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659A - 전자식 안정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659A
KR20000067659A KR1019990015662A KR19990015662A KR20000067659A KR 20000067659 A KR20000067659 A KR 20000067659A KR 1019990015662 A KR1019990015662 A KR 1019990015662A KR 19990015662 A KR19990015662 A KR 19990015662A KR 20000067659 A KR20000067659 A KR 2000006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pacitor
terminal
output
lamp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975B1 (ko
Inventor
김대봉
최낙춘
Original Assignee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9001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975B1/ko
Priority to US09/561,679 priority patent/US6215255B1/en
Publication of KR2000006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lamp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4Dimming circuit for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는 전압원, 램프 구동 회로, 하프 브리지 컨버터, 램프부, 램프 보호부를 포함하며, 전압원은 전원을 공급하고, 램프 구동 회로는 전압원의 전원을 제1단자를 통해 공급받아 구동을 시작하며, 제2, 제3 단자를 통해 PWM파를 출력하고, 하프 브리지 컨버터는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단자에 입력측의 양단이 연결되고,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 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램프 구동 회로의 PWM파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교번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램프부는 일단이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라 동작하고, 램프 보호부는 램프부의 타단과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부의 램프가 없는 경우에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중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는 램프가 없는 경우에 램프 구동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안정기{AN ELECTRONIC BALLAST SYSTEM}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식 안정기를 구동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안정기는 램프의 최초 구동과 정상 상태에서의 안정된 전원공급을 하는데,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는 통상 램프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와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 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는 램프 구동 회로에 DC-DC 컨버터의 상, 하측 스위치가 만나는 점으로부터 램프를 거치지 않고 전원을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램프 구동 회로에 대한 전원 공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나 디밍(dimming) 시에는 램프의 구동 주파수가 빨라지고 데드(dead) 타임도 작아지게 되는데, 이 때 램프 구동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인해 데드 타임 동작에 제한을 주게 된다. 즉, 컨버터의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로 인해 스위치 사이 지점의 전압이 스위칭 시에 영이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영전압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 :ZVS) 동작이 깨어지고, 스위칭 모스펫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램프의 정상적인 구동이 어려워진다.
또한, 램프를 통하지 않고 램프 구동 회로에 전원이 공급됨으로 인하여 램프가 없는 경우에도 램프 구동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계속 공급해 주어 스위칭 모스펫의 번아웃(burnt-out)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막기 위해 별도의 램프 구동 회로에 램프가 없는 경우에 램프 구동 회로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를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 주파수의 변화에 관계없이 정상적 동작을 하는 전자식 안정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램프 구동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없이도 램프가 없을 때에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전자식 안정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전자식 안정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램프 구동 회로의 상세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의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는 전압원, 램프 구동 회로, 하프 브리지 컨버터, 램프부, 램프 보호부를 포함하며, 전압원은 전원을 공급하고, 램프 구동 회로는 전압원의 전원을 제1단자를 통해 공급받아 구동을 시작하며, 제2, 제3 단자를 통해 PWM파를 출력하고, 하프 브리지 컨버터는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단자에 입력측의 양단이 연결되고,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 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램프 구동 회로의 PWM파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교번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램프부는 일단이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라 동작하고, 램프 보호부는 램프부의 타단과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부의 램프가 없는 경우에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중지하게 한다.
