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838A - 기름 수거 선박 - Google Patents

기름 수거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838A
KR20000066838A KR1019990014219A KR19990014219A KR20000066838A KR 20000066838 A KR20000066838 A KR 20000066838A KR 1019990014219 A KR1019990014219 A KR 1019990014219A KR 19990014219 A KR19990014219 A KR 19990014219A KR 20000066838 A KR20000066838 A KR 2000006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ull
guide
lifting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457B1 (ko
Inventor
김복중
Original Assignee
김복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중 filed Critical 김복중
Priority to KR101999001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4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5Containers stackable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선체와 제 2 선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동일 갑판으로 형성한 선박에 있어서,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의 중앙부에 갑판과 별도로 일체로 설치되며 선단은 수평부를 후단은 상부로 상향 만곡된 호형부를 이룬 기름 안내수단과; 기름 안내수단의 호형부에 수차날개의 선단이 기름이 이동할 공간을 두고 접하도록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에 유착되어 기름을 인양하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 호형부 상단에 연하여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며 기름 인양수단의 인양 기름을 제 1 선체 및 제 2 선체에 형성한 각 집유조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각 집유조는 순수 기름을 집유토록 집유조에 포함된 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수거 선박이며,
쓰레받이 형태의 기름 안내수단을 양 선체의 중앙에 설치하여 기름을 안내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기름의 안내가 용이하고, 또한 선체에 집유조를 다단으로 수면이 상이하도록 설치하므로 점차 기름의 농도가 높은 기름을 집유 가능토록 하고 각 집유조에는 해수를 아래에서 배출하므로 자연스럽게 기름만을 집유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을 조정하여 기름 오염지역 까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기름 수거 선박{skimmer ship}
본 발명은 기름 수거 선박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선박을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 갑판으로 연결하고, 각 선박의 중앙에는 선단은 수평하고 후단은 호형부를 이룬 기름 안내수단을 갑판과 별도로 설치하며, 기름 안내수단의 호형부 위에는 기름 인양수단을 유착하고, 인양된 기름은 안내 가이드를 따라 양 선박의 집유조로 안내되고, 각 집유조의 바닥에는 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구를 설치하여 기름의 농도를 높히도록하여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 수거 선박에 관한 것이다.
작금에 이르러 대형 선박(특히, 유조선)의 해난 사고에 의해 다량의 기름 및 쓰레기(부유물) 유출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해상 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유출된 기름이 해안으로 밀려 들어와 해초류나 어패류 등의 바다 양식 또는 해안가 등을 덮쳐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주고 있다. 그리고 유출된 기름을 제거함에 있어서도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단지 바닷물 표면에 떠 있는 기름을 눈에 보이지 않도록 바닷물에 섞이게 하거나 바다 밑에 가라앉게 하여 감추는 것이고 기름을 수거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 또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 82-1602호로 알려진 기술이 제안되었는바, 이는 횡단면 형상이 와권형태인 와권회전체가 종으로 틀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되며, 상기 와권회전체에는 개구부를 앞으로 하여 와권회전체를 그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소요 구동장치가 연결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와권회전체의 수평 위치에는 수중에 침몰된 하연부를 와권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후방에 회전시키는 회전날개가 틀체에 설치된 환상랙크에 구동치차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회수선 등에 있어서의 집유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와권 회전체 이전에 드럼상의 다수의 브러시를 설치한 드럼을 사용하여 브러시에 묻은 기름을 떨어뜨리는 홀치기 롤러를 사용하여 기름만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드럼을 신속하게 회전하는 데에는 기름의 점도에 의한 한계가 있어 속도를 빨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름에 묻어 오는 물을 별도로 처리하는 수단이 없어서, 수집되는 기름(기름과 물의 혼합물)의 양이 많아 수거 탱크가 큰 것이 요구되어 단위 시간에 처리하는 기름 수거 양이 많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탱크를 구획되게 형성한 선체와 이 선체의 전면에 유출된 기름을 선체 내로 유입하기 위한 기름 유입수단과 유입된 기름을 인양하기 위한 기름 인양수단과, 기름 인양수단에 의해 인양된 기름을 물과 분리하여 추출하는 기름분리, 추출수단과 상기 기름 인양수단과 기름분리, 추출수단을 상, 하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성하여 된 기술이 국내 특허 제 161609호로 등록되었는바, 도시된 도 1 과 도 4 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기능을 갖는 다수의 탱크(1)를 격벽(2)에 의하여 구획되게 형성한 선체(A)를 구성하고, 이 선체의 전면에 기름 유입수단(B)으로서 탱크로 된 개폐날개(3)(3a)를 절첩되게 설치하되,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개폐날개(3)(3a)에 실린더 로드(4)를 고정하고 탱크로 이루어진 선체(A)의 일 측에 실린더 본체(4a)를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선체(A)의 전면 내측으로 선체 바닥으로 이루어진 기름유입부(5)를 설치한다.
