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257A -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257A
KR20100119257A KR1020090038277A KR20090038277A KR20100119257A KR 20100119257 A KR20100119257 A KR 20100119257A KR 1020090038277 A KR1020090038277 A KR 1020090038277A KR 20090038277 A KR20090038277 A KR 20090038277A KR 20100119257 A KR20100119257 A KR 20100119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note
music
voic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용
한영호
정요원
권오현
Original Assignee
(주)인피니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피니티텔레콤 filed Critical (주)인피니티텔레콤
Priority to KR102009003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257A/ko
Publication of KR2010011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61Numeric keypad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musical input via a telephone or calculator-like keyboa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ue or digital, e.g. DECT, GSM, UM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키 입력이 가능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며,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음원 재생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고,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결정된 음 값에 대한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 생성 수단과 상기 음표들로 구성된 악보에 따라 정해진 음 값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 재생수단과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의 멜로디 음원에 따른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수단과 음표에 대한 기준 음 값과 박자 값이 저장되며, 블록단위로 구분되어 출력될 음에 대한 악기의 음원이 저장되고,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와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인식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 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음표를 생성하여 악보화하고 멜로디가 음악 파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에 다양한 음원이 적용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된 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여 음표로 표시 및 편집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정확한 음으로 녹음하지 못하거나 작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원하는 음악을 손쉽게 제작/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음성녹음, 벨소리, 음악제작, 음악파일

Description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method for composing music}
본 발명은 음성 녹음을 이용하여 원하는 멜로디 작곡 및 음악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터짐소리 입력을 통해 하나의 음을 블록화하여 피치정보를 추출하고, 보다 정확한 음표를 생성하여 벨소리 제작 및 자신만의 음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및 핸드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결합된 스마트폰(Smart Phone)등 여러 종류의 이동 단말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통화 착신이 있을 때 벨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착신이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러한 벨소리는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벨소리 제공 업체로부터 구 입하여 저장되거나 컴퓨터 또는 휴대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저장하기도 하며, 단말기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주고받기도 한다.
또는, 입력되는 음성을 바로 녹음하여 벨소리로 저장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들이 원하는 벨소리는 계속하여 늘어나고 각자의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수많은 벨소리들이 제작되고 있다.
컴퓨터에서 제작된 벨소리는 별도의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종래에 휴대폰에 구비된 벨소리 제작 프로그램은 오선위에 음표를 선택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완성된 악보를 재생하여 수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허밍으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노트 단위로 분류하고 이를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Hidden Markov Model:이하 HMM)을 이용하여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HMM은 예측 불가능한 프로세스를 예측 가능한 다른 프로세스를 통해 확률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상기 HMM은 음성인식 기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 널리 공지된바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하지만, 휴대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이 원하는 벨소리 또는 음악을 작곡함에 있어서, 제약 사항이 많고, 실제로 구현되어 제작되는 벨소리의 결과물에 대한 완성도도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만이 원하는 벨소리를 제작할 수 있는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짐소리의 입력을 통해 명확한 음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음성입력으로 창조적인 음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키 입력이 가능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며,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음원 재생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고,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결정된 음 값에 대한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 생성 수단; 상기 음표들로 구성된 악보에 따라 정해진 음 값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 재생수단;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의 멜로디 음원에 따른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수단; 음표에 대한 기준 음 값과 박자 값이 저장되며, 블록단위로 구분되어 출력될 음에 대한 악기의 음원이 저장되고,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와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식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 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음표를 생성하여 악보화하고 멜로디가 음악 파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 하고, 상기 멜로디에 다양한 음원이 적용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악보 생성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하여 음원을 추출하기 위한 음원 추출부; 상기 추출된 