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600A - 반도체 레이저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600A
KR20000070600A KR1019997006847A KR19997006847A KR20000070600A KR 20000070600 A KR20000070600 A KR 20000070600A KR 1019997006847 A KR1019997006847 A KR 1019997006847A KR 19997006847 A KR19997006847 A KR 19997006847A KR 20000070600 A KR20000070600 A KR 20000070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dified
laser device
semiconductor laser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트프리트 란트베어
마르쿠스 카임
귄터 로이셔
토마스 릿츠
티어리 바론
프랑크 피셔
한스-위르겐 루가우어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0007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1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with a well layer having only As as V-compound, e.g. AlGaAs, InGa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01S5/0421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ing conta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0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 H01S5/305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p-do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0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 H01S5/3095Tunnel j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방사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합한, SCH-구성을 갖는 반도체 바디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자에서 제 1도전 타입의 제 1외부 커버링층과 제 1도전 타입의 제 2외부 커버링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 연속층에는 양자 웰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활성 연속층과 제 2외부 커버링층 사이에는 제 2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1전이층 및 제 1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2전이층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소자 {SEMI-CONDUCTOR LASER COMPONENT}
H. 힐머, A. 그라이너, F. 슈타인하겐, H. 부르크하르트, R. 뢰쉬, W. 슐라프, T. 쿠운의 간행물, 물리학 및 광전자 장치의 시뮬레이션 IV, SPIE 2693권 (1996) Pages 352-368에는, 반절연성 또는 n-도전성 InP로 이루어진 반도체 기판상에 InP로 이루어진 n-도전성 커버링층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링층상에 InGaAs/AlInGaAs로 이루어진 활성 연속층 및 p-도전성 InAlAs로 이루어진 추가의 커버링층이 제공된 레이저 다이오드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활성 구역은, AlInGaAs-배리어 및 AlInGaAs-도파관층내에 매립된 InGaAs-다중 양자 웰(MQW)로 이루어진다. 2개의 AlInGaAs-도파관층은 p-도전성이지만, InP(n=2*1018cm-3) 또는 InAlAs(p=2*1018cm-3)보다 더 적게 p=5*1017cm-3으로 도핑된다. 힐머 등에 인용된 구성에서는 전자 및 홀이 pn-전이부를 통과해 활성 구역내로 주입되는 소위 Separate-Confinement-Heterostruktur(SCH)가 다루어지며, 상기 pn-전이부는 실제로 커버링층, 기술된 경우에는 n-InP 및 p-InAlAs로 형성된다. 발생된 광파는 전하 캐리어 흡수와 무관하게 도파관을 통해 가이드되며, 이 도파관은 비교적 낮은 굴절율을 갖는 커버링층에 의해 감싸져 있다. 특별한 경우에는 활성 MQW-구역이 비대칭적으로, 즉 중앙에서 도파관 내부로 제공된다. p-도전성 커버링층을 향한 측면상에 있는 도파관은, 기본적으로 전자보다 가동성이 훨씬 더 작은 홀이 양자 웰 내부로 이송되는 것을 가속시키기 위해서 단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실제로 가동성이 작은 홀을 적절하게 도핑된 도파관 내부에서 이송함으로써 그리고 MQW-구조물내에서 전자를 둘러쌈으로써 결정되는 변조 능력이 개선된다.
양자 웰-반도체 레이저 및 MQW-반도체 레이저 그리고 SCH-구성의 기본적인 구조물은 예를 들어 W. 불다우, 반도체-광전자학, 한저 출판사, 뮌헨, 비인, 1995, Pages 182-187에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지금까지 조사된, InGaAsP 및 AlInGaAs 재료를 기재로 하는 레이저에서는 도파관층내에서의 홀의 가동성이 전자의 가동성보다 훨씬 더 작다.
파장이 1.3 ㎛ 내지 1.55 ㎛인 경우에 종래의 유리 섬유 광학 윈도우내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동성이 작은 홀을 양자 웰 내부로 유동 이송함으로써 및 MQW-구조물내에서 전자를 감쌈으로써 고주파-변조 능력이 제한된다.
p-측의 도파관층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축됨으로써 도파관내에서의 홀의 이송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 속도는 인가된 전계 및 악화된 가동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은 전자기 방사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합한, 헤테로 구조물 구성, 특히 SCH(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구성을 갖는 반도체 바디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자에서 반도체 기판 위에는 제 1도전 타입의 제 1외부 커버링층 및 제 1도전 타입의 제 2외부 커버링층 사이에 배치된, 양자 웰 구조물(= 활성 구역)을 갖는 활성 연속층이 제공되며, 전류가 상기 반도체 바디를 통해 흐를 때 연속층 내부에서 전자기 방사선이 발생된다. 상기 커버링층이 활성 연속층보다 더 낮은 굴절율을 가짐으로써, 동작시에 상기 커버링층 사이에서 형성된 광파가 흡수되게 된다.
