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040A -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040A
KR20000070040A KR1019997006259A KR19997006259A KR20000070040A KR 20000070040 A KR20000070040 A KR 20000070040A KR 1019997006259 A KR1019997006259 A KR 1019997006259A KR 19997006259 A KR19997006259 A KR 19997006259A KR 20000070040 A KR20000070040 A KR 2000007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
photochem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scular
coll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퀴안
네슬란트얀엠
기에르크스키칼에릭
모안요한
발로에트론트
Original Assignee
포토큐레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토큐레 아에스 filed Critical 포토큐레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0007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71PDT with porphyrins having exactly 20 ring atoms, i.e. based on the non-expanded tetrapyrrolic ring system, e.g. bacteriochlorin, chlorin-e6, or phthalocyan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를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DT에 반응성인 질환 및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승적으로 증진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당해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및 치료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본 발명은 광화학적 치료법에 의한 피부 및 기타 신체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또는 기타 상피, 예를 들면 점막, 기관의 신생물 또는 건선성 반점과 같은 이상증 또는 질환은 통상적으로 외과술, 방사선요법, 냉동요법 또는 화학요법에 의해 치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독성, 발암성 또는 이러한 치료로 부터 발생되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 또는 일반적 불쾌감 등의 상당히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화학적 치료법 또는 광역학적 치료법(PDT)은 피부 또는 기타 상피 기관의 다양한 이상증 또는 질환, 특히 암 또는 예비-암성 병변 및 특정 양성(non-malignant) 병변, 예를 들면 건선과 같은 피부 질환에 대한 최신 치료법이다. 광화학적 치료법은 신체의 감염 부위 또는 전신 영역에 감광제(광화학적 치료제)를 적용시키고, 이어서 감광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광활성화 광에 노출시켜 감광제를 세포독성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감염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이들의 증식력을 감소시킴을 포함한다.
감광제의 범위는 공지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라렌(psoralen), 포르피린, 클로린 및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한다. 이러한 약물은 광에 노출될 경우 독성이 된다.
감광성 약물은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해 이들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정 감광제는 광에 의해 활성화될 경우 직접적으로 독성이 되는 반면, 기타 감광제는 작용하여 세포 물질 및 지질, 단백질 및 핵산 등의 생체분자에 대해 매우 파괴적인 독성류, 예를 들면 산화제(예: 일중항 산소 또는 기타 산소-유도 유리 라디칼)를 형성한다. 소라렌은 직접 작용하는 감광제의 예이고, 광에 노출되면, 이들은 부가물을 형성하고 두 가닥의 DNA 분자 사이에서 가교결합함으로써 DNA 합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치료법이 갖는 불리한 위험은 바람직하지 않은 돌연변이성 및 발암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은 또 다른 간접적 작용 형태의 감광제를 선택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독성 산소류의 형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포르피린은 돌연변이성 부작용을 갖지 않아 광화학적 치료법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후보물질이다. 포르피린은 헴의 합성시의 천연 전구체이다. 특히, 헴은 철(Fe3+)이 효소 페로킬라타제(ferrochelatase)의 작용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린 Ⅸ (Pp)에 혼입되는 경우 생성된다. Pp는 매우 유효한 감광제인 반면, 헴은 감광 효과가 전혀 없다.
이러한 포르피린계 약물중 하나인 포토프린(Photofrin™, Gormer and Dougherty, Cancer Research, 39, p146-151, 1979; 원명 포토프린 Ⅱ)은 최근 특정 암의 치료에서 감광제로서 인정되었다. 포토프린™은 포르피린의 거대 올리고머로 이루어져 있고, 국부적으로 적용될 경우 피부에 쉽게 침투하지 않으므로 전신적으로 투여해야 한다. 따라서, 이의 주된 단점은 비경구, 일반적으로 정맥내로 투여해야만 하기 때문에 정맥 주사 후 수주 동안 지속될 수 있는 피부의 광감작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유사한 문제는 또한 암의 광화학적 치료법에서의 용도에 대해 보고했던 소위 "헤마토포르피린 유도체" (Hpd) (참조: Lipson et al., J. Natl. Cancer Ins., 60, p1-10, 1961)와 같은 다른 포르피린계 감광제에서도 존재한다(참조: S. Dougherty., J. Natl. Cancer Ins., 52, p1333, 1974; Kelly and Snell, J. Urol., 115, p150, 1976). Hpd는 헤마토포르피린을 아세트산 및 황산으로 처리하고 이 후 아세틸화 생성물은 알칼리에 용해시킴으로써 수득한 복합체 혼합물이다. 명백하게는 비정의된 혼합물을 약물로서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Hpd도 또한 주사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포토프린™과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의 광감작 단점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Pp 전구체의 광화학적 치료법의 잠재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Pp 전구체 5-아미노레블린산(ALA)은 특정 피부 암에 대한 광화학적 치료제로서 연구되었다. 헴 합성의 제1 단계에서 석시닐 CoA와 글리신으로부터 형성되는 ALA은 제한된 정도로 피부를 투과할 수 있고 Pp의 국한된 구성을 유도하고, 페로킬라타제(금속화 효소)의 작용이 헴 합성시의 속도 제한 단계이기 때문에 과량의 ALA는 감광제인 Pp를 축적시킨다. 따라서, ALA를 국소적으로 피부 종양에 적용시키고 이어서 수 시간 후 종양을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유익한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참조: WO 91/01727). 기저세포암 및 평편세포암을 포함하는 피부가 건강한 피부 보다 ALA에 의해 더욱 쉽게 투과될 수 있기 때문에 ALA의 국부 적용은 종양에서 선택적으로 증가된 Pp의 생성을 야기시킨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ALA의 사용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현저한 진전을 나타내었지만, ALA을 사용한 광화학적 치료법은 언제나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ALA는 모든 종양 및 기타 조직에 광범위한 종양 또는 기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충분한 효율로 투과될 수 없고, ALA는 또한 약제학적 제형으로도 불안정하기 쉽다. 이러한 일부 문제는 동시 계류중인 출원 제WO 96/28412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ALA 유도체, 예를 들면 ALA-메틸에스테르, ALA-에틸에스테르, ALA-프로필에스테르, ALA-헥실에스테르, ALA-헵틸에스테르 및 ALA-옥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의 염을 사용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ALA와 마찬가지로, 에스테르 유도체는 Pp의 생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이들의 효과를 나타내고, 즉 목적 세포에 존재하는 에스테라제와 같은 작용성 가수분해 효소가 목적 부위로 전달되면 에스테르를 모 ALA로 분해시키고 이어서 헴 합성 경로로 도입되어 Pp를 생성시킨다. 그러나, 에스테르 유도체는 ALA 자체에 대한 다수의 잇점을 갖는다. 먼저, 이들 유도체는 더욱 친지성이어서 ALA에 비해 피부 및 기타 조직에 더 잘 침투할 수 있고, 투과는 더욱 깊고 신속하다. 이는 특히, 국부 투여에 대한 중요한 잇점이다. 두번째로는, 에스테르는 Pp 생성에 대해 ALA 보다 더욱 우수한 증진제이고, ALA 에스테르의 투여 후 Pp 생성 수준이 ALA 단독 투여보다 더 높다. 세번째로는, ALA 에스테르는 처리될 목적 조직에 대한 개선된 선택성을 나타내고, 즉 Pp 생성-증진 효과는 목적하는 목적 병변에 국한되어 주변 조직으로 분산되지 않는다. 이는 특히 종양에 대해 명백하다. 마지막으로는 에스테르는 투여시 목적 조직으로 더욱 잘 국한되어 나타난다. 이는 전신적 적용에 대해 특히 중요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타 포르피린계 감광제에 대해 문헌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광감작 효과가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ALA 에스테르는 광화학적 치료법의 분야에서 상당한 진보를 나타내지만, 모든 이상증 또는 질환이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 PDT에 대해 반응성이지 않으므로 종양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는 더 우수한 대안의 광화학적 치료제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분야에서 기술된 질환에 대해 증진된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갖는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서는 PDT에 의해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포 성분 및 또한 종양의 혈관 교질 둘 다를 파괴해야 한다고 나타난다(참고 문헌: Peng & Moan, Br. J. Cancer, 72, p565-574, 1995; Peng et al., Cancer Res., 55, p2620-2626, 1995 and Peng et al., Ultrastructural Pathology, 20, p109-129, 1996). 종양을 치료하는데 ALA의 유용성은 명백하고 ALA로부터 내생적으로 합성된 PpⅨ는 종양 세포 내에서 국한된다. 또한 국한 적용된 ALA는 피부 광감작을 일으키지 않고 세포의 DNA에 대한 발암성 효과도 일으키지 않는다. 전신 적용된 ALA는 투여 24시간 후에도 전혀 광감작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ALA는 모든 종양으로 침투할 수 없고 두께가 2 내지 3㎜ 미만인 피부의 표재성 병변의 치료에만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고 밝혀졌다. 더 두꺼운 피부 병변 또는 더 두꺼운 기체소화 기관 또는 기타 내부 중공 기관의 병변에서는 국부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투여된 ALA-PDT를 사용하여 어떠한 우수한 임상적 결과도 수득하지 못한다. 포토프린™은 주로 종양의 혈관 교질에 분포된다고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언급한 바대로 포토프린™은 피부 광감작의 지연된 위험과 관련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예를 들면 ALA 또는 이의 메틸 또는 부틸 에스테르와 함께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예를 들면 포토프린™, 테트라(메소-하이드록시페닐)클로린 (m-THPC), 클로린 e6,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 또는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를 사용하면 하나의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PDP의 효율을 증가시킨다고 밝혀졌다. 상승 효과는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와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사이에서 관찰되고, 그 결과 물질 하나만의 기대될 첨가 효과에 비해 종양 성장의 억제가 개선된다. 이러한 유익한 상승 효과는 놀랍게도 혈관 교질-국부화 물질을 종양 성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지만 피부 감광성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치료적 용량(부분-치료)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조차도 관찰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법으로 치료된 종양의 성장은 치료적 용량의 ALA과 낮은 비치료적 수준의 포토프린™(또는 m-THPC)를 사용함으로써 감소된다고 밝혀졌다. 성장의 감소는 치료적 용량으로 사용하거나 포토프린™을 치료적 용량으로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의 부가 효과와 비교할 경우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이한 유형의 광화학적 치료제 사이에서 비치료적 용량으로도 존재하는 지금까지 인식되지 않은 상승 효과가 제안된다.
