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694A -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694A
KR20000068694A KR1019997002872A KR19997002872A KR20000068694A KR 20000068694 A KR20000068694 A KR 20000068694A KR 1019997002872 A KR1019997002872 A KR 1019997002872A KR 19997002872 A KR19997002872 A KR 19997002872A KR 20000068694 A KR20000068694 A KR 2000006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user
foam
voice
sound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인에리히
레너하인즈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6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6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2)의 귀(14)에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차량용 시트(8)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듀서(7)는 음성-신호음에 가장 적당하고 음성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25)이 장착된다. 부가 수단(25)은 음성 포트 및 트랜스듀서 뒤에서 볼륨(31)을 음향 자유 공간에 연결하는 개구를 구비한 배플을 포함하며, 그 배플에 의해 백 볼륨(31)을 통해 방사되는 음성은 음성 포트를 통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하여 지연될 수 있다. 다른 부가 수단(25)은 그 백 볼륨(31)의 영역에서 트랜스듀서(7)를 원주상으로 에워싸고 다른 구조를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발포재 구조체(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1개 이상의 트랜스듀서(7)가 캐리어(16)에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Device including a built-i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timum speech reproduction}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4,027,112 A에 공지되었다. 공지된 장치는 자동차용 시트이고, 그 시트는 사용자 자세가 앉은 자세인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캐리어로서 제공되는 지지체로 형성되고 음향적으로 치밀한 물질로 구성된 보다 큰 부분에 대한 머리 받침을 갖고, 그 지지체는 머리의 지지영역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어 각각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수용하는 2개의 리세스를 갖는다. 2개의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는 스테레오 신호 즉 음향 신호의 최적 음향 재생을 위해 구성된다. 머리 받침상의 배열 때문에, 2개의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는 앉은 자세의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앞쪽으로 향하지만, 스테레오 신호의 상기 최적 재생을 달성하기 위해, 양 트랜스듀서는 가능한 큰 각도 범위에 걸쳐 가능한 멀리 동일한 인텐시티의 음파를 방사한다. 그 결과,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된 음파는 앉은 자세의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고 사용자가 원하여 설정된 볼륨으로 연속하여 사용자에게 들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사용자 옆 또는 뒤의 근처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도 들릴 수 있다. 종종, 이것은 근처 사람들을 불쾌하게 한다. 더욱이, 공지된 시트로는 공지된 시트에 배열되고 스테레오 신호의 최적 재생을 위한 트랜스듀서가 예를 들어, 전화통신 장치의 핸드프리 동작시에 순수한 음성-신호 음파를 만족스럽게 재생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탑재하기 위한 캐리어를 포함하고, 캐리어는 음향적으로 치밀한 물질로 제조되고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적어도 한 쪽 귀에 비교적 근접하여 연장되며,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는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귀에 음성 신호를 음향 재생하기 위해 캐리어에 부착되며, 그 트랜스듀서는 음파를 발생 및 방사하는 음파 발생 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전사 시트를 갖는 차량의 부분 개략도이며, 이 때 시트는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하기 위한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가지며, 그 트랜스듀서는 도 1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됨.
도 2는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며, 이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해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고, 운전사 시트에 앉은 운전사의 머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의 차량의 운전사 시트의 상부의 평면도.