도 1은 제 1실시예의 층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제 2실시예의 층구조물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제 3실시예의 층구조물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공지된 반도체 레이저-소자에 비해 개선된 능력을 갖는, 서문에 언급한 방식의 반도체 레이저-소자를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1.3 ㎛ 내지 1.5 ㎛ 영역의 파장에서 개선된 고주파 변조 가능성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가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관련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이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과 제 2외부 커버링층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활성 연속층과 제 2외부 커버링층 사이에 제 1도전 타입과 반대인 제 2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예컨대 n+또는 p+) 및 제 1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p+또는 n+)이 제공된다.
고 n-도핑 (또는 n+-도핑) 및 고 p-도핑 (또는 p+-도핑), 즉 변성 도핑은 각각 바람직하게 도펀트 농도가 ≥ 10 cm-3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n+p+-연속층은, 전자를 활성 구역 근처에서 홀 내부로 변환시키고 전계내에서 가속시키는 "홀 인젝터"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소자와 관련하여 역극성을 갖는 n+p+-연속층에 의해 전하 캐리어가 n+p+-연속층내에 있는 내부 전계내에서 가속되어 더 신속하게 활성 구역내로 주입된다. n+p+-연속층은 커버링층내에 있는 전하 캐리어용 소스로서 기능한다.
전하 캐리어 인젝터내에서는 데바이(Debye)-길이의 간격으로 전이부 둘레에서 도전 타입이 실제로 반전된다. 즉, 페르미(fermi)-레벨이 다이오드의 한 측면상에서는 n-도핑에 의해 전도계(conduction band)내로 보내지고, 마주 놓인 측면상에서는 홀이 p-도핑에 의해 페르미-레벨을 가전자계(valence band)내로 끌어 당긴다 ("변성"). 전하 캐리어 인젝터의 상기 변성된 도핑 영역 사이의 공간 전하 구역이 소수 옹스트롬으로 매우 좁음으로써, 역극성인 경우에는 p-도핑 반도체의 가전자계로부터 n-도핑 반도체의 전도계 상태로의 전자의 밴드간 터널링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p-도핑 영역내에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과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 사이에는 상기 전이층에 비해 더 적게 도핑된 임의의 전하 타입의 배리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배리어층은 활성 구역을 넘어서 진행하는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는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과 양자 웰 구조물 사이에 상기 전이층에 비해 더 낮게 도핑된, 전자를 위한 얇은 배리어층이 배치되며, 이 배리어층은 활성 구역을 넘어서 진행하는 전자가 변성된 고도핑 전이층 (p+n+-구조물)내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 특히 마지막으로 언급된 2가지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투과 극성인 경우에 차단 방향으로 극성을 갖는 변성된 고도핑 전이층(= p+(n)n+-다이오드)의 공핍(depletion) 구역에서 형성되는 전계내에서 전하 캐리어가 가속된다. 그럼으로써, 서문에 언급된 방식의 공지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서의 유동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른 유동 속도에 도달된다. 그밖에, 전자가 활성 구역의 영역으로부터 빼내져서 전하 반복이 야기되는 것이 방지된다.
배리어층은 바람직하게 스페이서층의 재료보다 더 높은 밴드 갭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배리어층은 특히, 활성 구역 및 스페이서층을 넘어서 진행하는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활성 구역, 도파관층 및 커버링층 그리고 전이층이 III족-V족-반도체 재료 그룹의 반도체 재료를 함유하는 SCH-양자 웰-레이저 또는 MQW-레이저이다.