상기 기름유입부(5)의 후방에 유입된 기름을 인양하기 위한 기름 인양수단(C)과 이 기름 인양수단에 의하여 인양된 기름(바닷물과 혼합된 기름)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기름분리, 추출수단(D)을 도 2 및 도 4 와 같이 설치하며, 상기 기름 인양수단(C)과 기름분리, 추출수단(D)을 상, 하 조절하는 조절수단(E)을 도 4 와 같이 설치한다.
상기 기름 인양수단(C)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기름분리, 추출수단(D)을 이루는 구성 중 기름분리, 수거용탱크의 양측에 지지대(6)를 설치하고, 이 지지대(6)에 샤프트(7)로 다수의 수차날개(8)를 갖는 수차틀(9)을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수차틀(9)은 양측부에 수차날개(8)를 지지 고정해 주는 측판(10)(10a)을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7)는 지지베어링(11)(11a)에 의하여 축설되며, 또한 샤프트(7)에 스프로킷(12)을 축설하고 이 스프로킷(12)에 구동 스프로킷(13)을 갖는 구동모터(14)와 체인(15)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름분리, 추출수단(D)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와 같이 상기 수차틀(9)의 측방 하측으로 기름 분리수거용 탱크(16)를 설치하되, 이 기름 분리수거용 탱크(16)의 일 측면은 상기 수차틀(9)의 수차날개(8) 외주연과 같은 호형으로 라운딩면(17)을 형성하여 수차날개(8)의 외측끝단과 약간의 틈새를 가지게 하고, 상측부에는 인양되는 기름(바닷물과 혼합된 기름)을 혼합통(18)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9)를 형성한다. 그리고, 유입구(19)의 측방에 격판(20)을 하측으로 설치하여 하측에는 회류부(21)를 형성하고 측면에는 배출통로(22)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통로(22) 상측으로 수면기준판(23)을 돌출 형성하고 이 측방에 배수구(24)와 연통되게 배수로(25)를 설치한다. 이 배수로(25)는 선체(A)의 양측 밖으로 이어져 길게 형성한다(도 3 참조).
상기 혼합통(18)의 상측부에 기름추출부(26)를 형성하고, 이 기름추출부(26)에서 하측으로 기름 수거용 유입관(27)을 설치하며, 이 기름 수거용 유입관(27)은 하측에서 ∪자형으로 형성하여 기름배출관(28)과 연결된다. 상기 기름 수거용 유입관(27)의 ∪자형 부분 하측에서 별도의 물배출관(29)을 연통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기름 수거용 유입관(27)의 상측부에 높이 조절용 기름유입관(30)을 나사 결합하여 상, 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기름배출관(28)과 물배출관(29)에 개폐밸브(31)(31a)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기름 인양수단(C)과 기름분리, 추출수단(D)을 상, 하 조절하는 조절수단(E)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기름 분리수거용 탱크(16)의 후방 외측면 상측부에 실린더(32)를 설치하되, 실린더 로드(33)는 기름분리수거용 탱크(16)의 외측벽에 고정 설치하고, 실린더 본체(34)는 선체(A)의 어느 한 탱크 외측벽에 고정 설치하며, 이 하측부에는 힌지부(35)를 선체의 바닥면에 설치한다.