부분-치료적 수준에서도 존재하는 상승 효과는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는다. 개선된 PDT는 먼저 표재성 피부 병변에 제한하지 않고, 또한 두꺼운 피부 병변 및 내부 중공 기관의 표재성 병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두번째로는 부분-치료적 용량의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물질과 관련된 피부 광독성은 제거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를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포함하는,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광화학적 치료제의 치료 효과는 증진되고, 즉, PDT는 하나의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증진된다. 더욱 특히, 치료 효과는 상승적으로 증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는 부분-치료적 용량으로 제공된다.
또는, 본 발명은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시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를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사용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및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의 신규한 조성물로 확대된다.
특정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예를 들면 포토프린™은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없고,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종의 광화학적 치료제가 비경구로 투여되지 않는 경우, 동시에 또는 차례로 투여되는 개별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투여될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동시에, 별도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합 제제로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광화학적 치료제 및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동시에, 별도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생성물의 제조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광화학적 치료제 및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의 용도는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 치료제"는 광화학적 치료제로서 작용하는 프로토포르피린의 구조적 전구체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면 ALA, 포르포빌리노겐 또는 전구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물질은 병변 세포, 예를 들면 종양 또는 질병 세포에 국한된다.
"혈관 교질-국부화 물질"은 투여 후 일반적으로 혈관 교질에 국한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적합한 혈관 교질-국부화 물질은 하기를 포함한다:
HpD,
헤마토포르피린, 예를 들면 포토프린™(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 및 헤마토포르피린 Ⅸ(HpⅨ),
포토산 Ⅲ(Seehof Laboratorium GmbH, Seehof, Wesselburenerkoog, Germany),
클로린, 예를 들면 테트라(m-하이드록시페닐)클로린(m-THPC) 및 이의 박테리오클로린(Scotia Pharmaceuticals Ltd., Surrey, UK), 모노-L-아스파틸 클로린 e6(NPe6)(Nippon Petrochemical Co., CA, USA), 클로린 e6(Porphyrin Products Inc.), 벤조포르피린(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예: 벤조포르피린 유도체 모노산 환 A, BPD-MA) 및 푸르푸린(PDT Pharmaceuticals Inc., CA, USA)(예: 틴에틸 에티오푸르푸린, SnET2),
프탈로시아닌, 예를 들면 아연-(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 설폰화될 수 있는 일부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 프탈로시아닌, 특히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AlPcS2a) 또는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AlPcS4)와 같은 설폰화 프탈로시아닌,
포르피센,
하이포크렐린,
프로토포르피린 Ⅸ (PpⅨ),
헤마토포르피린 디-에스테르,
우로포르피린,
코프로포르피린,
듀테로포르피린 및
폴리헤마토포르피린 (PHP) 및 전구체, 및 이의 유도체.
상기 언급한 바대로, 프로토프린™은 상이한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각각의 이들 개별 성분 또는 이의 배합물의 각각은 혈관-교질 국부화 물질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혈관 교질"은 혈관계에 존재하는 대식세포 및 섬유아세포와 같은 세포 및 교질로 침투하는 기타 세포 이외에 혈관 결합 조직, 매트릭스 및 이의 성분 및 신경을 의미한다. 국한 영역은 국부가 결정되는 투여 후 시간에 따라 다를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먼저 세포 내에서 국한되는 감광제는 교질로 재배치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는 먼저 교질로 국한되나, 반면 주사 후 24 내지 72 시간에는 물질의 대부분이 세포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혈관 교질-국부화 물질은 투여 후 24시간 내에 교질에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는 물질이 조사시 적합하게는 혈관 교질 또는 병변-국부화 물질로서 작용하도록 물질을 투여한 후 상이한 시간에 PDT를 수행함으로써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가 AL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이고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가 헤마토포르피린(특히, 포토프린™), 클로린(특히, m-THPC 또는 클로린 e6) 또는 설폰화 프탈로시아닌(특히,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 또는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전구체"란 용어는 대사적으로 그 물질로 전환되어 실질적으로 그 물질, 예를 들면 ALA와 동일한 물질에 대한 전구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구체"란 용어는 헴 생합성을 위한 대사 경로에서 프로토포르프린에 대한 생물학적 전구체를 포함한다. "유도체"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화학적 개질제, 예를 들면 상기 기술한 ALA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 표면 투과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광화학적 치료제가 국부적으로 투여되지 않을 때라도 사용될 수 있다.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와 같은 디알킬설폭사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제WO 95/0707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표면 투과 보조제는 약제 문헌에서 기술된 피부-투과 보조제, 예를 들면 HPE-101(Hisamitsu에서 시판), DMSO 및 기타 디알킬설폭사이드, 특히 n-데실메틸-설폭사이드(NDMS), 디메틸설프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DMFA), 디메틸아세트아미드, 글리콜, 다양한 피롤리돈 유도체(참조: Woodford et al., J. Toxicol. Cut. & Ocular Toxicology, 5, p167-177, 1986) 및 아존(Azone™)(참조: Stoughton et al., Drug Dpv. Ind. Pharm., 9, p725-744, 1983)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DMSO가 다수의 유익한 효과가 있고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표면 투과 보조 효과 이외에(DMSO는 조직으로의 활성제의 투과 깊이를 증진시키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DMSO는 항히스타민 및 소염 활성을 가지므로 광에 노출 과정 동안 통증을 감소시킨다. 또한, DMSO는 효소 ALA-신타제 및 ALA-데하이드로게나제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소는 각각 형성되어 ALA를 포르포빌리노겐으로 축합시킨다) 활성 형, Pp의 형성을 증진시킨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건선과 같은 특정 질환에서, 병변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투과되며 투과 물질은 덜 이로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예를 들면 병변이 투과하기 어려운 피부 암인 경우, 표면 투과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고 농도로 예비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활성 성분은 동일한 조성물 내에서 동시에 적용될 필요가 없으나, 임상적인 필요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사실상, 많은 경우에, 특히 유익한 광화학적 치료 효과는 광화학적 치료제를 투여하기 전 분리 단계에서 표면 투과 보조제로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고 관찰된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 표면 투과 보조제로 예비 처리하고 이어서 표면 투과 보조제와 함께 광화학적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밝혀졌다. 표면 투과 보조제가 예비 처리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100%(w/w) 미만의 고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처리 단계가 사용되는 경우, 광화학적 치료제는 예비 처리 후 수시간 미만에, 예를 들면 예비 처리 후 5 내지 60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문헌(참조: Malik et al., Proceeding of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2078, p355-362, 1993)에서는 프로토포르피린 생합성의 유도, ALA과 배양하기 전에 내생성 포르피린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별화 유도제로서 DMSO 및/또는 포르피린 유발제로서 알릴-이소프로필-아세트아미드와 함께 이미 배양한 매질에서 B16 흑색종 세포의 광파괴에 의한 연속적 사멸에 대한 ALA의 효과의 시험관내 연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문헌(참조: Doodstar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42(6), p1307-1303, 1991)에서는 매질에서 간세포에 대한 매질 조건의 효과, 특히 간세포에서 세포내 헴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이토크롬 P450-의존성 혼합 기능 옥시다제 및 UDP-글루쿠로노실 트랜스퍼라제의 활성 증가에 대한 ALA 및 DMSO 단독 또는 배합으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킬레이트제는 임의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생성물에 함유된다. 이러한 물질은 먼저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예: ALA)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두번째로, Pp의 축적을 증진시키는 두 효과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후자의 효과는 철의 킬레이트로 인해 금속을 Pp로 혼입시키는 효소 페로킬라타제의 불활성 작용을 방지하고 Pp를 형성함으로써 달성한다. 따라서 감광 효과가 증진된다.
