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812A -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812A
KR20000069812A KR1019997005968A KR19997005968A KR20000069812A KR 20000069812 A KR20000069812 A KR 20000069812A KR 1019997005968 A KR1019997005968 A KR 1019997005968A KR 19997005968 A KR19997005968 A KR 19997005968A KR 20000069812 A KR20000069812 A KR 20000069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ignal
digital
current
contro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760B1 (ko
Inventor
그레고리이. 팔보
마이클피. 채플린
스탠리엘. 클라인
Original Assignee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Publication of KR2000006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36Control circui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40)은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코일(18, 20)로부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과 관련된 전자 회로(44)에 의해 그 내부에 유도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획득된 시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및 장래 사용을 위해 상기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시간에 대해 각 CEDM 제어봉-그룹과 관련된 5개 코일 모두에 대해 코일-전류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고 디스플레이하고 기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최고 8개의 CEDM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감시하고 디스플레이하고 기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또한 CEDM의 제어봉-낙하 시험 동안 제어봉-낙하 시간의 측정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CEDM DATA ACQUISITON SYSTEM}
전형적인 가압수형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결합된 구동 메커니즘(CEDMs)을 갖는 다수의 제어 요소 조립체는 총 출력 수준 또는 출력 분배를 노심에서 제어할 목적으로, 원자로 심 내외로 상기 제어 요소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원자로 용기 상에 지지된다. 전형적으로, 각 제어 요소 조립체(Control Element Assembly; CEA)는 CEDM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상기 CEDM 각각은 CEA의 샤프트 상의 그루브에 맞물리는 래치를 구비한 다수의 전자기 코일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샤프트는 계단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원자로 심을 한정하는 핵연료 집합체 내 또는 그 사이의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다수의 개개 제어 요소 또는 제어봉을 지지하는 웨브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고 있다.
특정한 원자로는 수십 개의 CEA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CEA는 개개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될 때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세트나 4개 또는 8개의 그룹 또는 무리로 되어 있다. 비상시에, CEA는 개개의 구동 메커니즘에서 풀려져서 중력에 의해 원자로 심 내로 낙하하여, 가능한 한 신속히 원자로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CEA의 자유 낙하는 또한 제어봉-낙하로 공지되어 있다.
각 CEA의 위치 및 이동,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제어봉은 전형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정상 작동 중에 안전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된 아날로그 위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신호는 원자로가 트립되어 제어봉의 낙하가 발생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산의 일부로서 안전 제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는 출력 상승 전에 일상적으로 사후-연료 교체 제어봉 시험을 수행한다. 상기 시험에는 보통 각 CEDM 상에서 CEDM 작동 시험, 제어봉의 빼냄과 삽입, 제어봉 연결 확인 시험, 낮은 높이에서의 제어봉-낙하 시험, 및 최대 높이의 제어봉-낙하 시험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험은 원자로 작동 온도와 압력에서 보통 수행된다. 데이터는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가 정상적인 출력 상승 발생 전에 충분히 작동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CEDM 작동 시험 동안 획득되고 분석된다. 상기 데이터는 다음에 고장 수리 또는 행정 규정에 따른 정전 보고서를 작성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행정 규정으로 인해, CEDM 작동 시험 동안 획득된 데이터는 앞으로 있을 재조사를 위해 보관되어야만 한다.
관련된 해당분야에서, 전기-기계 데이터 수집 장치(전형적으로 Honeywell Visicorder와 같은 아날로그 스트립 차트 리코더)는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내에서 코일-전류와, 선택적으로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시험 데이터는 CEDM 제어 캐비닛이 위치된 "케이블 스프레더" 룸("cable spreader" room)에서 수집된다. 시험은 주기적인 기초로 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테스트 포인트가 제어 캐비닛에 영구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으로 기록된 데이터는, 고가이고, 기억 용량이 크고, 수동 트레이스 분석이 발생할 때 조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긴 연속 롤의 페이퍼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신호 트레이스를 야기시킨다. 더욱이, 상기 전기-기계 시스템은 기계의 고장으로 시험 지연과 비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쉽다.
