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978A -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978A
KR20000066978A KR1019990014426A KR19990014426A KR20000066978A KR 20000066978 A KR20000066978 A KR 20000066978A KR 1019990014426 A KR1019990014426 A KR 1019990014426A KR 19990014426 A KR19990014426 A KR 19990014426A KR 20000066978 A KR20000066978 A KR 2000006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effect
skin
skin color
nia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374B1 (ko
Inventor
김영득
박선규
김진준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1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37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11B20/1023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wherein an asynchronous, free-running clock is used; Interpolation of sampl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색상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타민 B 혼합체를 함유하여 멜라민 생성 억제 및 각질 박리 효과를 동시에 갖는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타민 B(vitamin B) 혼합물을 건조중량으로 0.01∼1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며, 상기 비타민 B 혼합물은 티아민(tiamine; vitamin B1), 니아신(niacin; vitamin B3), 파토테닉산(pantothenic acid; vitamin B5), 피리독신(pyridoxine; vitamin B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비타민 B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각질 박리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칙칙한 피부의 색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OF COSMETICS COMPRISING EFFECT OF IMPROVING SUBDUED SKIN COLOR}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피부 색상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타민 B 혼합체를 함유하여 멜라민 생성 억제 및 각질 박리 효과를 동시에 갖는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피부 색상의 변화인 칙칙함에 대한 원인은 여러 요인들이 거론될 수 있으나,
첫째로 여성들은 주로 수면 부족에 의한 누적된 피로, 생리 및 변비 등에 의하여 피부의 칙칙함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때의 피부 생리적인 현상으로는 혈류량의 감소, 노폐 각질의 축적과 건조 발생 등이 지적되고 있다.
둘째로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서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혈류량이 감소되거나 건조 및 노폐 각질이 피부에 남아 있게 되는 경우 상기에 언급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의 명도(L: 흑백)와 채도(a, b : 적황)가 저하되어 어둡고 칙칙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문헌(Roach LB. Nursing, 7(1), p48, 1997)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칙칙한 피부 상태의 해소 방법은 발생 원인의 부분적인 해소로는 어려우며, 원인의 총체적 개선이 되어야만 해소가 가능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서 유전적으로 결정되나,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또ㅎ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리오신(tyrosine)에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 반응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졌으나, 타이로시네이즈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하여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타이로시네이즈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에 사용되어 왔으나, 피부에 자극성을 유발하거나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또 그 효과도 미미하였다. 이러한 칙칙한 피부 상태으 해소 방법은 발생 원인의 부분적인 해소로는 어려우며, 원인의 총체적 개선이 되어야만 해소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피부 색상의 변화는 광학적 분석 방법인 L(L = black & white : 0∼100), a(red & green : 50∼-50), b(yellow & blue : 50∼-50)의 분석 방법과 피부 영상을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 방법과 함께 육안 판정에 의한 방법들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William KP, Et al, J. Am. Acad. Dermatol., 21(6), p 1306, 1989 및 Andreassi L. Et al, JID., 106(5), p1154, 1996).
칙칙한 피부에서는 화장을 안 받게 한다든지, 또는 생기없어 보이게 하므로 여성들은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품 업체들은 피부의 칙칙함을 해소하고자 일부 노폐 각질의 박리와 보습을 이용한 여러 가지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으나, 거무칙칙한 총체적인 해소 방법의 결여로 아직까지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한편, 비타민류는 신체의 정상적인 대사 기능에 필요한 다수의 유기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지용성과 수용성으로 구분된다. 문헌(Biochemistry, 2nd edition, Syryer, complete book of vitamins & minerals, Susan MS, 1975)에는 생체에서 비타민의 중요성 및 결핍시 발생되는 질병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있으며, 의약, 식품, 화장품에서 무수히 이용되고 있다. 특히 비타민 B군은 티아민(thiamine; vitamin B1),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 니아신 (niacin; vitamin B3), 판토테닉산(pantothenic acid; vitamin B5), 피리독신 (pyridoxine; vitamin B6),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vitamin B12)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생체의 대사 과정에 밀접하게 연계되어 부족시에는 생리대사 뿐만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부조(physical & mental disorder), 피로감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티아민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며, 티아민 피로포스페이트(thiamine pyrophosphate)의 형태로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며, 부족할 때 베리베리(beriberi) 질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니아신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며,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의 형태로 변환되어 NAD 또는 NADH(nicotinamide dinucleotide)를 혈류순환(blood circulation),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2]
판토테닉 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며, 생체 효소 반응에 매우 중요한 코엔자임 A(coenzyme A)를 만드는 구성물이다.