국부적으로 치료된 종양의 광화학적 치료법에서 킬레이트제와 함께 ALA를 사용하는 것은 문헌(참조: Hanania et al., Cancer Letters, 65, p127-131, 1992)에서 제안하였다.
금속 탈독성화 또는 자기 공명 형상 대비제에서 상자성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화에 대해 문헌에서 기술된 특정 킬란트(chelant)를 포함하는 아미노폴리카복실산 킬레이트제는 특히 이에 관해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EDTA, CDTA(사이클로헥산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DTPA, DOTA 및 1,10-페난트롤린이 언급될 수 있다. EDTA가 특히 ALA의 안정화에 대해 바람직하다. 철-킬레이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데스페리옥사민 및 기타 담철세포가, 예를 들면 EDTA와 같은 아미노폴리카복실산 킬레이트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조성물은 또한 PDT의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기타 물질과 제형되고/되거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고 밝혀진(참조: O'Reilly et al., Nature Medicine, 2, p689-692, 1996; Yamamoto et al., Anticancer Research, 14, p1-4, 1994; and Brooks et al., J. Clin. Invest., 96, p1815-1822, 1995) 맥관 형성 억제제(항-맥관형성 약물)는 종양의 혈관계를 추가로 손상시키기 위해 PDT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맥관 형성 억제제는 TNP-470(AGM-1470, 푸마길린으로 칭하는 진균성 분비 생성물의 합성 동족체;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Osaka, Japan), 안지오스타틴(Surgical Research Lab.,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of Harvard Medical School) 및 인테그린 αvβ3길항제(예: 인터프린 αvβ3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LaJolla, CA)를 포함한다.
또는, 부가적으로 면역 치료제(예: 대식세포 활성화 인자와 같은 항체 또는 효능제) 또는 화학 치료제는 본 발명에 따른 PDT를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의 투여는 이러한 물질을 사용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에 따르는 경로, 농도 및 제형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추가의 물질은 PDT 전, 후 또는 동안 이들의 기능에 따라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맥관 형성 억제제는 종양 재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PDT 5 내지 10일 후에 가해질 수 있다.
글루코즈가 또한 국부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PDT를 보조한다고 밝혀졌다. 이론에 근거하지는 않지만, 글루코즈의 투여로 프로토포르피린의 소수성 특성을 증가시키는 pH의 강하의 결과를 나타내므로 프로토포르피린은 세포로 더욱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다고 나타낸다. 국부 투여되는 경우, 편리하게는 제형, 예를 들면 크림이 0.01 내지 10%의 글루코즈(w/w)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 또는 생성물은 ALA 또는 전구체 또는 이의 유도체, 포토프린™, DMSO, EDTA 및 데스페리옥사민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및 혈관 교질-국부화 광화학적 치료제 사이의 상승 효과가 관찰되고, 이에 의해 PDT의 효율이 증진된다. 따라서, 이로써 사용될 광화학적 치료제의 부분 치료적 복용량 즉, 그 자체로 투여될 개개의 광화학적 치료제인 복용량은 유익한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치 않다.
유익한 결과는 특히, 광화학적 치료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PDT에서는 표준인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ALA 또는 이의 유도체를 치료적 용량 범위로, 혈관 교질-국부화 물질, 바람직하게는 포토프린™의 부분 치료적 용량과 함께 사용하여 유리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고 밝혀졌다.
조성물내의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예를 들면 ALA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예를 들면 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범위이고,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예를 들면 포토프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의 범위이거나 m-THPC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의 범위이고, 킬레이트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예를 들면 약 2 내지 10%(예: 2.5%)이고, 표면 투과 보조제, 예를 들면 DMSO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예를 들면 약 10%이다. 상기 언급한 모든 %는 중량 기준이다. 필요한 물질의 농도는 사용되는 특정 물질에 따라 좌우되고, 명백하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정보 및 기술에 따라 적합하게 개질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된 농도는 적용 방법, 조성물이 적용된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표면 투과 보조제가 예비 단계에서 따로 투여되는 경우, 100% 미만 까지의 고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예를 들면 크림, 점적제, 부분 내부 투여/주사 또는 흡입을 사용하여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국부로만 또는 전신적으로(예: 경구 또는 정맥 주사에 의해) 또는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이 국부적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성분이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이러한 방법의 배합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맥 투여에 의해 투여된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의 총 복용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체중kg의 범위, 예를 들면 포토프린™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체중kg(부분 치료 용량) 또는 m-THPC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체중kg이고,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에 대해서는 1 내지 500㎎/체중kg, 예를 들면 1 내지 250㎎/체중kg이고, 예를 들면 ALA에 대해서는 1 내지 250㎎/체중k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체중kg이다.
필요한 복용량은 투여 형태 및 경로, 사용된 물질 및 치료될 병변에 따라 좌우된다고 생각된다. 혈관 교질-국부화 광화학적 치료제의 부분 치료적 용량이 바람직한 반면, 예를 들면 거대 두께의 병변 또는 어려운 유형의 질환(예: 흑색종)이 치료되는 경우 용량은 증가될 수 있다. 관찰된 상승 효과는 혈관 교질-국부화 광화학적 치료제 및 정상적 치료 수준 이하로 감소될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둘다의 수준에서 나타난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양태가 또한
a)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예를 들면 ALA 또는 전구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제1 용기;
b)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예를 들면 포토프린™ 또는 m-THPC를 함유하는 제2 용기; 임의로
c) 상기 제1 또는 제2 용기 또는 제3 용기내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또는
d)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용기내에, 또는 제4 용기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a) 또는 b)의 제제 또는 감광제가 키트에 존재하는 다른 용기중 하나에 존재하는,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의 광화학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의 추가의 성분은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맥관형성 억제제 또는 글루코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치료될 수 있는 이상증 및 질환은 광화학적 치료법에 대해 반응성인 악성, 전-악성 및 양성(non-malignant) 이상증 또는 질환, 예를 들면 종양, 형성장애 또는 기타 성장, 양성 부인성 질환, 예를 들면 월경 과다증, 자궁내막증 및 일소성 임신, 피부 질환, 건선, 화학성 각화증 및 좌창, 피부 염증, 및 다른 질병 또는 감염, 예를 들면 세균성, 바이러스성 또는 진균성 감염(예: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분리된 병변 (본원에서 병변은 종양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된다)이 형성되는 질병, 질환 또는 이상증의 치료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병변에 의해 특성화되지 않으나 그 질병, 예를 들면 혈액 또는 골수에서 질병을 나타내거나 신체에서 추가로 혈액 또는 골수의 이상증이 존재할 수 있는 다른 곳, 예를 들면 순환성 변형 세포에 위치하는 질병 또는 질환을 나타내는 혈액 또는 골수에서의 이상증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적 분리 실체를 나타내는 이상증 및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내부 및 외부 신체 표면은, 예를 들면 점막, 기관의 선(예: 호흡기관, 위장관, 비뇨관) 및 이러한 표면 위에 빈관을 갖는 분비선(예: 간, 피지선, 유선, 타액선 및 생식선)을 포함한다. 피부 이외에, 이러한 표면은 예를 들면 생식선, 자궁막, 요로상피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면은 또한 환부 또는 종양성 조직의 절개로 인한 신체에서 형성된 공동, 예를 들면 신경교종과 같은 종양의 절개로 인한 뇌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의 예는 (ⅰ) 피부 및 결막; (ⅱ) 구강, 인두, 식도, 위, 장 및 췌장, 직장 및 항문 도관의 선, (ⅲ) 비강 통로, 비강 공동, 비강인두,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의 선, (ⅳ) 수뇨관, 방광 및 요도의 선, (ⅴ) 생식기, 자궁 경부 및 자궁의 선, (ⅵ) 두정부 및 내장 늑막; (ⅶ) 복막 및 골반 공동의 선 및 이러한 공동내에 함유된 기관, (ⅷ) 뇌막 및 수막의 도관, (ⅸ) 예를 들면 수술시 직접적으로 또는 핀을 통해 삽입되는 광학 섬유을 통해 광활성 광이 접근할 수 있는 고체 조직에서의 모든 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성물이 제조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부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국부 조성물은 적어도 한 물질 이상을 전신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물질, 예를 들면 포토프린™의 투여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국부 조성물은 겔, 크림, 연고, 분사제, 로션, 고약, 스틱, 비누, 산제, 페서리, 에어로졸, 점적제 및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모든 약제학적 형태를 포함한다.