또한, 전압원과 램프 구동 회로의 제1단자 사이에 저항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저항과 램프 구동 회로의 제1단자의 공통 단자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항을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와 램프 구동 회로 제1단자의 공통 단자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일정 전위 이상으로 유지케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 구동 회로는 기준 전류 발생부, 램프 구동 스타팅부, 소프트 스타팅부, 삼각파 발진기, 가산기, 제1 전류원, PWM파 발생기, PWM파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전류 발생부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고, 램프 구동 스타팅부는 제1단자를 통해 전압원의 전원을 입력받아 램프 구동 회로의 구동을 스타팅시키고, 소프트 스타팅부는 램프 구동 스타팅부의 스타팅 신호와 기준 전류 발생부의 기준 전류를 입력받아 램프 초기 구동 전류를 출력하며, 램프를 소프트 스타트시키고, 삼각파 발진기는 삼각파를 출력하고, 가산기는 삼각파 발진기의 출력 삼각파 전류와 소프트 스타팅부의 출력 전류를 입력받아 더하여 출력하고, 제1 전류원은 가산기에 연결되어 가산기의 출력전류를 선택적으로 분류하고, PWM파 발생기는 가산기와 상기 제1 전류원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어 가산기의 출력전류를 입력받아 PWM 파를 출력하고, PWM파 분배기는 PWM파 발생기의 출력 PWM파를 입력받아 제2, 제3 단자를 통해 PWM파를 교대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전자식 안정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램프 구동 회로의 상세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전자식 안정기는 전압원(Vin),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 램프부(200), 램프 구동 회로(300), 램프 보호 부(400), 저항(R1, R5), 커패시터(C1, C2, C3), 다이오드(Z1)를 포함한다.
저항(R1)의 일단은 전압원(Vin)에 연결되고,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는 전압원(Vin)에 연결되고, 램프부(200)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에 연결되고, 램브 보호부(400)는 램프부(200)에 연결되고, 램프 구동 회로(300)는 6개의 단자(①~⑥)를 가지며, 단자(⑤, ⑥)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 양단에 연결되고, 단자(④)는 저항(R1)과 램프 구동 회로(300)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2)는 단자(①)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3)는 단자(②)와 커패시터(C2)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R5)는 단자(③)와 커패시터(C2)와 커패시터(C3)의 공통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다이오드(Z1)은 램프 구동 회로의 단자(④)와 저항(R1)의 공통 단자와 커패시터(C2, C3)와 저항(R5)의 공통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1)은 다이오드(Z1)에 병렬로 연결된다.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는 저항(R2, R3), 변압기(T1), 트랜지스터(Q1, Q2)를 포함하며, 변압기(T1)는 2차측 코일을 상,하단 2개를 가지며, 변압기(T1)의 1차측 코일의 양단은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⑤)와 단자(⑥)에 연결되고, 저항(R2)는 변압기(T1)의 2차측 코일의 상단 코일의 상부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소스는 전압원(Vin)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저항(R2)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변압기 2차측 코일의 상단 코일의 하부에 연결되고, 저항(R3)는 변압기(T1) 2차측 코일의 하단 코일의 상부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2)는 드레인은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과 상단 코일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저항(R3)에 연결되고, 소스는 하단 코일의 하부에 연결된다.
램프부(200)는 인덕터(L1), 커패시터(C5, C6, C7), 램프(Lamp)을 포함하며, 인덕터(L1)의 일단은 트랜지스터(Q1)과 트랜지스터(Q2)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램프(Lamp)는 인덕터(L1)의 타단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5)는 램프(Lamp)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C6)은 전압원(Vin)과 램프(Lamp)와 커패시터(C5)의 공통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7)은 램프(Lamp)와 커패시터(C5)의 공통 단자와 트랜지스터(Q5)의 소스 사이에 연결된다.
램프 보호부(400)는 다이오드(D1, D2)와 커패시터(C4)를 포함하며, 커패시터(C4)는 커패시터(C6)과 커패시터(C7)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커패시터(C4)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트랜지스터(Q2)의 소스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커패시터(C4)와 다이오드(D1)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램프 구동 회로의 단자(④)에 연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구동 회로(300)는 기준 전류 발생부(310),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 소프트 스타팅부(330), 삼각파 발진기(340), 가산기(A1), 전류원(I1), PWM파 발생기(350), PWM파 분배기(360)를 포함한다. 기준 전류 발생부(310)는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③)에 연결되고,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는 단자(④)에 연결되고, 소프트 스타팅부(330)는 기준 전류 발생부(310)와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에 연결된다. 삼각파 발진기(340)와 소프트 스타팅부(330)는 가산기(A1)에 연결되고, 가산기(A1)는 단자(②)와 전류원(I1)에 연결되고, PWM파 발생기(350)는 전류원(I1), 가산기(A1), 단자(②)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PWM파 분배기(360)는 PWM파 발생기(350)와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에 연결되고, PWM파 분배기(360)의 출력단자는 단자(⑤)와 단자(⑥)에 연결된다.