도 3은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 및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도 1의 차량의 운전사 시트의 상부를 III-III 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 및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도 2의 III-III선에서 취한 단면의 평면에 거의 수직한 단면의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운전사 시트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운전사 시트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차량의 시트 뒷면의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조건을 미리 방지하고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장치는 트랜스듀서가 음성-신호 음파의 최적 음향 재생을 위해 구성되고 트랜스듀서는 상기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을 위해 명확한 지향성(directivity)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고, 그 지향성의 결과로서, 트랜스듀서는 앉은 자세의 사용자의 귀에 우선적으로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조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앉은 자세-앉은 자세 또는 기댄 자세와 같은- 사용자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음성의 만족스러운 음향 재생을 보장하며 더욱이, 명확한 지향성으로 인해 매우 작은 각도 범위에서 높은 인텐시티를 갖는 음성-신호 음파의 방사 결과로서 사용자 자세를 취한 사용자의 귀를 향해 특히 잘 조준된 방사를 제공하며, 간단하고, 저렴하며 용이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또한 명확한 지향성의 결과로서 성취되는 잘 조준된 방사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가 제품에 수용되는 트랜스듀서의 도움으로 전화를 거는 동안 기밀한 정보가 사용자와 교통될 때 바람직한 것으로서, 음성 재생시 사용자 근처의 사람에게 들리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재생 볼륨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서, 만일 트랜스듀서가 대략 500Hz와 5k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최적화된다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럽특허 제0 368 291호에 개시된 장치 즉, 차량 시트는 트랜스듀서가 특별히 음성-신호 음파의 음향적으로 바른 재생을 위해 응용 또는 구성되는, 머리 받침 영역에 수용되는 것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시트에서 시트 즉, 시트의 머리 받침에 수용된 트랜스듀서는 이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트랜스듀서는 작은 각도 범위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각도 범위에서도 높은 인텐시티를 갖는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하고, 그 결과 이 공지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을 갖지 않는다.
청구범위 1 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만일 종속항 2에 기재된 조치가 취해진다면 매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는 실제 테스트에서 특히 유효하고 기능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실시예에 사용되는 배플이 동시에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종속항 2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은 배플외에 음향 지연 소자를 형성하는 펠트-재료(felt-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그러나, 종속항 2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3항에 기재된 방법이 더 취해진다면,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발포재 구조체는 관련 발포재를 사용하여 음성-신호 음파의 전파 시간에 영향을 주는 발포재의 구조의 적당한 선택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다른 요건 및 조건에 유효하게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발포재의 선택은 예를 들어, 발포재 또는 발포재의 통기성의 밀도와 연관될 수 있다.
종속항 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4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발포재 구조의 보다 높은 효율성이 성취될 수 있다.
종속항 4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5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방식에서, 발포재 구조는 1개 이상의 개구내에 공간을 장치의 캐리어까지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고, 만약 전기음향 트랜스듀서와 함께 전체 캐리어가 수용되고 부가 수단이 직물등과 같은 커버부재로 덮이거나 또는 씌워진다면 특히 유리하다.
종속항 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6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배플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듀서 및 발포재 구조체를 간단히 조립하여 중간 장치를 구성하고 이 중간 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간단히 조립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종속항 6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4항 및 5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다.
종속항 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7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특히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종속항 7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4, 5 및 6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독립항 1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8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구성상의 관점에서 특히 간단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종속항 8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2, 3, 4, 5, 6 및 7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종속항 8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9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실제 테스트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속항 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10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실제 테스트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속항 10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4, 5, 6, 7, 8 및 9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러나, 종속항 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11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실제 테스트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속항 11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4, 5, 6, 7, 8 및 9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러나, 발포재 구조체는 상술한 것외에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목한다.
독립항 1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12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이러한 장치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속항 12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2 내지 11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시트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침대, 소파 또는 침상(couch)도 구성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종속항 12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13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차량용 시트로서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장치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많은 사용자에게 특히 유리하고 매력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독립항 1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종속항 14항에 기재된 조치가 더 취해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각각 명확한 지향성을 갖는 2개의 트랜스듀서를 제공하는 것은 볼륨의 이득 및 따라서, 특히 우수한 음향 음성-신호 수용의 장점을 갖는다. 원한다면, 각각 2개의 트랜스듀서가 사용자의 한 쪽 귀에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하는 캐리어에 4개의 트랜스듀서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속항 14항에 따른 조치는 종속항 2 내지 13항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도 유리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성 및 또다른 특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운전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량(1)의 일부만이 차량(1)의 운전사(2)에 대해 도시되었다. 이 부분은 특히 전화기 세트(5)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3) 및 대시보드(4)를 포함한다. 전화기 세트(5)는 운전사(2)가 말하는 동작 언어의 형태가 전화기 세트(5)에 삽입된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되고 전화기 세트(5)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단지 부분만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기전도성 접속체(6)를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에 인가된다.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는 확성기로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차량(1)의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즉, 차량(1)용 시트(8)를 포함한다. 시트(8)는 필수적으로 상부(11)가 머리 받침(12)을 탑재하는 하부(9) 및 뒷면(10)을 포함한다.