위에서 기술된 전기-기계 시스템의 또다른 결점은, 상기 시스템의 제한 기록 능력 때문에 CEDM 작동 시험은 하나의 CEA 상에서 동시에 수행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는 각 구동 메커니즘은 4 또는 5개의 전자기 코일을 전형적으로 사용하여 결합된 CEA를 위치시키고, 하나의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는 각 CEA와 결합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각 CEDM 작동 시험은 시험된 CEDM 당 데이터의 8개 파라미터까지 기록을 필요로 한다. 공지된 기계적 기록 장치가 동시에 6개 파라미터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4 또는 8개 CEA로 구성된) 그룹의 모든 CEA는 동시에 시험될 수 없다. 오히려, 그룹의 CEA와 관련된 구동 메커니즘 모두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의 시험(상기 경우와 같은 4개 또는 8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관련된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위에서 기술된 결점은 증가된 시험 비용, 연장된 시험 작동,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하는데 어려움, 및 시험 설비의 기계 고장 가능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저장 및 처리, 예컨대 고장 수리, 정전 보고서 작성 및 데이터 보관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는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해당분야에서 요구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임의의 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CEA 그룹의 모든 CEDM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화(recordation) 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는 개선된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해당분야에서 추가로 요구된다.
판독해서 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분석하기 쉬운 연속 대화형 CEDM 시험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는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해당분야에서 더 요구되는데, 상기 모니터링은 CEDM 작동 시험이 발생하는 동안 발생한다.
제어봉-낙하 사고와 같은 소정의 트리거링 사고가 발생할 때 디스플레이된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시험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된 해당분야의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는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해당분야에서 또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원자로 서브시스템에 사용되는 진단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 CEDM)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1997년 1월 15일자에 출원된 가출원 번호 제 60/035,514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청구한다.
도 1은 제어 요소 조립체와 이와 관련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종래의 원자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성능 옵션을 상세히 도시한 챠트.
도 5a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다양한 특징을 도시한 대표 디스플레이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다른 대표 디스플레이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또다른 대표 디스플레이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신호 조정 양상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하나의 바람직한 신호 조정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다수의 바람직한 신호 조정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화된 데이터 수집, 저장 및 처리, 예컨대 고장 수리, 정전 보고서 작성 및 단순화된 데이터 보관을 제공하는 개선된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의 임의의 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CEA 그룹의 모든 CEDM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화를 허용하는 개선된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독해서 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분석하기 쉬운 연속 대화형 CEDM 시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개선된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모니터링은 CEDM 작동 시험이 발생하는 동안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신된 시험 데이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봉-낙하 사고와 같은 소정의 트리거링 사고가 발생할 때 디스플레이된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단화, 신뢰도, 효율 및 융통성의 조합을 최적으로 제공하는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CEDM 작동 시험에 사용되는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장점이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데, 상기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1)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코일로부터 수신하고, (2) 상기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과 결합된 전자 회로에 의해 그 내부에 유도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조절하고, (3) 조절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4) 획득된 시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5) 앞으로 사용을 위해 상기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시간에 대해 CEDM 제어봉-그룹 각각과 결합된 5개 코일 모두에 대한 코일-전류를 동시에 측정하고 디스플레이 및 기록할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사용자가 최대 8개까지의 CEDM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감시하고 디스플레이 및 기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CEDM의 제어봉-낙하 시험 중에 제어봉-낙하 시간의 측정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CEDM에서 나온 데이터는 신호 조절에 뒤이어 디지털화되고, 실시간에 (즉, CEDM이 작동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처리 및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5개의 코일-전류 트레이스 대 특정 CEDM에 대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트레이스는, 제어봉을 예컨대 약 1.9 cm(0.75인치)/사이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CEDM이 사이클을 하는 동안 실시간에 스크린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한다. 조작자는 트레이스가 연속적으로 지나가거나, 대안적으로 특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연구를 위해 정지(freeze)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조작자는 예컨대 동시 이동을 위해 그룹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에서 확인된) 8개의 CEDM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40개까지의 코일과 같은 모든 그룹의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기록할 수 있다. 임의의 CEDM의 모든 코일에서 나오는 데이터는 원하는 대로 저장 및 재생될 수 있다. 조작자의 선택으로, CEDM 리드 스위치 위치로 표시되는 트레이스 대 시간이 또한 분석을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들 트레이스는 CEDM 내의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reed switch position transmitter; RSPT)에서 발생한다.