커버링층 및 도파관층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재료는 InxGa1-xAsyP1-y(0≤x≤1, 0≤y≤1) 또는 AlxGayIn1-x-yAs (0≤x≤1, 0≤y≤1, x+y≤1)이고, 활성 구역을 위해 바람직한 재료는 InxGa1-xAsyP1-y(0≤x≤1, 0≤y≤1) 또는 AlxGayIn1-x-yAs (0≤x≤1, 0≤y≤1, x+y≤1)이다. 특히 InP-기판상에서 또는 다른 층상에서 변형 성장되는 재료가 제공된다. 고도핑 전이층도 마찬가지로 InxGa1-xAsyP1-y(0≤x≤1, 0≤y≤1) 또는 AlxGayIn1-x-yAs (0≤x≤1, 0≤y≤1, x+y≤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이층의 굴절율이 도파관의 기능에 매칭되는 경우, 특히 상기 굴절율이 외부 커버링층에서의 굴절율보다 더 크고 양자 웰-구조물 영역에서의 굴절율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n+p+-다이오드의 "인젝터 구성"이 도파관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과 양자 웰 구조물 사이에 있는 스페이서층은 두께가 바람직하게 150 nm 내지 10 nm이고, 비도핑 반도체 재료 또는 약하게 도핑된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성된 고도핑 전이층의 두께는 50 nm 내지 5 nm이고, 더 낮게 도핑된 배리어층의 두께는 200 nm까지 이를 수 있다.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는 홀이 2차 전계내에서 가속됨으로써 도파관내의 짧은 구간이 더 신속하게 양자 웰-구조물까지 후퇴된다. 그밖에, 전자가 활성 구역의 영역을 넘어 지나치게 멀리 진행하는 것도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된 3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의 반도체 바디(13)로서는, 예를 들어 도전 도핑된 또는 반절연성 InP로 이루어진 반도체 기판(8)상에 제 1도전 타입의 제 1외부 커버링층(7)이 제공된 SCH-양자 웰-반도체 레이저의 반도체 바디가 다루어진다. 상기 제 1외부 커버링층(7)은 예를 들어 변성된 고도핑 InP(n+또는 p+)로 이루어진다. 반도체 기판은 경우에 따라 제 1외부 커버링층(7)과 동일한 도전 타입을 갖는다.
제 1외부 커버링층(7)에는 제 1도파관층(6)이 후속되는데, 이 도체층은 비도핑되며 제 1도전 타입 또는 상기 도전 타입과 반대의 제 2도전 타입일 수 있다. 제 1도파관층은 예를 들어 p-InGaAlAs로 이루어진다.
제 1도파관층(6)상에는 예를 들어 비도핑된 InGaAs로 이루어진 양자 웰 구조물(5)이 제공되며, 이 구조물상에는 제 2도전 타입이거나 또는 비도핑된, 그리고 예를 들어 p-InGaAlAs로 이루어진 얇은 스페이서층이 있다.
스페이서층(4)에는 제 2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이 연속되며, 이 전이층상에는 재차 제 1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이 있다.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은 예를 들어 p+-InGaAlAs-층이고,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은 예를 들어 n+-InGaAlAs-층이다. 마지막으로,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상에는 예를 들어 n-InGaAlAs로 이루어진 제 1도전 타입의 제 2외부 커버링층(1)이 배치된다.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및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으로 이루어진 연속층(p+n+-다이오드)은 인젝터로서 이용된다; 스페이서층(4),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및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으로 이루어진 연속층은 제 2도파관층(14)으로서 작용한다.
반도체 바디(13)를 전기적으로 콘택팅하기 위해서, 제 1외부 커버링층(7)에 마주 놓인 반도체 기판(8)의 주표면상에는 제 1금속화 콘택(11)(오옴식 후면 콘택)이 제공되고,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에 마주 놓인 제 2외부 커버링층(1)의 주표면상에는 제 2금속화 콘택(12)(오옴식 전면 콘택, 예컨대 Ti/Pt/Au의 순서)이 제공된다. 상기 금속화 콘택(11, 12)은 반도체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개별적으로 사용된 반도체 재료용으로 이용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1금속화 콘택(11)은 반절연성 반도체 기판(8)을 사용하는 경우에 직접 제 1외부 커버링층(7)에 연속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SCH-양자 웰-반도체 레이저의 반도체 바디(13)에서 반도체 기판(8)(예를 들어 반절연성 InP)상에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제 1외부 커버링층(7)(예컨대 n+-InP), 제 1도파관층(6)(예컨대 p-InGaAlAs), 양자 웰 구조물(5)(예컨대 InGaAs), 스페이서층(4)(예컨대 p-InGaAlAs) 및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예컨대 p+-InGaAlAs)이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도 2에서는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상에 먼저 전이층(3)에 비해 낮게 도핑된, 제 1도전 타입 또는 제 2도전 타입의 얇은 배리어층(10)이 제공된다. 상기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n-InGaAlAs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낮게 도핑된 상기 배리어층(10)상에 (예를 들어 n+-InGaAlAs로 이루어진)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이 제공되고, 이 전이층상에 (예를 들어 n+-InGaAlAs로 이루어진) 제 2외부 커버링층(1)이 제공된다. 배리어층(10)의 재료는 바람직하게 스페이서층(4)의 재료보다 더 큰 밴드 갭을 갖는다. 특히 배리어층(10)은 활성 구역 및 스페이서층(4)을 넘어서 진행하는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2도파관층(14)으로서는, 스페이서층(4),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배리어층(10) 및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으로 이루어진 연속층이 작용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바디(13)에서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제 1금속화 콘택(11)을 갖는 반도체 기판(8) 및 제 2금속화 콘택(12)을 갖는 제 2외부 커버링층(1)이 제공된다.
