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393A -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393A
KR20000070393A KR1019997006626A KR19997006626A KR20000070393A KR 20000070393 A KR20000070393 A KR 20000070393A KR 1019997006626 A KR1019997006626 A KR 1019997006626A KR 19997006626 A KR19997006626 A KR 19997006626A KR 20000070393 A KR20000070393 A KR 2000007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ragrance
soluble
beverage powder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524B1 (ko
Inventor
러시모어딘프레데릭
칸스로렌스지.
Original Assignee
뷜르 로망 엘.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60,131 external-priority patent/US5855947A/en
Application filed by 뷜르 로망 엘.,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뷜르 로망 엘.
Publication of KR2000007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8Isolation or recuperation of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a And Coffee (AREA)
  • Confectione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asoning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향-포함 물질을 음료 분말로 섞는 방법. 상기 음료 분말은 이동 베드의 형태로 이동하고 용기 속으로 상기 음료 분말을 충전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베드가 환형막의 형태로 충전기 속으로 떨어진다. 상기 음료 분말이 상기 환형막에 떨어지면서, 상기 이동 베드위의 위치로부터 상기 향-포함 물질이 상기 음료 분말 상에 분사된다. 이는 상기 향-포함 물질의 상기 충전기 내의 상기 음료 분말내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AROMATIZATION OF BEVERAGE POWDERS}
소비자들은 특정 향을 특정 제품과 연관시킨다. 만약 연관시킬 향이 없는 제품이 있다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는 나쁜 영향을 받는다. 이는 다른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지만, 가용성 커피 분말과 같은 가용성 음료 분야에서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용성 커피 분말에 한정되지 않지만, 우선 가용성 커피 분말에 대하여 문제를 설명하겠다. 이는 볶은 간 커피 분말, 가용성 홍차 분말, 가용성 크리머 분말, 곡물원료 음료 분말, 가용성 쵸콜렛 분말 등의 다른 음료 분말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추출, 농축 및 건조를 포함하는 상업적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가용성 커피 분말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향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가용성 커피 분말의 방법동안에 날아가는 향을 모아서 이 향을 가용성 커피 분말에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체로 오일 또는 에멀젼등의 물질 속으로 먼저 모아진 향이 혼합된다. 그런 다음 핸들링 되고 블렌딩되기 전에 향-포함 물질은 가용성 커피 분말위로 분사되거나 입혀진다. 마지막으로 블렌딩된 커피 분말은 용기 속에 충전되고 밀봉된다.
향-포함 물질이 가용성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에 의한 기존의 방법은 미국 특허 3,148,070 호와 Sivetz, M. and Desrosiser,N.W.; 1979; Coffee Technology, AVI Publishing Company, Inc.; Westport, Connecticut; 459-460 쪽에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가용성 커피 분말은 공급 튜브에 떨어지고 가용성 커피 분말을 계속해서 터뷸러 막 형태로 흘러내리게 하는 원뿔형 분배기 상에 떨어진다. 터뷸러 막 내에서 터뷸러 막의 내부면에 향-포함 물질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 노즐은 원뿔형 분배기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용성 커피 분말의 터뷸러 막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향-포함 물질이 분배되도록 혼합되는 블렌더로 떨어진다. 따라서 향기로워진 가용성 커피 분말을 병 등의 용기로 공급하는 충전기로 공급된다.
이 테마의 변형에 있어서, 향-포함 물질이 떨어지는 가용성 커피 분말의 종이 같은 막 상에 분사되거나 텀블러 (tumbler) 내의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분사되거나 또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분사된다.
이 기본적인 방법이 잘 수행되더라도, 분사된 이후에 가용성 커피 분말을 섞거나 혼합하는 중에 상당량의 향을 잃는다. 또한, 분사되고 용기에 커피를 충전하는 방법 사이에서 향을 잃는다. 또, 분사의 힘에 의해 향-포함 물질이 가용성 커피 분말의 터뷸러 또는 종이 같은 막을 관통하게 된다. 이는 더 많은 손실을 초래한다. 향은 값비싼 성분이므로 이러한 손실은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특히 종이 같은 막에서, 향-포함 물질은 막의 약 15-30% 만 접촉하므로 균일하지 못한 커피 제품이 되게 한다.