[화학식 3]
피리독신은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며, 혈액과 조직 사이의 화학 균형 (chemical balance)를 유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화학식 4]
이들은 생체의 에너지 대사 과정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수용성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배설에 용이하여 생체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어떠한 부작용도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비타민 B 또는 이들의 복합체들은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 첨가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특허 제4,818,521호, 미국 특허 5,441,725호, 미국 특허 제5,723,138호, 미국 특허 제5,425,954호 및 미국 특허 제5,548,064호 등에는 수용성 비타민 B 군이 생체에서 주로 에너지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래의 화장품에서는 에너지 대사 활성화를 통한 세포 활성을 증진키킬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비타민 B를 포함시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를 제조하는 시도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정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며, 각질 박리를 촉진하면서,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타민 B(vitamin B) 혼합물을 건조중량으로 0.01∼1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비타민 B 혼합물은 티아민(tiamine; vitamin B1), 니아신(niacin; vitamin B3), 파토테닉산(pantothenic acid; vitamin B5), 피리독신(pyridoxine; vitamin B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된다.
상기 화장료는 피부의 각질 박리 효과 및 멜라닌 합성의 저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들의 기존에 알려진 생체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여 세포 활성을 증진하는 효과 이외에 종래에 알려지지 않았던 멜라닌 생합성 대사 억제와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한 인 비트로(in vitro) 및 인 비보(in vivo) 실험으로 그 효과를 입증하여 본 발명이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되는 비타민 B군 혼합물을 적정 농도로 피부외용 연고 또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등의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비타민 B군 혼합물의 첨가는 건조 기준으로 0.01∼1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 사용시 상기 농도 이하에서는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그 농도 이상에서는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며, 첨가량 만큼의 증진 효과도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 및 표 2의 조성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아민(thiamine; vitamin B1), 니아신(niacin; vitamin B3), 판토테닉산(pantothenic acid; vitamin B5), 피리독신(pyridoxine; vitamin B6)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들 비타민 B군을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시 배양액에 첨가하여 3 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어 원심 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이것에 1 N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을 가하고, 10 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로 4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 수당(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농도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상기 표 1에서 - 는 저해 효과 없음; +는 매우 약한 저해 효과; ++ : 약한 저해 효과; +++ :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표 2]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혼합물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농도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혼 합 비(중량비) 적용 농도(%) 저해 효과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0.5 0.5 0 0 0.01 +
0.10 ++
1.00 ++
10.00 ++
0.5 0 0.5 0 0.01 +
0.10 ++
1.00 ++
10.00 ++
0.5 0 0 0.5 0.01 +
0.10 ++
1.00 ++
10.00 ++
0 0.5 0.5 0 0.01 +
0.10 ++
1.00 ++
10.00 ++
0 0.5 0 0.5 0.01 +
0.10 ++
1.00 ++
10.00 ++
0.4 0.3 0.3 0 0.01 +
0.10 ++
1.00 +++
10.00 +++
0.4 0.3 0 0.3 0.01 +
0.10 ++
1.00 +++
10.00 +++
0 0.4 0.3 0.3 0.01 +
0.10 ++
1.00 +++
10.00 +++
0.2 0.3 0.2 0.3 0.01 +
0.10 ++
1.00 +++
10.00 +++
0.1 0.3 0.2 0.1 0.01 +
0.10 ++
1.00 +++
10.00 +++
