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72A -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72A
KR20000068572A KR1019997002206A KR19997002206A KR20000068572A KR 20000068572 A KR20000068572 A KR 20000068572A KR 1019997002206 A KR1019997002206 A KR 1019997002206A KR 19997002206 A KR19997002206 A KR 19997002206A KR 20000068572 A KR20000068572 A KR 2000006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fixing element
support
element according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넨로거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6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B60S1/3438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2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reinforc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B60S1/344Flat-type mounting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114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static joint
    • Y10T403/32221Articulate joint comprises pivoted clevis or channel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종단부에 원추형 홈(14)이 있는 제 1고정부(12), 다른 쪽 종단부에 조립부(20)가 있는 제 2고정부(18)를 가지는, 와이퍼 철대용 와이퍼 고정 소자에 관한 것이다.
길이 방향의 가공완료된 중앙지지대(22)로 구성된 와이퍼 고정 소자 및 지지대(22)의 두 종단(10, 16)에 주조된, 상호 떨어져 있는 헤드(24, 26)로 구성된 고정부(12, 18)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asten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와이퍼 특히 와이퍼 철대용 고정 소자는 압력주조 금형을 사용하는 압력 주조에 의해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제조된다. 아연은 가공성이 매우 좋으며 주조기를 보호하고 제품 표면이 양호하다. 하지만 아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중을 받는 부위의 상이 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소재가 딱딱해지므로 파손의 위험성이 커진다. 와이퍼 고정 소자의 길이가 길면, 굽힘 응력이 커지므로 이 효과는 더욱 커지며 예컨대 암나사로 톱니 형상의 원추형 와이퍼 동축에, 압착력을 가해 조립되는 원추형 홈 부위 같은, 다른 부품과 연결부위에 특히 심하다. 이 부위는 굽힘 응력 외에 인장 응력이 부가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더욱 증가한다.
EP 0 584 018 A1에 합성 수지로 입혀진 판재 와이퍼 고정 소자가 공지되어있다. 이 판재는 한 종단부에 원추형 홈이 있으며, 다른 쪽 종단에 축 조립부가 있다. 조립 부위는 합성 수지로써 인장 스프링을 걸기 위한 구멍이 있다. 이 판재는 원추형 홈 영역의 바깥 주위로 공동 - 내지는 돌출부가 있으며, 이로써 합성 수지 표피와 판재 사이가 양호하게 밀폐될 수 있다.
조립할 때, 와이퍼 고정 소자는 판재의 원추형 홈으로 직접 동축에 끼워지므로, 동축의 톱니 구조가 손상되어, 부품을 교체할 경우 동력 전달이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DE 44 44 328 A1에 아연, 아연합금 또는 알루미늄 내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와이퍼 고정 소자가 알려져 있으며, 최소한 원추형 홈 부위는 보강재를 사용하여 홈을 둘러싸고, 최소한 부분적으로 와이퍼 고정 소자바디 안으로 확장된다.
보강재는 최소한 와이퍼 고정 소자 바디의 표면까지 확장되는 돌기를 가진다. 따라서 조립할 때, 보강재는 정확히 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문제가 되는 홈 영역에서 작은 공차를 유지할 수 있다. DE 44 44 328 A1에서는 보강재를 와이퍼 고정 소자 바디 전체로 확장시킴으로써, 소재를 절약한 얇은 고정장치를 제안하였다.
형상이 일치하는 좁은 개구부, 홀 또는 길쭉한 홈 등을 사용하여 보강재와 연결함으로써, 주조재와 보강재 사이의 소재차이를 극복한 연결을 할 수 있다.
조립할 때 동축 톱니 구조의 손상을 막기 위해, 약 1.5 mm 두께의 주물재로 홈의 중심축에 접하는 부위를 보강재로 에워싸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톱니 구조는 연질의 주물재에 묻히게 되며, 구조적으로 잘 들어맞아 높은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두께가 얇으므로 굽힘 응력과 인장 응력은 대부분 보강재가 흡수한다.
와이퍼 고정 소자의 길이가 긴 경우, 아연 대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내구강도를 증가시키고 취성파괴를 저지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압력 주조장비를 손상시키므로 후가공 비용이 증가하며 장비의 내구성이 감소한다. 또한 알루미늄 가격이 아연보다 높다.