손실 문제의 한 해결방법이 미국 특허 3,769,032 (Lubsen) 에 설명되어있다. 여기서 가용성 커피 분말로 이미 충전된 커피 병은 커피 향을 포함하는 기계적 주사기의 아래로 이송된다. 상기 주사기는 바늘 같은 끝이 병의 바닥 근처에 올 때까지 각각의 병 속으로 내려간다. 그런 다음 주사기는 올라가면서 병속의 커피 제품으로 커피향 비말들을 주입한다. 상기 비말들은 약 0.5㎜ 내지 3㎜ 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발명에 기록된 결과가 커피향의 훌륭한 재혼합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스템은 고속 생산라인에 알맞지 않다. 또한, 향-포함 물질이 병속의 가용성 커피 분말 구석구석 균일하게 뿌려지지 못한다. 이는 심각한 부작용이다.
또 다른 해결책이 미국 특허 4,355,571 (Stoeckli) 에 설명되어있다. 이 발명은 가용성 커피 분말 위에 향-포함 물질이 입혀지게 하는 향기롭게 하는 장치의 사용을 개시한다. 가용성 커피 분말의 일부분이 향기롭게 하는 장치로 유도되고 회전 바퀴상의 슈트로 떨어진다. 상기 바퀴는 표면에 그 속으로 가용성 커피 분말이 압축되는 수개의 윈주상의 홈을 갖는다. 상기 가용성 커피 분말은 바퀴와 함께 약 90°의 포물선을 따라 회전하고 그 후 바퀴로부터 배출된다. 바늘은 배출 시점 이후에 즉시, 바퀴로부터 배출된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향-포함 물질의 흐름을 주입하도록 위치된다. 그런 다음, 향기로워진 가용성 커피 분말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주요부 (major portion) 으로 되돌려지고 주요부 내에서 혼합된다. 상기 혼합물은 그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충전기로 이송된다.
이 발명에 설명된 방법은 향-포함 물질을 분사할 필요는 없지만, 향-포함 물질을 추가한 후에 혼합은 반드시 필요하다. 향의 휘발성 때문에, 상당량의 향이 혼합하는 중에 그리고 혼합하고 용기 속으로 커피를 충전하는 사이에 손실된다. 또한,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가용성 커피 분말은 향-포함 물질의 큰 비말을 포함하게되고 향-포함 물질은 불충분하게 분배된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향이 적게 손실되는, 음료 분말 속으로 향-포함 물질을 혼합하는 방법이 여전히 요구된다.
따라서, 어떤 면에서 이 발명은:
이동 베드 형태인 음료 분말을 이송하고 이동 베드를 환형막으로 용기에 음료분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속으로 떨어뜨리는 방법; 및
충전기 내의 음료 분말내의 향-포함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베드의 위쪽 위치로부터 음료 분말 상에 향-포함 물질을 분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향-포함물질 혼합 과정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향-포함 물질의 분포가 얻어지도록, 음료 분말이 충전기 속으로 배출되는 동안 향-포함 물질을 음료 분말 속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전에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얻기 위해 향기나는 음료 분말을 섞거나 혼합해야만 한다고 여겨졌다. 또한, 상기 과정은 향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같은 강도의 향을 얻기 위해, 예전에 요구되던 양의 거의 반정도 만이 요구된다. 특히, 음료 분말 위에서의 향-포함 물질의 분사는 향-포함 물질이 음료 분말의 환형막을 관통하게 하지 않는다. 게다가, 향기롭게된 음료 분말은 증진된 향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음료 분말의 이동 베드는 깊이가 약 0.005m 내지 0.05m 이다; 예를 들어 약 0.01m 내지 0.025m 이다.