도 3의 실시예는, 스페이서층(4)상에 제 2도전 타입의 추가 배리어층(10)(예컨대 p-InGaAlAs)이 제공되고, 상기 배리어층에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 및 제 2외부 커버링층(1)이 연속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배리어층(10)은 바람직하게 스페이서층(4)의 재료보더 더 큰 밴드 갭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특히 배리어층(10)은 활성 구역 및 스페이서층(4)을 넘어서 진행하는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스페이서층(4), 배리어층(10),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및 제 2고도핑 전이층(2)으로 이루어진 연속층이 제 2도파관층(14)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설명이 물론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만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는 예를 들어 2성분 반도체의 혼합물(GaSb, InSb, InAs, GaAs, AlAs, InP, GaP)로 이루어진 반도체 결정과 마찬가지로 다른 혼성 결정계를 기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로 든 p-도핑 외부 커버링층(7, 1) 대신 n-도핑 외부 커버링층(7, 1)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핑된 경우) 스페이서층(4)의 전이층(3, 2)의 도전 타입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0)의 도전 타입은 전술한 층재료에 대한 명백한 예와 반대이다.
기판으로서는 InP 외에 Si, GaAs, GaSb 또는 다른 III족-V족-반도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전자기 방사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합한, 헤테로-구조물 구성을 갖는 반도체 바디(13)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로서,
    반도체 기판(8) 위에 제 1도전 타입의 제 1외부 커버링층(7)과 제 1도전 타입의 제 2외부 커버링층(1) 사이에 배치된, 양자 웰 구조물(5)을 갖는 활성 연속층이 제공되며, 전류가 반도체 바디(13)를 통해 흐를 때 상기 연속층 내부에서 전자기 방사선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있어서,
    내부 전계내에서 전하 캐리어를 가속시켜 신속하게 활성 구역내로 주입시키는 전하 캐리어 인젝터로서 작용하며,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이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과 제 2외부 커버링층(1)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활성 연속층과 제 2외부 커버링층(1) 사이에 제 1도전 타입과 반대인 제 2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및 제 1도전 타입의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변성된 전이층(2, 3)의 두께는 각각 ≥ 5nm 내지 ≤ 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2)과 변성된 제 2고도핑 전이층(3) 사이에 상기 변성된 고도핑 전이층(2, 3)에 비해 더 적게 도핑된, 임의의 도전 타입의 배리어층(10)이 배치되며, 상기 배리어층이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연속층의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과 양자 웰 구조물(5) 사이에 비도핑 스페이서층(4) 또는 전이층(2, 3)에 비해 적게 도핑된 제 2도전 타입의 스페이서층(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4)과 변성된 제 1고도핑 전이층(3) 사이에 제 2도전 타입의 추가 배리어층(10)이 배치되며, 상기 배리어층이 전자를 위해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10)의 두께는 200 n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4)의 두께는 ≥ 10nm 내지 ≤ 1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자 웰 구조물(5)과 제 1외부 커버링층(7) 사이에는 제 1도파관층(6)이 배치되고, 양자 웰 구조물(5)과 제 2외부 커버링층(1) 사이에는 제 2도파관층(1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파관층(14)은 양자 웰 구조물(5)과 제 2외부 커버링층(1) 사이에 배치된 층(2, 3, 4; 또는 2, 3, 4, 10)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양자 웰 구조물(5), 도파관층(6, 14) 및 커버링층(1, 7)이 III족-V족-반도체 재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성된 전이층(2, 3)의 도펀트 농도는 ≥ 1017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KR1019997006847A 1997-01-31 1998-01-29 반도체 레이저 소자 KR20000070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3612A DE19703612A1 (de) 1997-01-31 1997-01-31 Halbleiterlaser-Bauelement
DE19703612.0 1997-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600A true KR20000070600A (ko) 2000-11-25

Family

ID=781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847A KR20000070600A (ko) 1997-01-31 1998-01-29 반도체 레이저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85697B1 (ko)
EP (1) EP0956626B1 (ko)
JP (1) JP3604400B2 (ko)
KR (1) KR20000070600A (ko)
CN (1) CN1246967A (ko)
DE (2) DE19703612A1 (ko)
WO (1) WO1998034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596B2 (en) * 1999-12-27 2004-10-12 Sanyo Electric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6819695B1 (en) * 2000-01-07 2004-11-16 Triquint Technology Holding Co Dopant diffusion barrier layer for use in III-V structures