하나의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피치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음의 정보를 토대로 음표를 생성하는 음표 생성부; 및 최초로 생성된 음표들이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 될 수 있도록 하는 음표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음과 기준 박자를 토대로 입력된 음에 대한 피치 값을 계산하여 오선위에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고, 길이를 계산하여 표시될 음표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입력된 음성은 빠와 같은 터짐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작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화된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음표에 의해 악보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악보에 따른 멜로디에 대해 음악파일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생성된 음표에 의해 악보가 형성되면 1차적으로 음을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음표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악보에 형성된 음표에 하나 이상의 미디음원이 적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미디 음원은 전자음으로 표현 가능한 목소리, 악기소리, 자연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터짐소리 입력을 통해 음을 블록화 하여 정확한 음 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음표를 표시하여 악보를 생성하고, 음악파일을 만듦으로서, 사용자가 머릿속에 생각나는 멜로디를 쉽게 음악파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음악파일을 벨소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음표에 하나 이상의 다양한 미디음을 적용하고, 배경음과 화음의 삽입 작업을 통해 손쉽게 작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악적 지식이 전혀 없는 사용자도 본인만의 벨소리와 음악을 창조해 낼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 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1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고,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결정된 음 값에 대한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 생성 수단(20)과 상기 음표들로 구성된 악보에 따라 정해진 음 값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 재생수단(30)과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의 멜로디 음원에 따른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수단(40)과 음표에 대한 기준 음 값과 박자 값이 저장되며, 블록단위로 구분되어 출력될 음에 대한 악기의 음원이 저장되고,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와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70)와 상기 인식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 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음표를 생성하여 악보화하고 멜로디가 음악 파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에 다양한 음원이 적용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와 터짐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2)와 악보를 편집하기 위한 키 입력부(50)와 동작되는 모든 정보와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0)와 상기 생성된 음표에 따라 음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80) 및 스피커(8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악보 생성 수단(20)은, 마이크(12)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22)와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하여 음원을 추출하기 위한 음원 추출부(23)와 상기 추출된 하나의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피치정보추출부(24)와 상기 추출된 음의 정보를 토대로 음표를 생성하는 음표 생성부(25)와 최초로 생성된 음표들이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 될 수 있도록 하는 음표 편집부(26)를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 단위로 블록화 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빠"라는 터짐소리를 입력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파형을 자세히 보면, 각각의 "빠" 사이는 무음 상태의 구간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빠"와 같은 터짐소리 입력 시 발생되는 특징인데, "국어 음운학, 허웅(1985)"를 참조하면, 터짐소리는 공기의 흐름을 어떠한 자리에서 일단 완전히 막아버리를 소리를 말하며, 국어에서는 'ㄱ', 'ㄷ', 'ㅂ', 'ㅈ' 등의 계열이 있다.
상기 터짐소리는 세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전형적인 터짐소리를 일단 막았던 자리를 공기의 압력으로 터뜨려야 한다.
닫음 → 지님 → 터뜨림의 단계를 모두 가지는 음을 완전한 터짐소리라고 하고, 그렇지 않을 때 불완전한 터짐소리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빠"는 열렸던 입술을 'ㅃ'를 내기 위해 다물어서(닫음), 어느 순간 지녔다가(지님), 다시 뒤의 'ㅏ'를 내기 위해서 입술을 터뜨리면서 열어야 한다(터뜨림).
"빠"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닫음과 터뜨림이 어떤 음보다 뚜렷하며 강하기 때문에, "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터짐소리를 사용하여 음을 추출하게 되면, 종래에 에너지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발생되는 기본적인 에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2b에서와 같이, "난" 이라는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 파형은 연속성을 보이게 되고, 블록으로 구분하기에는 부적절하게 된다.
"빠"로 입력되는 파형을 통해 음 단위로 블록화가 가능하며, 음의 길이와 음간의 길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어서, 박자에 대한 정확도도 높아지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화된 음절에 대한 음표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된 음표를 수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렇듯, "빠"로 입력된 파형에서 음 단위로 블록화하여 얻어진 음 정보를 이용하여 오선위에 음표를 표시하게 된다.
입력된 파형의 구간 간격이 긴 경우, 하나의 마디로 인식하여 첫 번째 마디(310a), 두 번째 마디(310b), 세 번째 마디(310c)로 구분하도록 한다.
상기 오선위에 음표가 생성되면 사용자가 해당 멜로디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재생바(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바(300)를 통해 생성된 음표에 대한 출력 음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생각했던 음 높이와 길이가 아닐 경우, 편집 기능을 통해 원하는 음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생성된 음표들 중, 사용자가 각 마디 끝에 있는 반 박자음표(302,303,304)를 반 박자가 아닌 한 박자로 생각하고 음성을 입력했다면, 도 3b와 같이, 각 마디 끝에 있는 반 박자음표(302,303,304)를 한 박자음 표(302a,303a,304a)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각 음표마다 저장된 다양한 미디 음원을 적용할 수 있으며, 입력된 멜로디에 부합되는 화음과 배경음을 삽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입력에 따른 음악 파일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마이크(12)를 통해 "빠"와 같은 터짐소리가 음성 입력부(22)로 입력되면(S400), 음원 추출부(23)에 의해 파형이 분석되어 하나의 음 단위로 블록화 된다(S402).
