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211A -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211A
KR20000069211A KR1019997004790A KR19997004790A KR20000069211A KR 20000069211 A KR20000069211 A KR 20000069211A KR 1019997004790 A KR1019997004790 A KR 1019997004790A KR 19997004790 A KR19997004790 A KR 19997004790A KR 20000069211 A KR20000069211 A KR 2000006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adio
wave
signal
variabl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다요이치
Original Assignee
니코 컴퍼니 리미티드
다카후지 야스타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 컴퍼니 리미티드, 다카후지 야스타네 filed Critical 니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9700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9211A/ko
Publication of KR2000006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60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 H04K3/62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by exposing communication, processing or storing systems to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e.g. causing disturbance, disruption or damage of electronic circuits, or causing external injection of faults in th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4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petrol station, hospital, plane or cine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3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 H04K2203/3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includ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떤 기능불량 현상으로 부터 전기 또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또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각각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를 발생시키고 외부 전파에 차단-목적 전파를 발신하기 위해 다수의 전파 발생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전파 발생기는 상기 외부 전파의 모든 주파수가 포함되는 서로 다르고 전 범위에 걸치도록 조절된 주파수 범위 내 상기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의 주파수에서 소인을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목적 전파가 상기 외부 전파의 주파수에 상응할 때 상기 외부 전파가 상기 차단-목적 전파에 의해 차단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SHIELDING RADIOWAVE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최근 현저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위 "주머니 전화(pocket bell)"이라 불리는 이동 전화 및 호출기와 같은 이동 통신장비 때문에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에 의해 의료기기 또는 페이스 메이커(pacemaker)와 같은 이식 의료기기의 기능불량에 관하여 위험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더우기, 사용자 주위 다른 사람에게 어떤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박물관, 영화관 및 극장에서 이동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망설여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다른 목적, 형상 및 장점은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장비에서 또는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또는 이동 통신장비에서 발신된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대한 도면 부호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동 통신장비에서 발신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자장치가 어떤 기능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또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각각으로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를 발생시켜 외부 전파로 차단-목적 전파를 발산하기 위해 다수개의 전파 발생기를 구성하고, 여기서 다수개의 전파 발생기는 전체 외부 전파의 주파수가 포함되는 서로 다르고 전 범위에 걸치도록 조절된 주파수 범위로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의 주파수 내에 소인(sweeping)을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차단-목적 전파의 주파수가 외부 전파의 주파수에 상응할 때 외부 전파는 차단-목적 전파에 의해 차단된다.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는 통신장비가 작동되거나 작용되도록 외부 전파를 상기 통신장비가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임계 시간-주기 보다 더 짧은 시간-주기에서 소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또는 전자장치는 병원에 설치된 의료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또는 전자장치는 이식용 의료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인 수단은 주기적이고 비례적으로 전압에서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의 수신을 위해 신호 발생기에 연결된 다수개의 가변 콘덴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콘덴서 요소들은 수신된 신호의 전압이 주기적이고 비례적인 변화에 따라 바뀌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갖는다. 가변 콘덴서의 수는 다수개의 전파 발생기와 같다.
또한 신호 발생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 콘덴서 요소들은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전파 발생기는 가변 콘데서 요소의 용전용량 내에서 다양한 변화에 따라 주파수 내에 소인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변 콘덴서 요소에 연결된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 및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로부터 주파수가 소인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가 소인되는 전파를 발산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에 연결된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증폭기는 각 라디오파 발생기에 있는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와 안테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장치는 가까운 거리 예를 들어 2 내지 3미터에서 전파로부터 이동 통신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전파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약한 전파 또는 전자기파를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 통신장비는 전파 발신 또는 수신으로부터 보호된다. 제공된 삼각파 발생기(10)는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삼각파 발생기(10)는 발생되는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와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동력원(12)이 장착되어 삼각파 발생기(10)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삼각파 발생기(10)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는 세개의 병렬 전파 발생기 예를 들어 제일, 제이 및 제삼 소인 범위 주파수에서 소인되는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를 각각 발생시킬 수 있는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 발생기를 갖는다. 제일, 제이 및 제삼 소인 범위는 서로 다르다.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 발생기들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에서 주기적 변화에 따라 소인되는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를 생성하도록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수신을 위해 서로 병렬로 삼각파 발생기(10)에 연결된다.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 발생기들은 또한 각각 동력을 공급받도록 서로 병렬로 동력원(12)에 연결된다.