시트(8)의 사용자 즉, 운전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8)에 사용자 자세를 앉은 자세로 취할 수 있다.
시트(8)의 상부(11) 영역은 머리 받침(12)없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시트(8)는 직물 또는 유사한 물질의 커버(13)로 씌워지기도 한다. 운전사(2)의 몸을 지지하기 위해, 즉 사용자 자세에서 운전사(2)의 귀에 비교적 근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몸의 일부 - 운전사(2)의 오른쪽 귀(14) 근처의 어깨부(15)와 같은- 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8)는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위한 캐리어로서 작용하는 지지체이고 운전사(2)의 귀(14)에 비교적 근접하여 연장하는 음향적으로 치밀한 물질의 지지체(16)를 포함한다. 상술한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는 사용자 자세로 있는 운전사(2)의 귀(14)를 위한 음성 신호를 음향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지지체(17)로 구성되는 캐리어에 연결되고, 트랜스듀서(7)는 지지체(16)로 구성되고,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체(16)는 트랜스듀서(7)를 수용하는 리세스(16A)를 갖는다.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트랜스듀서(7)는 일단에 디스크형 커버판(18)과 결합하는 자석(17) 및 타단에 포트형상 요크(19)를 포함한다. 포트형상 요크(19)의 자유 단면과 커버판(18) 사이에 환형의 공기갭이 형성되며, 다이아프램(21)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이동 코일(20)이 그곳으로 돌출한다. 다이아프램(21)은 음파를 발생 및 방사하는 음성-발생 수단을 형성하고, 이 수단은 지지체(16)로부터 떨어져서 트랜스듀서(7)의 영역에 배치된다. 다이아프램(21)은 예를 들어 결합 조인트에 의해 하우징(22)의 자유 단부면의 영역에서 트랜스듀서(7)의 포트형상 하우징(2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하우징(22)은 포트형상 요크(19), 자석(17) 및 커버판(18)을 수용하고, 트랜스듀서(7)의 자석 시스템을 형성하는 이들 세 부분(17, 18, 19)은 결합 조인트에 의해 각각 하우징 및 상호 연결된다. 하부벽(23)의 영역에서 하우징(22)은 복수의 통로(24)를 갖는 데, 이것은 하우징이 뒤쪽을 향해 음향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 도 1, 2 및 3에 도시된 시트(8)내 트랜스듀서(7)는 음성-신호 음파의 최적 음향 재생을 성취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듀서(7)에서, 이것은 자석 시스템(17, 18, 19), 이동 코일(20), 다이아프램(21) 및 하우징(22)의 적당한 구성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성취된다. 이러한 트랜스듀서(7)의 구성은 음성-신호 음파의 최적 음향 재생에 특히 유리한 대략 500Hz 내지 대략 5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정확한 음성 재생을 보장한다.
시트(8)내 트랜스듀서(7)는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25)을 포함하고, 그 지향성의 결과로서 트랜스듀서(7)는 앉은 자세에서 운전사(2)의 오른쪽 귀(14)에 우선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를 조사한다.