연고 및 크림은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를 가하여, 예를 들면 수성 또는 오일성 기재와 제형화될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오일성 기재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또한 하나 이상의 유화제, 분산제, 현탁제, 증점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한다. 산제는 적합한 분산 기재의 도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적제는 하나 이상의 분산제, 가용화제 또는 현탁제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 기재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분사제는 통상적으로 적합한 포촉제를 사용하여 가압 팩으로부터 전달된다.
또는, 표면 투과 보조제는 국부적으로 분리 단계에서 적용되고,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예를 들면 포토프린™ 및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예를 들면 ALA,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또는 따로 또 다른 경로,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예: 피내, 피하, 복강내 또는 정맥 주사)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약제학적 형태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통상의 불활성 담체 및/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옥수수 전분, 락토오즈, 수크로즈,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물, 물/에탄올, 물/글리세롤, 물/솔비톨, 물/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릴알콜,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또는 지방성 물질(예: 경화 지방) 또는 이의 적합한 혼합물과 함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플레인 또는 제피정, 캡슐제, 현탁제 및 용액을 포함한다.
표면 또는 전신 투여 또는 둘다에 대한 투여 후 치료된 영역은 광에 노출시켜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달성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분 내지 96시간,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3시간의 순서일 수 있다. 광 투여 전의 시간은 또한 투여 형태 및 용량 및 특히 사용된 제제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방사선 조사가 일반적으로 레이저가 사용되는 경우 20 내지 200mW/㎠의 강도를 갖는 10 내지 250Joule/㎠의 용량 수준 또는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50 내지 300mW/㎠의 강도를 갖는 10 내지 540Joule/㎠의 용량 수준에서 적용된다. 100Joule/㎠에서, 방사선의 투과는 상대적으로 깊다고 밝혀졌다. 방사선 조사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5분 동안 수행된다. 단일 방사선 조사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 다르게는 광 용량이 방사선 조사간의, 예를 들면 수분 내지 수 시간의 두 분획으로 분리된 광 분리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를 위해 사용된 광 파장은 더욱 효과적인 광화학적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포르피린이 광화학적 치료법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포르피린의 약 최대 흡광 파장에서 광으로 방사선 조사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부 암의 광화학적 치료법에서 ALA을 사용하는 선행 기술의 경우에, 영역 350 내지 640nm, 바람직하게는 610 내지 635nm의 파장이 사용된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를 위해 광범위한 파장을 선택하여 포르피린의 최대 흡수 이상으로 연장시킴으로써, 감광 효과는 증진될 수 있다. 이론에 근거하지는 않지만, 이는 Pp 및 기타 포르피린이 이의 흡수 스펙트럼내의 파장을 갖는 광에 노출되는 경우, 특히 포르프로토포르피린(PPp)를 포함하는 다양한 광-생성물로 변쇄시킨다는 사실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PPp는 상당한 감광성 효과를 갖는 클로린이고, 이의 흡수 스펙트럼은 Pp가 거의 700nm 미만에서 흡수하는 파장 이외으 더긴 파장으로 연장된다(Pp는 650nm 이상의 광은 거의 흡수하지 못한다. 다른 물질은 훨씬 더 높은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PDT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통상의 광화학적 치료법에서, 사용된 파장은 PPp를 여기시키지 못하고 따라서 이의 추가의 감광 효과의 잇점을 수득하지 못한다. 350 내지 900nm 범위에서 광 파장을 갖는 조사는 이들이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서 좌우되지만 특히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다. 600 내지 700nm, 특히 630 내지 690nm, 구체적으로 630 내지 670nm 사이의 파장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감염된 표면에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투여하고, 상기 표면을 광,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900nm의 파장 영역의 광에 노출시킴을 포함하여,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 광화학적 치료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또 다르게는, 좁은 파장의 광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레이저가 사용되는 경우 약 630nm 파장의 광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램프 또는 레이저에 의한 신체의 상이한 영역을 조사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참조: Van den Bergh, Chemistry in Britain, May 1986 p. 430-439).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은 필수적으로 치료될 질환 또는 이상증에서 형광을 포함해야 한다. 이 형광의 강도는 이상 세포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형광의 국부화는 이상증 또는 질환의 크기, 정도 및 상태를 가시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물질의 능력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비 정상 조직에 국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할 부위에서 분리되거나 확인된 이상증 또는 질환은 또 다른 치료학적 기술, 예를 들면 외과적 또는 화학적 치료를 통해 또는 형광의 연속된 형성에 의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의해 또는 적합한 부위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진단 기술은 치료학적 치료에서 사용된 것 보다 가시화를 위한 더 낮은 수준의 형광을 요구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 내지 50%, 예를 들면 1 내지 5%(w/w)의 농도 범위가 적합하다. 치료학적 용도에 대한 투여될 부위, 방법 및 형태는 이전에 생각하고 또한 이들은 본원에서 기술된 진단 용도를 위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또한 진단 기술, 예를 들면 체액에 함유된 세포를 조사하기 위해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정상 조직과 관련된 고도의 형광은 편리하게는 이상증 또는 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며 이상증 또는 질환, 예를 들면 뇨 또는 객담 샘플내의 상피 세포를 각각 조사함으로써 방광 또는 폐 종양의 초기 발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뇨 및 객담 이외의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유용한 체액은 혈액, 정액, 눈물, 대변, 척수액 등을 포함한다. 조직 샘플 또는 제제, 예를 들면 생체검사 조직 또는 골수 샘플이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화학적 치료법을 위한 상기 언급한 방법에 따라서 진단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용도 및 상기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제품 및 키트로 확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ⅰ) 체액 또는 조직을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합물과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광에 노출시키는 단계,
ⅲ) 형광의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ⅳ) 형광의 수준과 대조군의 수준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의 샘플을 검정함으로써 이상증 또는 질환의 시험관내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 실시예에서 하기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포토프린™을 정맥내 투여하고/하거나 ALA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3시간 후 레이저 광 조사(632nm, 150mW/㎠, 15분)함으로써 누드 마우스에 피하내로 이식된 WiDr 사람 콜로니 암종의 증식 곡선에 대한 평균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군(약물 없음, 광조사 없음); ▲ 대조군(광 조사만); ◆ ALA 250㎎/㎏, 3시간 후 조사; ▼ 포토프린™ 1㎎/㎏, 3시간 후 조사; ■ ALA 250㎎/㎏ 및 포토프린™ 1㎎/㎏, 3시간 후 조사;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바는 각 그룹에서 3마리 이상의 동물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의 표준 편차(SEM)를 나타낸다.
도 2는 m-THPC를 정맥내 투여하고/하거나 ALA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3시간 후 레이저 광 조사(632nm, 150mW/㎠, 15분)함으로써 누드 마우스에 피하내로 이식한 WiDr 사람 콜로니 암종의 증식 곡선에 대한 평균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군(약물 없음, 광조사 없음); ▲ 대조군(광 조사만); ◆ ALA 250㎎/㎏, 3시간 후 조사; ▼ m-THPC 75㎍/㎏, 3시간 후 조사; ■ ALA 250㎎/㎏ 및 m-THPC 75㎍/㎏, 3시간 후 조사;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바는 각 그룹에서 3마리 이상의 동물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의 표준 편차(SEM)를 나타낸다.