음료 분말을 연장된 채널 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채널을 진동하게 함으로써 음료 분말은 이동 베드의 형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음료 분말의 상기 이동 베드는 바닥면을 실질적으로 원형 분배 구멍을 통해 이송됨에 따라 환형막으로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배 구멍의 위에, 축이 일치하게 위치된 분사 노즐로부터 향-포함 물질이 음료 분말 상에 분사된다.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된 과정에 의해 향기로워진 음료 분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분말이 가용성 커피 분말이고 향-포함 물질은 향기로워진 커피 오일 또는 에멀젼이다.
본 발명은 음료 분말; 예를 들어 가용성 커피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에 따라 생산되는 음료 분말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음료 분말의 환형막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선 1-1'을 따르는 단면도.
도 3 은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장치의 도식도.
음료 분말이 용기에 충전되기 위해 충전기 속으로 배출되기 이전에, 향기로워진 물질을 음료 분말 위에 분사함에 따라 음료 분말이 향기로워지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 방법은 여러 가지 타입의 음료 분말; 예를 들어 가용성 커피 분말; 가용성 커피, 표백제 및 감미료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분말; 가용성 홍차 분말; 가용성 쵸콜렛 분말; 가용성 곡물원료 음료 분말, 볶은 간 커피 분말, 소스 원료 등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간결성을 위해 방법은 가용성 커피 분말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가용성 커피 응용품을 위해, 상기 가용성 커피 분말은 적절한 추출, 농축 및 건조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냉동 건조 및 분사 건조 분말 역시 가능하다. 분말은 향기롭게 하기 이전에 응집되게 할 수도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가용성 커피 응용품을 위해, 상기 향기로워진 물질은 적절하게 커피 오일 또는 커피 추출물 또는 향 추출물인 커피 오일 및 물의 에멀젼이다. 사용되는 커피 오일은 예를 들어 구입 가능한 원료 또는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된 커피 간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생산된 커피 오일 등의 어떤 커피 오일이라도 가능하다. 예로서, 커피 오일은 구입 가능한 오일 배출기를 사용하여 갓 볶은 커피 콩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커피 콩으로부터 커피 오일을 추출하기 위한 이 기술 및 다른 적절한 기술은 Sivetz (1979); 452-469 쪽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원료 및 사용된 커피 오일의 추출 성분도 나쁘지 않다. 다른 먹을 수 있는 기름들도 커피 오일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가용성 커피 응용품에는, 특히 결과물이 순수 커피로 간주되고자 한다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혼합물 또는 다른 제품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평지씨 기름 등의 다른 기름들도 사용 가능하다.
가용성 커피 응용품들을 위해, 상기 물질에 의해 수용되는 향은 바람직하게 커피향이다. 편리하게, 커피향은 천연 커피향 가스로 만들어진다. 커피향 가스는 커피 방법의 수개의 시점에서 모아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원두 커피를 볶는 동안에 발생하는 가스 ("로스터 가스"), 볶아진 콩을 가는 동안 발생하는 ("그라인더 가스"), 간 볶은 커피를 혼합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가스 ("혼합 가스")등이 그것이다. 바람직하게, 커피향은 미국 특허 5,182,92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산되는 극저온으로 농축된 향 서리 (frost) 이다. 물론, 합성 커피향 또한 사용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바닐라, 아몬드, 초콜렛, 위스키, 브랜디, 아이리쉬 크림등 다른 원하는 향 또는 향취가 사용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가용성 분말은 공급 튜브 (2) 를 통해 진동하는 컨베이어 (4) 상에 공급된다. 상기 진동하는 컨베이어 (4) 는 그 속으로 가용성 분말이 공급되는 채널 부재 (6) 로 형성된다. 가용성 분말이 공급되는 근처의 끝부분은 끝벽(8)에 의해 닫힌다. 진동 수단 (10) 은 채널 부재 (6) 를 진동시키도록 채널 부재 (6) 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는 차례로 가용성 분말을 이동 베드 형태로 채널 부재 (6) 의 열린 끝 (12) 으로 흐르게 한다. 바닥면의 깊이는 채널 부재 (6) 내의 공급 튜브 (2) 의 깊이, 채널 부재 (6) 내의 가용성 분말의 이송 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동 베드의 깊이는 적절하게는 약 0.01 내지 0.02m이고; 예를 들어 약 0.013m 내지 0.016m 이다. 적절한 진동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Eriez Magnetics, Erie, PA 16514, USA 로부터 구입 가능하다.