현재 기술분야의 상기 고정 소자들은, 주형을 사용하여 주조 내지는 변형주조 된다. 길이 또는 형상이 다양한 고정 소자를 주조하려면 모든 변형형태에 대해 각각의 주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와이퍼 철대용 고정 소자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고정 소자의 하부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변형형태의 도면.
도 4는 도 2의 변형형태의 도면.
도 5는 와이퍼 고정 소자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Ⅳ-Ⅳ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변형형태의 도면.
도 9는 조절기가 설치된 와이퍼 고정 소자와 두 개의 압력주조 금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주로 강철 또는 강철합금으로, 굽힘 단조로 가공되며, 길이방향의 완전 가공된 중앙 지지대로 구성되는 와이퍼 고정 소자를 제안한다. 미리 가공된 지지대의 종단부에, 원추형 홈과 와이퍼 철대 조립부분인 고정부위가 헤드형태로 상호 별도로 주조되어 부착된다. 헤드용 주조재로는 아연, 아연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이 좋으며, 특수한 형상의 경우 합성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와이퍼 고정 소자를 여러 가지로 변형시킬 경우, 대부분 길이와 형상만 차이가 나므로 고정부는 항상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고정 소자는, 갖가지 형상의 지지대에 표준화된 헤드를 주조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많은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비용으로 다양한 변형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필요한 장비 및 거기에 따른 손료 역시 감소된다. 와이퍼 고정 소자 전체에 대한 금형이 필요치 않으며, 단지 끝 부분만 주조하므로 금형이 작아지고 주조재 역시 절약된다. 또한 지지대를 돌기부가 없는 상태에서 정확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주조 장비와 조립 장비가 기능적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되므로 경제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강철, 강철 합금 같은 굽힘 강도가 큰 지지대와 동공, U-형상, T-형상을 사용하여 바람에 저항이 적은 가볍고, 날씬한 와이퍼 고정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종속 청구항의 특징을 통해 와이퍼 고정 소자의 유용성을 확장할 수 있다. 와이퍼 고정 소자의 홈 부위는 지렛대 자루의 가장 긴 부분이므로, 가장 큰 굽힘 응력이 발생하여 특히 파괴 및 뒤틀림에 대한 위험도가 높다. 또한 원추형 홈을 원추형 동축에 조립할 때 발생하는 인장력이 굽힘 응력에 추가된다. 따라서 헤드의 이 부위에 항장력이 있는 소재로 된, 홈을 감싸는 삽입부를 주조하여, 인장 응력과 굽힘 응력을 흡수함으로써, 주조재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삽입부 소재로는 강철, 강철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전문가가 인정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가공성이 양호하며 표면이 좋아야 한다는 주조재가 갖추어야 할 사양도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한다. 헤드부, 특히 삽입부에서 지지대로의 양호한 동력 전달을 위해, 본 발명의 구조는 삽입부와 지지대가 구조적으로 또 동력 전달이 기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연결하였다. 주조재를 적게 사용하여 전체 헤드를 얇고, 가볍게 구성하여 지지대와 헤드 연결부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예컨대, 합성 수지 같은 강도가 낮은 주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삽입부와 지지대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소켓 연결 및 조임 연결을 사용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삽입부가 원추형 동축으로 직접 원추형 홈에 결합되면, 동축의 표면이 특히 톱니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손상된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려면 동축을 경화시켜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는 홈 중심축의 삽입부에 두께 약 1.5 mm의 주물막을 입히는 것을 제안한다. 동축 톱니 구조는 연질의 소재에 묻히며 기밀하게 결합되어 톱니 구조의 손상 없이 높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압축력, 굽힘 응력 등과 같은 기계적인 부하는 두께가 얇으므로 삽입부가 거의 흡수한다.