상기 선체(A)의 후방에 운행조정실(36)이 설치되고 후방 양측으로 엔진실이 설치되며 이에 엔진(37)(37a)을 설치한다. 상기 엔진(37)(37a)은 출력봉(38a)을 통하여 회전력을 인가함으로써 프로펠러(39)(39a)를 회전되게 설치한다. 선체(A)의 각 탱크(1)에는 구멍(40)을 형성하며 상기 기름배출관(28)이 삽입 되도록 하여 수거된 기름을 탱크(1) 내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 에서 부호 P는 해상수면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선박은 대형 선박(예를들면 유조선) 등에 의해 해상에 기름이 유출되면 선체(A)의 전면에 구성한 기름 유입수단(B)인 개폐날개(3)(3a)를 실린더 본체(4a)와 로드(4)에 의해 펼친 다음 기름이 떠 있는 곳으로 운항하면서 기름유입부(5)로 유출된 기름을 유입한다. 이때 기름은 바닷물과 혼합되어 기름유입부(5)의 선체 바닥 위에 유입되고 이를 기름 인양수단(C)인 수차틀(9)을 회전시켜 일차로 기름(기름과 물의 혼합물이나 기름의 농도가 높은 상태의 것)을 신속히 인양하고, 이어 기름분리, 추출수단(D)의 유입구(19)로 인양하여 순수 기름(기름의 농도가 지극히 높은 것)을 추출한다. 즉,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구동 스프로킷(13)과 체인(15) 및 샤프트(7)에 축설된 스프로킷(12)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면 샤프트(7)를 중심으로 수차틀(9)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수차날개(8) 또한 혼합통(18)의 라운딩면(17)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라운딩면(17)과 수차날개(8) 간에 기름(기름과 물의 혼합물인 일차 기름)을 담아 인양한다. 인양된 기름은 물보다 가벼워 물위에 뜨고 이는 유입구(19)를 통해 기름분리수거용 탱크(16)의 일측부인 혼합통(18)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름중 바닷물은 밑으로 가라앉고 기름은 바닷물에 뜨게 된다. 이때 연속해서 인양된 기름이 유입되면 밑에 있는 바닷물은 회류부(21)와 배출통로(22)를 통해 수면기준판(23) 너머로 유출된다. 유출된 바닷물은 배수구(24)를 통해 배수로(25)를 따라 다시 선체(A)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기름분리수거용 탱크(16)의 수면기준판(23)에 의해 기름추출부(26) 내의 수면이 생기고, 이 수면위에 떠 있는 기름은 기름추출부(26)에 설치된 높이 조절용 기름유입관(30)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름은 기름 수거용 유입관(27)을 통해 기름배출관(28)을 따라 각각의 탱크(1)에 보내진다. 즉, 추출된 기름은 기름배출관(28)에 의해 각 탱크(1)의 구멍을 통해 탱크(1)로 배출한다. 이때, 다시 탱크(1)에 유입된 기름은 도시하지 않은 관을 통해 다른 유조선으로 보내진다. 다시 말해, 해상에 유출된 기름은 다시 수거하여 다른 유조선에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기름수거용 유입관(27)의 하측에 ∪자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높이 조절용 기름유입관(30)을 통해 기름만을 유입할시 섞여 있을 바닷물이 밑으로 가라앉도록 한 것이다. 가라앉은 바닷물은 물배출관(29)을 통해 선체(A) 밖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순수 기름만을 수거하고 바닷물을 배출시키므로 바닷물에 있는 오염을 일으키는 기름 성분만을 수거 가능하므로 단 시간에 넓은 면적의 오염 바다를 깨끗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기름 수거 효과는 좋으나 기름오염 지역까지 이동하여 기름 수거를 하여야 할 때 선박의 표면적이 넓어 이동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신속히 기름오염지역으로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받이 형태의 기름 인양수단을 한 쌍의 선박 사이에 연결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기름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된 기름을 선박의 집유조로 바로 안내하고 집유조에는 해수를 하부에서 배출토록 하여 기름의 농도를 높혀서 집유 가능토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 부력 조정수단을 설치하여 이동시에는 부력을 크게하여 선박이 뜨도록 하고 작업시에는 부력을 줄여 기름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한 선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선체와 제 2 선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동일 갑판으로 형성한 선박에 있어서,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의 중앙부에 갑판과 별도로 일체로 설치되며 선단은 수평부를 후단은 상부로 상향 만곡된 호형부를 이룬 기름 안내수단과;
기름 안내수단의 호형부에 수차날개의 선단이 기름이 이동할 공간을 두고 접하도록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에 유착되어 기름을 인양하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