제일 전파 발생기는 이하 요소들을 구성한다.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가 장착되어 삼각파 발생기(10)로부터 발생된 삼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삼각파 발생기(10)에 연결된다. 삼각파 신호는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한다.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 전압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 바뀐다. 즉, 삼각파 신호는 각 주기의 초기 반동안 전압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그 주기의 나머지 반동안 전압에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에 의하기 때문에,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 전압의 비례적이고 주기적인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한다.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가 장착되어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변형 정전용량에 따라 주파수 내에서 변하는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에 연결된다. 즉,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에 의한다. 그래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에 주파수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 변한다. 이것은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가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 것과 같이 같은 시간-주기 주파수 내에서 소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일 완충 증폭기(24)가 장착되어 주파수 내에서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의 주기적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연결된다. 제일 완충 증폭기(24)는 또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또한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것과 같은 동일한 시간-주기에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다.
제일 안테나(26)가 장착되어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 증폭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 것과 같은 동일 시간-주기의 주파수 내에 소인된 제일 전파를 발산하기 위해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연결된다.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산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일 소인 폭은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진폭에 따른다.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산된 제일 라디오파의 주파수의 제일 소인 시간-주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시간-주기에 의해 정해진다. 이것은 제일 라디오파 발생기가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산된 제일 라디오파의 주파수에서 제일 소인 폭과 시간-주기 모두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이 라디오파 발생기는 이하 요소들을 구성한다.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가 장착되어 삼각파 발생기(10)에서 발생된 삼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삼각파 발생기(10)에 연결된다. 삼각파 신호는 전압에 비례적으로 변한다.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 변한다. 하여간,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은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과 다르다. 즉, 삼각파 신호는 매 주기의 초기 반 동안 전압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매 주기의 나머지 반 동안 전압에서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에 의하기 때문에,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의 비례적인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한다.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가 장착되어 가변 콘덴서에 따라 변하는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주파수를 갖는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에 연결된다. 즉,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에 의한다.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이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와 다르기 때문에,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일 라디오 주파수에 의해 발생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와 주파수에 있어 다르다. 그래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주기적 변화에 따라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 내에서 하여간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것과 다른 주파수 범위 주파수 내에서 변한다. 이것은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와 같이 동일한 시간-주기 주파수 내에서, 하여간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그 것과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소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이 완충 증폭기(34)가 장착되어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 정전용량의 주기적 변화에 비례하여 주파수에서 변하는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연결된다. 제이 완충 증폭기(34)에 의해 증폭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가변 주파수와 다른 범위에서 변한다. 제이 완충 증폭기(34)는 또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제이 완충 증폭기(3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것과 같이, 하여간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것과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동일 시간-주기에 주파수 내에서 또한 소인된다.
제공된 제이 안테나(36)는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 증폭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그리고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것과 같이 동일한 시간-주기에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 제이 전파를 발신하기 위해 제이 완충 증폭기(34)에 연결된다.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이 소인 폭은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증폭에 의한다.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생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이 소인 범위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일 소인 범위와 다르다.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이 소인의 시간-주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시간-주기에 의해 정해진다.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이 소인의 시간-주기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일 소인의 시간-주기와 같다. 이것은 제이 전파 발생기가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서 제이 소인 범위와 시간-주기 모두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여간,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가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와 정전용량에 있어 다르기 때문에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이 소인 범위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일 소인 범위와 다르다.
제삼 전파 발생기는 이하 요소들을 구성한다. 제공된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는 제일 진폭과 제일 주파수를 갖는 발생된 삼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삼각파 발생기(10)에 연결된다. 삼각파 신호는 전압에서 주기적으로 변한다.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의 전압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 변한다. 하여간,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은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정전용량과 다르고, 또한 제이 가변 콘데서 다이오드(30)의 정전용량과 다르다. 즉, 삼각파 신호는 매 주기의 초기 반동안 전압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매 주기의 나머지 반동안 전압에서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이 삼각파 신호의 전압에 의하기 때문에,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은 삼각파 신호 전압의 비례적이고 주기적인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한다.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가 장착되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에 따라 주파수가 변하는 제삼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에 연결된다. 즉,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에 의한다.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이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의 그것과 다르고 또한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에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에 의해 발생된 제삼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와 다르고 또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와 다르다. 그래서,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 정전용량의 주기적 변화에 비례적으로 주파수 내에서 변한다.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범위와 다르고 또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범위와 다른 범위에 주파수 내에서 변한다. 이것은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가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것과 같이 동일 시간-주기 주파수 내에서, 하여간 제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2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그것과 그리고 또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32)에 의해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그것과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소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삼 완충 증폭기(44)가 장착되어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의 정전용량에서 주기적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제삼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제삼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42)에 연결된다. 제삼 완충 증폭기(44)에 의해 증폭된 제삼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기적으로 변환하는 주파수는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된 제일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기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그것과 그리고 또한 제이 완충 증폭기(34)에 의해 증폭된 제이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주기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그것과 다른 범위에서 변한다. 제삼 완충 증폭기(44)는 또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제삼 완충 증폭기(4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또한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것과 같이 동일 시간-주기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다. 하여간 제삼 완충 증폭기(4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제일 완충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그것과 다르고 또한 제이 완충 증폭기(34)에 의해 증폭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그것과 다른 범위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다.