홈의 중심축에 접하는 주조재는 주조기의 제 2통로를 통해 주입된다. 이때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주조재는 단지 하나의 통로를 통해 주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홈의 상부 및/또는 하부 전면까지 이 통로가 이어지므로, 안쪽과 바깥쪽의 주조재가 상호 연결된다. 헤드를 제조할 때 주조재는 이 영역을 통해 홈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그 역 방향으로 흘러간다. 또 홈에 배출부를 설치 내지는 배출부가 있는 홈을 사용하여 주조재가 빠르고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정부는 원추형 홈이 있는 암나사를 사용하여 위쪽으로부터 원추형 동축에 압착 조립된다. 따라서 홈의 위쪽, 좁은 영역 특히 암나사가 지지되는 헤드의 표면에 특히 높은 조립 응력 내지는 표면 압착력과 인장력이 발생하여 단면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는, 삽입부 홈의 좁은 구역 안쪽으로 밴드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밴드는 헤드의 표면에 이르므로, 암나사가 삽입부에 지지될 수 있고 홈의 가장 위쪽, 가장 좁은 영역의 표면 압착력과 인장력을 밴드가 완전히 흡수할 수 있다.
와이퍼 고정 소자 제 2헤드에 와이퍼 철대용의 조립부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철대는 한 축을 통해 와이퍼 고정 소자와 연결되며, 이 축은 와이퍼 고정 소자의 축상에 설치된다. 와이퍼 고정 소자에서 지지테가 인장 용수철로 핀에 설치되며, 이 용수철은 와이퍼 철대와 연결되어, 두 부품에 상호 장력을 주고, 와이퍼가 유리면을 눌러 주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헤드에 축상이 주조되므로 추후 조립 공정이 단축된다. 하지만 주조재가 충분한 윤활 특성이 있거나 또는 축이 주조재 안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비교적 작은 상대운동을 하는 경우, 축은 직접 주조재에 설치된다.
또한 헤드에 인장 스프링용 핀을 주조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즉 헤드 영역에서 지지대를 주조재 밖으로 돌출시켜 인장 스프링을 걸 수 있는 구멍 또는 보강면을 갖도록 만들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와이퍼 고정 소자용의 핀을 제조할 필요가 없다.
주조재와 지지대의 재질의 차이에 기인한 기밀성 있는 결합을 위해서, 지지대에 예컨대 까치발이나 관통 홈이 있는 구멍, 길쭉한 홈 내지는 보강면, 돌기, 동공 등을 형상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다. 아연 또는 아연 합금의 경우, 압력 주조를 할 때 지지대와 금속간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사항이 특히 중요하다.
와이퍼 고정 소자 제조 방법은 하나의 주조기와 두 개의 주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지지대에 표준 헤드를 주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압력주조주형을 가공해야할 대상에 따라 지지대의 끝에서 동시에, 또는 차례로 설치하여 주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압력 주조 금형은 크기가 작고 지지대 고정용 장비가 필요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무엇보다도 본 방법에서는 압력 주조 금형 사이에 조절기를 설치하여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압력 주조 금형을 상호 조절한다. 조절기는 여러 가지 변형형태를 감안하여 교환이 용이하고, 압력 주조 금형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대 고정이 용이하다.
도 1은 도에 표기하지 않은 원추형 동축에 설치되는 와이퍼 철대 내지는 와이퍼블레이드용 와이퍼 고정 소자이다. 와이퍼 고정 소자의 한 종단은 원추형 홈(14)이 있는 제 1고정부(12), 다른 쪽 종단은 와이퍼 철대용 조립부(20)가 있는 제 2고정부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고정 소자는, 길이방향의 가공 완료된 중앙지지대가 있으며, 그 종단(10, 16)에 두 개의 상호 별도로 주조된 헤드(24, 26)로써, 고정부(12)가 있다. 지지대(22)의 소재는 강철 또는 강철합금 같은 인장강도가 높은 소재가 적합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굽힘 단조로 제조된다. 헤드(24, 26)의 소재로는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그의 합금과 같은 주조성이 좋은 소재가 적합하며, 아연의 경우 주조기를 부식시키지 않으므로, 장비의 내구성에 기여하며 양호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지지대(22)의 종단부(10, 16)에는 예컨대 구멍(44, 46), 공동(48, 50)등과 같은 형상부가 있어, 주조된 헤드(24, 26)와 지지대(22)가 잘 들어맞는 구조로, 소재차이로 나타날 수 있는 연결의 기밀성을 보강할 수 있다.