본 발명에서 부가 수단(25)은 트랜스듀서(7)와 음향 자유 공간 사이에 삽입된 배플(26)을 포함한다. 음향 자유 공간은 도 3에 도면 부호 27로 표시된다. 음향 자유 공간(27)은 지지체(16)에 리세스(16A) 내부뿐만 아니라 지지체(16)를 위한 커버(13) 외부에도 배치된다. 배플(26)은 양호하게는 발포 공정동안에 전체가 리세스(16A)내에 수용되고 리세스(16A)의 각 측벽에 연결된 긴 측벽(25A)과 짧은 측벽(25B)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는 결합 조인트나 프레스-피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트랜스듀서(7)는 음향적으로 구멍이 없는 방식으로 배플(26)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이것은 트랜스듀서(7)의 포트형상 하우징(22)의 자유 단부면이 결합제를 이용하여 배플(26)에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
배플(26)은 다이아프램의 앞에 배치되는 트랜스듀서(7)의 프론트 볼륨(29)과 음향 자유 공간(27)을 연결하는 복수의 음성부(28)를 갖는다. 도 3 및 도 2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배플(26)은 지지체(16)내 리세스(16A)의 전체 단면부를 커버하는 것이 아니고 배플(26)은 다이아프램(21) 뒤에 배치되는 트랜스듀서(7)의 백 볼륨(31)과 음향 자유 공간(27)을 연결하는 거의 L-형상 개구(30)를 갖고, 본 발명에서 이 연결부는 지지체(16)내 리세스(16A)의 일부를 통해 그리고 포트형 하우징(22)의 바닥벽(23)내 통로(24)를 통해 만들어진다. 배플(26)을 이용하여 음성-신호 음성은 백 볼륨(31)을 통해 자유 공간(27)으로 방사되고, 포트형상 하우징(22)의 바닥벽(23)에 통로(24), 지지체(16)내 리세스(16A)의 일부 및 개구(30)는 다른 방향에서 다른 크기로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백 볼륨(31) 및 개구(30)를 통해 다이아프램(21)에 의해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는 프론트 볼륨(29)을 통해 개구(30)쪽으로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의 비교적 강한 감쇠를 일으키고, 반면 프론트 볼륨(29)을 통해 배플(26)의 구멍없는 영역(32)쪽으로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는 상기 영역(32)에 구멍이 없기 때문에 백 볼륨(31) 및 통로(24)를 통해 전파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의해 감쇠될 수 없다. 그 결과 프론트 볼륨(29)을 통해 배플(26)의 구멍없는 영역(32)쪽으로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는 거의 감쇠없이 전송된다. 따라서,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된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은 배플(26)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명확한 지향성의 결과로서 트랜스듀서(7)는 점선 화살표(R)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운전사(2)의 오른쪽 귀(14)에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한다.
배플(26)에 관하여는, 배플(26)은 도 2 및 도3에서 점선 화살표(N)로 표시된 평면에 수직하고 그 결과로서 배플(26)이 리세스(16A)의 바닥벽(33)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로 배열되고,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3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바닥벽(33)에 대하여 경사지게 나타난다.
시트(8)에서,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25)은 배플(26)외에 음향 지연 소자를 형성하는 발포재 구조체(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이 발포재 구조체(34)는 필수적으로 L형상이고 도 3에서 III-III선으로 표시된 섹션의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35)과, 도 2에서 부분(35)과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36)을 포함하고, 부분(36)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한다. 리세스(16A)의 바닥벽(33)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두 부분(35, 36)은 지지체(16)의 곡면형상과 지지체(16) 주위에 커버(13)의 곡면형상을 따라 구부러진다.