분말 배분기 (12) 는 진동 컨베이어 (4) 의 열린 끝 (12) 에 연결되어있다. 상기 분말 배분기 (12) 는 반원 바닥판 (14) 과 그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원주 유지벽 (16) 으로 형성된다. 진동 컨베이어 (4) 로부터 분말 배분기 (12) 로 들어가는 커피 분말의 바닥면은 환형막 형태로 분배 구멍 (18) 을 통해 떨어진다. 원한다면, 분말 분배기 (12) 는 조절 가능한 분배 구멍 (18) 의 직경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말 분배기 (12) 는 바람직하게는 산소의 진입과 향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폐쇄된다. 원한다면, 분말 분배기 (12) 는 산화 작용을 더 줄이기 위해, 예를 들어 질소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등의 활성이 적은 기체로 가득 채워질 수 있다.
분사 노즐 (20) 은 분말 분배기 (12) 위쪽에, 분배 구멍 (18) 과 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향-포함 물질은 환형막의 형태로 분배 구멍 (18) 을 통하여 떨어지면서 가용성 분말의 바닥면위에 360°패턴으로 분사 노즐 (20) 을 통해 분사된다. 분사 노즐 (20) 은 향-포함 물질을 비말로 부수고 예를 들어 원뿔형의 적절한 형태로 비말들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면 된다. 2 개의 유체 노즐은 매우 적합하다. 적절한 노즐은 구입가능하고 예를 들어 Spray System Inc. 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향-포함 물질은 공급 라인 (22) 을 통해서 펌프 (미도시) 를 이용하여 분사 노즐 (20) 로 공급된다. 상기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향기로워진 물질을 계량된 양만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Parker Hannifin Corporation of Sanford, North Carolina, USA 로부터 얻을 수 있는 Zenith (상표) 펌프 같은 기어 펌프가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적절한 원심 펌프 또는 다단식 왕복 펌프도 또한 사용 가능하다. 공급되는 향-포함 물질의 양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한다면, 상기 분사 노즐 (20) 은 분사 노즐 (20) 이 막혔을 때 작동하는 적절한 청소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적하되지 않도록 적절한 중단 밸브가 펌프와 분사 노즐 (20) 사이에 위치된다.
향-포함 물질이 가용성 분말 상에 분사되는 비율은 원하는 수준의 향기로움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비율은 진동 컨베이어 내의 가용성 분말의 유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쉽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기로워진 향-포함 물질의 비말 크기는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1㎜ 의 영역이다. 또한, 향-포함 물질의 가용성 커피 분말 상으로의 적하는 바람직하게 무게의 약 0.1% 내지 0.5% 이다, 예를 들어 약 0.2% 내지 0.4% 이다.
향기로워진 가용성 분말은 배출 튜브 (24) 를 통해 충전기 (28) 의 공급 깔때기 (26) 로 떨어진다. 상기 공급 깔때기 (26) 로부터 향기로워진 가용성 커피 분말은 충전기 (28) 로 떨어지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적절한 용기 (미도시) 에 충전된다. 향기로워진 가용성 분말은 충전기 (28) 로 공급되기 이전에 섞이거나 혼합되지 않는다. 상기 충전기 (28) 는 어떤 적절한 충전 기계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리병 및 캔을 위한, 적절한 충전 기계는 John R. Nalbach Engineering Co, Inc. of Chicago, Illinois, USA 에 의해 공급되는 Necoflo (상표) 시리즈 충전 기계이다. 1 회용 봉지를 위한, 적절한 충전 기계는 Klockner-Bartelt, Jones Inc.,Hayssen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가용성 음료 분말이 충전되는 용기는 예를 들어 유리병, 얇은 캔, 1 회용 봉지 등의 적절한 용기일 수 있다.