홈(14) 부위는 원추형 동축에 조립할 때 나타나는 인장 응력과, 긴 지렛대 자루에 기인한 높은 굽힘 응력으로 인해 파괴와 비틀림에 대한 위험도가 매우 크다(도 2). 파괴 - 및 뒤틀림-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홈(14)을 감싸는 삽입부(28)를 헤드(24)에 주조한다. 굽힘 응력과 인장 응력은 삽입부(28)에 의해 거의 완전히 흡수된다. 홈(14)은 암나사로 위로부터 동축에 눌리게 되며, 따라서 홈(14)의 위쪽, 좁은 영역(74)에 특히 큰 응력이 발생한다. 도 4의 변형 형태에서는, 삽입부(72)는 홈(14)의 좁은 부위(74)에 밴드(76)를 가진다. 밴드(76)는 헤드(24)의 표면까지 이른다. 따라서 암나사는 삽입부(72) 밴드(76)에 지지되며, 홈(14) 상부영역(74)의 면압착력과 인장력은 밴드(70)가 거의 완전히 흡수하고, 따라서 나머지 주조재에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된다. 암나사는 일반적으로 소자(86)로 둘러싸이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암나사가 지지된다. 삽입부(28)의 소재는 강철, 강철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인장 강도와 굽힘 강도가 좋은 소재가 적합하다.
삽입부(28)가 원추형 동축에 직접 설치되면, 동축이 톱니 형상으로 표면 경화가 되지 않은 경우 특히 표면이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삽입부(28)에, 홈(14)의 중심축(30)에 대한 주물층(52)을 갖도록 주조할 것을 제안한다. 주물층(52)은 삽입부(28)와 동축 사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1.5 mm의 두께를 갖는다. 이로써 연질의 주물재가 입혀진 동축의 톱니 구조는, 조립될 때 손상될 위험이 없으며 굽힘 응력과 인장 응력은, 주물층 두께가 얇으므로 삽입부(28)가 거의 완전하게 흡수한다. 안쪽 주물층(52)은 주조기의 제 2 통로를 통해 주입된다.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안쪽 주물층(52)이 삽입부(72) 전면(80)의 한 구역(78)을 통해 나머지 헤드(24)와 연결되므로, 헤드(24)와 안쪽 주물층(52)은 하나의 통로만을 사용하여 주조된다. 구역(78) 주위에서 주조재는 삽입부(72)의 밖에서 안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배출부(84)를 통해 분배되며, 이 배출부(84)로 인해 주조재가 균일하고 빠르게 분배된다. 구역(78)과 배출부(84)는 함께 또는 별도로 활용할 수 있다. 삽입부 전면(82)에서, 주물층(52)이 나머지 헤드와 도에 표시하지 않은 구역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의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22)로부터 삽입부(54)로 연결부에 응력 집중 현상 없이, 지지대(22)로부터 삽입부(54)로 동력 전달이 잘되게 하기 위해, 삽입부(54)가 소켓 연결부(56)를 통해, 지지대(22)와 구조적으로 및/또는 동력 전달이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헤드(26)에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와이퍼 철대가 한 축을 통해 설치된다(도 5). 와이퍼 철대와 와이퍼 고정 소자는 역시 도에 나타나지 않은 인장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며, 인장 스프링은 아래쪽으로부터 핀(34)에 하나의 고리로 매달려 있다. 축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축상(32) 및/또는 인장 스프링에 대해서는 핀(34)이 헤드(26)에 주조되므로 조립 작업이 간단해 진다. 도 6과 도 7에서 축상(32)이 완전히 주물재로 둘러싸이므로 안전하게 고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의 변형형태의 경우, 지지대(22)는 핀(34) 대신 헤드(26)로부터 돌출된 부위(58)를 가지며, 이 부위에 구멍(36), 보강면 또는 하나의 형상부가 있어 고리 또는 스프링을 걸 수 있다. 따라서 핀(34)이 불필요하다.