발포재 구조체(34)는 백 볼륨(31), 통로(24) 및 개구(30)을 통해 음향 자유 공간(27)에 방사되는 음성 신호 음파의 음성 통로에 배열되고, 그 L형상과 일치되게 트랜스듀서(7)를 에워싼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포재 구조체(34)는 지지체(16)까지 개구(30)를 충전한다. 유리하게는, 발포재 구조체(34)는 발포재의 단일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발포재 구조체는 개기공(open pore) 및 필요하다면 치밀한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그러나, 기타 발포재도 포함할 수 있다. 발포재 구조체(34)에 의해 백 볼륨(31), 통로(24) 및 개구(30)를통해 음향 자유 공간(27)으로 방사되는 음성 신호 음파는 전파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더욱이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이 유리한 방식으로 영향을 줄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8)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시트(8)내 캐리어를 형성하는 지지체(16)는 자석 시스템(17, 18, 19), 이동 코일(20), 다이아프램(21) 및 포트형상 하우징(22)을 포함하는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를 수용하는 리세스(16A)를 갖는다. 트랜스듀서(7)는 도 4에 도시된 시트(8)에 배열되고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의 음향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25)을 갖는다. 이 때, 부가 수단(25)은 또한 배플(26) 및 발포재 구조체(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배플(26)은 음성 포트(28)외에, 더나아가 개구(30)를 형성하는 통로를 갖는데, 도 4에서는 단일 개구(3)만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재 구조체(34)는 배플(26)에서 개구(30)까지 연장된다. 발포재 구조체(34)는 포트형상이고 지지체(16)내 포트형상 리세스(16A)에 대응하여 수용된다. 트랜스듀서(7)는 포트형상 발포재 구조체(34)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발포재 구조체(34)는 개기공 또는 치밀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나 다른 발포재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8)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8)는 도 4 및 도 5의 시트(8)내 발포재 구조체(34)의 구조가 다른 것만 제외하고는 그 시트(8)와 비교적 많이 유사하다.
도 4의 시트(8)내 발포재 구조체(34)가 단일 발포재 부분을 포함하는 반면, 도 5의 시트(8)내 발포재 구조체(34)는 2개의 발포재 부분(37, 38)을 포함한다. 1개의 발포재 부분(37)은 디스크형상이고, 리세스(16A)의 바닥벽(33)에 배치되며 포트형상 하우징의 바닥벽(23)을 지지한다. 다른 발포재 부분(38)은 배플(26)내 모든 개구(30)의 가장자리에 접한 방식으로 반환형상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트(8)이고,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해 작용하는 트랜스듀서(7)의 부가 수단(25)이 배플을 포함하지 않으나 다른 발포재 구조를 갖는 2개의 발포재 부분을 포함하는 발포재 구조체(34)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4 및 도 5의 두 시트(8)와는 다르다. 두 발포재 부분(39, 40)은 각각 반 포트형상을 갖고, 그 형상에 일치되도록 백 볼륨(31)의 영역에서 트랜스듀서(7)를 원주상 및 바닥측에서 양쪽을 에워싼다. 두 발포재 부분(39, 40)은 분리 영역(41)의 위치에서 다른 것과 직접 결합한다. 더욱이, 2개의 발포재 부분(39, 40)의 각각의 반포트형상에 대응하는 반환형 부분의 자유 단부면은 음향 자유 공간(27)과 직접 결합하고, 상기 단부면은 커버(13)로 싸인다. 도 6의 시트(8)에서, 한 발포재 부분(39)은 음향적으로 치밀한 발포재를 포함하고 다른 발포재 부분(40)은 음향적으로 투과가능한 발포재를 포함한다. 두 발포재 부분(39, 40)에 대한 발포재의 선택은 트랜스듀서(7)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의 원인이 되고, 그리하여 트랜스듀서(7)는 점선 화살표(R)로 표시된 방향으로 시트(8)의 사용자의 귀에 우선적으로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에에 따른 시트(8)의 뒷면(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시트(8)에서 캐리어를 형성하는 지지체(16)는 최적 음성-신호 음파 재생을 위한 1상의 전기음향 트랜스듀서(7, 7')를 탑재하고, 이들 2개의 트랜스듀서(7, 7')의 각각은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고, 지향성의 결과로서 도 7에 2개의 점선 음성-방사 콘(42, 43)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트랜스듀서(7, 7')의 각각은 앉은 자세로 있는 시트(8)의 사용자의 양쪽 귀중 하나에 우선적으로 음성-신호 음파를 방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포재 구조체는 2개 이상의 발포재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배플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것은 1개 이상의 방향, 양호하게는 두 방향으로 리세스의 바닥벽에 대하여 경사질 수도 있다. 시트의 뒷면의 상부 대신에, 명확한 지향성을 위한 부가 수단과 결합된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는 시트의 뒷면에 부착된 머리 받침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과 결합된 전기 트랜스듀서는 반드시 시트에 조립할 필요는 없고 시트의 밖에 배치된 유니트에 수용될 수 있다. 