상기 표 2에서 - 는 저해 효과 없음; +는 매우 약한 저해 효과; ++ : 약한 저해 효과; +++ :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에서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은 단독 사용은 그 효과가 크지 않으나 2 가지 혼합하여 사용할 때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는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주근걔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비교예 1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각각에 대하여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하고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시험자는 20 세에서 40 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 3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료 도포 전에 피시험자의 팔 상박부 안쪽 색상을 크로마미터(chromameter; 일본 Minolta 제조 CR-200)로 측정한 후, 10 % 농도의 디하이드록시 아세톤(DHA)을 힐 탑 챔버(hill top chamber; Hill Top사 제조)에 0.4 ㎖를 넣고, 팔 상박부 안쪽에 6 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에 DHA에 의해 갈색으로 착색된 부위의 색상을 측정하여 시료 도포 전과의 색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후 1 일 2 회씩 시료를 도포하면서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크로마미터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회복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질 박리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상기 식에서, TT(turnover time)는 기존의 각질 층이 새로운 각질 층으로 대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본 실험에서는 DHA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완전히 원상 복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표 3] 종래의 알파히아드록시산의 각질 박리 효과
구 분 적용 농도(%) 턴오버 시간(일) 각질 박리율(%)
blank - 17.6 ± 3.2 -
S.C.L. 용매 - 16.6 ± 5.6 5.6
glycolic acid 5.00 13.8 ± 4.5 21.6
티아민 0.01 15.9 ± 3.3 1.0
0.10 16.2 ± 4.1 8.0
1.00 14.5 ± 2.3 17.6
10.0 13.1 ± 1.7 25.6
니아신 0.01 15.2 ± 2.4 1.4
0.10 16.4 ± 2.6 6.8
1.00 14.1 ± 1.6 19.9
10.0 13.5 ± 2.8 23.3
판토테닉산 0.01 15.5 ± 2.1 1.2
0.10 16.7 ± 2.9 5.1
1.00 14.8 ± 4.6 15.9
10.0 13.1 ± 1.7 25.6
피리독신 0.01 15.0 ± 3.4 1.5
0.10 16.2 ± 4.4 8.0
1.00 14.1 ± 1.8 20.0
10.0 13.5 ± 2.7 23.3
상기 표 3에서, blank는 DHA로 착색 후 시료를 바르지 않은 군을 말하며,
S.C.L.(simple cosmetic liquid) 용매는 피부에 도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매로서 물 : 에탄올 : 1,3-butylene glycol 의 중량비가 80 : 15 : 5 인 혼합 용매이고, 각질 박리 시험에서 대상 시료(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를 이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 B 혼합물에 대하여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비타민 B 혼합물의 각질 박리 효과
혼 합 비(중량비) 적용 농도(%) 턴오버 시간(일) 각질 박리율(%)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0.5 0.5 0 0 0.01 15.9 ± 2.1 9.6
0.10 12.6 ± 3.4 28.4
1.00 11.6 ± 3.7 34.1
10.0 10.2 ± 3.4 42.0
0.5 0 0.5 0 0.01 15.3 ± 2.2 13.1
0.10 12.1 ± 3.3 31.3
1.00 11.1 ± 1.5 37.0
10.0 9.9 ± 2.9 43.8
0.5 0 0 0.5 0.01 16.1 ± 4.2 8.5
0.10 12.2 ± 2.4 30.7
1.00 11.5 ± 2.6 34.7
10.0 10.5 ± 1.2 40.3
0 0.5 0.5 0 0.01 15.7 ± 2.3 5.1
0.10 12.2 ± 4.3 30.7
1.00 11.4 ± 1.1 35.3
10.0 9.0 ± 3.1 48.9
0 0.5 0 0.5 0.01 15.3 ± 2.4 13.1
0.10 13.1 ± 1.4 25.6
1.00 11.4 ± 2.3 35.2
10.0 9.4 ± 2.4 46.6
0.4 0.3 0.3 0 0.01 14.2 ± 4.1 19.3
0.10 13.5 ± 2.7 23.3
1.00 10.5 ± 7.2 40.3
10.0 9.5 ± 4.3 46.0
0.4 0.3 0 0.3 0.01 13.2 ± 4.1 25.0
0.10 12.5 ± 2.3 29.0
1.00 10.1 ± 1.7 42.6
10.0 9.7 ± 1.2 44.9
0 0.4 0.3 0.3 0.01 14.2 ± 1.1 19.3
0.10 11.7 ± 2.5 33.5
1.00 9.7 ± 2.6 39.2
10.0 8.9 ± 2.2 49.4
0.2 0.3 0.2 0.3 0.01 14.2 ± 4.1 19.3
0.10 13.5 ± 2.3 23.3
1.00 10.1 ± 1.7 42.6
10.0 8.5 ± 3.5 51.7
0.1 0.3 0.2 0.1 0.01 13.2 ± 2.2 25.0
0.10 11.4 ± 3.1 35.2
1.00 9.2 ± 2.6 47.7
10.0 8.8 ± 3.6 50.0
상기 표 4에서 모든 대상 시료는 비교예 1의 SCL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티아민(비타민 B1), 니아신(비타민 B3), 판토테닉산(비타민 B5), 피리독신(비타민 B6)은 각각의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도 종래에 알려진 각질 박리제인 글리코릭산(glycolic acid)와 비교하여 비교적 양호한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증가에 따라 각질 박리 효과도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티아민(비타민 B1), 니아신(비타민 B3), 판토테닉산(비타민 B5), 피리독신(비타민 B6)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적용할 때는 각각으 물질들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더 높은 각질 박리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이들 물질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종래에 알려진 글리코릭산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결과로 혼합 사용시 두드러진 상승 효과를 갖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티아민(비타민 B1), 니아신(비타민 B3), 판토테닉산(비타민 B5), 피리독신(비타민 B6)의 혼합물로 다음과 같은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5와 같은 제형을 혼합하여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고, 이 연고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피부 색상 변화를 대조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색상 개선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5]