호형부 상단에 연하여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며 기름 인양수단의 인양 기름을 제 1 선체 및 제 2 선체에 형성한 각 집유조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각 집유조는 순수 기름을 집유토록 집유조에 포함된 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수거 선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름 수거용 선박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종래의 기름 수거용 선박의 측면도,
도 3 은 종래의 기름 수거용 선박의 배면도,
도 4 는 종래의 기름 수거용 선박의 기름 분리 추출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도,
도 7 은 도 5 의 B-B선 단면도,
도 8 은 도 5 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제 1 선체 52;제 2 선체 53;갑판
55;기름 유입공 60;기름 안내수단 61;수평부
62;호형부 70;기름 인양수단 80;집유조
90;아내 가이드 91;가이드 벽 92, 93;경사면
100;부력 조정수단 101;펌프 102;흡입관
103;주입관 104;주입 배출관 105;부력 조정실
110;제 1 집유조 111;제 1 격벽 112;제 1 이동공
113;제 1 회류판 120;제 2 집유조 121;제 2 격벽
122;제 2 이동공 123;제 2 회류판 124;제 2 배수구
130;제 3 집유조 134;제 3 배수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평면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안치된 제 1 및 제 1 선체(51, 52)와, 각 선체(51, 52)의 상면을 동시에 덮는 구성을 이룬 갑판(53)과, 갑판(53)위에 설치된 운행 조정실(36)과, 양 선체(51, 52)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39)와, 갑판(53) 하면의 양 선체(41, 52) 중앙 부위에 갑판(53)과 별도로 양 선체(51, 52)를 중앙에서 연결하는 판상의 기름 안내수단(60)과, 기름 안내수단(60)위와 갑판(53) 사이에 설치되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과, 기름 인양수단(7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로 이루어진다. 양 선체(51, 52)에는 집유조(80)를 형성하고, 집유조(80)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을 통해 인양된 기름을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90)를 통하여 기름을 초기 안내 받는다. 제 1 및 제 2 선체(51, 52)에는 부력을 조정하는 부력 조정수단(100)을 포함하고, 부력 조정수단(100)은 펌프(101)와 해수를 선체로 주입하거나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주입 배출관(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은 도 5 의 A-A 선 단면도로, 제 1 선체(51)의 측면 중앙에 갑판(53)과 별도로 갑판(53) 하면에 설치되고 수평을 이룬 수평부(61)와 수평부(61)에 연이어 호형을 이룬 호형부(62)로 구성되는 기름 안내수단(60), 기름 안내수단(60)의 호형부(62)와 기름을 인양 가능토록 간격을 두고 제 1 선체(51)및 제 2 선체(52)의 대향 측벽에 유착된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 상기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 및 체인(15)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기름 인양수단(70)의 구성원리 자체는 도 4 에 보인 기름 인양수단(C)의 방식 의 수차 구조를 이용하므로 도면 구성을 약식으로 표현한다. 선체(51, 52)에는 부력을 조정토록 선체(51, 52)내에 해수를 배출하거나 공급토록 기능하는 부력 조정수단(100)의 일 요소인 펌프(101)를 설치하고, 선체 이동 동력은 프로펠러(39)로 제공토록 기관(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물론 도면에는 부력 조정수단(100)의 일 요소로 펌프(101)를 도시하였으나 선체(51, 52)에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밸브등을 겸하여 구동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호형부(62)에는 상단에 수평으로 연이어 일정 폭의 안내 가이드(90)가 형성되고, 안내 가이드(90)는 중앙에서 양 선체(51, 52)를 향하여 인양된 기름이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92)을 이룸이 좋고, 인양된 기름의 양을 유지하도록 가이드 벽(91)이 안내 가이드(90)단부에서 갑판(53)까지 수직으로 형성된다. 경사면(92)과 접하는 선체(51)에는 기름 유입공(55)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수면(P1)은 기름 유출 해역까지 이동시 부력을 크게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 상태로 이동할 때의 수면을 나타내고, 수면(P2)은 기름 유출 해역에 도착하였을 때, 부력을 작게하여 수위를 낮춘 상태의 작업 수면을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으나 기름 인양시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추가로 공지된 쓰레기 인양수단(예를들어 콘베이너 벨트 방식)을 부가함이 좋다. 아울러 쓰레기의 인양을 위하여 기름 인양수단 전에 여과망을 설치함이 좋다. 이는 쓰레기가 기름 인양수단에 안내되어 인양의 성능을 저하시킴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도 7 은 제 1 선체(51)의 단면 예시도로,제 2 선체(52)도 동일 구조를 이룬다.