FI20020133A0 (fi) * 2002-01-24 2002-01-24 Juha Tapio Kostamovaara Menetelmõ optisen sõteilyn tuottamiseksi, ja optisen sõteilyn lõhde
US7103080B2 (en) * 2002-03-04 2006-09-05 Quintessence Photonics Corp. Laser diode with a low absorption diode junction
GB2446611B (en) * 2007-02-14 2011-08-17 Bookham Technology Plc Low creep metallization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JP2009239260A (ja) * 2008-03-0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レー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48427B1 (en) * 2012-11-01 2017-08-29 Hrl Laboratories, Llc MWIR photodetector with compound barrier with P-N junction
TWI605613B (zh) * 2016-11-10 2017-11-11 錼創科技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8389A (ja) * 1985-10-15 1987-04-2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
US5010374A (en) * 1990-06-05 1991-04-23 At&T Bell Laboratories Quantum well laser utilizing an inversion layer
JPH0773140B2 (ja) * 1993-02-09 1995-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
JPH077218A (ja) * 1993-06-15 1995-01-10 Sony Corp 半導体レーザ
US5338944A (en) * 1993-09-22 1994-08-16 Cree Research, Inc. Blue light-emitting diode with degenerate junction structure
US5892784A (en) * 1994-10-27 1999-04-06 Hewlett-Packard Company N-drive p-common surface emitting laser fabricated on n+ substrate
US5541949A (en) * 1995-01-30 1996-07-3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trained algainas quantum-well diode lasers
GB9524414D0 (en) * 1995-11-29 1996-01-31 Secr Defence Low resistance contact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8630D1 (de) 2003-07-10
CN1246967A (zh) 2000-03-08
WO1998034307A1 (de) 1998-08-06
EP0956626B1 (de) 2003-06-04
JP2001509315A (ja) 2001-07-10
EP0956626A1 (de) 1999-11-17
DE19703612A1 (de) 1998-08-06
US6285697B1 (en) 2001-09-04
JP3604400B2 (ja)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5582B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light using multiple quantum wells
JP3748905B2 (ja) 量子効果デバイス
US5079601A (en) Optoelectronic devices based on intraband transitions in combinations of type i and type ii tunnel junctions
US5034783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ascadable polarization independent heterostructure
US4845724A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having optical guilding layers of unequal resistance
US20070008999A1 (en) Broadened waveguide for interband cascade lasers
US5047810A (en) Optically controlled resonant tunneling electronic devices
US6657222B1 (en) Photon source
JP3051519B2 (ja) 発光デバイス
US5008717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ascaded modulation-doped quantum well heterostructures
EP0215298B1 (en) Semiconductor laser
EP0549132B1 (en) Article comprising a semiconductor body and means for modulating the optical transparency of the same
CN115398761A (zh) 二维光子晶体激光器
JPH01146390A (ja) 半導体デバイス
US5111256A (en) High speed semiconductor device and an optelectronic device
KR20000070600A (ko) 반도체 레이저 소자
US5107306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waveguide structure
JPH04218994A (ja) 半導体発光装置
Furuya et al. AlGaAs/GaAs lateral current injection multiquantum well (LCI-MQW) laser using impurity-induced disordering
CA2051453C (en) Long wavelength transmitter 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
US4779282A (en) Low leakage current GaInAsP/InP buried heterostructure laser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00070646A (ko) 광전자 반도체 소자
Stiens et al. New modulator for far‐infrared light: Integrated mirror optical switch
US5383213A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urrent confinement structure
JPH0945986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