제삼 안테나(46)가 장착되어 주파수 내에서 소인된 증폭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삼각파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그것과 같이 동일 시간-주기 제삼 전파를 발신하기 위해 제삼 완충 증폭기(44)에 연결된다.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삼 소인 폭은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진폭에 의해 결정된다.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 내에 제삼 소인 범위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일 소인 범위와 다르고 또한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이 소인 범위와 다르다.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삼 소인의 시간-주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시간-주기에 의해 결정된다.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삼 소인의 시간-주기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일 소인의 시간-주기와 같고 또한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이 소인의 시간-주기와 같다. 이것은 제삼 전파 발생기가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삼 소인의 범위와 시간-주기 모두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여간, 제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40)가 정전용량에 있어 제일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20)와 다르고 제이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30)와 다르기 때문에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제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삼 소인의 범위는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제일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일 소인 범위와 다르고 또한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제이 전파의 주파수에서 제이 소인 범위와 다르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제일, 제이 및 제삼 안테나들은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와 같이 동일 시간-주기에 주파수에서 하여간 서로 다른 제일, 제이 및 제삼 주파수 범위에서 소인된 제일, 제이 및 제삼 전파를 발신한다. 소인된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전파에서 제일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형태의 호출기가 작동될 수 있는 예를 들어 275메가헤르쯔에서 322메가헤르쯔인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소인된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전파에서 제이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전화기가 작동될 수 있는 예를 들어 800메가헤르쯔에서 940메가헤르쯔인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소인된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전파에서 제삼 주파수 범위는 나머지 다양한 형태의 이동 전화기가 작동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4기가헤르쯔에거 1.95기가헤르쯔인 아주 다른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새로운 장치는 다양한 호출기 및 다양한 이동 전화기를 위한 어떤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및 전자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호출기 및 이동 전화기에 전송된 전파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발산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되고 275메가헤르쯔 내지 322메가헤르쯔의 범위에서 소인된 전파는 275메가헤르쯔 내지 322메가헤르쯔의 범위에서 어떤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호출기는 오직 호출기가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동안 지속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을 때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된다. 이것은 호출기에 전송된 전파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동안 제일 안테나(26)에서 전송된 전파의 발신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호출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호출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막기위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동안 제일 안테나(26)에서 전송된 전파의 발신에 의해 호출기로 전송되는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요구된다. 호출기에 전송된 전파가 동일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발신에 의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전파가 275 메가헤르쯔 내지 322메가헤르쯔의 범위 내 주파수에서 하여간,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보다 더 짧은 시간-주기 내에 소인되는 것이 필요하다.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전파는 두 전파 사이 주파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에서 상응할 때 호출기에 전송된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여기서 호출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막는다. 만약 호출기가 호출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도록 설정된다면 1/10,000초로 지속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전파는 1/10,000초 보다 더 짧은 시간 주기에서 예를 들어 9키로헤르쯔의 주파수로 소인된다. 즉, 제일 안테나(26)에서 발신된 전파의 주파수에서 소인 시간 주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에 의하고, 이러한 이유로 삼각파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 신호 의 주파수는 소인 시간 주기 또는 소인 주파수가 9키로헤르쯔가 되게 설정된다.
이동 전화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막기위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동안 제이 안테나(36)에서 전송된 전파의 발신에 의해 이동 전화기에 전송된 전파가 차단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동 전화기로 전송된 전파는 동일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발신에 의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이 안테나(36)에서 발신된 전파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예를 들어 9키로헤르쯔의 주파수 보다 더 짧은 시간-주기 내에 800메가헤르쯔 내지 940 메가 헤르쯔의 범위 주파수에서 소인되는 것이 요구된다.