도 3은 포토프린™ 2㎎/㎏의 정맥 주사후 44 시간(A) 및 ALA 60㎎/㎏의 경구 투여 후 4.5시간(B)에 샘플 채취한 75세 남성(A) 및 87세 여성(B)으로부터의 사람 직장의 유두형 융모선종의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클로린 e6을 정맥 주사하고/하거나 ALA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1시간 후 램프 조사에 의한 도 1과 같은 그래프이다. X 대조군; ▲ ALA 250㎎/㎏; ■ 클로린 e6 1㎎/㎏; ◆ ALA 250㎎/㎏ 및 클로린 e6 1㎎/㎏이다.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도 5는 A1PcS2a를 정맥 주사하고/하거나 5-ALA 메틸 에스테르를 복강내 투여하고 1시간 후 램프 조사에 의한 도 1과 같은 그래프이다. ◆ 대조군; ■ A1PcS2a1㎎/㎏; ▲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X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및 A1PcS2a1㎎/㎏이다.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도 6은 A1PcS4를 정맥 주사하고/하거나 5-ALA 부틸 에스테르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1시간 후 램프 조사에 의한 도 1과 같은 그래프이다. ◆ 대조군; ■ A1PcS45㎎/㎏; X A1PcS41㎎/㎏;5-ALA 부틸 에스테르 338㎎/㎏; △ 5-ALA 부틸 에스테르 338㎎/㎏ 및 A1PcS41㎎/㎏이다.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도 7은 A1PcS2a를 정맥 주사하고/하거나 5-ALA 부틸 에스테르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1시간 후 램프 조사에 의한 도 1과 같은 그래프이다. ▲ 대조군; ■ A1PcS2a1㎎/㎏; X 5-ALA 부틸 에스테르 338㎎/㎏; ◆ 5-ALA 부틸 에스테르 338㎎/㎏ 및 A1PcS2a1㎎/㎏이다.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도 8은 A1PcS4를 정맥 주사하고/하거나 5-ALA 메틸 에스테르를 복강내 투여하고 이어서 1시간 후 램프 조사에 의한 도 1과 같은 그래프이다. ■ 대조군; ▲ A1PcS41㎎/㎏; X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및 A1PcS41㎎/㎏이다. X축은 처리후의 기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대적 종양 용적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제형
1.1 국부 투여용 ALA-함유 크림
5 내지 30% ALA를 함유하는 ALA-함유 크림은 ALA를 시판하는 크림 기재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한다.
20% ALA 크림은 이산화실리콘, 파라핀 액체, 바셀린, 알범(album), 세토스테아롤, 폴리솔바트 4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미그리올(Miglyol)™812(식물성 지방산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Urguentum Merck" 크림 기재(Merck 시판)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1.2 전신 투여용 ALA
경구 투여를 위해 ALA는 산성 소프트 드링크에 용해시킨다. 정맥 투여를 위해서 ALA는 등장성 염수에 용해시킨다.
1.3 전신 투여용 포토프린™
포토프린™은 5% 글루코즈 용액에 용해시킨다.
실시예 2
ALA + 포토프린™을 사용한 PDT
재료 및 방법
화학물질
5-아미노레블린산(ALA) 클로라이드를 시그마 케미칼 컴파니(St.Louis, MO)로부터 구입한다. ALA는 등장성 용수에 신선하게 용해시키고 마우스에 복장내로 제공한다. 포토프린™은 콰드라 로직 테크놀로지(Quadra Logic Technologies, Vancouver, Canada)로부터 구입한다. 포토프린™ 용액은 5% 덱스트로즈를 함유하는 등장성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고, 꼬리 정맥을 통해 마우스에 정맥내로 제공한다.
동물 및 종양 주
여성 Balb/c nu/nu 누드 마우스는 케이지당 10마리를 기르고 특정 병원균이 없는 상태에서 유지한 노르웨이 라듐 호스피탈(Norwegian Radium Hospital), 동물부로부터 구입한다. 마우스는 실험 시작시 6주생이고 무게가 20 내지 22g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WiDr 사람 콜로니 암종은 누드 마우스로 연속 이식에 의해 개시된다. 접종을 위한 비-괴사 종양 물질은 동계의 마우스로부터 거대 환부의 종양을 무균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수득한다. 육안으로 가시되는 다양한 종양 조직은 가위로 조심스럽게 자르고 살균 바늘을 통해 반복적으로 힘을 가하여 크기를 19게이지에서 25게이지로 축소시키는 종양 조직을 현탁시킨 후, 현탁액의 0.02㎖을 각 마우스의 오른쪽 뒷발의 척추 면으로 주사한다. 성공적 이식율은 본 실험에서 거의 100%이다. 자발적 괴사는 종양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고 처리 당일부터 2일 마다 칼립퍼를 사용하여 측정한 바대로 종양의 가로 직경이 5 내지 7mm(약 접종 후의 14일)로 성장한다. 종양 용적은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상기식에서,
D1, D2및 D3은 칼립퍼로 매일 측정한 종양의 세 직교의 직경이다.
광 노출
마취시키지 않은 마우스를 조사를 위해 구체적으로 고안된 루시트 지그(Licite jigs)에 고정시킨다. 종양 영역은 5W 아르곤 이온 레이저에 의해 배출된 디시아노메틸란-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 염료 레이저로부터의 적광에 노출시킨다(참조: Spectra Physics, 164). 파장 조절 범위는 610 내지 690nm이다. 염료 레이저는 ALA-유도된 PpⅨ 및 포토프린™ 둘 다에 대해서 632nm로 조정하고, 파장 조절은 모노크로마터에 의해 조절된다. 레이저 빔은 현미경 접안렌즈에 의해 촛점이 흐려진다. 광은 15분 노출 동안 150mW/㎠의 방출율로 전달된다. 종양 영역에 대한 광의 방출율은 광 조도 전 및 광 조도 후 즉시 디지탈 멀티미터(Keithley Instruments, Germany)에 결합한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체 영역을 칼리브레이트함으로써 규칙적으로 조정한다.
ALA 또는 포토프린™을 별도로 또는 ALA와 포토프린™을 함께 사용하는 PDT의 효능
적당한 크기의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5 그룹으로 분류한다(각 그룹에 대해 3마리 이상의 동물): 그룹 1(대조군)의 마우스는 염수 0.1㎖만을 복강내 투여하고 ALA, 포토프린™ 또는 광 조사도 전혀 제공되지 않고, 그룹 2(대조군-광 조사만)의 종양은 PDT 처리한 그룹에 대한 용량과 동일한 용량으로 조사시키고, 그룹 3(ALA 만 사용)의 마우스는 ALA 250㎎/체중kg을 복강내 주사하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3시간 후에 광 조사하고, 그룹 4(포토프린™만 사용)의 마우스는 포토프린™ 1㎎/체중kg을 복강내 주사하고, 이어서 3시간 후에 광 조사하고, 그룹 5(ALA 및 포토프린™)의 마우스는 ALA 250㎎/kg을 복강내 주사하고 포토프린™ 1㎎/kg을 정맥내 주사하고 종양을 ALA 및 포토프린™ 둘 다에 대해 3시간 동안 광 노출시킨다. 처리될 종양의 반응은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종양의 크기는 매일 측정하고 처리된 종양이 광 조사하기 바로 전날의 용적의 5배에 달하는 경우, 마우스를 희생시킨다. 각 그룹으로부터의 종양 용적에 대한 측정을 기준으로 하는 데이타가 모여서 평균 종양 성장 곡선을 나타낸다.