조작자는 관련 기술의 스트립 챠트 트레이스를 분석하는 종래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타이밍, 형상 또는 불필요한 사항(anomaly)에 대한 트레이스를 분석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되어 조절이 쉽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데이터 저장 및 보고서 작성이 상당히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양상은 제어봉-낙하 사고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주어진 CEDM 코일에 대한 코일-전류 신호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자동적으로 5개의 코일-전류 신호 및 하나의 위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부터 트리거링 코일-전류 신호 및 위치 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스위칭 한다. 선택적으로, 뒤이은 디스플레이 영상은 또한 사용자가 트리거링 코일의 코일-전류 트레이스를 사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두 가지 상술한 신호 트레이스 상에 중첩된 "허용(acceptance)" 코일-전류 트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 중 신호 조정 부분은 CEDM 전원에서 발생한 불필요한 전기 잡음을 억제하고 디지털화를 위해 아날로그 코일-전류 및 위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동상분을 제거(high common mode rejection)하는 차동 증폭기 및 저역 필터로 바람직하게 구성된 잡음 억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호 조정 부분은 또한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처리 유닛과 제어 캐비닛 시험 포인트간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의 신호 조정 부분은, 시스템의 다운스트림에서 발생시킬 수도 있는 전압 스파이크 또는 다른 오류 전기 신호가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으로 피드백 되어서 제어봉-낙하를 부주의로 트리거할 가능성을 억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차단s 증폭기(isolation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사한 도면 번호가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 타입인 종래의 원자로(10)를 간단히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10)는 원자로 노심(12) 및 다수의 제어 요소 조립체(CEA) 중 대표적인 두 개(14, 16)를 구비하는데, 상기 CEA 각각은 원자로 노심을 통해 개개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18, 20)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18 및 20과 같은) 구동 메커니즘은 실리콘 제어 정류기를 사용하는 전자 전원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고, 케이블 스프레더 룸(미도시됨) 내에 위치된 CEDM 제어 캐비닛(미도시됨)에 통하는 전원 케이블을 구비한다.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와 같은 수단(22 및 24)은 CEA 위치를 지시하는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CEA 샤프트의 이동에 반응한다. 각각의 위치 신호는 안전 제어 시스템(30)에 전달되는데, 상기 안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입력 신호를 발전소 작동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다수의 다른 신호와 함께 처리한 후, CEA 구동 메커니즘(18, 20) 각각을 전달하기 위한 안전 트립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모든 CEA의 샤프트가 방출된다.
이제 본 발명으로 돌아가서, 도 2a 및 도 2b 각각의 시스템(40 및 40')은 위에서 기술된 종래의 원자로(10)의 시스템과 같이, CEDM 제어 캐비닛과 조합 도시된 본 발명의 CEDM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바람직한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 1 및 제 2 바람직한 실시예(40 및 40')간의 주요 차이는 8개 개개의 CEA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하는 시스템(40)의 능력에 있음에 반해, 시스템(40')은 단지 단일 CEA에 대한 데이터를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40')은 시스템(40)의 보다 능률적인 버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40')은 신호 조정 유닛(44') 및 이와 연결된 컴퓨터(46')를 포함한다. 신호 조정 유닛(44') 및 컴퓨터(46')는 종래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조정 유닛(44')은 케이블을 통해 종래의 CEDM 제어 캐비닛(42')으로부터 종래의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한다. 게다가, 신호 조정 유닛(44')은 리드 스위치 위치 송신기(RSPT) 케이블을 통해 종래의 RSPT로부터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시스템(40') 내에서, 정보는 일반적으로 먼저 신호 조정 유닛(44') 이어서 컴퓨터(46')로 흐르는데,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46')는 신호 조정 유닛(44')에 의해 제시된 조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PCMCIA 카드가 장착된 랩탑 컴퓨터가 바람직하다. 랩탑 PC의 사용은 본래 휴대 편리성을 제공하는 반면,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보드를 내부에 설치한 데스크탑 PC 또한 시스템(4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신호 조정 유닛(44')은 불필요한 전기 잡음을 억제하고 컴퓨터(46')로 전달하기 위해 조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동상분을 제거하는 차동 증폭기와 다양한 필터를 구성하는 소음 억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도 2a에 도시된 보다 정교한 시스템(40)의 다음의 설명에 근거하여 도 2b의 시스템(40')를 수행하는 방법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은 도 2a의 시스템(40)을 주로 기술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40)은 8개 CEA 및 8개 관련 RSPT와 결합된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보다 정교한 실시예이다. 도 2b의 실시예와 같이, 정보는 일반적으로 신호 조정 유닛(44) 및 이어서 컴퓨터(46)로 흐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조정 유닛(44) 및 컴퓨터(46)는 종래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게다가, 종래의 CEDM 제어 캐비닛(42)은 8개의 케이블(CEA 당 하나의 케이블은 감시됨)로 신호 조정 유닛(44)에 접속된다. 최종적으로, CEA 위치 데이터는 8개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최대 8개의 RSPT를 동시에 조정 유닛(44)으로 전달된다.
