(14)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장판(14)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소정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뚜껑본체(22)가 안장판(14)과 함께 힌지 결합되고, 이 뚜껑본체(22)는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안장판(14)의 상측 부위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안장판(14)에 대향하는 뚜껑본체(22) 상에는 뚜껑본체(22)의 외측으로 연장된 갓 형상을 이루어 노출되는 안장판(14)의 측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패드(24)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커버패드(24)의 형상은, 안장판(14)에 대향하는 뚜껑본체(22)의 대향면 가장자리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뚜껑본체(22)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여 분리된 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의 경우 뚜껑본체(22)의 전단부 소정 부위는 뚜껑본체(22)가 안장판(14)을 커버함에 있어서, 뚜껑본체(22) 및 안장판(14)을 선택적으로 개폐기 용이하도록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뚜껑본체(22)의 가장자리 양측에 안장판(14)의 전단부가 노출되도록 소정 폭과 두께 및 유연성을 갖는 패드 형상의 것을 고정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커버패드(24)의 다른 일 예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뚜껑본체(22)를 삽입하는 주머니 형상으로 그 외측 부위가 연장되어 뚜껑본체(22)가 안장판(14)을 덮는 과정에서 안장판(14)의 측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안장판(14)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커버패드(24)의 전단부 부위는, 도2의 A로 표시된 부위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절개된 부위를 통해 뚜껑본체(22) 또는 안장판(14)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개폐하도록 구성함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장판 측부에 대응하는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커버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이 커버패드에 의해 안장판 상에 주위의 물기 또는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안장판을 닦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깨끗한 상태의 안장판에 의한 쾌적함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좌변기의 안장 부위에 대응하여 그 상측 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뚜껑본체가 상기 안장과 더불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측부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를 따라 연장된 갓 형상을 이루는 커버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안장에 대향하는 상기 뚜껑본체의 저면 가장자리 양측에 통상의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뚜껑본체가 삽입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가장자리 부위가 연장된 갓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패드 부위는 상기 뚜껑본체 또는 상기 안장판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KR10-1999-0018243A 1999-05-20 1999-05-20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KR10037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243A KR100377773B1 (ko) 1999-05-20 1999-05-20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243A KR100377773B1 (ko) 1999-05-20 1999-05-20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49A true KR20000074349A (ko) 2000-12-15
KR100377773B1 KR100377773B1 (ko) 2003-03-31

Family

ID=1958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243A KR100377773B1 (ko) 1999-05-20 1999-05-20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7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3006Y1 (ko) * 1982-03-30 1983-12-27 강수근 양변기좌판
JPS6131197U (ja) * 1984-07-30 1986-02-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773B1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331A (en)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US4207628A (en) Combination toilet seat and bidet basin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KR100377773B1 (ko)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KR102248021B1 (ko) 좌변기용 보조커버
US6085365A (en) Structurally improved toilet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KR200168449Y1 (ko) 좌식 변기용 커버
KR200273947Y1 (ko) 위생형 양변기 시트
KR200147080Y1 (ko) 화장실 변기의 자동 개방식 씨트
JPH0431336Y2 (ko)
JP3139425U (ja) 洋式便器
JP3584512B2 (ja) 車両用シート
JP3070199B2 (ja) 衛生洗浄装置
JPH0227839Y2 (ko)
JPS5927833Y2 (ja) 腰掛式便器用機能便座
JPH0515836Y2 (ko)
JP3030462U (ja) 便器の汚れ防止シート
JP2599621Y2 (ja) 和式便器用全覆型洋式腰掛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KR200375570Y1 (ko) 재래식 겸용 양변기
JPH0723498U (ja) 尿飛散防止カバーおよび同カバー付き便座
JP4432105B2 (ja) 便器装置
JPH01281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