피부 외용 연고 중량부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판토테닉산= 3 : 3 : 4 (중량비)디에틸세바테이트경납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벤조산 나트륨바세린정제수 1.08.05.06.0적량적량잔량(100 까지)
비교예 2
상기 표 5의 제형 중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판토테닉산= 3 : 3 : 4 (중량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고, 이 연고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하기 표 6과 같은 제형을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고, 이 에센스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6]
에 센 스 중량부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판토테닉산= 3 : 3 : 4 (중량비))농글리세린플로필렌글리콜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히아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5.00.0510.010.01.05.05.0적량적량잔량(100 까지)
비교예 3
상기 표 6의 제형 중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판토테닉산= 3 : 3 : 4 (중량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에센서를 제조하고, 이 에센스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하기 표 7과 같은 제형을 혼합하여 영양 크림을 제조하고, 이 영양 크림을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7]
영양 크림 중량부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판토테닉산= 4 : 6 (중량비))스테아린산농글리세린스쿠알란1,3-부틸렌글리콜폴리솔베이트60폴리에틸렌글리콜1000경화 아놀린옥틸 도데칸놀솔비탄 스테아레이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2.05.06.02.01.09.06.01.54.04.010.00.80.5적량잔량(100 까지)
비교예 4
상기 표 7의 제형 중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판토테닉산= 4 : 6 (중량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고, 이 영양 크림을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하기 표 8과 같은 제형을 혼합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고, 이 유연 화장수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8]
유연 화장수 중량부
비타민 B 혼합물(니아신 : 피리독신 = 1 : 1 (중량비))1,3-부틸렌글리콜농글리세린히아루론산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폴리옥싱틸렌경화피마자유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5.06.02.01.00.10.110.0적량적량적량잔량(100 까지)
비교예 5
상기 표 8의 제형 중 비타민 B 혼합물(니아신 : 피리독신 = 1 : 1 (중량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고, 이 유연 화장수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7
하기 표 9와 같은 제형을 혼합하여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고, 이 영양 화장수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9]
영양 화장수 중량부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피리독신 = 2 : 4 : 4 (중량비))세탄올밀납농글리세린스쿠알란1,3-부틸렌글리콜폴리솔베이트60바세린디메틸폴리실록산에탄올카르복시폴리머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10.00.051.00.54.06.04.01.02.02.03.00.30.30.3적량적량잔량(100 까지)
비교예 6
상기 표 9의 제형 중 비타민 B 혼합물(티아민 : 니아신 : 피리독신 = 2 : 4 : 4 (중량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고, 이 영양 화장수를 대상으로 하기 참조예 1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시험을 하여 표 10 에 기재하고, 크로마미터(일본 Minota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변화에 대한 시험을 하여 표 11에 기재하였다.
참조예
건강한 성인 남자 20 명의 피시험자들의 양쪽 팔 상박부에 2 cm x 2 cm의 크리로 4 개의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 호일을 덮은 후 일광조사기(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이용하여 50 cm 거리에서 120 mJ/㎠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실험자 20 명의 오른쪽 팔에 비타민 B 혼합물이 포함된 제형을 도포하고, 왼쪽 팔에는 비타민 B가 포함되지 않은 오른쪽 팔의 같은 제형을 도포하고, 양쪽 팔의 1 부위는 아무것도 적용하지 않은 블랭크(blank)로 사용하였다.
4 주 후에 육안으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파악하고, 그 기준은 현저한 저해 효과, 약간의 저해 효과, 저해 효과 없슴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크로마미터(일본 미놀타사 제조 CR-200)로 피부 색상의 백색도(L; whiteness)을 시료 처치전, 자외선 조사 후, 시료 적용 측정하여 피부 색상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피부 색상 개선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구하였다.