컴퓨터(46)는 협동 도킹 스테이션을 갖춘 데스크탑 PC 또는 랩탑 PC 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컴퓨터(46)는 약 500 샘플/초 의 속도로 컴퓨터(46)에 입력되는 조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하여, Keithly Metrabyte 인코포레이티드의 개인용 컴퓨터(PC)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컴퓨터(46)는 획득된 디지털화 데이터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영상을 제시하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조정 신호 유닛(44)은 CEDM 전원에서 생긴 불필요한 전기 잡음을 억제하고 컴퓨터(46)의 A/D 변환 보드에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은 동상분을 제거하는 차동 증폭기와 다양한 필터를 구성하는 소음 억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도 2a의 시스템(40)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도 3에 일반적 레벨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바람직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Microsoft Visual Basic Version 4.0 이다. 비주얼 베이직 주문형 제어(Visual Basic Custom Controls)(Keithly Metrabyte 인코포레이티드(VBX)의 제품명 VTX_DAS)는 본 발명의 시스템(40)의 데이터 획득,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저장 특징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Scientific Software Tools 인코포레이티드(LABOJX Real Time Chart)로부터 비주얼 베이직 주문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간단한 접속 프로그램이 아래에 추가로 기술된 다양한 그래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작업 환경과 호환성이 있다. 물론, 당업자는 대다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 옵션이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40)을 상기 언어 및 옵션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새로 획득된 데이터를 감시 기록 및 재생 능력을 제공한다. 모니터링 모드의 입력 선택은 블록(50)에서 발생하고, 이 때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획득, 버퍼에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의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시작되는 블록(52)으로 진행한다. 일단 데이터 획득이 블록(52)에서 시작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블록(58)에서 "제어봉-낙하" 사고를 감시한다. 일단 "제어봉-낙하"가 일어나면, 디스플레이 영상은 블록(58)에서 제어봉 낙하 측정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바뀔 수 있고, 데이터 획득 처리는 종료한다. 데이터 획득 단계 동안 임의의 시간에, 사용자는 코일-타이밍 및/또는 코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정지시키는 선택권을 가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절차는 블록(54)으로 진행한다. 일단 데이터 획득 절차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이어서 획득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기록하는 선택권을 갖고, 상기 절차는 기록 데이터 블록(53)을 거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또한 계속적인 분석을 위해 이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 절차는 사용자가 이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선택하는 블록(56)에서 시작한다. 다음에 상기 처리는 데이터가 영구 메모리로부터 검색되고 버퍼에 저장되고 모니터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위해 거치는 블록(57)으로 진행한다. 물론, 각각의 재생은 일단 "제어봉-낙하"가 발생하면 블록(58)에서 종료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은 제어봉-낙하 측정 스크린으로 자동으로 바뀐다. 재생 동안, 사용자는 또한 코일 타이밍 및/또는 코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알맞은 시점에 임의의 특정 지점에서 스크린을 정지시키는 선택권을 가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절차는 블록(54)으로 진행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다음에 위에서 기술된 재생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임의의 수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성능 옵션의 더 상세한 기술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 소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개시될 때 시작한다. "스플래시 스크린(splash screen)"은 간단히 디스플레이되고 난 후, 소프트웨어는 이전에 기록된 트레이스를 재생하거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새로운 트레이스를 생성하거나,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을 중지시키는 것 중의 선택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획득 모드 또는 재생 모드 동안,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획득 및/또는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옵션은 각 CEDM과 관련된 5개 코일에 대한 코일-전류 트레이스의 동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전류 트레이스(61a 내지 61e)는 300 샘플/초의 비율로 기록/재생되는데, Y축은 코일-전류(단위; 암페어)를 나타내고, X축은 시간(단위; 초)을 나타낸다.