기준 전류 발생부(310)는 저항(R7, R8), 커패시터(C7), 비교기(COM1), 트랜지스터(TR1)을 포함하며, 저항(R6)의 일단은 단자(③)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8)은 저항(R6)의 타단과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고, 비교기(COM1)의 -단자는 커패시터(C8)과 저항(R6)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단자에는 기준 전압(Vref)이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는 비교기(COM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저항(R7)에 연결된다. 전류미러(311)는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연결된다.
소프트 스타팅부(330)는 전류원(I2), 스위치(S2, S3), 감산기(D1), 곱셈기(M1)를 포함하며, 스위치(S2)는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와 단자(①) 사이에 연결되고, 스위치(S3)는 단자(①)에 연결되고, 전류원(I2)는 스위치(S2)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고, 감산기(D1)는 단자(①)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을 입력받는다. 곱셈기(M1)는 감산기(D1)와 전류 미러(311)에 연결된다.
PWM파 발생기(350)는 비교기(COM2, COM3), 래치(351)를 포함한다. 비교기(COM2)의 +단자에는 1V를 입력받고, -단자에는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을 입력받고, 비교기(COM3)의 +단자에는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을 입력받고, -단자에는 3V 전압을 입력받고, 래치(351)의 R단자는 비교기(COM2)의 출력단자가 연결되고, 래치의 S 단자는 비교기(COM3)의 출력단자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식 안정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구동시에 전압원(Vin)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그 구동을 시작한다. 전압원(Vin)에서 공급된 전류는 저항(R1)을 통해 커패시터(C1)를 충전한다.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램프 구동 회로(300)는 구동을 시작한다. 즉, 도2에 도시된 램프 구동 회로의 단자(④)에 입력되는 전압이 일정 레벨 이상일 때에 램프 구동 스타팅부가 동작을 시작한다. 즉, 도2에 도시된 스위치(S2)는 최초에 오프상태에 있다가 램프 구동 스타팅부의 동작이 시작되면 온된다. 또한, 스위치(S3)는 최초에 온상태이기 때문에, 최초에 커패시터(C2)의 충전전압이 그라운드 전압상태에서 스위치(S2)가 오프되면 커패시터(C2)의 충전전압이 상승한다. 이 때, 커패시터(C2)의 충전전압의 상승속도는 커패시터(C2)에 의해 결정된다. 즉, 커패시터(C2)의 용량이 작으면 충전전압의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커패시터(C2)의 용량이 커지면 충전전압의 상승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커패시터(C2)의 존재로 인해 램프 구동회로를 소프트 스타팅 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도2의 기준 전류 발생부(310)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비교기(COM1)의 +단자에는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는데, 비교기(COM1)의 -단자의 전압도 기준전압(Vref)이 되고, 저항(R6)로 흐르는 전류도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저항(R5)의 전압은 기준전압(Vref)이 된다. 따라서, 저항(R5)에 흐르는 전류는 Vref/R5 가 되는데, 저항(R6)에 흐르는 전류는 0에 가깝기 때문에 저항(R7)에 흐르는 전류(Is)도 Vref/R5 가 된다. 전류미러(311)는 저항(R7)에 흐르는 전류(Is)를 입력받아 이에 비례하는 기준전류(Ik)를 출력한다. 따라서, 기준 전류 발생부(310)가 출력하는 기준전류(Ik)는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③)에 연결된 저항(R5)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감산기(D1)은 기준 전압(Vref)과 커패시터(C2)의 충전 전압(Vc2)와의 차를 출력하고, 곱셈기(M1)는 기준 전류 발생부(310)에서 출력하는 기준 전류와 감산기의 출력값을 곱하여 가산기(A1)에 출력한다. 그 출력전류(Ih)는 Ik×(Vref-Vc2)/Vref 이다. 이 출력전류(Ih)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곱셈기(M1)의 출력전류(Ih)와 삼각파 발진기(340)의 출력 삼각파 전류(Ic)를 덧셈기(A1)는 입력받고 이를 합한 출력 전류를 커패시터(C3)에 공급한다.
