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417A -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417A
KR20000073417A KR1019990016682A KR19990016682A KR20000073417A KR 20000073417 A KR20000073417 A KR 20000073417A KR 1019990016682 A KR1019990016682 A KR 1019990016682A KR 19990016682 A KR19990016682 A KR 19990016682A KR 20000073417 A KR20000073417 A KR 2000007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e
telephone
signal
volu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성
Original Assignee
송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성 filed Critical 송진성
Priority to KR101999001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3417A/ko
Publication of KR2000007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에 따라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킬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A/V 기기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과, 전화기에 구비된 수화기의 픽 업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픽 업 검출 수단 및,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키기 위한 뮤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는 볼륨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전화기 사용시 A/V 기기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전화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TELEPHONE CAPABLE OF MUTING TELEVISION VOLUME}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기 사용시 텔레비전의 볼륨(volume)을 자동으로 뮤트(mute)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회선을 통해 전송하고, 전화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다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써, 전화 가입자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전화기에서는 텔레비전 시청 도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사용자는 원활한 전화 통화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시청중인 텔레비전의 음량을 줄인 후 수화기를 들어 통화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일, 이러한 전화기에서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텔레비전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화기의 후크(hook) 스위치와 연동되는 원격 뮤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전화 사용여부에 따라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킬 수 있는 텔레비전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A/V 기기에 대한 볼륨 뮤트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과, 상기 전화기에 구비된 수화기의 픽 업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픽 업 검출 수단 및, 상기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키기 위한 볼륨 뮤트 신호를 상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볼륨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에 대한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뮤트 스위치 12O : 선택 스위치
130 : 주파수 선택부 140 : 제어부
150 : 송신부 210 : 수신부
220 : 마이컴 230 : 오디오 출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후크 스위치(10), 뮤트 스위치(20), 선택 스위치(30), 송신부 유도관(40), 송신부(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는 일반적인 A/V 기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뮤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기 홈 내에 후크 스위치(1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뮤트 스위치(20)를 별도로 구성하여 수화기의 픽 업(pick up) 상태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뮤트 기능에 대한 수행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30)를 전화기 외측에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뮤트 스위치(20)의 온/오프에 따라 텔레비전의 뮤트 기능을 실행 또는 해제하기 위해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송신부(50)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송신부(50)는 통상적으로 리모콘에서 구비되는 송신부와 동일한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도면에 도시된 송신부 유도관(40)은 상술한 송신부(50)를 지지하기 위해서 구비되며, 사용자가 텔레비전의 위치에 따라 송신부(50)의 지시 방향을 상하 좌우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조한다. 즉, 사용자는 송신부 유도관(40)을 구부려 송신부(50)가 텔레비전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송신부(50)로부터 출력되는 뮤트 신호가 텔레비전에 정확히 수신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로서, 뮤트 스위치(110), 주파수 선택부(120), 선택 스위치(130), 제어부(140), 송신부(150)를 구비하는 전화기(100)와 수신부(210), 마이컴(220),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하는 외부 A/V 기기(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의 뮤트 스위치(110)와 도 1의 뮤트 스위치(20), 및 도 2의 선택 스위치(130)와 도 1의 선택 스위치(30), 그리고 도 2의 송신부(150)와 도 1의 송신부(50)는 각각 동일한 구성 수단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각 구성 수단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뮤트 스위치(110)는 사용자에 의한 수화기의 픽 업 동작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A/V 기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제조 회사별로 원격 제어 주파수(무선 리모콘 주파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텔레비전의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제조 회사의 리모콘을 사용해야만 하는데, 주파수 선택부(120)는 이를 감안하여 사용자가 전화기(1OO)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제어 주파수를 A/V 기기의 제조 회사에 대응하게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뮤트 기능을 수행할 A/V 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을 예로 하여 설명함)의 제조 회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선택 스위치(13O)는 수화기의 픽 업에 따라 텔레비전에 대한 뮤트 기능의 실행 여부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사용자의 수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 또는 해제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0)를 해제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수화기를 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뮤트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0)를 동작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수화기를 들게 되면 텔레비전의 뮤트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뮤트 기능이 설정된 상태, 즉 선택 스위치(130)가 동작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게 되면, 텔레비전의 볼륨이 뮤트되는데, 이때 만일 사용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해제 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텔레비전의 뮤트 기능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도중에 다시 텔레비전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4O)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뮤트 기능에 대한 전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수단으로서, 뮤트 스위치(110)로부터 온/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선택 스위치(130)의 설정 모드(동작/해제)를 판별하고 주파수 선택부(120)에 설정된 주파수 제어 신호 및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송신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구동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주파수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주파수에 텔레비전을 뮤트시키기 위한 뮤트 제어 신호를 포함시켜 무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텔레비전(2O0)의 전반적인 동작이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출력하는 일반 시청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텔레비전의 볼륨을 뮤트시키기 위한 뮤트 제어 신호가 수신부(210)에 수신되면, 마이컴(220)은 오디오 출력부(2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차단시키므로써 텔레비전의 볼륨을 뮤트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즉 수화기의 픽 업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스위치 외에 별도의 뮤트 스위치(110)를 구비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다시 말하면, 전화기(100)에 별도의 뮤트 스위치(110)를 구성하지 않고, 제어부(140)에서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후크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송신부(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뮤트 스위치(110)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A/V 기기(2OO)의 제조 업체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주파수 선택부(120) 또한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소자로 구성하지 않고 전화기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숫자판의 숫자 조합에 의해 제조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술한 주파수 선택부(120)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정보(제조 업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에 대한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1OO)에서 외부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외부 A/V 기기(200)에 대한 원격 제어 주파수가 기설정된 상태, 즉 A/V 기기의 제조 회사가 기설정된 상태에서(단계 301),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에 따라 수화기가 픽 업되고 그로 인해 뮤트 스위치(110)가 온 되면(단계 303), 제어부(140)는 이에 응답하여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스위치(130)의 상태가 동작 모드인지 해제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305).