마우스-작동 버튼(61a' 내지 61e')은 사용자가 코일-전류 트레이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해서 스크린을 정지시키고, 코일-전류 및/또는 타이밍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호작용 커서(63a 내지 64b)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마우스-작동 연속버튼(69i)을 선택함으로써, 실시간 감시를 다시 계속할 수 있다. 선택된 코일-전류 트레이스에 대한 최종 코일-전류 및/또는 타이밍 변화량이 단순화되고 정밀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개개의 데이터 박스(65a 및 65b)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는 트레이스(61a 내지 61e)가 왼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매초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마우스-작동 버튼(69c)을 선택함으로써 시간-확장된(0.5초, 5초 또는 5초 척도) 뷰(view) 중 어느 하나에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관찰할 수 있다.
단일 CEA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재생되는 것을 원할 때, 마우스-작동 기록 로드버튼(69d)이 선택될 수 있다. 전체 제어봉-그룹(최대 8개 CEA)에 대한 CEDM 데이터가 기록/재생되기를 원하는 곳에서, 사용자는 마우스-작동 기록-그룹버튼(69e)을 선택한다. 상기의 경우에, 최대 8개의 CEDM 각각을 나타내는 버튼(68)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출현하고 활성화된다. 디스플레이(60)는 다음에 선택된 CEDM의 코일에 대한 코일-전류 트레이스(69a 내지 69e)를 도시하고, 선택된 CEDM 수가 편의상 박스(65c)에 나타난다. 물론, 다른 7개의 CEDM 중 임의의 하나는 바람직한 마우스-작동 CEDM 버튼(68)을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감시될 수 있다.
도 4에 주지되고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봉-낙하 사고에 대한 감시 및 제어봉-낙하 사고가 발생할 때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지시하는 선택권을 갖는다. 상기 특징은 기록 도중에 마우스-작동 제어봉-낙하버튼(69a)을 선택함으로써 도 5b의 디스플레이 스크린(60') 상에 수행된다. 따라서, 제어봉-낙하 버튼(69a)이 선택되면, 리드 스위치 위치 (CEA 위치) 신호(62)는 스크린(60')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며,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상부 그리퍼 코일-전류 트레이스(61b)를 감시할 것이다. 상부 그리퍼 CEDM 코일-전류가 소정의 유지값(도 5 참조)으로 안정화되기 전에, 제어봉-낙하 사고는 전혀 발생할 수 없다. 그러나, 일단 코일-전류 트레이스(61b)가 안정화(도 5b 참조)되면, 트레이스(61b)는 코일-전류가 소정의 "유지 전류"값 이상인지 아래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감시된다. 만약 트레이스(61b)가 "유지 전류"값보다 훨씬 더 아래에 있다면(도 5b 참조), 제어봉-낙하 사고는 발생했고, 디스플레이(60')는 제어봉-낙하 측정 스크린(60')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자동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트리거링 사고는 도 5b의 디스플레이(60')에 도시되고, 그 최종 제어봉-낙하 측정 스크린(60'')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낙하 측정 스크린(60'')은 단지 상부 그리퍼 코일-전류 트레이스(61b) 및 위치 (리드 스위치 위치) 트레이스(62)를 시간의 함수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트레이스(61b 및 62)는 제어봉-낙하 사고의 개시 시점에 인덱스 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 트레이스(67)는 상부 그리퍼 코일 성능이 제어봉-낙하 사고 동안 적절한 규격 내에 있는지를 사용자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어봉-낙하 측정 스크린 상에 중첩될 것이다. 물론, 제어봉-낙하 사고 데이터는 세이브될 수 있고(디스플레이(60'')의 박스(66')를 참조), 사용자는 도 5a의 정상 감시 디스플레이(60)로 복귀할 수 있다.