도3은 커패시터(C3)의 충전전압을 도시한 것이다.
가산기(A1)의 출력전류(Ia)는 삼각파 전류(Ic)와 직류 전류(Ih)의 합한 전류이므로, 도3의 (a) 형태의 전류가 되고, 이 전류가 충전되는 커패시터(C3)의 충전전압도 도3의 (a)가 된다.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은 비교기(COM3)의 -단자의 입력전압인 3V와 비교기(COM2)의 +단자 입력전압인 1V 사이를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비교기(COM3)의 -단자 입력전압과 비교기(COM2)의 +단자 입력전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은 1V와 3V 사이를 움직이는 삼각파 형태이므로, 래치의 출력 파형은 도3의 (b)와 같이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커패시터(C3) 충전 전압이 1V에서는 비교기(COM2)의 출력값(래치의 R단자의 입력값)은 1이고, 비교기(COM3)의 출력값(래치 S단자의 입력값)은 0이므로, 래치의 출력값()은 1이 되고, lV에서 3V로 증가하는 구간에서는 비교기(COM2)의 출력값과 비교기(COM3)의 출력값 모두가 0가 되므로, 래치의 출력값()은 이전값인 1을 유지한다. 또한, 커패시터(C3) 충전 전압이 3V가 되면 비교기(COM3)의 출력값은 1이 되고, 비교기(COM2)의 출력값은 0이 되므로, 래치의 출력값()은 0가 된다. 또한, 이 때 래치 출력값(Q)는 1이 되는데, 출력값(Q)이 1이 되면, 스위치(S1)과 스위치(S3)가 온된다. 스위치(S1)이 되면 커패시터(C3)에 충전되는 전류를 전류원(I1)의 전류치만큼 분류하므로, 커패시터(C3)의 충전전압이 감소한다. 이 때 전류원(I1)의 전류값을 가산기(A1)의 출력전류(Ia)보다 크게 설정하면, 커패시터(C3)의 전압은 충전시 속도보다 빨리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3) 충전 전압은 도3의 (a)와 같은 파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커패시터(C3)의 충전 전압이 스위치(S1)의 온 동작에 의해 3V에서 1V로 감소하는 구간에서는 비교기(COM2)의 출력값과 비교기(COM3)의 출력값 모두가 0이 되므로 래치의 출력값은 이전값인 0을 유지한다. 따라서, 래치의 출력 파형은 도3의 (b)와 같은 파형을 나타낸다.
PWM파 분배기(360)는 PWM파 발생기(350)의 출력 PWM파를 단자(⑤)와 단자(⑥)을 통해 분배한다. 즉, 도3의 (b)의 출력 PWM파를 한번은 단자(⑤)로 한번은 단자(⑥)으로 교대로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램프 구동 회로(300)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100)의 1차측 양단의 코일에 입력되는 PWM파를 생성한다.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⑤)를 통해 PWM파가 출력될 때에는 2차측 상단 코일에는 시계 반대 방향의 전류가 유기되고, 하단 코일에는 시계 방향의 전류가 유기되므로, 상단 트랜지스터(Q1)는 온되고, 하단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된다. 이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 인덕터(L1), 램프(Lamp), 커패시터(C7) 경로와 트랜지스터(Q1), 인덕터(L1), 램프(Lamp), 커패시터(C6)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의 주파수는 인덕터(L1)과 커패시터(C7)사이의 공진주파수이다.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⑥)을 통해 PWM파가 출력될 때에는 2차측 상단 코일에는 시계 방향의 전류가 유기되고, 하단 코일에는 시계 반대 방향의 전류가 유기되므로, 상단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하단 트랜지스터(Q2)가 온된다. 이 경우에는 커패시터(C6), 램프(Lamp), 인덕터(L1), 트랜지스터(Q2) 경로와 커패시터(C7), 램프(Lamp), 인덕터(L1), 트랜지스터(Q2)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의 주파수는 인덕터(L1)과 커패시터(C6) 사이의 공진주파수이다.