이 유니트는 애드-온 유니트(add-on unit)으로서 구성되기도 하고, 본 발명의 장점은 또한 기존 시트 또는 유사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반드시 시트로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침상, 환자 의자 또는 환자 침상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항공 또는 기차 시트에 응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반드시 시트, 환자 의자, 침상등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항공 여객기의 오버헤드 서비스 유니트에 의해 또는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사용자가 사용자 자세를 취할 수 있고, 1개 이상의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탑재하기 위한 캐리어를 포함하며, 그 캐리어는 음향적으로 치밀한 물질로 제조되고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적어도 한쪽 귀에 비교적 근접하여 연장되며,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는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귀에 음성 신호의 음향 재생을 위해 캐리어에 부착되며, 그 트랜스듀서가 음파를 발생 및 방사하는 음성-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음성-신호 음파의 최적 음향 재생을 위해 구성되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트랜스듀서에 의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며, 그 지향성의 결과로서 트랜스듀서는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를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귀에 우선적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트랜스듀서와 음향 자유 공간 사이에 삽입된 배플을 포함하고, 트랜스듀서는 음향적으로 구멍이 없는 방식으로 배플에 연결되며, 배플은 음성 발생 수단의 앞에 위치한 프론트 볼륨을 음향 자유 공간에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음성 포트와, 음성 발생 수단의 뒤에 배치되는 백 볼륨을 음향 자유 공간에 연결하는 1개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그 배플에 의해 백 볼륨(31) 및 1개 이상의 개구를 통해 자유 공간으로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는 프론트 볼륨 및 1개 이상의 사운드 포트를 통해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하여 다른 방향 및 크기로 지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배플외에 상기 부가 수단은 음향 지연 소자로 구성되는 발포재 구조체를 포함하며, 발포재 구조체는 백 볼륨과 1개 이상의 개구를 통해 음향 자유 반사로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의 음성 통로의 영역에 배열되며 트랜스듀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배플내의 1개 이상의 개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1개 이상의 개구의 공간을 캐리어까지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포트형상이고 캐리어내 포트형상 리세스에 대응하여 수용되며, 트랜스듀서는 포트형상의 발포재 구조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단일 발포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다른 발포재 구조를 갖는 2개 이상의 발포재 부분을 포함하는 발포재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재 부분중 1개 이상은 백 볼륨 영역에서 트랜스듀서를 에워싸고 서로간에 직접 결합하며 각각 음향 자유 공간에 직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부분중 하나는 음향적으로 치밀한 발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개기공(open-pore)이고, 필요하다면 치밀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구조체는 개기공이고, 필요하다면 치밀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차량용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쌍 이상의 트랜스듀서는 캐리어에 부착되고, 트랜스듀서의 각각은 상기 트랜스듀서에 방사되는 음성-신호 음파에 대한 명확한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가 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지향성의 결과로서 트랜스듀서의 각 쌍중 한 트랜스듀서는 음성-신호 음파를 사용자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양쪽 귀중 한쪽에 우선적으로 방사하고 다른 트랜스듀서는 사용자의 양쪽 귀중 다른 쪽 귀에 우선 방사하도록 방향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02872A 1997-08-05 1998-07-06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KR20000068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97890155.1 1997-08-05
EP97890155 1997-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694A true KR20000068694A (ko) 2000-11-25

Family

ID=823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872A KR20000068694A (ko) 1997-08-05 1998-07-06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81024B2 (ko)
EP (1) EP0947121B1 (ko)
JP (1) JP4263252B2 (ko)