위에 주지된 것처럼, 작동 시험이 실시간에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는 하나의 CEDM 데이터, 8개 CEDM 데이터 모두 및/또는 제어봉-낙하 사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선택권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는 마우스-작동 프린트버튼(69f)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선택권을 가진다. 더욱이, 마우스-작동 재시작버튼(69h)을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횟수의 작동 시험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마우스-작동 중지버튼(69j)을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시간에 프로그램을 중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제 상기 시스템의 신호 조정 양상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시스템 중 하나의 신호 조정 유닛(70)의 블록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신호 조정 유닛(70)은 처리되지 않은 아날로그 코일-전류 및/또는 리드 스위치 위치 신호를 그 입력(71)에서 수신한다. 상기 신호는 다음에 차동 증폭기(72) 및 저역 필터(74)로 통과하는데, 상기 저역 필터에서 CEDM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자 회로에 의해 상기 신호로 도입되는 외부 소음이 제거된다. 차동 증폭기(72)는 외부 소음의 주파수 중 가장 낮은 상태(약 300Hz 및 그 이상)에서 높은 동상분을 제거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지원 회로가 제거되는 차단 증폭기인 단일 집적회로가 바람직하다. 저역 필터(74)는 그곳을 통과하는 신호로부터 외부 소음을 더 줄이기 위하여 약 300Hz의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차단 증폭기의 사용은, 시스템의 다운스트림에서 발생시킬 수도 있는 전압 스파이크 또는 다른 오류 전기 신호가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으로 피드백 되지 않는 상당히 바람직한 특징을 제공한다. 따라서, 조정된 후, 아날로그 신호는 도 2a 및 도 2b에 각각 도시된 컴퓨터(46 또는 46')와 같은 적당한 컴퓨터로 출력(75)을 통해 통과한다.
바람직한 신호 조정 유닛(70)의 개략도가 도 7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회로(73)는 CEDM에 공급된 교류 전류의 주파수에 또는 그 주위에 높은 동상분의 제거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지원 회로(77)를 구비한 차단 증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조정 유닛(70)은 약 300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 필터를 제공한다. 이것은 CEDM에 공급된 DC 전류에 포함된 잡음 주파수보다 더 낮지만, DC 전원의 AC 리플 컴포넌트보다 더 높다. 바람직한 집적회로(73)는 모델 No. ISO 165로서 Burr-Brown 사로부터 구입될 수 있고, 저전력 및 높은 전기 절연 특성에 바람직하다. 게다가, Burr-Brown ISO 165는 신호 이득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Burr-Brown ISO 103은 또한 가용 대체 차단 증폭기이다. 그러나, 상기 ISO 103은 ISO 165보다 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더 비싸고 전력 소모가 더 크며, 더 많은 열이 발생하며 신호 이득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지원 회로(77)는 집적회로(73)의 입력 단자 양단에 접속되는 20Ω 저항(76)을 포함한다. 저항(76)은 데이터 획득 시스템이 시스템 중 임의의 컴포넌트를 물리적으로 조정함이 없이 (신호 조정 유닛(70)에서 나가는 신호 중 오프셋 컴포넌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교정되는 매우 유리한 특징을 제공한다. 대신에, 시스템은, 만약 수반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메인 메뉴에서 적절한 선택권을 간단히 선택한다면, CEDM 제어 캐비닛(42)에 접속된 신호 조정 유닛(44)(도 1) 없이 교정될 수 있다. 저항(76)은 입력(71)에 들어가는 신호를 달리 조정하지 않는다.
특히, 다수의 신호 조정 유닛(71)을 포함하는 완전한 회로기판의 보다 확장한 개략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신호 조정 유닛(70)은 도 7에 도시된 지원 회로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8의 회로기판(80)은 코일-전류 신호 및 2개의 CEDM에 대한 리드 위치 스위치 (즉, 위치) 신호를 조정하는 신호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2a의 완전한 다수-제어봉 데이터 획득 시스템(40)은 4개의 거의 동일한 회로기판(80)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신호 조정 유닛(70)은 각 CEDM의 5개 코일에 할당되고, 이들 신호 조정 유닛은 입력 커넥터(71')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추가적 신호 조정 유닛(70')은 입력 커넥터(82)를 통해 유닛(70')에 입력되는 리드 스위치 위치 신호를 조정하기 위해 할당된다. 신호 조정 유닛(44)에 출력되는 위치 신호의 오프셋 성분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교정 저항(76)은 신호 조정 유닛(70')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진폭 감소 저항(83)은 유닛(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신호를 입력할 컴퓨터의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기와 호환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신호 조정 유닛(70')의 출력에 접속된다. 도 8의 좌측 하단은 도 8의 좌측 상단의 반복됨과, 다른 CEDM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조정하는 신호 전용임을 인식할 것이다.