결과
ALA의 복강내 주사 또는 포토프린™의 정맥내 투여를 따로 또는 ALA 및 포토프린™ 둘 다 함께 투여한 후 3시간 동안 광에 노출시킨 종양의 성장은 도 1에 나타낸다. 대조군 종양(약물 또는 광 조사도 없음)은 약 5일의 이배화시간으로 대수적으로 성장한다. ALA를 투여하여 마우스의 종양에 제공된 경우, 레이저 광은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갖는다. 피부 광독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용량인 1㎎/㎏의 포토프린™만을 사용하여 PDT한 후에는 효과가 전혀 없다고 밝혀졌다(데이타 미제시). ALA(250㎎/㎏) 및 포토프린™(1㎎/㎏)을 함께 사용한 PDT는 ALA(250㎎/㎏)만을 사용한 PDT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
실시예 3
ALA + m-THPC를 사용한 PDT
PDT는 그룹 당 3마리 이상의 동물을 포함하는 하기 동물 그룹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행된다: 그룹 1(대조군)의 마우스는 염수 0.1㎖만을 복강내 투여하고 ALA (m-THPC) 또는 광 조사도 전혀 제공되지 않고, 그룹 2(광 조사만)의 종양은 PDT 처리한 그룹에 대한 용량과 동일한 용량으로 광을 조사시키고, 그룹 3(ALA만 사용)의 마우스는 ALA 250㎎/체중kg을 복강내 주사하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3시간 후에 광 노출시키고(632nm), 그룹 4(m-THPC만 사용)의 마우스는 m-THPC 75㎍/체중kg(어떠한 피부 광독성도 유발하지 않는 용량)을 복강내 주사하고, 이어서 3시간 후에 광 노출시키고(652nm), 그룹 5(ALA 및 m-THPC)의 마우스는 ALA 250㎎/kg을 복강내 주사하고 m-THPC 75㎍/체중kg을 정맥내 주사하고 종양을 ALA 및 m-THPC 둘 다에 대해 3시간 동안 광에 노출시킨다(각각의 파장에서). 처리된 종양의 반응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평가한다.
결과
도 2에서는 대조군 종양(약물도 광 조사도 사용 않함)이 약 5일의 이배화시간으로 대수적으로 증가한다고 나타난다. ALA만을 적용한 마우스의 종양에서 나타낸 레이저 광은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가지나, m-THPC를 75㎍/㎏의 용량으로 사용한 PDT 후에는 어떠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다. ALA(250㎎/㎏) 및 m-THPC(75㎍/㎏)을 함께 사용한 PDT는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진된다.
실시예 4
ALA 및 포토프린™의 분포
방법
심각한 형성장액을 갖고 진단 전에 일부 방법에 대한 설사 병력을 갖고 있는 2인의 환자로부터의 사람 직장의 유두형 융모선종을 프토프린™ 2㎎/체중㎏을 정맥 주사한 후 44시간에 및 ALA 60㎎/㎏을 경구 투여한 후 4.5 시간에 샘플 채취한다. 샘플을 즉시 액체 질소에 담근 후, 배지(화합물이 함침된 Tissue Tek Ⅱ, BDH, Poole, UK)에 올려 놓는다. 동결 조직의 단편을 저온 유지장치를 사용하여 8㎛의 두께로 자른 후 깨끗한 유리 글라이드에 올려 놓는다. ALA-유도된 PpⅨ 및 프토프린™의 형광 편재 패턴을 형광 검경에 의해 관찰한다. 형광 검경은 악시오플란 현미경(Axioplan microscope, Zeiss, Germany)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필터 배합은 390 내지 440nm의 여기 필터, 460nm의 빔 스플리터 및 600nm 이상의 방출 필터를 포함한다. 형광 화상은 CCD 카메라(AStromed CCD 3200, Cambridge, UK) 및 이미지 처리 단위(Astromed/Visilog, PC 486DX2 66 MHz VL)에 의해 기록된다.
결과
프토프린™(A) 및 ALA(B)의 국부화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A)에서의 선종은 75세의 남성 환자로부터의 것이고, (B)에서는 87세의 여성 환자로 부터의 것이다. 프토프린™의 형광은 주로 종양 조직의 교질에 분산되어 있는 반면, ALA-유도된 프토프린™의 형광은 종양 세포 내의 거의 모든 곳으로 국부화된다.
실시예 5
재료 및 방법
화학물질
5-ALA, 5-ALA 메틸 에스테르 및 5-ALA 부틸 에스테르는 노르스크 히드로 리서치 센타(Norsk Hydro Research Center, Porsgrunn, Norway)에서 제조되었다.
5-ALA (ALA) 및 ALA-메틸 에스테르(ME)는 등장성 염수에 최종 농도 0.375mM이 되도록 용해시킨다.
ALA-부틸 에스테르(BU)는 소량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추가로 등장성 용액에 최종 농도 0.375mM이 되로록 희석한다(최종 에탄올 농도 2% w/w).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AlPcS2a)(Porphyrin Products Inc.)는 소적의 1M NaOH에 용해시키고 인산 완충 염수(PBS, 10mM Na-인산염 pH 7.4/150mM NaCl)에 최종 농도 0.25㎎/㎖이 되도록 희석한다.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AlPcS4)(Porphyrin Products Inc.)는 PBS에 최종 농도 0.25g/㎖ 또는 실시예 5.3에서의 고 용량 실험에 대해서는 1.25㎎/㎖이 되도록 용해시킨다.
포토프린(PⅡ)(Quadra Logic Technologies)는 5%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H2O에 최종 농도 0.25㎎/㎖이 되도록 용해시킨다.
클로린 e6(e6)(Porphyrin Products Inc.)는 PBS에 최종 농도 0.25㎎/㎖이 되도록 용해시킨다.
ALA, ALA 메틸 에스테르 또는 ALA 부틸 에스테르는 복막내(i.p.) 투여하는 반면, 감광제는 정맥내(i.v.) 주사한다.
동물
사용된 동물은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다.
모든 동물은 동량의 ALA(1.5mmol)을 유리 산 또는 에스테르 형태로서 투여된다. ALA와 에스테르 사이의 몰 중량에서의 차이로 인해, 동물에게 ALA 250㎎/㎏, ALA 메틸 에스테르 278㎎/㎏ 또는 ALA 부틸 에스테르 338㎎/㎏을 투여한다.
실험
사람 종양(연속 이식에 의해 개시된 콜론 암종 WiDr)의 현탁액은 각 종양의 비-괴사 영역으로부터 제조하고 각 마우스의 오른쪽 뒷발에 주사한다(20㎕). 종양이 직경 5 내지 7mm에 달하는 경우, 각 마우스는 실시예 5.1 내지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 및 대조군을 사용하여 주사된다. 주사 용적: 마우스 당 100㎕(약 체중 25g).
조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3시간 대신 약물 주사 후 1시간에 발생한다. 상기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600 내지 700nm 범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밴드 램프(Curelight, PhotoCure AS에 의해 특허)를 레이저 대신 사용한다. 이는 광이 ALA 또는 ALA-에스테르에 의해 각각 유도된 프탈로시아닌(최대 흡수 670nm) 및 프로토포르피린 Ⅸ(최대 흡수 630nm)의 배합물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램프는 레이저 보다 낮은 강도의 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레이저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효과적인 ALA 및 포토프린의 배합물이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더 효과적이지 않다. 이 조도 시간은 대부분의 감광제에 대한 형광 효과를 수득하기에 최적이고 ALA의 에스테르에 대해서도 최적이나 ALA에 대해서는 부분 최적이다.
각 그룹에서의 종양 용적의 평균(평균 ± SD)을 계산하고 시간에 대해 플롯팅한다. 실험은 종양 용적이 초기 용적의 4 내지 5배에 달했을때 종결된다.
실시예 5.1: 클로린 e6과 ALA를 함께 사용
적합한 크기의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4 내지 5 마리의 3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1: 대조군 (생리학적 염수 100㎕를 복강내)
그룹 2: 5-ALA 250㎎/㎏(1.5mmol) 복강내 + 클로린 e6(1㎎/㎏) 정맥내
그룹 3: 5-ALA 250㎎/㎏(1.5mmol) 복강내
그룹 4: 클로린 e6(1㎎/㎏) 정맥내
약물 주사 1시간 후에 큐어라이트 광범위한 밴드 램프(161mW/㎠, 15분 동안, 144.9J/㎠)를 사용하여 조사한다.
종양의 반응은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종양의 크기는 2일 마다 측정하고 종양 용적은 실시예 2의 수학식에 따라서 계산한다. 종양 용적이 초기 용적의 5배에 달하는 경우, 마우스를 희생시킨다. 매 시간에 대한 평균( 및 평균의 표준 편차) 종양 용적(n=4 내지 5)을 계산한다. 이어서 데이타를 통계 분석(Q-시험/90% 신뢰 간격)에 넣고 최대 값은 제외한다. 표준 편차는 최대 경우 ≤ 1이다.
결과
결과는 도 4에 나타낸다. 표준 편차 바는 선명도를 위해 생략한다. 도면으로부터 대조군 종양은 10일 이내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하고 대조군 종양은 로그적 성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ALA 및 클로린 e6을 따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된 용량에서 전혀 효과가 없다. 그러나, ALA과 클로린 e6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종양 성장은 현저하게 지연된다. 사실, 혼합으로 처리된 종양은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하는데 39일이 걸린다.