KR (1) KR20000068694A (ko)
AT (1) ATE294491T1 (ko)
DE (1) DE69829943T2 (ko)
WO (1) WO1999008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2388B2 (en) 2004-06-03 2016-10-04 Tymphany Hk Limited 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axially arranged diaphrag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952B2 (ja) * 2002-01-31 2007-1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音響出力装置
US7466832B2 (en) * 2002-07-31 2008-12-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eatback audio controller
US20050079832A1 (en) * 2003-10-09 2005-04-14 Shlomo Gelbart Transducer design for rugged portable communications products
JP4233483B2 (ja) * 2004-04-23 2009-03-0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載用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のパネルに取り付けるマイクアセンブリ
US7688992B2 (en) * 2005-09-12 2010-03-30 Richard Aylward Seat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WO2008023346A1 (en) * 2006-08-24 2008-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or a video signal to generate haptic excitation
US8325936B2 (en) * 2007-05-04 2012-12-04 Bose Corporation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in a vehicle
US8724827B2 (en) * 2007-05-04 2014-05-13 Bos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US8483413B2 (en) * 2007-05-04 2013-07-09 Bos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US20080273722A1 (en) * 2007-05-04 2008-11-06 Aylward J Richard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in a vehicle
JP2009260524A (ja) * 2008-04-15 2009-11-0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JP5557588B2 (ja) * 2010-04-28 2014-07-23 株式会社エフ・ピー・エス 車両用シート
PL3429227T3 (pl) * 2010-07-30 2022-04-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Układ głośników w zagłówku
US9088842B2 (en) 2013-03-13 2015-07-21 Bose Corporation Grille for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327628B2 (en) 2013-05-31 2016-05-03 Bose Corporation Automobile headrest
US9699537B2 (en) 2014-01-14 2017-07-04 Bose Corporation Vehicle headrest with speakers
US9428090B2 (en) * 2014-08-07 2016-08-30 Bose Corporation Headrest with speak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rest cushion member
FR3026997B1 (fr) * 2014-10-10 2018-02-09 Cera Tsc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6200531A1 (de) * 2016-01-18 2017-07-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npolster mit Lautsprecher zum nachträglichen Einbau in einem für ein Kraftfahrzeug vorgesehenen Kindersitz
US10239432B2 (en) 2016-03-17 2019-03-26 Bose Corporation Acoustic output through headrest wings
CN115284990A (zh) * 2016-10-28 2022-11-04 伯斯有限公司 具有声学通道的靠背扬声器
US10721554B2 (en) * 2018-01-12 2020-07-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directing loudspeaker grill
JP2020088543A (ja) * 2018-11-21 2020-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放音装置
US11590869B2 (en) 2021-05-28 2023-02-28 Bose Corporation Seatback speakers
US11647327B2 (en) 2020-06-01 2023-05-09 Bose Corporation Backrest speakers
US11813970B2 (en) 2020-09-02 2023-11-14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Seating means with actuators for sound emission
DE102021204590A1 (de) 2020-09-02 2022-03-03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Gestühl mit Aktuatoren zur Beschallung
US11691552B2 (en) * 2020-10-05 2023-07-0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s that include sound cancel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25212A (fr) * 1965-02-25 1966-01-14 Appui-tête réglable et amovible pourvu d'écouteurs