이동 베드으로 가용성 분말을 형성하고, 이동 베드를 환형막으로 떨어지게 하며, 향-포함 물질을 상기 바닥면위로부터 가용성 분말 상으로 분사함에 따라, 놀랍게도 가용성 분말내의 향-포함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내의 가용성 분말의 향-포함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가 얻어진다. 이는 소비자가 향에 있어서 용기들사이 및 어떤 용기 내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발명 이전에, 향기로워진 가용성 분말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를 얻기 위해 용기 속으로 충전되기 이전에 섞여야만 했다.
게다가, 가용성 분말이 향기로워진 이후에 충전기의 이송 시스템으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용기 속으로 충전되기 이전의 가용성 분말의 체재 시간은 실질적으로 작다. 따라서 휘발성 향 성분의 손실이 실질적으로 줄어든다. 이는 종종 50% 인 가용성 분말의 단위무게당 추가되는 향의 양을 줄인다. 또한 적은 양의 휘발성 가용성 분말이 손실되기 때문에, 용기내의 가용성 분말은 훨씬 나은 향을 갖는다.
게다가, 가용성 거피 분말의 위에서 향-포함 물질의 분사는 향-포함 물질의 적은 양이 환형막을 관통하거나 아예 관통하지 않게 한다. 이 또한 향의 손실을 줄인다.
본 발명의 관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많은 수정과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분말을 분말 분배기로 운반하기 위해 진동 컨베이어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분말 분배기 내의 분말의 이동 베드를 공급하는 적절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음료 분말은 회전하는 판위에 쌓여있을 수 있다. 회전하는 판상의 가용성 음료 분말의 바닥면의 높이는, 가용성 음료 분말이 순환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용성 음료 분말이 상기판 위에 쌓이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순환은 적절한 차폐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판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은, 가용성 음료 분말을 판의 가장자리 주변의 적절한 분배 구멍으로 운반한다. 향기로워진 물질은 상기 구멍을 통해 떨어지면서 가용성 음료 분말 상에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설명하기 위한 방법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예 1)
냉동 건조된, 뭉치지 않는 가용성 커피 분말이 사용된다. 가용성 커피 분말은 진동 컨베이어에 1.66 kg/min 의 속도로 공급된다. 상기 진동 컨베이어는 길이가 약 0.5m 이고 폭이 약 0.1m 인 채널을 갖는 Eriez (모델 20A) 로부터 얻어진다. 진동 컨베이어 상의 가용성 커피 분말의 깊이는 약 1.3 내지 약 1.5cm로 유지된다. 상기 가용성 커피 분말은 진동 컨베이어로부터 지름이 2.86cm 인 분배 구멍을 포함하는 분말 분배기로 공급된다.
Spray System Inc. (1/4 JBC) 로부터 얻어지는 2 개의 유체 노즐은 분배 구멍 위에 같은 축을 갖도록 배치된다. 향기로워진 커피 오일은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환형막의 형태로 분배 구멍을 통해 떨어지면서 상기 노즐을 통해 5 g/min 의 유량으로 원뿔형으로 분사된다. 향기롭게 하는 가스는 노즐로 0.11 m3/hr 의 유량으로 공급된다. 이 방법은 1시간 가량 지속된다. 향기로워진 분말은 모아진다.