실시예 5.2: ALA 메틸 에스테르와 AlPcS2a를 함께 사용
적합한 크기의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4 내지 5 마리의 3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1: 대조군 (생리학적 염수 100㎕ 복강내)
그룹 2: AlPcS2a(1㎎/㎏) 정맥내
그룹 3; ALA-메틸 에스테르 (273㎎/㎏) (1.5mmol) 복강내
그룹 4: ALA-메틸 에스테르 (273㎎/㎏) (1.5mmol) 복강내 + AlPcS2a(1㎎/㎏)
정맥내
마우스는 주사 1시간 후에 조사시키고 종양의 반응은 실시예 5.1에 따라서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결과
결과는 도 5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대조군 종양은 10일 이내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하고 대조군 종양은 로그적 성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LA-메틸 에스테르는 사용된 용량에서 종양 억제 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으나, 반면 AlPcS2a은 약간의 지연 효과를 갖는다. 놀랍게도, 배합물(ALA 메틸 에스테르 + AlPcS2a)은 큰 효과를 나타낸다. 사실, 종양 용적은 처리한 후 40일 동안 현저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실시예 5.3: ALA 부틸 에스테르와 AlPcS4를 함께 사용
적합한 크기의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4 내지 5 마리의 5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1: 대조군 (2% 에탄올 100㎕ 복강내)
그룹 2: 5-ALA 부틸-에스테르 338㎎/㎏ (1.5mmol) 복강내 + AlPcS4(1㎎/㎏) 정맥내
그룹 3: AlPcS4(5㎎/㎏) 정맥내
그룹 4: AlPcS4(1㎎/㎏) 정맥내
그룹 5: 5-ALA 부틸 에스테르 338㎎/㎏ (1.5mmol) 복강내
ALA 부틸 에스테르 제제가 약 2%의 에탄올을 함유하기 때문에 대조군 처리로서 에탄올을 사용한다. 마우스는 주사 1시간 후에 조사시키고 종양의 반응은 실시예 5.1에 따라서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결과
결과는 도 6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대조군 종양(2% 에탄올) 및 ALA 부틸 에스테르로 처리한 종양은 각 9일 및 11일 이내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조군 종양은 로그적으로 성장한다고 나타난다. AlPcS4(1㎎/㎏)은 종양 성장에 대한 중간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LA 부틸 에스테르와 AlPcS4를 함께 사용하여 처리한 종양은 성장이 강하게 지연되고 AlPcS4(5㎎/㎏)의 고 용량을 사용하여 수득한 바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 용량의 AlPcS4의 사용은거대 부종의 진행을 나타낸다.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양 억제 효과는 고 용량의 AlPcS4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반면, 초기 부종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실시예 5.4; ALA 부틸 에스테르와 AlPcS2a를 함께 사용
적합한 크기의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4 내지 5 마리의 3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1: 대조군 (생리학적 염수 100㎕ 복강내)
그룹 2: 5-ALA 부틸-에스테르 338㎎/㎏ (1.5mmol) 복강내 + AlPcS2(1㎎/㎏) 정맥내
그룹 3: AlPcS2(1㎎/㎏) 정맥내
그룹 4: 5-ALA 부틸-에스테르 338㎎/㎏ (1.5mmol) 복강내
마우스는 주사 1시간 후에 조사시키고 종양의 반응은 실시예 5.1에 따라서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결과
결과는 도 7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대조군 종양은 10일 이내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하고 그 종양은 로그적 성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틸 에스테르는 종양에 대해 거의 전혀 효과를 갖지 못하나, 반면 AlPcS2a은 즉시 효과를 갖는다(14일 내에 4배의 용적). 또한 함께 사용하면 종양 성장을 현저하게 지연시켜 늦은 재성장을 수득하고, 종양은 약 30일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한다고 나타낸다(외삽 후).
실시예 5.5: ALA 메틸 에스테르와 AlPcS4를 함께 사용
적합한 크기의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4 내지 5 마리의 3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1: 대조군 (생리학적 염수 100㎕ 복강내)
그룹 2: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1.5mmol) 복강내 + AlPcS4(1㎎/㎏) 정맥내
그룹 3: 5-ALA 메틸 에스테르 273㎎/㎏ (1.5mmol) 복강내
그룹 4: AlPcS4(1㎎/㎏) 정맥내
마우스는 주사 1시간 후에 조사시키고 종양의 반응은 실시예 5.1에 따라서 종양 회기/재성장 시간으로서 평가한다.
결과
결과는 도 8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대조군 종양은 10일 이내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하고 종양의 성장은 로그적 방식으로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 에스테르는 종양에 대해 전혀 효과를 갖지 못하나, 반면 AlPcS4는 즉시 효과를 갖는다. 놀랍게도, ALA 메틸 에스테르 + AlPcS4의 배합은 초기에 종양 용적의 실질적 감소를 나타내고 이어서 종양의 늦은 재성장을 수득한다. 사실,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만이 실질적으로 종양 크기의 초기 손실을 수득한다. 종양은 약 35일에 초기 용적의 4배에 달한다.

Claims (19)

  1.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를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치료 효과가 광화학적 치료제 또는 감광제를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증진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치료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진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가 준-치료량으로 제공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가 헤마토포르피린, 클로린, 설폰화 프탈로시아닌,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혈관 교질-국부화제가 포토프린™, m-THPC, 클로린 e6,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가 AL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ALA 유도체가 ALA 에스테르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투과 보조제가 DMSO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LA,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 포토프린™, DMSO, EDTA 및 데스페리옥사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 조성물의 제조시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의 용도.
  13.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동시에, 별도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합 제제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및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포함하는 생성물.
  14. 광화학적 치료법에 반응성인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치료하는데 동시에, 별도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생성물의 제조시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와 함께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 및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의 용도.
  15. 제2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의 총 투여량이 0.01 내지 10㎎/체중㎏의 범위이고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의 총 투여량이 1 내지 500 ㎎/체중㎏의 범위인 약제학적 조성물, 생성물 또는 용도.
  16. 제2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화학적 치료법이 파장이 350 내지 900nm의 범위인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생성물 또는 용도.
  17. a) 제2항 내지 제4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광화학적 치료제를 함유하는 제1 용기,
    b)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혈관 교질-국부화 감광제를 함유하는 제2 용기, 및 임의로
    c)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내에 또는 제3 용기에 함유된 제2항 또는 제10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표면 투과제 및/또는
    d) 제1 용기, 제2 용기 또는 제3 용기 내에 또는 제4 용기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a) 또는 b)의 제제 또는 감광제가 키트에 존재하는 다른 용기중의 하나에 존재하는,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의 광화학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한 키트.
  18. 감염된 표면에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또는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투여하고, 이 표면을 광, 바람직하게는 파장이 350 내지 900nm의 범위인 광에 노출시킴을 포함하여,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질환 또는 이상증을 광화학적으로 치료하는 방법.
  19. ⅰ) 체액 또는 조직을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
    ⅱ) 혼합물을 광에 노출시키는 단계,
    ⅲ) 형광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ⅳ) 형광 수준을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 샘플을 검정함으로써 이상증 또는 질환을 시험관 내에서 진단하는 방법.