도 8의 마스터 회로기판(80)은 신호 조정 유닛(70 및 7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86)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출력 커넥터(85')는 마스터 발진기(84) 및 마스터 회로기판(80)의 5볼트 조정기(87)를 3개의 다른 신호 조정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4개의 회로기판 각각의 출력 신호 커넥터(75')는 다운스트림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있다. 단일 마스터 발진기(84)는 시스템(40)의 차단 증폭기 모두를 동일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동기화 신호(79)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현재 고려된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사상 내에 포함된 다양한 변경 및 동등한 장치를 커버하도록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2)

  1. 개개의 다수 제어 요소 조립체 샤프트에 맞물리는 다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타입의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원자로 노심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 조립체의 이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 각각은 코일-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전기 회로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어 전기 회로의 작동으로 고주파 잡음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전기 코일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의 코일 중 일부 이상을 통해서 코일 전류 흐름과 같은 정도의 개개의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상기 전기 회로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잡음을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신호 조정 수단과,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조정된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기 위한 제 1 디지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전기 회로에 의해 코일로 전달되는 전류에 존재하는 잡음의 주파수 범위에 있는 주파수에서 높은 동상분을 제거(high common-mode rejection)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 증폭기(isolation amplifier) 및 상기 전기 회로에 의해 코일로 전달되는 전류에 존재하는 잡음의 주파수 범위 아래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저역 필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화 수단은 대략 500 샘플/초 비율로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를 갖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 수단은 코일 각각에 대해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4개 이상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각각의 5개 코일 각각을 통해서 흐르는 상기 코일-전류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제 1 디지털화 수단에 의해 상기 신호가 수신되기에 앞서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 모두로부터 상기 전기 회로에 의해 도입된 잡음을 제거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8개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에 대해 5개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각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5개의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상기 8개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 요소 조립체의 원자로 노심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전기 회로에 의해 도입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신호 조정 수단과,
    디지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조정된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기 위한 제 2 디지털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저장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체 각각에 대해 하나의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8개의 제어 요소 조립체의 위치를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제 2 디지털화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앞서 상기 아날로그 위치 신호 모두로부터 전기 신호에 의해 도입된 잡음을 제거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5개의 다른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각각, 및 디스플레이되기도 하는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와 관련된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요소 조립체에 대한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 중 상기 하나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하나의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및 하나의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 중 상기 하나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소정의 가용 트레이스, 단지 하나의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및 하나의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저장된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의 일부 이상에서 갱신 및 재-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저장된 디지털 위치 신호의 일부 이상에서 갱신 및 재-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 중 하나 이상의 2 지점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 중 하나 이상의 2 지점 사이에서 측정된 전류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제 1 신호 조정 수단을 물리적으로 변경함이 없이 상기 시스템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차단 증폭기 모두를 서로 동기화시키기 위한 마스터 발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조정 수단은 상기 아날로그 위치 신호와 상기 제 2 디지털화 수단간의 호환성을 위해 상기 조정된 아날로그 위치 신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19. 개개의 다수 제어 요소 조립체 샤프트에 맞물리는 다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타입의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원자로 노심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 조립체의 이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 각각은 다수의 전기 코일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의 코일 중 일부 이상을 통해서 코일 전류 흐름과 같은 정도의 개개의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 요소 조립체의 원자로 노심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고, 디지털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위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기 위한 디지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및 위치 신호를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하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5개의 다른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각각, 및 디스플레이되기도 하는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와 관련된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요소 조립체에 대한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 중 상기 하나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소정의 가용 트레이스, 단지 하나의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및 하나의 상기 디지털 위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21. 개개의 다수 제어 요소 조립체 샤프트에 맞물리는 다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타입의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원자로 노심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 조립체의 이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 각각은 다수의 전기 코일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의 코일 중 일부 이상을 통해서 코일 전류 흐름과 같은 정도의 개개의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기 위한 제 1 디지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상기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저장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과,