이상과 같은 동작 원리에 따라 램프 구동 회로(300)에 의해 램프가 구동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Lamp)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중지하게 하는 램프 보호부(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램프 보호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램프 보호부(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4), 다이오드(D1, D2)로 이루어져 있는데, 커패시터(C4)는 램프(Lamp)와 커패시터(C6, C7)의 공통단자에 연결되어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를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④)를 통해 공급한다. 램프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램프 구동 회로(300)에 전류를 공급하지만 램프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램프 구동 회로(300)로 램프 보호부(400)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램프 보호부(40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램프 구동 회로(300)의 단자(④)를 통해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에 공급된다. 즉,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압원(Vin)과 램프 보호부(400)를 통해 공급되는데, 램프 보호부(400)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는 동작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램프 구동 스타팅부(320)는 일정 전류 레벨 이상의 전류가 흘러야 구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램프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램프 구동 회로(30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램프가 없는 상태가 오래 유지되어 램프 구동 회로 내부에 과전류가 흘러 램프 구동 회로의 내부 소자가 파손(burnt ou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가 없는 상태에 흐르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램프 보호 회로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Q1)과 스위치(Q2)사이 지점(q)에 어떤 소자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 스위치(Q1)과 스위치(Q2)가 영전압 스위칭(ZVS)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위치의 동작 온도가 올라가 램프 구동 회로가 비정상적 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에 따르면, 별도의 램프 구동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없이도 램프가 없을 때에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전자식 안정기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원,
    상기 전압원의 전원을 제1단자를 통해 공급받아 구동을 시작하며, 제2, 제3 단자를 통해 PWM파를 출력하는 램프 구동 회로,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단자에 입력측의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 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PWM파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교번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
    일단이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의 출력 전류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타단과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부의 램프가 없는 경우에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동작을 중지하게 하는 램프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2. 제1항에서,
    상기 전압원과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
    상기 제4저항과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단자의 공통 단자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4저항을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제1커패시터,
    상기 제3커패시터와 상기 램프 구동 회로 제1단자의 공통 단자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일정 전위 이상으로 유지케하는 제1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3. 제1항에서,
    상기 램프 구동 회로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는 기준 전류 발생부,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상기 전압원의 전원을 입력받아 램프 구동 회로의 구동을 스타팅시키는 램프 구동 스타팅부,
    상기 램프 구동 스타팅부의 스타팅 신호와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의 기준 전류를 입력받아 램프 초기 구동 전류를 출력하며, 램프를 소프트 스타트시키는 소프트 스타팅부,
    삼각파를 출력하는 삼각파 발진기,
    상기 삼각파 발진기의 출력 삼각파 전류와 상기 소프트 스타팅부의 출력 전류를 입력받아 더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에 연결되어 상기 가산기의 출력전류를 선택적으로 분류하는 제1 전류원,
    상기 가산기와 상기 제1 전류원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가산기의 출력전류를 입력받아 PWM 파를 출력하는 PWM파 발생기,
    상기 PWM파 발생기의 출력 PWM파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제3 단자를 통해 상기 PWM파를 교대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PWM파 분배기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4. 제3항에서,
    상기 소프트 스타팅부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소프트 스타팅 시간을 결정하는 제2커패시터,
    상기 가산기와 상기 PWM파 발생부의 공통 단자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PWM파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3커패시터,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의 출력 기준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제2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5. 제4항에서,
    상기 소프트 스타팅부는,
    상기 제2 커패시터와 접지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 구동 스타팅부의스타팅 신호가 발생하면 온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강하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커패시터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어 기준전압과 상기 제2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의 차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과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의 출력 기준 전류를 입력받아 곱하여 출력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6. 제5항에서,
    상기 PWM파 발생부는,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제1단자에 입력받고, 제1전위를 제2단자에 입력받아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제2단자에 입력받고, 제2전위를 제1단자에 입력받아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값과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그 래칭값을 출력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7. 제1항에서,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는,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2, 제3단자에 1차측 코일의 양단이 연결되고, 2차측 제1,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PWM파를 교대로 출력하는 변압기,