더우기 이동 전화기가 사람을 호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동 전화기로 전송된 전파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동안 제삼 안테나(46)에서 전송된 전파의 발신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동 전화기로 전송된 전파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발신에 의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삼 안테나(46)에서 발신된 전파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주기 예를 들어 9키로헤르쯔의 주파수 모다 더 짧은 시간-주기 내인 1.4기가헤르쯔 내지 1.95기가헤르쯔 범위 주파수에서 소인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새로운 장치는 가까운 범위 예를 들어 2-3 미터 내에서 전파로 부터 이동 통신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전파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약한 전파 또는 전자기파를 발신할 수 있어 이동 통신장비는 전파전송 또는 수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처럼, 이것은 주파수에서 전파를 확산하기 위한 톱니파 발생기인 삼각파 신호 발생기의 위치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 이상의 변형예에서 처럼, 이것은 또한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 완충 증폭기 및 안테나를 구성하는 전파 발생기의 세트 수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둘 또는 네 세트의 전파 발생기를 구성할 수 있다. 안테나에서 전송되어 소인되는 전파에 각 주파수 범위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도시된 도면과 같은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기술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1. 각각 다수의 차단 목적 전파를 발생시키고 외부 전파에 대해 차단-목적 전파를 발신시키기 위해 다수의 전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전파 발생기는 상기 외부 전파의 모든 주파수가 포함되는 서로 다르고 전 범위에 걸치도록 조절된 주파수 범위 내 상기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의 주파수에서 소인을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목적 전파가 상기 외부 전파의 주파수에 상응할 때 상기 외부 전파가 상기 차단-목적 전파에 의해 차단되어 어떤 기능장애 현상으로부터 전기 또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통신장비용으로 사용되는 외부 전파로부터 전기 또는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차단-목적 전파는 상기 통신장비가 작동되거나 또는 작용되도록 상기 외부 전파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도록 요구되는 동안 임계 시간-주기 보다 더 짧은 시간-주기에서 소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또는 전자장치는 병원에 설치된 의료기구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또는 전자장치는 이식 의료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인 수단은 주기적이고 비례적으로 전압에서 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신호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전압에서 상기 주기적이고 비례적인 변화에 따라 변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파 발생기와 동일한 수를 가진 다수의 가변 콘덴서 요소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삼각파 신호 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톱니파 신호 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콘덴서 요소들은 가변 콘덴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파 발생기는 상기 가변 콘덴서 요소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주파수에서 소인된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변 콘덴서 요소에 연결된 라디오-주파수 오실레이터; 및
    상기 라디오-주파수로부터 주파수 내에서 소인되는 상기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에서 소인된 전파를 발신하기 위해 상기 라디오-주파수 오실레이터에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라디오-주파수 오실레이터와 각 상기 전파 발생기의 상기 안테나 사이에 완충 증폭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04790A 1999-05-31 1997-10-02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KR20000069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4790A KR20000069211A (ko) 1999-05-31 1997-10-02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4790A KR20000069211A (ko) 1999-05-31 1997-10-02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211A true KR20000069211A (ko) 2000-11-25

Family

ID=5477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790A KR20000069211A (ko) 1999-05-31 1997-10-02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9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073A (ko) * 1999-09-17 2001-04-06 김종수 시퀀스를 이용한 광대역 잡음신호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073A (ko) * 1999-09-17 2001-04-06 김종수 시퀀스를 이용한 광대역 잡음신호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254B1 (en) Disabler for mobile communications
JP6463306B2 (ja) 高周波輻射の検知及び評価
US6869019B1 (en) Communication device
WO2003095023A3 (en) Passive telemetry system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170207861A1 (en) Channel adaptiv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KR100752835B1 (ko) 간섭 억제 장치 및 방법
KR19990067069A (ko) 시일드 디바이스
GB2484168A (en) Detecting when a communication device emits potentially harmful RF radiation, and in response generating a confusion field to mitigate the hazard
KR20160136317A (ko) 치료 신호 생성기
KR20000069211A (ko) 이동 통신장비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EP0956674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radiowave transmiss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B2484169A (en) Detecting when a communication device emits potentially harmful RF radiation, and in response generating a confusion field to mitigate the hazard
JPH05167540A (ja) 超音波通信法
KR970013693A (ko) 초전도 양자간섭소자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US10998929B2 (en) Telephone handset containing a remedial device
WO2001069563A1 (en) System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or a person
KR100214409B1 (ko) 무선호출서비스 무력화 장치
JP2994335B1 (ja) 携帯用通信機器の使用規制システム
RU21531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каци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 широком спектре частот
RU2140689C1 (ru) Радиотелефон с защитой пользователя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JP3064553U (ja) 妨害電波発生装置
JPH1133125A (ja) 障害電波警告装置及び障害電波警告システム
JPH1188300A (ja) 携帯電話器の放射を抑圧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2155395A (ja) ワイヤレス送受信装置
IT9048209A1 (it) Antenna radioricevente e relativo dispositivo di adattamento per ricevitori disposti in stretta prossimita' del corpo uma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