US3944020A (en) * 1974-07-17 1976-03-16 Ronald Leroy Brown Speaker headrest for motor vehicles
DE7508842U (de) 1974-12-20 1976-01-02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Kopfstuetze mit lautsprecher
US4042791A (en) * 1975-02-27 1977-08-16 Murriel L. Wiseman Stereophonic head rest
US4023566A (en) * 1975-10-10 1977-05-17 Martinmaas Werner W Body-supporting means with adjustable vibratory means 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US4127751A (en) * 1975-11-27 1978-11-2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Loudspeaker with rigid foamed back-cavity
US4038499A (en) * 1976-02-02 1977-07-26 Yeaple Corporation Stereophonic pillow speaker system
US4440443A (en) * 1981-04-10 1984-04-03 Nordskog Robert A Headrest
JPS6128468Y2 (ko) * 1981-05-22 1986-08-23
US4507816A (en) * 1983-12-21 1985-04-02 Smith Jr Gray H Waterbed with sound wave system
US4638884A (en) * 1985-07-11 1987-01-27 Willis S. Cole Chambered headrest mounting for stereophonic loudspeakers
US4758047A (en) * 1987-04-13 1988-07-19 Hennington Jeffrey K Speaker equipped headrest
FI885161A (fi) * 1988-11-09 1990-05-10 Nokia Mobira Oy Arrangemang vid dubbelriktad telefonfoerbindelse.
US5170435A (en) * 1990-06-28 1992-12-08 Bose Corporation Waveguide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5398992A (en) * 1992-02-05 1995-03-21 The Walt Disney Company Seat having sound system with acoustic waveguide
FR2700305A1 (fr) * 1993-01-11 1994-07-13 Collet Claude Appui-tête de voiture stéréophonique. Combiné téléphonique.
SE9302878L (sv) * 1993-09-03 1995-03-04 Volvo Ab Anordning vid mobiltelefon
FR2713868B1 (fr) * 1993-12-13 1997-05-09 Paul Lancon Tétière ou appuie-tête comprenant une sonorisation individuelle de proximité.
US6044161A (en) * 1997-11-21 2000-03-28 Lee; Keith Pillow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2388B2 (en) 2004-06-03 2016-10-04 Tymphany Hk Limited 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axially arranged diaphrag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94491T1 (de) 2005-05-15
JP2001502878A (ja) 2001-02-27
JP4263252B2 (ja) 2009-05-13
EP0947121B1 (en) 2005-04-27
WO1999008478A1 (en) 1999-02-18
EP0947121A1 (en) 1999-10-06
DE69829943D1 (de) 2005-06-02
US20010040975A1 (en) 2001-11-15
DE69829943T2 (de) 2006-03-09
US6681024B2 (en) 200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694A (ko) 최적 음성 재생용 내장 전기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US7130440B2 (en) Chair equipped with a speaker
KR102077486B1 (ko)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JP6423906B2 (ja) 集音装置
JP4264068B2 (ja) 車両内における音響波誘導
CA2099945C (en) Telephonic headset structure for reducing ambient noise
US20090067657A1 (en) Speaker-embeddable seat and personal audio system
JP2009260524A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02502576A (ja) キャビ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H05344584A (ja) 音響装置
US4502149A (en) Multi-purpose interchangeable modular auto loudspeaker system
EP0446219A4 (en) Loudspeaker system
US11981239B2 (en) Headrest equipped with loudspeakers, and associated seat
US9967672B2 (en) Audio system
JP2006273164A (ja) 車載用音響システムおよび車載用シート
JPH05345549A (ja) 車両用音響装置
JP3207666B2 (ja) 車載用音響装置
JP2016011005A (ja) 音響装置
JPH03132198A (ja) スピーカ組込み形椅子
JP6374153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7197025B2 (ja) スピーカ付きパーティションシステム
JPS6316213Y2 (ko)
JPS6316215Y2 (ko)
KR200299113Y1 (ko) 스피커가 장착된 시트
CN117082401A (zh) 一种座椅用音响系统及车辆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