[수학식 2]
[표 10] 색소 침착 저해 효과
구 분 현저한 저해 효과(명) 약간의 저해 효과(명) 효과 없슴(명)
실시예 3 4 12 4
비교예 2 0 2 18
실시예 4 12 8 0
비교예 3 0 3 17
실시예 5 13 5 2
비교예 4 0 3 17
실시예 6 10 7 3
비교예 5 0 1 19
실시예 7 7 7 6
비교예 6 0 2 18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한 비타민 B 혼합물을 포함하는 각 제형은 최소 15 명 이상이 약간의 색소 침착 저해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1] 피부 색상 개선 효과
구 분 시료처치 전 L 자외선 조사 후 L 시료 적용 4 주 후 L 개선율(%)
실시예 3 67.25 ± 3.4 57.62 ± 3.7 63.45 ± 3.7 60.5
비교예 2 67.25 ± 3.4 57.62 ± 3.7 59.21 ± 2.6 16.5
실시예 4 67.25 ± 3.4 57.62 ± 3.7 64.78 ± 4.7 74.3
비교예 3 67.25 ± 3.4 57.62 ± 3.7 58.21 ± 2.6 6.1
실시예 5 67.25 ± 3.4 57.62 ± 3.7 66.45 ± 4.2 91.7
비교예 4 67.25 ± 3.4 57.62 ± 3.7 59.82 ± 3.8 22.8
실시예 6 68.25 ± 3.6 59.45 ± 1.2 63.76 ± 6.6 49.0
비교예 5 68.25 ± 3.6 59.45 ± 1.2 60.12 ± 6.3 7.6
실시예 7 68.25 ± 3.6 59.45 ± 1.2 64.21 ± 3.7 54.1
비교예 6 68.25 ± 3.6 59.45 ± 1.2 61.38 ± 3.9 21.9
상기 표에서와 같이 티아민, 니아신, 판토테닉산, 피리독신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한 비타민 B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자외선 조사 후 시료의 적용 군에서 45∼91 %의 현저한 피부 색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비타민 B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각질 박리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칙칙한 피부의 색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4)

  1. 칙칙한 피부 색상을 개선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비타민 B 혼합물을 건조 중량으로 0.01∼1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 혼합물이 티아민(tiamine; vitamin B1), 니아신(niacin; vitamin B3), 파토테닉산(pantothenic acid; vitamin B5), 피리독신(pyridoxine; vitamin B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되는 혼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피부의 각질 박리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피부외용 연고,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또는 팩인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14426A 1999-04-22 1999-04-22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8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26A KR100581374B1 (ko) 1999-04-22 1999-04-22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26A KR100581374B1 (ko) 1999-04-22 1999-04-22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78A true KR20000066978A (ko) 2000-11-15
KR100581374B1 KR100581374B1 (ko) 2006-05-24

Family

ID=1958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426A KR100581374B1 (ko) 1999-04-22 1999-04-22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29A (ja) * 2002-12-26 2004-08-05 Kanebo Ltd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JP2015010071A (ja) *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KR20150083652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색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306A (ja) * 1984-03-07 1985-09-25 Shiseido Co Ltd 化粧料
JPH049325A (ja) * 1990-04-27 1992-01-14 Sunstar Inc 美白化粧料
JP2881333B2 (ja) * 1990-05-22 1999-04-1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美白化粧料
JPH07238010A (ja) * 1994-02-24 1995-09-12 Kanebo Ltd 皮膚化粧料
US5997890A (en) * 1997-05-23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WO1999047117A1 (en) * 1998-03-16 1999-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29A (ja) * 2002-12-26 2004-08-05 Kanebo Ltd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JP4712300B2 (ja) * 2002-12-26 2011-06-29 クラシエ製薬株式会社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JP2015010071A (ja) *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KR20150083652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색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374B1 (ko)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1222B1 (en) Melatonin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based compositions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20090311204A1 (en) Carotenoid compositions useful for whitening skin
US20130315850A1 (en) 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antioxidant agent
CN103083198A (zh) 辅酶q10的美白、祛斑功能及其在化妆品中的用途
KR20090103992A (ko)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KR100190993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수용성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01342112A (ja) 皮膚外用剤
KR100581374B1 (ko) 칙칙한 피부 색상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1198377B (zh) 含有至少一种噁唑啉作为活性组分的祛斑或美白用美容组合物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3432175B2 (ja) 細胞増殖促進化粧料
CN114681358B (zh) 一种酪氨酸酶活性抑制剂及具有增效美白作用的护肤品
JPH10114670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KR101073107B1 (ko) 베리 칵테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010060882A (ko)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1048768A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WO1997035557A1 (en) External skin-care composition
JP2001039821A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JP2000290165A (ja) 皮膚老化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KR100472104B1 (ko)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50012330A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KR20070079390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039820A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