상기 분말의 샘플은 뜨거운 물에 가용성되고 심사관에 의해 맛보아진다. 향 또는 향취에 있어서의 차이는 샘플들 사이에서 식별되지 않고 이는 향이 가용성 커피 분말 구석구석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 2)
동량의 액상 및 오일을 포함하는 향 에멀젼이 6.6 g/min로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을 제외하고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덩어리 및 미세 입자의 형성에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향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구석구석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3)
예 1 의 방법이 분사-건조된 가용성 커피 분말이 1.64 kg/min 의 유속으로 3시간 동안 반복된다. 덩어리짐 또는 미세 입자의 형성이 감지되지 않으며 향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구석구석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4)
예 1 의 방법이 1.8 kg/min 의 유속의 가용성 커피 분말을 사용하여 반복된다. 동량의 액상 및 오일을 포함하는 향 에멀젼이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11.5 g/min 의 속도로 분사된다. 이 방법은 8 시간동안 계속된다. 덩어리짐 또는 미세 입자의 형성이 감지되지 않으며 향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구석구석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5)
냉동 건조된, 뭉치지 않는 가용성 커피 분말이 사용된다. 가용성 커피 분말은 진동 컨베이어 (Eriez 모델 20A) 에 2.27 kg/min 의 속도로 공급된다. 진동 컨베이어 상의 가용성 커피 분말의 깊이는 약 1.6cm로 유지된다. 상기 가용성 커피 분말은 진동 컨베이어로부터 지름이 약 3cm 인 분배 구멍을 포함하는 분말 분배기로 공급된다. 상기 진동 컨베이어는 질소 가스로 뒤덮여 정화된다.
Spray System Inc. (1/4 JBC) 로부터 얻어지는 2 개의 유체 노즐은 분배 구멍 위에 같은 축을 가지면서 배치된다. 향기로워진 커피 오일은 가용성 커피 분말 상에 환형막의 형태로 분배 구멍을 통해 떨어지면서 상기 노즐을 통해 6.8 g/min 의 유량으로 원뿔형으로 분사된다. 향기롭게 하는 가스는 노즐로 0.11 내지 0.16 m3/hr 의 유량으로 공급된다.
향기로워진 분말은 상기 분말이 120 봉지/min 의 속도로 17g 용량의 1 회용 봉지 속에 충전되는 1 회용 봉지 충전 기계 (Klockner-Bartelt) 속으로 직접 공급된다. 상기 방법은 수 시간동안 계속된다. 기름 또는 덩어리 생성의 증진이 감지되지 않는다.
가용성 커피 분말의 샘플은 수개의 1 회용 봉지내의 다른 위치로부터 조심스럽게 제거되고 오일 함유량을 위해 분석된다. 오일 함유량은 각각의 1 회용 봉지내의 다른 위치에서 및 1 회용 봉지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같다. 이는 훌륭한 균일성을 나타낸다. 게다가, 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수개의 1 회용 봉지의 상부 공간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된다. 상기 레벨은 혼합을 포함하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제어 1 회용 봉지의 레벨보다 약간 더 높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에서 2 배의 향기로워진 오일이 사용되고, 이는 이 예의 방법이 향에 있어 상당한 절약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1 회용 봉지는 또한 8 잔의 커피를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커피는 시각적으로 점검되고 그 표면에 큰 오일 비말이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게다가, 커피는 볶은 특징을 갖는 훌륭한 향을 갖는다.
(예 6)
가용성 커피 분말이:
ⅰ) 5 내지 15 g/min 의 바닐라 향을 포함하는 액체 커리어; 또는
ⅱ) 5 내지 15 g/min 의 헤이즐넛 향을 포함하는 액체 커리어를 분사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을 반복한다.