상기 블록화 된 음에 대한 정보, 즉, 피치와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404). 피치를 공학적으로 기본주파수 (이하 F0)라고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화된 전체 음성을 매우 짧은 구간으로 프레임을 설정하게 되는데, 약 20 msec단위 혹은 10msec단위이다.
이러한 음성을 포함한 프레임이 일차적으로 묵음구간인지, 무성음 구간인지, 유성음구간인지를 확인한다.
묵음이나 무성음 구간에서는 F0가 없기 때문에 추출알고리즘을 쓸 필요가 없다.
Cumulative mean normalized difference function 이하 'CMNDF'를 통해서 이 구간에서의 F0 값이 얼마인지에 대한 후보를 추출한다.
CMNDF란 특정 구간의 샘플값(디지털신호는 하나의 단일 값으로 quatization과 sampling되어 있기 때문에)과 공변량(correlation)이 높은 샘플값이 얼마나 떨 어져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F0와 F1, F2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공지된 알고리즘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계산 결과를 통해, 음성 블록 각각에 대한 후보 값들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찾은 후보 값들 중 어느 것이 가장 정확한가를 찾기 위해서는 Dynamic Programming을 사용한다.
Dynamic Programming이란 현재의 값을 찾을 때, 현재의 후보들만 고려하기 않고 그 값의 앞과 뒤의 값들과의 연관성을 고려하겠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즉 현재의 프래임값이 가능한 후보값으로 290Hz, 150Hz, 275Hz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그 앞 프래임의 값이 295Hz라면 세 후보 중 가장 유사한 290Hz을 가지겠다는 것이다.
여러 개의 후보 값들 중 지역적으로 가장 최적화된 값을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이렇듯, 음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그 음에 해당되는 음표가 선택되어 오선위에 생성 된다(S406).
1차적으로 완성된 악보가 표시부(60)에 표시되고(S408), 기본적으로 입력된 음을 확인한다.
1차 악보에 잘못 입력된 음표를 확인하고 키 패드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50)를 통해 에디팅(editing)한다.
에디팅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키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 용하거나, 원하는 음표를 선택하고 다시 음성을 입력하여 수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구간을 선택하여 선택된 구간의 음표를 다시 음성 인식으로 수정할 수 도 있다.
한편, 출력되는 음에 대한 피쳐링(featuring)이 가능하다.
저장부(70)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 음원을 하나하나의 음표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마디별, 구간별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생성된 멜로디에 대한 화음정보가 제공되어 코러스의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다양한 악기들의 중복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케스트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저장된 탬포과 장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최종적인 에디팅이 마무리되면,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를 표시한다(S412).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에 대한 음이 출력되고(S416), 파일 생성 명령이 입력되면, 벨소리에 사용될 파일과 컴퓨터 또는 각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미디파일 형식으로 변환되어 파일이 생성/저장 되도록 한다(S416).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 값을 이용한 게임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이크(12)로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이용한 게임의 예를 나타낸 것인데, "학교종이 땡땡땡"이란 노래가 선택되고, 게임이 시작된다.