    하나 이상의 상기 디지털화된 코일-전류 신호가 소정의 양만큼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 디스플레이 영상을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22. 다수의 전기 코일을 각각 포함하고, 개개의 다수 제어 요소 조립체 샤프트에 맞물리는 다수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타입의 원자력 발전소 증기 공급 설비의 원자로 노심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 조립체의 이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의 코일 중 일부 이상을 통해서 코일 전류 흐름과 같은 정도의 개개의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코일-전류 신호를 수신 및 디지털화하기 위한 제 1 디지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를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8개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에 대해 5개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 각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5개의 디지털 코일-전류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상기 8개의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9997005968A 1997-01-15 1999-06-29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0330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51497P 1997-01-15 1997-01-15
US60/035,514 1997-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812A true KR20000069812A (ko) 2000-11-25
KR100330760B1 KR100330760B1 (ko) 2002-03-29

Family

ID=218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968A KR100330760B1 (ko) 1997-01-15 1999-06-29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3610A (ko)
EP (1) EP1018122B1 (ko)
KR (1) KR100330760B1 (ko)
AU (1) AU5911398A (ko)
WO (1) WO199803213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447B1 (ko) * 2002-10-28 2005-12-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휴대용 제어봉 유지전원공급장치
KR100613598B1 (ko) * 2003-11-17 2006-08-18 한국전기연구원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기기용 고장 기록 및실시간 감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170B1 (ko) * 1997-10-23 2000-12-01 이종훈 원자로제어봉구동장치내의 전자기권선을 이용한 제어봉낙하 시간측정방법
US6880238B1 (en) * 1999-04-30 2005-04-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chemical uses of amorphous fluoropolymers
US6404835B1 (en) * 2000-03-22 2002-06-11 Analysis & Measurement Services Corporation Nuclear reactor rod drop time testing method
JP3848074B2 (ja) * 2000-10-31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手動操作装置
US7330895B1 (en) * 2001-03-15 2008-02-12 Microsoft Corporation Representation, decision models, and user interface for encoding managing preferences, and performing automated decision making about the timing and modaliti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US7340387B2 (en) * 2003-06-26 2008-03-04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Control rod driving simulator for verification of control rod driving mechanism control system of atomic power plant
US8670515B2 (en) * 2009-07-29 2014-03-1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Digital nuclear control rod control system
US20120327121A1 (en) * 2011-06-22 2012-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touch screen control of paperless record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8465A (en) * 1984-10-26 1987-05-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a process carried out in a containment structure
FR2632443A1 (en) * 1988-06-01 1989-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System for supervis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driving mechanism of a control rod
US5408508B1 (en) * 1993-12-22 1997-03-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esting a plurality of control rods
JP2810330B2 (ja) * 1994-10-03 1998-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原子炉制御棒駆動装置の作動監視装置
US5999583A (en) * 1996-04-29 1999-12-07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rod drive mechanism analysis using coil current sign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447B1 (ko) * 2002-10-28 2005-12-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휴대용 제어봉 유지전원공급장치
KR100613598B1 (ko) * 2003-11-17 2006-08-18 한국전기연구원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기기용 고장 기록 및실시간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2135A2 (en) 1998-07-23
EP1018122A2 (en) 2000-07-12
KR100330760B1 (ko) 2002-03-29
EP1018122B1 (en) 2005-03-09
AU5911398A (en) 1998-08-07
US5963610A (en) 1999-10-05
WO1998032135A3 (en)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812A (ko) 제어 요소 구동 메커니즘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656562B1 (ko) 항공기 메시지 트리거 로직의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EP1336932A2 (en) Reproduction test service apparatus for medical systems, maintenance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X-ray ct system, and maintenance service centre apparatus
JPH05164781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Adams et al. The ProtoDUNE-SP LArTPC electronics production, commissioning, and performance
CN101120875A (zh) 磁共振诊断装置及其工作方法
US6633622B2 (en) Reactor power output measurement device
US4965516A (en) System for digitizing and displaying analog signatures of integrated circuits
JPH07209477A (ja) 複数の制御棒クラスタの同時検査装置及び方法
US20030028836A1 (en) Inspection apparatus
JP3263475B2 (ja) 半導体試験装置の自動試験装置及び方法
JP3881399B2 (ja) 固定式原子炉内計装装置
US6876927B1 (en) Digital data recorder exempt of a site background noise
JPS63186157A (ja) 電力系統故障診断装置
JP2920355B2 (ja) 振動計調整方法
Lipcsei et al. Autonomous data acquisition system for Paks NPP process noise signals
CA2035278C (en) Automatic pseudokeyphasor generator
CN218826214U (zh) 一种核电厂信号处理组件精度测试装置
US4369496A (en) Apparatus for high-speed transcription of recorded physiological data
Bishaib et al. The protoDUNE-SP LArTPC Electronics Production, Commissioning, and Performance
US5878375A (en) Data transfer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fore
Byford et al. An Advanced Digital Metal Impact Monitor
White et al. Real-Time Test Data Processing System
JP2006209648A (ja) 電源装置
Weber Instruction manu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