각각의 경우, 향취가 가용성 커피 분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7)
가용성 홍차 분말이 컨베이어 상에 공급되고, 5 내지 15 g/min 의 레몬향을 포함하는 액체 커리어가 상기 홍차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상기 향취는 가용성 홍차 분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8)
우유를 함유하지 않은 크리머 분말이 컨베이어 상에 공급되고, 5 내지 15 g/min 의 프랑스 바닐라 향을 포함하는 액체 커리어가 우유를 함유하지 않은 크리머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상기 향취는 우유를 함유하지 않은 크리머 분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9)
인스턴트 코코아 분말이 컨베이어에 공급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또한, 1 내지 15 g/min 의;
ⅰ) 액체 코코아 향이 코코아 분말 상에 분사되거나; 또는
ⅱ) 0.1 내지 15 g/min 의 레시틴, 습윤제 중 하나가 상기 분말 위에 분사된다. 상기 향취 또는 레시틴은 상기 코코아 분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10)
인스턴트 소스 원료가 컨베이어에 공급되고, 1 내지 15 g/min 의 닭 향/향취가 상기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상기 향취는 상기 원료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예 11)
가용성 커피 분말이 20 kg/min 로 Vibra-Maschine D-6050 공급기를 이용하여 공급되고, 30 내지 60 g/min 의 동량의 액상과 오일을 포함하는 커피향 에멀젼이 상기 커피 분말 상에 분사되는 것을 제외하면 예 1 의 방법이 반복된다.
향은 가용성 커피 분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분배된다. 상기 분말의 한 티스푼은 150 ml 의 뜨거운 물에 가용성된다. 생성된 커피 음료는 시각적으로 점검되고 그것의 표면상에 큰 오일 비말이 없음을 알게된다. 게다가, 상기 커피 음료는 볶은 특성을 갖는 훌륭한 향을 갖는다.

Claims (9)

  1. 향-포함 물질을 음료 분말에 혼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 분말을 이동 베드의 형태로 운반하고, 상기 음료 분말을 용기 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속에 상기 이동 베드를 환형막의 형태로 떨어뜨리는 단계와: 및
    상기 향-포함 물질을 상기 충전기 내의 상기 음료 분말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상기 향-포함 물질을 상기 이동 베드위의 위치에서 환형막의 형태로 떨어뜨리면서 상기 음료 분말 상에 분사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음료 분말의 상기 이동 베드의 깊이가 약 0.005m 내지 약 0.05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음료 분말의 상기 이동 베드의 깊이가 약 0.01m 내지 약 0.025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말을 연장된 채널 부재 안으로 공급하고 상기 채널 부재에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음료 분말을 이동 베드의 형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말의 상기 이동 베드를 실질적으로 원형인 분배 구멍을 통해 운반하여, 상기 이동 베드를 환형막의 형태로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향-포함 물질을 상기 분배 구멍 위에 축이 일치하게 위치된 분사 노즐로부터 상기 음료 분말 상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향-포함 물질을 상기 음료 분말 상에 360°패턴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포함 물질을 약 1㎛ 내지 약 1㎜ 의 크기를 갖는 비말의 형태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말이 가용성 커피 분말이고 상기 향-포함 물질이 향기로워진 커피 오일 또는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6626A 1997-01-29 1998-01-13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 KR100504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013497A 1997-01-29 1997-01-29
US8/790,134 1997-01-29
US08/790,134 1997-01-29
US8/960,131 1997-11-25
US08/960,131 US5855947A (en) 1997-01-29 1997-11-25 Aromatization of beverage powders
US08/960,131 1997-11-25
PCT/EP1998/000379 WO1998032339A1 (en) 1997-01-29 1998-01-13 Aromatization of beverage pow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393A true KR20000070393A (ko) 2000-11-25
KR100504524B1 KR100504524B1 (ko) 2005-08-03

Family

ID=2712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626A KR100504524B1 (ko) 1997-01-29 1998-01-13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0967882B1 (ko)
JP (1) JP4166284B2 (ko)
KR (1) KR100504524B1 (ko)
CN (1) CN1085052C (ko)
AR (1) AR011590A1 (ko)
AT (1) ATE206869T1 (ko)
AU (1) AU723129B2 (ko)
BR (1) BR9807011B1 (ko)
CA (1) CA2276208C (ko)
DE (1) DE69802073T2 (ko)
DK (1) DK0967882T3 (ko)
ES (1) ES2164418T3 (ko)
MA (1) MA24461A1 (ko)
NZ (1) NZ336598A (ko)
PE (1) PE40699A1 (ko)
PT (1) PT967882E (ko)
SV (1) SV1998000015A (ko)
WO (1) WO19980323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9936B2 (en) 2012-11-28 2020-04-07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Treating soluble coffe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1135A1 (en) * 2000-10-31 2002-05-0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oluble black coffee
US10743558B2 (en) 2013-02-19 2020-08-1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ffee scenting
EP3085247A1 (de) 2015-02-17 2016-10-26 Symris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omatisierten Nahrungsmittelpartikel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5904A (de) * 1961-03-24 1966-01-15 Nestle Sa Verfahren zum Aromatisieren von pulverförmigen Kaffeeprodukten,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US3077405A (en) * 1962-03-05 1963-02-12 Gen Foods Corp Process for preparing an aromatized free-flowing soluble coffee
CH547473A (de) * 1972-02-15 1974-03-29 Nestle Sa Procede de separation d'un solvant et d'une matiere en solution ou en suspension dans le solvant ou impregnee du solvant.