그리고, 그 판단 결과, 선택 스위치(13O)가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송신부(150)에 주파수 제어 신호 및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송신부(150)는 이에 응답하여 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주파수 선택부(120)에서 설정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출하게 된다(단계 307).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에 따라 A/V 기기(2OO)의 볼륨이 자동으로 뮤트된 상태 또는 선택 스위치(130)가 해제 모드로 설정되어 A/V 기기(200)의 볼륨이 뮤트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동작/해제 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단계 309), 제어부(140)는 선택 스위치(130)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송신부(150)를 통해 뮤트 제어 신호 또는 뮤트 해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단계 311). 다시 말하면, 현재 A/V 기기(200)의 볼륨이 뮤트된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130)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뮤트 해제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A/V 기기(200)의 볼륨이 뮤트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130)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뮤트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도 A/V 기기(200)의 볼륨을 뮤트 또는 뮤트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를 끝내고 수화기를 내려놓게 되면, 뮤트 스위치(11O)는 오프 상태가 되고(단계 313), 제어부(140)는 이에 응답하여 송신부(150)를 통해 뮤트 해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단계 315), 다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A/V 기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여부에 따라 A/V 기기의 볼륨을 자동으로 뮤트시켜 줌으로써 종래의 전화기 사용시 A/V 기기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화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 A/V(Audio/video) 기기에 대한 볼륨 뮤트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
    상기 전화기에 구비된 수화기의 픽 업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픽 업 검출 수단;
    상기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키기 위한 볼륨 뮤트 신호를 상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볼륨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외부 A/V 기기의 볼륨 제어 동작을 실행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모드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 업 검출 수단은 상기 전화기에 구비된 후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 업 검출 수단은 상기 전화기에 구비된 후크 스위치와 동시에 동작하도록 별도로 구성된 뮤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 수단은
    상기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 A/V 기기의 볼륨을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 뮤트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KR1019990016682A 1999-05-10 1999-05-10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KR20000073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82A KR20000073417A (ko) 1999-05-10 1999-05-10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82A KR20000073417A (ko) 1999-05-10 1999-05-10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417A true KR20000073417A (ko) 2000-12-05

Family

ID=1958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682A KR20000073417A (ko) 1999-05-10 1999-05-10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34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964B1 (en) Combination cordless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for entertainment equipment
US606143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US55421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base station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functions
US7308086B2 (en) Telephone communication apparatus
EP21082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ting tv speakers when headphones in use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CA2033270C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of different kinds
KR20160119722A (ko) 전자장치
JPH0231545A (ja) テレビ用リモコン付ワイヤレス電話機
KR20000073417A (ko) 외부 기기의 뮤트 기능이 가능한 전화기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JP3692582B2 (ja) 音声消去装置
KR101044064B1 (ko) 리모컨 겸용 인터넷 전화기를 일체로 구비한 셋탑박스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200274701Y1 (ko) 미디어 기기의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
US6941155B1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hanging method of answering method of the same
KR20000028427A (ko) 자동음량조절장치
JP2936934B2 (ja) 電話機
JP2008072631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0124810B1 (ko)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 알림회로
JPH066429A (ja) ルームモニタ可能なコードレス電話機
KR015118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100600089B1 (ko)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JPH04252551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WO2001028110A1 (en) Handfree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ystem for receiving signals from outer source
JP2000196713A (ja) 電話機の着信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