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631A -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631A
KR20000072631A KR1020000054444A KR20000054444A KR20000072631A KR 20000072631 A KR20000072631 A KR 20000072631A KR 1020000054444 A KR1020000054444 A KR 1020000054444A KR 20000054444 A KR20000054444 A KR 20000054444A KR 20000072631 A KR20000072631 A KR 20000072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period
semi
cycle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632B1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00005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6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결과의 자동입력 또는 수동입력 코드에 의해 반주음역을 발성음역에 가장 적절하게 일치시킴으로서, 노래반주기 본연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저음부터 고음까지 발성하는 단계와, 분석모듈에서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는 단계와,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노래반주기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된 발성음역측정과정; 노래시작단계와,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 단계와,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디스플레이 표시단계와,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 비교단계와,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 단계와,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음역자동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Auto-tone controlling apparatus of music box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결과의 자동입력 또는 수동입력 코드에 의해 반주음역을 발성음역에 가장 적절하게 일치시킴으로서, 노래반주기 본연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노래반주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를 때,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대부분 아마추어로서 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낮은음과 가장 높은 음 즉, 발성음역이 상당히 좁아 부르고자 하는 노래와 음역이 일치되지 않으면 노래를 자연스럽게 부를 수 없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 개인의 발성음역과 노래반주기의 반주음역이 가장 적절하게 일치되어야 노래를 가장 잘 부르게 할 수 있으나 대부분에 경우 이들 음역이 맞지 않아 무리하게 노래반주기에 음역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다 보면 낮은음 또는 높은음을 내지 못한다거나 이상한 소리를 낸다거나 하게 되어 취미생활 내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노래반주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론 노래반주기에는 남, 여 음정 조정키, 음정 플러스-마이너스 조정키가 있으나 노래부르는 사람의 음역에 개인차가 있고 노래를 부르는 사람 자신도 자기의 음역이 구체적으로 얼마에 해당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노래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과 노래반주기의 반주음역을 일치시키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아마추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아마추어는 발성 가능한 낮은음과 높은음 즉, 발성음역이 좁고 또한 자기의 발성음역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음역조정장치가 있기는 하나 그 기능이 미리 정한 남, 여 음역 조정, 플러스-마이너스 음정 조정에 국한되어 있으며, 또한 노래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알지 못하여 발성음역과 반주음역을 일치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저음 또는 고음부에서 노래를 제대로 부르지 못한다거나 이상한 소리를 낸다거나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결과의 자동입력 또는 수동입력 코드에 의해 반주음역을 발성음역에 가장 적절하게 일치시킴으로서, 노래반주기 본연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방법의 제어 순서도로서,
도 2는 발성음역측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음역자동조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개인음역과 반주기음역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개인음역이 반주기 음역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개인음역과 반주기음역이 같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폰 20 : 분석모듈
30 : 노래방주기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의 특징은, 노래반주기와; 발성자의 저음부터 고음까지의 발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고,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노래반주기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여 발성음역을 측정하며; 노래시작후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과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하는 한편,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켜 음역을 자동 조정하는 분석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방법의 특징은 마이크를 통해 저음부터 고음까지 발성하는 단계와, 분석모듈에서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는 단계와,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노래반주기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된 발성음역측정과정; 노래시작단계와,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 단계와,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디스플레이 표시단계와,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 비교단계와,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 단계와,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음역자동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30)와; 발성자의 저음부터 고음까지의 발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0)와;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고,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노래반주기(30)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여 발성음역을 측정하며; 노래시작후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과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하는 한편,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켜 음역을 자동 조정하는 분석모듈(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의 제어 순서도로서, 도 2는 발성음역측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음역자동조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째로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측정하여 노래반주기가 이를 인식토록 하고, 또한 인식된 음역을 표시장치로 출력하여 각 개인이 자기 고유의 발성음역 코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둘째로는 발성음역측정시 자동 입력되는 발성음역 코드 또는 각 개인이 입력하는 개개인 고유의 발성음역 코드와 선곡된 노래의 멜로디음역을 비교하여 가장 적절하게 반주음역을 조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 번째의 발성음역 측정은, 먼저 노래반주기(30)의 발성음역 측정버튼을 누른 다음, 각 개인이 마이크로폰(10)을 통하여 자기가 낼 수 있는 가장 낮은음과 가장 높은 음을 포함하여 일정시간이상 음을 발성하면(S101), 노래반주기의 분석모듈(20)이 이들 음중 가장 낮은 음과 높은 음을 분석, 발성음역을 측정하고(S102), 이를 코드화하여 노래반주기 메모리에 기억시키고(S103~S104), 또한 표시 장치(40)에 코드를 출력하여 피 측정자가 자기 발성음역 코드를 알 수 있도록 한다(S105).
각 개인은 각자 자기 고유의 발성음역 코드를 기억하여 언제든지 노래반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개인의 발성음역 코드는 그 개인의 건강 컨디션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미심쩍은 경우 언제든지 노래를 부르기 직전 재 측정으로 현재의 건강 컨디션에 가장 적합한 노래반주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S106).