US4072761A (en) * 1975-11-24 1978-02-07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Aromatization of coffee products
US4355571A (en) * 1980-12-29 1982-10-26 General Foods Corporation Aromatizing apparatus
NZ201977A (en) * 1981-10-01 1985-08-16 Peters Ag Claudius Distribut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spray mixing vessel
DE3472523D1 (en) * 1983-12-06 1988-08-11 Nestle Sa Coffee aromatization
DD290797A5 (de) * 1988-11-17 1991-06-13 Institut Fuer Getreideverarbeitung Gmbh,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omatisiertem tee
CH681680A5 (ko) * 1991-01-17 1993-05-14 Nestle Sa
CH682707A5 (fr) * 1991-08-07 1993-11-15 Nestl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aromatisation d'une poudre de café soluble.
DK0806903T3 (da) * 1995-02-01 2001-02-05 Nestle Sa Indkapslede aromastoff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9936B2 (en) 2012-11-28 2020-04-07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Treating soluble coff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6284B2 (ja) 2008-10-15
ATE206869T1 (de) 2001-11-15
CA2276208A1 (en) 1998-07-30
EP0967882B1 (en) 2001-10-17
CA2276208C (en) 2008-07-08
AU6615698A (en) 1998-08-18
NZ336598A (en) 2001-03-30
PT967882E (pt) 2002-03-28
DK0967882T3 (da) 2001-11-19
CN1244099A (zh) 2000-02-09
AR011590A1 (es) 2000-08-30
PE40699A1 (es) 1999-05-06
CN1085052C (zh) 2002-05-22
MA24461A1 (fr) 1998-10-01
DE69802073D1 (de) 2001-11-22
BR9807011B1 (pt) 2009-05-05
JP2001508658A (ja) 2001-07-03
DE69802073T2 (de) 2002-03-14
AU723129B2 (en) 2000-08-17
ES2164418T3 (es) 2002-02-16
BR9807011A (pt) 2000-03-14
SV1998000015A (es) 1998-07-29
WO1998032339A1 (en) 1998-07-30
KR100504524B1 (ko) 2005-08-03
EP0967882A1 (en) 200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20639A (ja) 可溶性飲料のアロマ付与
CA2612411C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foamed beverages from liquid concentrates through a dispenser machine
JP3429772B2 (ja) 容器の中に芳香を噴霧する方法
KR101218425B1 (ko) 커피 향기 성분을 함유하는 방향화 입자
KR100504524B1 (ko) 음료 분말을 향기롭게 하는 방법
RU2192141C2 (ru) Ароматизация порошка для напитка
US2206319A (en) Vitaminizing coffee
GB24313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US4496596A (en) Aromatizing method
JPH07163294A (ja) 抽出飲料の製法
US4871564A (en) Coffee aromatizing method
CA1171726A (en) Aromatizing apparatus and method
EP1859685A1 (en) Coffe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