KR1019997006259A 1997-01-10 1998-01-09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KR20000070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0396.6 1997-01-10
GBGB9700396.6A GB9700396D0 (en) 1997-01-10 1997-01-10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40A true KR20000070040A (ko) 2000-11-25

Family

ID=1080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59A KR20000070040A (ko) 1997-01-10 1998-01-09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50212B2 (ko)
EP (1) EP1015030A2 (ko)
JP (1) JP2001501970A (ko)
KR (1) KR20000070040A (ko)
CN (1) CN1243445A (ko)
AU (1) AU731042B2 (ko)
BR (1) BR9807055A (ko)
CA (1) CA2275659A1 (ko)
GB (1) GB9700396D0 (ko)
HU (1) HUP0000057A3 (ko)
NO (1) NO993393L (ko)
NZ (1) NZ336568A (ko)
PL (1) PL334565A1 (ko)
RU (1) RU2194532C2 (ko)
WO (1) WO19980302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14A (ko) * 2020-09-25 2022-04-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코팅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107B1 (en) 1995-03-10 2006-01-31 Photocure Asa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nd their use as photosensitizing compounds in photochemotherapy
DE19827417B4 (de) 1998-06-19 2004-10-28 Hahn, Rainer, Dr.Med.Dent. Material zur unterschiedlichen Modifizierung der optischen Eigenschaften unterschiedlicher Zellen
JP3970492B2 (ja) * 1999-12-14 2007-09-05 コスモ石油株式会社 ピーリング用組成物
US7125542B2 (en) * 2000-02-10 2006-10-24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nditions of the eye
DE10034673C1 (de) 2000-07-17 2002-04-25 Medac Klinische Spezialpraep Dermales Applikationssystem für Aminolävulinsäure und seine Verwendung
GB0018528D0 (en) * 2000-07-27 2000-09-13 Photocure Asa Compounds
GB0018527D0 (en) * 2000-07-27 2000-09-13 Photocure Asa Composition
CA2422865C (en) * 2000-08-16 2012-10-16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D/B/A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minolevulinic acid photodynamic therapy for treating sebaceous gland disorders
GB0023367D0 (en) * 2000-09-23 2000-11-08 Univ Leeds Photosensitisers
CA2430334C (en) 2000-11-29 2018-08-21 Pci Biotech As Photochemical internalization for virus-mediated molecule delivery into the cytosol
CZ301427B6 (cs) 2000-11-29 2010-02-24 Pci Biotech As Zpusob zavedení molekuly do cytosolu bunky
GB0121023D0 (en) 2001-08-30 2001-10-24 Norwegian Radium Hospital Res Compound
US20030100830A1 (en) * 2001-11-27 2003-05-29 Sheng-Ping Zhong Implantable or insertable medical devices visible und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10202487A1 (de) 2002-01-23 2003-07-31 Photonamic Gmbh & Co Kg Dermales Applikationssystem für Aminolävulinsäure-Derivate
US20040186087A1 (en) * 2003-03-20 2004-09-23 Ceramoptec Industries, Inc. Siderophore conjugates of photoactive dyes for photodynamic therapy
DE10316566A1 (de) * 2003-04-10 2004-10-28 Haemato-Science Gmbh Mittel für die photodynamische Diagnostik und Therapie von bösartigen Tumoren
GB0424833D0 (en) * 2004-11-10 2004-12-15 Photocure Asa Method
WO2006096492A2 (en) 2005-03-04 2006-09-14 Dus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photosensitivity associated with photodynamic therapy
GB0700580D0 (en) 2007-01-11 2007-02-21 Photocure Asa Use
KR100898394B1 (ko) * 2007-04-27 200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S2454974T3 (es) 2007-06-27 2014-04-1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arato para la inhibición óptica de la terapia fotodinámica
GB0724279D0 (en) * 2007-12-12 2008-01-23 Photocure Asa Use
MX2012010007A (es) * 2010-03-01 2012-10-01 Photocure Asa Composiciones cosmeticas.
WO2011122973A1 (ru) * 2010-04-01 2011-10-06 Хроматрикс Холдинг Лтд Издели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играх или тренировках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103270168A (zh) 2010-12-24 2013-08-28 爱科来株式会社 癌细胞的检测方法
US9517267B2 (en) * 2012-01-26 2016-12-13 Sbi Pharmaceuticals Co., Ltd. Photodynamic diagnostic agent and photobleaching inhibitor
RU2511545C1 (ru) * 2013-02-07 2014-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органических полупродуктов и красителей" (ФГУП "ГНЦ "НИОПИК") Способ антимикробной фотодинамической терапии острых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гортаноглотки или их гнойных осложнений
GB201306369D0 (en) * 2013-04-09 2013-05-22 Photocure As Irradiation device
RU2674025C1 (ru) * 2017-10-25 2018-12-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ЭЛЕСТ" (ООО "НПФ "ЭЛЕСТ")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порфиринового фотосенсибилизатора копропорфирина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кожи методом фотодинамической терапи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0271B (ko) 1970-09-07 1973-09-24 Bahco Ab
GB2058077B (en) 1979-06-08 1983-03-09 Szelke M Enkephalin analogues
CA1236029A (en) 1984-05-14 1988-05-03 Edmund Sandborn Pharmaceutical solutions comprising dimethyl sulfoxide
US4925736A (en) * 1988-07-06 1990-05-15 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 Topical hematoporphyrin
US5234940A (en) 1989-07-28 1993-08-10 Queen's University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US5079262A (en) 1989-07-28 1992-01-07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Method of detection and treatment of malignant and non-malignant lesions utilizing 5-aminolevulinic acid
US5955490A (en) * 1989-07-28 1999-09-21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other precursors of endogenous porphyrins
US5422093A (en) 1989-07-28 1995-06-06 Queen's University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JP2767318B2 (ja) 1990-04-11 1998-06-18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5―アミノレブリ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又はその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EP0553116A1 (en) 1990-10-05 1993-08-04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Porphyrin derivatives
US5219878A (en) 1990-10-05 1993-06-15 Queen's University Tetrapyrrole hydroxyalkylamide photochemotherapeutic agents
PT947222E (pt) * 1992-11-20 2006-09-29 Univ British Columbia Metodo de activacao de agentes fotossensiveis
GB9318841D0 (en) * 1993-09-10 1993-10-27 Res Foundation Of The Norwegia Composition
ES2157424T3 (es) * 1995-03-10 2001-08-16 Photocure Asa Esteres de acido 5-aminolevulinico como agentes fotosensibilizantes en fotoquimioterapia.
EP1187251A1 (en) 2000-09-01 2002-03-13 Marconi Commerce Systems S.r.L. Wireless communicaton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14A (ko) * 2020-09-25 2022-04-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코팅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3445A (zh) 2000-02-02
NO993393L (no) 1999-09-09
BR9807055A (pt) 2000-05-02
US6750212B2 (en) 2004-06-15
PL334565A1 (en) 2000-03-13
HUP0000057A2 (hu) 2000-10-28
AU731042B2 (en) 2001-03-22
US20020061871A1 (en) 2002-05-23
JP2001501970A (ja) 2001-02-13
AU5492698A (en) 1998-08-03
GB9700396D0 (en) 1997-02-26
WO1998030242A2 (en) 1998-07-16
RU2194532C2 (ru) 2002-12-20
WO1998030242A3 (en) 1998-09-17
NO993393D0 (no) 1999-07-09
HUP0000057A3 (en) 2001-04-28
EP1015030A2 (en) 2000-07-05
CA2275659A1 (en) 1998-07-16
NZ336568A (en)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0040A (ko) 광화학적 치료 조성물
JP3955093B2 (ja) 光化学治療における光増感剤としての5−アミノレブリン酸のエステル
US7335684B2 (en)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Dougherty Photosensitizers: therapy and detection of malignant tumors
WO1995007077A1 (en)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containing 5-aminolevulinic acid
AU2001229674B2 (en) Local drug delivery using photosensitizer-mediated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enhanced vascular permeability
NZ523927A (en)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PL206900B1 (pl) Srodek fotouczulający zawierający pochodną porfiryny, sposób jego wytwarzania, kompozycja farmaceutyczna takiego środka, jego zastosowanie oraz produkt zawierający taki środek
AU2001229674A1 (en) Local drug delivery using photosensitizer-mediated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enhanced vascular permeability
Abels et al. Targeting of the tumor microcirculation by photodynamic therapy with a synthetic porphycene
Zharkova et al. Fluorescence observations of patients in the course of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with the photosensitizer PHOTOSENS
Andersson-Engels et al. Tumour marking properties of different haematoporphyrins and tetrasulfonated phthalocyanine—A comparison
RU2191010C2 (ru) Сложные эфиры 5-аминолевулиновой кислоты в качестве фотосенсибилизаторов в фотохимиотерапии
RomiszewskA et al. The use of 5-aminolevulinic acid and its derivatives in photodynamic therapy and diagnosis
MXPA99006375A (en)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CZ244799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Vonarx-Coinsmann et al. Spectrofluorimetric analysis in vivo: applications to kinetics of ALA-induced fluorescence
Sroka et al. Pharmacokinetics of endogenous porphyrins induced by 5-aminolevulinic acid as observed by means of laser-induced fluorescence from several organs of tumor-bearing mice
Curnow Photodynamic therapy with 5-aminolaevulinic acid: Techniques for enhancement
Bedwell Enhancement of selectivity for photodynamic therapy
Fritsch et al. Fluorescence diagnosis in dermat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