    상기 전압원에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1 코일의 일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1 코일의 타단에 드레인이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1 코일의 출력 파형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1 코일의 공통단자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2 코일의 일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2 코일의 타단에 소스가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2 코일의 출력 파형에 따라 스위칭 하는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8. 제7항에서,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1 코일과 상기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에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는 제3저항,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제2 코일과 상기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어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에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는 제4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9. 제8항에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일단이 연결된 램프,
    상기 램프에 병렬로 연결된 제4 커패시터,
    상기 램프의 타단과 상기 전압원과 상기 제1 모스펫 트랜지스터의 공통 단자사이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
    상기 램프의 타단과 상기 제4 커패시터의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 소스 사이에 연결된 제6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10. 제9항에서,
    상기 램프 보호부는,
    상기 제5 커패시터와 상기 제6 커패시터의 공통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7 커패시터,
    상기 제6 커패시터의 타단에 캐소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모스펫 트랜지스터 소스와 상기 제5커패시터의 공통 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2 다이오드,
    상기 제6 커패시터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의 공통 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램프 구동 회로의 제1단자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
KR1019990015662A 1999-04-30 1999-04-30 전자식 안정기 KR10033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62A KR100333975B1 (ko) 1999-04-30 1999-04-30 전자식 안정기
US09/561,679 US6215255B1 (en) 1999-04-30 2000-05-01 Electric balla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62A KR100333975B1 (ko) 1999-04-30 1999-04-30 전자식 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59A true KR20000067659A (ko) 2000-11-25
KR100333975B1 KR100333975B1 (ko) 2002-04-24

Family

ID=1958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62A KR100333975B1 (ko) 1999-04-30 1999-04-30 전자식 안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5255B1 (ko)
KR (1) KR100333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43B1 (ko) * 2001-11-19 2009-09-22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드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9456B2 (en) * 2001-03-22 2002-10-22 Mediline Enterprise Corporation Sparkle suppression circuit to protect the contact terminals of operation light bulbs
US6817717B2 (en) * 2002-09-19 2004-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ystem with low and high resolution modulators
US7015652B2 (en) * 2003-10-17 2006-03-21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Electronic ballast having end of lamp life, overheating, and shut down protections, and reignition and multiple striking capabilities
KR100674873B1 (ko) * 2005-06-15 2007-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백라이트 인버터의 시간 제어회로
US7816872B2 (en) * 2008-02-29 2010-10-19 General Electric Company Dimmable instant start ballast
WO2017070009A1 (en) 2015-10-22 2017-04-27 Witricity Corporation Dynamic tuning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214A (en) * 1992-06-10 1994-05-24 Metcal, Inc. Dimmable high power factor high-efficiency electronic ballast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with automatic ambient over-temperature shutdown
US5363020A (en) * 1993-02-05 1994-11-08 Systems And Service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power controller
KR960003572B1 (ko) * 1993-09-03 1996-03-20 유연광 천마의 인공재배법
CA2206276C (en) * 1997-04-18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43B1 (ko) * 2001-11-19 2009-09-22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오드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5255B1 (en) 2001-04-10
KR100333975B1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556B2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US2018036702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0703821B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US8242754B2 (en)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half bridge and full bridge operations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6690586B2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US7106602B2 (en) Switching-bur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improving load regulation in a DC—DC converter
KR101248080B1 (ko) 여러 개의 차단된 조절 출력을 갖는 직류 전압 컨버터
US55811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an EL element
KR20000057052A (ko) 전원공급회로
KR100333974B1 (ko) 전자식 안정기
JP349288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41401B1 (ko) 보조 전원 공급회로
KR100333975B1 (ko) 전자식 안정기
EP1150417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US6016259A (en) Power supply circuit
US6208089B1 (en) Discharge-lamp lighting circuit
JP3613731B2 (ja) 無負荷時省電力電源装置
JP2001292571A (ja) 同期整流回路
JP2001037219A (ja)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9447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022887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230327664A1 (en) Switching circui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ple switching elements to synchronously turn on and off with bootstrap circuit
JP3242314B2 (ja) 放電灯用電源装置
KR100236645B1 (ko) 마이콤을 이용한 정전압 회로
JPH0320726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