오선위에 점선으로 표시된 음표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에서 떨어지는 실선의 음표가 일치되는 순간에 해당 음에 맞는 소리를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12)로 입력하도록 하여, 일치여부에 대한 점수를 집계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자기가 원하는 곡은 연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개인 스스로 피치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게 되어 음치를 교정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빠"와 같은 터짐소리가 입력되면 각각의 음을 블록화 하고, 음의 높이와 길이 정보를 추출하여 음표를 생성, 오선위에 표시하고 다양한 미디 음원을 적용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벨소리 제작 및 작곡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됨으로서, 작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손쉽게 음악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 단위로 블록화 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화된 음절에 대한 음표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된 음표를 수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입력에 따른 음악 파일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 값을 이용한 게임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마이크 22 : 음성 입력부
23 : 음원 추출부 24 : 피치정보추출부
25 : 음표 생성부 26 : 음표 편집부
30 : 음악 재생 수단 40 : 파일 생성 수단
50 : 키 입력부 60 : 표시부
70 : 저장부 80 : 오디오 출력부
82 : 스피커 90 : 제어부

Claims (8)

  1. 키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키 입력이 가능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며,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음원 재생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고,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결정된 음 값에 대한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 생성 수단;
    상기 음표들로 구성된 악보에 따라 정해진 음 값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 재생수단;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의 멜로디 음원에 따른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수단;
    음표에 대한 기준 음 값과 박자 값이 저장되며, 블록단위로 구분되어 출력될 음에 대한 악기의 음원이 저장되고, 최종적으로 생성된 악보와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식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 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음표를 생성하여 악보화하고 멜로디가 음악 파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에 다양한 음원이 적용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생성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 단위로 블록화하여 음원을 추출하기 위한 음원 추출부;
    상기 추출된 하나의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피치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음의 정보를 토대로 음표를 생성하는 음표 생성부; 및
    최초로 생성된 음표들이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 될 수 있도록 하는 음표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음과 기준 박자를 토대로 입력된 음에 대한 피치 값을 계산하여 오선위에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고, 길이를 계산하여 표시될 음표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성은 빠와 같은 터짐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작 방법.
  5.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 단위로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화된 음에 대한 피치와 길이를 분석하여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음표에 의해 악보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악보에 따른 멜로디에 대해 음악파일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제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음표에 의해 악보가 형성되면 1차적으로 음을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음표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제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에 형성된 음표에 하나 이상의 미디음원이 적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음원은 전자음으로 표현 가능한 목소리, 악기소리, 자연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제작 방법.
KR1020090038277A 2009-04-30 2009-04-30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KR20100119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77A KR20100119257A (ko) 2009-04-30 2009-04-30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77A KR20100119257A (ko) 2009-04-30 2009-04-30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57A true KR20100119257A (ko) 2010-11-09

Family

ID=4340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77A KR20100119257A (ko) 2009-04-30 2009-04-30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2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417A2 (ko) * 2011-02-23 2012-08-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에 기초하여 디지털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38113B1 (ko) * 2010-12-31 2013-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음성의 분석을 이용한 작곡 및 기성곡 검색 시스템
KR20130125333A (ko) * 2012-05-08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155200A1 (ko) * 2016-03-11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13B1 (ko) * 2010-12-31 2013-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음성의 분석을 이용한 작곡 및 기성곡 검색 시스템
WO2012115417A2 (ko) * 2011-02-23 2012-08-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에 기초하여 디지털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2115417A3 (ko) * 2011-02-23 2012-11-0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에 기초하여 디지털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25333A (ko) * 2012-05-08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155200A1 (ko) * 2016-03-11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872B1 (ko) 악곡 연습 지원 장치, 악곡 연습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 악곡 연습 지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01399036B (zh) 将语音转换为说唱音乐的设备和方法
JP4168621B2 (ja) 歌唱音声合成を用いた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EP3759706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combining audio signals
JP2022071098A (ja) 電子楽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0676A (ja) 電子楽器、電子楽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5082A (ja) 楽曲生成装置
JP5598516B2 (ja) カラオケ用音声合成システム,及びパラメータ抽出装置
JP2007310204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19257A (ko) 음악 제작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작 방법
CN101930732B (zh) 基于用户输入语音的乐曲生成方法及装置、智能终端
KR100705176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음악 파일 생성방법
JP4277697B2 (ja) 歌声生成装置、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歌声生成機能を有する携帯通信端末
JP4170279B2 (ja) 歌詞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22065554A (ja) 音声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80548B2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6809608B2 (ja) 歌唱音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WO2022190502A1 (ja) 音生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電子楽器
JP7158331B2 (ja) カラオケ装置
WO2023058172A1 (ja) 音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電子楽器、プログラム
WO2022080395A1 (ja) 音声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8306A (ja) 音合成用確率モデル生成装置および特徴量軌跡生成装置
JP4173475B2 (ja) 歌詞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0341632B1 (ko)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6638A (ko) Μιdi 파일 합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