와이퍼 고정 소자를 제조할 때 일단 지지대(22)를 인장기에 고정시킨다. 인장기는 일반적으로 지지대(22)를 바깥쪽 두 장소(68, 70)에 고정시키는, 조절기(38)로 구성된다(도 9). 그 다음 두 개의 압력 주조 금형(40, 42)이 순서대로 또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지지대(22)에 맞춰 설치된다. 조절기(38)를 사용하여 예컨대 원추형 볼트(64, 66)와 같은 소자가 있거나, 또는 이러한 소자가 없는 조립면(60, 62)에 압력 주조 금형(40, 42)을 빨리 조립할 수 있다. 만약 압력 주조 금형(40, 42)이 제대로 위치를 잡으면, 금형은 닫혀지며 지지대(22)의 종단부(10, 16)를 기밀하게 감싼다. 주물재는 가압 상태로 압력 주조 금형(40, 42)에 주입되고, 지지대(22)의 종단부(10, 16)를 둘러싼다. 만약 치수만 다르고 헤드(24, 26)는 동일한 와이퍼 고정 소자를 제조하려면, 조절기(38)만 교환하고 주조 금형(40, 42)은 새로운 조절기(38)에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7)

  1. 한쪽 종단부에 원추형 홈(14)이 있는 제 1고정부(12)와, 다른 쪽 종단부에 조립부(20)가 있는 제 2고정부(18)를 가지는 와이퍼 고정 소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 18)는 길이 방향의 완전 가공된 중앙 지지대(22)의 두 종단(10, 16)에 주조된 상호 떨어져 있는 헤드(24, 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추형 홈(14)이 있는 제 1헤드(24)에는 홈(14)을 감싸는 삽입부(28, 54, 72)가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삽입부(54)는 지지대(22)와 구조적으로 또는 동력 전달이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삽입부(28, 54, 72)는 홈(14)의 중심축(30)에 대한 주물층(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72)는 홈(14)의 좁은 부위(74)쪽에 하나의 밴드(7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주물층(52)은 삽입부(72)의 최소한 하나의 전면(80, 82)에 있는 구역(70)을 통해 또는 삽입부(72)의 최소한 하나의 배출부(84)를 통해 나머지 주물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헤드(26)에는 하나의 축상(32)이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헤드(26)에는 하나의 핀(34)이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22)는 제 2헤드(26)로부터 하나의 구멍 또는 보강면이 있는 돌출된 구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22)는 형상부를 통해 하나 또는 두 개의 헤드(24, 26)와 구조적으로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24, 26)는 아연, 아연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내지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개의 헤드(24, 26)는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22)는 강철, 강철합금 또는 알루미늄 내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28, 54, 72)는 강철, 강철 합금 또는 알루미늄 내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고정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와이퍼 고정 소자 제조순서는 지지대(22)를 조절기(38)에 고정시키고, 압력 주조 금형(40)을 지지대(22)의 종단(10)에 설치하며, 압력 주조 금형(40)이 닫히고 지지대(22) 종단(10)이 기밀하게 차단되며, 주물재가 가압 상태로 압력 주조 금형(42)에 주입되어 지지대(22)의 종단(16)을 감싸는 순서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고정 소자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압력 주조 금형(40, 42)은 동시에 지지대(22)의 종단부(10, 1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압력 주조 금형(40, 42) 사이는 조절기(3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2206A 1997-07-17 1998-06-18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68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0579.2 1997-07-17
DE19730579A DE19730579A1 (de) 1997-07-17 1997-07-17 Befestigungselement sowie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72A true KR20000068572A (ko) 2000-11-25

Family

ID=783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06A KR20000068572A (ko) 1997-07-17 1998-06-18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7985B1 (ko)
EP (1) EP0928264B1 (ko)
JP (1) JP2001501892A (ko)
KR (1) KR20000068572A (ko)
DE (2) DE19730579A1 (ko)
WO (1) WO1999003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5565B4 (de) * 2002-08-03 2014-05-08 Robert Bosch Gmbh Verstärkungselement für ein Befestigungsteil
DE10355799A1 (de) * 2003-11-28 2005-06-23 Robert Bosch Gmbh Wischerar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scherarms
EP2138363B2 (en) 2008-06-27 2018-07-25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WO2010009922A1 (en) * 2008-07-22 2010-01-28 Nv Bekaert Sa Composite wiper arm
DE102009046447A1 (de) * 2009-11-06 2011-05-12 Robert Bosch Gmbh Buchse für eine Antriebseinheit, sowie Antriebseinheit
PL228738B1 (pl) * 2012-10-08 2018-04-30 Valeo Autosystemy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topka wycieraczki, zwłaszcza wycieraczki samochodowej i sposób jej wytwarzania
CN103862245B (zh) * 2014-03-31 2016-01-27 宁波市法莱欣科技有限公司 一种雨刮器接头的制作方法
US20180370494A1 (en) * 2017-06-26 2018-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wip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1535358B2 (en) * 2020-06-25 2022-12-27 Rosemount Aerospace Inc. Lightning strike protection for an aircraft windshield wip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356A (en) * 1971-02-19 1974-04-02 I Ito Windshield wiper for automobile or the like
FR2555112B1 (fr) * 1983-11-17 1989-06-02 Champion Spark Plug Europ Bras moteur pour balai d'essuie-glace
US4564971A (en) * 1984-08-06 1986-01-2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equipment
IT207789Z2 (it) * 1986-04-02 1988-02-15 Fister Spa Braccio tergicristallo di tipo perfezionato
JPH0529179Y2 (ko) * 1987-12-11 1993-07-27
GB8823888D0 (en) * 1988-10-12 1988-11-16 Trico Folberth Ltd Drive connection for arm of windscreen wiper
FR2651192B1 (fr) * 1989-08-28 1994-12-09 Raymond Bacconnier Systeme d'essuie-glace a force de contact reglable a distance.