두 번째의 반주음역 조정은 노래반주기가 기억하고 있는 최근의 발성음역 코드, 또는 새로 입력된 발성음역 코드와 선곡된 노래의 멜로디음역 코드를 비교하여 이를 표시함과 아울러, 발성음역의 중심과 멜로디음역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다.
즉, 노래시작후(S201),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을 메모리로부터 읽어 측정(Ma)하고(S202),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03~S204). 이후,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 비교하고(S205),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도 4참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하고(S208),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도 5참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킨다(S206~S207).
만약 발성음역이 멜로디음역보다 좁아 음역의 중심을 일치시키더라도 저음부 및 고음부의 노래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음역부족 경고 램프를 점등시키는 기능, 발성음역과 멜로디음역의 저음부 또는 고음부 한쪽으로 일치시켜 저음부 또는 고음부 한쪽만이라도 제대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노래반주기에는 선곡된 노래의 곡명 코드와 발성음역 코드를 입력하여야 하며 발성음역코드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는 반주기 메모리에 들어있는 발성음역 코드가 사용된다. 노래반주기 발성음역 코드 메모리에는 가장 최근에 측정된 발성음역 코드 또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발성음역 코드가 기억되도록 한다. 노래가 기록되어 있는 노래반주용 롬, CD 타이틀 등에는 각 노래마다 멜로디음역 정보를 미리 기록시켜 놓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발성음역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결과의 자동입력 또는 수동입력 코드에 의해 반주음역을 발성음역에 가장 적절하게 일치시킴으로서, 노래반주기 본연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노래반주기(30)와;
    발성자의 저음부터 고음까지의 발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0)와;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고,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노래반주기(30)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여 발성음역을 측정하며; 노래시작후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과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하는 한편,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켜 음역을 자동 조정하는 분석모듈(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음역측정은
    발성 음역의 재측정 필요시 이를 다시 반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할 경우, 반주기저음(Sl)+반주기음역(Sa)/2 = 개인저음(Ml)+개인음역(Ma)/2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4. 마이크(10)를 통해 저음부터 고음까지 발성하는 단계와, 분석모듈(20)에서 발성자의 최저음 및 최고음 음역을 측정하고 이를 코드화하는 단계와, 음대역 및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노래반주기(30)에 고유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된 발성음역측정과정;
    노래시작단계와, 선곡에 따른 발성자의 음역 측정(Ma) 단계와, 본래 노래의 반주 음역 측정(Sa) 및 디스플레이 표시단계와, 발성자의 가청 음대역과 반주기 음대역 비교단계와, 비교결과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 단계와, 비교결과 반주기음역이 개인음역과 같을 경우 음역부족경고 표시와 함께 개인의 저음(Ml)과 반주기의 저음(Sl)을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음역자동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음역측정과정은
    발성 음역의 재측정 필요시 다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음역이 반주기음역보다 클 경우 개인 음역의 중간음과 반주기의 중간음 측정 판별 및 조정 단계에서는,
    반주기저음(Sl)+반주기음역(Sa)/2 = 개인저음(Ml)+개인음역(Ma)/2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방법.
KR1020000054444A 2000-09-16 2000-09-16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34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44A KR100341632B1 (ko) 2000-09-16 2000-09-16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444A KR100341632B1 (ko) 2000-09-16 2000-09-16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631A true KR20000072631A (ko) 2000-12-05
KR100341632B1 KR100341632B1 (ko) 2002-06-22

Family

ID=1968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444A KR100341632B1 (ko) 2000-09-16 2000-09-16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0081A (zh) * 2020-02-14 2021-08-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调整歌伴奏音的方法及调整歌伴奏音的电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0081A (zh) * 2020-02-14 2021-08-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调整歌伴奏音的方法及调整歌伴奏音的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632B1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824B2 (en) Tempo detection apparatus, chord-name detection apparatus, and programs therefor
EP1116213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generation musicale automatique
JP3333022B2 (ja) 歌声合成装置
Bloothooft et al. The sound level of the singer’s formant in professional singing
US20130044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iginal Music
US20120022859A1 (en) Automatic marking method for karaoke vocal accompaniment
Cohen Some effects of inharmonic partials on interval perception
WO2009104269A1 (ja) 楽曲判別装置、楽曲判別方法、楽曲判別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161919A (ja) 音声合成装置
CN112382257A (zh) 一种音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7586031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ringtone
JP2014048472A (ja) カラオケ用音声合成システム,及びパラメータ抽出装置
KR100341632B1 (ko)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3599686B2 (ja) カラオケ歌唱時に声域の限界ピッチを検出するカラオケ装置
KR20100119257A (ko)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WO2019180830A1 (ja) 歌唱評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
JP2001209381A (ja) 携帯電話機のメロディ設定システム及び方法
JP4180548B2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5728829B2 (ja) 電子音楽装置およびハーモニー音生成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Delviniotis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Greek Orthodox Church music
JP3597156B2 (ja) ピッチシフター付きカラオケ装置
JPH09198062A (ja) 楽音発生装置
JPH0417000A (ja) カラオケ装置
KR100765804B1 (ko)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KR20110025434A (ko) 노래의 감성 향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