JP2522984Y2 (ja) * 1990-07-13 1997-01-22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ワイパアームの軸受部構造
DE4134980B4 (de) * 1991-10-23 2005-12-22 Itt Automotive Europe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694910B1 (fr) * 1992-08-19 1994-11-25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à tête d'entraînement perfectionnée.
US5647680A (en) * 1992-09-16 1997-07-15 Itt Automotive Europe Gmbh Wiper arm
JPH0781526A (ja) * 1993-07-22 1995-03-28 Nippondenso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FR2716852B1 (fr) * 1994-03-03 1996-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ête d'entraînement perfectionnée.
DE4408732A1 (de) * 1994-03-15 1995-09-21 Teves Gmbh Alfred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4444328A1 (de) * 1994-12-13 1996-06-20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element für Scheibenwischer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FR2739822B1 (fr) * 1995-10-16 1997-11-28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e rappel elastique perfectionnes
FR2743040B1 (fr) * 1995-12-27 1998-01-30 Valeo Systemes Dessuyage Mecanisme d'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guidage et d'etancheite pour la traversee d'une tole par un arbre d'entrainement
FR2746744B1 (fr) * 1996-03-29 1998-06-19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5755005A (en) * 1997-01-23 1998-05-26 Turbessi; Timothy Wiper assembly attach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8264B1 (de) 2004-01-28
WO1999003713A1 (de) 1999-01-28
JP2001501892A (ja) 2001-02-13
US6467985B1 (en) 2002-10-22
DE19730579A1 (de) 1999-01-21
EP0928264A1 (de) 1999-07-14
DE59810669D1 (de)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7775C (en) Lightweight heavy duty bushing with easy assembly
US9073403B2 (en) Hybrid component
KR20000068572A (ko) 와이퍼 고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2481818B (zh) 横向板簧的支承件设备
CN108327792B (zh) 混合结构的轴架
JP2006200601A (ja) 伝動装置用ガイド
KR20110019365A (ko) 샤프트 장치용 탄성 조인트 바디
CN111163953A (zh) 利用固定销的车辆用混合悬架臂制造方法及利用此制造的混合悬架臂
WO2016089891A1 (en) Multi-piece bar pin for elastomeric bushing assembly
KR20190090381A (ko) 차량의 알루미늄 사이드 레일과 콘트롤 아암 사이의 연결 장치
US7229087B2 (en) Rear axle assembly for an automobile
US4696459A (en) Plastic leaf spring with at least one spring-eye body or spring-eye section
US5046778A (en) Reduced weight vehicle door pillar
KR101570320B1 (ko) 차량의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용 본딩형 부시
JP4515782B2 (ja) 型盤及びそれを用いた型締装置,射出成形機
US6651966B2 (en) Aggregate bearing in bushing form
JP4226352B2 (ja) トルクロッド
ITTO940310A1 (it) Trascinatore a flangia per un giunto cardanico
AU2012216444B2 (en) Sound dampening conveyor chain flight
CN220760977U (zh) 一种压铸机十字头
US20040037631A1 (en) Cast fixing element for a wiper arm
KR101444952B1 (ko) 실린더블록 조립체 제조방법
KR102286925B1 (ko) 복합 재질 부시
JP4205003B2 (ja) セラミックスラドル
KR20010020305A (ko) 튜브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