제 1 선체(51)에는 일정 공간을 이룬 제 1 내지 제 3 집유조(110, 120, 130)를 설치하고(도 5 에서는 포괄적으로 집유조(80)로 표현하였으나 구체적인 예로는 도 7 과같이 제 1 내지 제 3 집유조(110, 120, 130)로 구분하여 이루어 짐을 예시할 수 있다), 각 집유조(110, 120, 130)는 연이어 동일 격벽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제 1 및 제 2 집유조(110, 120)를 구획하는 제 1 격벽(111)의 높이는 제 1 집유조(110)의 수위보다 낮도록 구성하고, 제 2 및 제 3 집유조(120,130)를 구획하는 제 2 격벽(121)의 높이는 제 2 집유조(120)의 수위보다 낮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제 2 격벽(121)의 높이는 수면(P2)보다는 높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집유조(110)에는 수위가 제 1 격벽(111)보다 높게 임시 유지되도록 갑판(53)에서 하부로 일체 연장되며, 제 1 집유조(110)의 바닥면과는 제 1 이동공(112)을 이루도록 이격된 제 1 회류판(113)이 제 1 격벽(111)과 근접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 2 집유조(120)의 바닥면과는 제 2 이동공(122)을 이루도록 이격된 제 2 회류판(123)이 제 2 격벽(121)과 근접 설치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집유조(110, 120, 130)의 바닥면에는 기름과 분리되어 비중 차로 기름 아래에 위치한 해수를 배출하는 제 1 내지 제 3 배수구(114, 124, 134)를 각각 설치한다. 이 경우 각 배수구(114, 124, 134)의 배출구는 작업시의 수면(P2)과 접하거나 약간 높도록 구성한다. 해수를 배출하는 구성은 필요시 펌프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면에서 부력 조정수단(100)은 펌프(101)와, 펌프(101)를 통하여 부력 조정실(105)의 해수를 선체 밖으로 배출토록 흡입하는 흡입관(102)과, 해수를 부력 조정실(105)로 주입하는 주입관(103)와 도 8 에 보인 선체(51, 51) 외부에서 해수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주입 배출관(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 은 도 5 의 C-C 선 단면도로, 제 1 선체(51)와 제 2 선체(52)는 동일 갑판(53)을 이루고, 양 선체(51, 52)는 또한 중앙에서 기름 안내수단(60)으로 지지되며, 기름 안내수단(60)의 상단에는 안내된 기름을 집유조(80)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90)가 일체로 형성된다. 기름 안내수단(60)위에는 기름 인양수단(70)이 안치되어 기름을 안내 가이드(9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안내 가이드(90)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 선체(51, 52)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92, 93)을 이룸이 좋다. 경사면(92, 93)과 접하는 양 선체(51, 52)부위에는 유입된 기름을 각 선체(51, 52)로 유입시키는 기름 유입공(55)을 형성한다 또한 집유조(80)의 하부에는 기름과 분리되어 아래에 위치한 해수 또는 담수를 배수시켜 기름만이 집유 되도록 하는 배수구(114, 124, 134)를 설치한다. 아울러 갑판(53)에는 부력을 조절토록 펌프(101)를 설치하여 선체(51, 52)의 수면을 조절한다. (14)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이다. 부력 조정수단(100)은 펌프(101)와, 펌프(101)를 통하여 부력 조정실(105)로 해수를 주입하는 주입관(103)과, 부력 조정실(105)의 해수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102)과, 선체(51, 52) 외부로 해수를 배출하거나 외부의 해수를 주입하는 주입 배출관(104)으로 이루어진다. 주입 배출관(104)의 주입 또는 배출은 펌프(101)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스위칭 하면 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기름 오염지역까지의 이동시에는 펌프(101)로 부력을 조절하여(부력 조정실(105)의 수위를 예를 들어 수면(P1')까지 조절하여) 선체를 수면(P1)으로 유지한 상태로 오염지역까지 신속히 이동시키고, 기름 오염지역에 다다르면 다시 펌프(101)를 구동시켜 해수를 선체(51, 52)로 제공하여 예를들어 수위(P2')까지 높혀 부력을 낮춤으로써 선체(51, 52)가 수위(P2)를 유지토록 한다. 수위(P1)에서 수위(P2)로 변동되면 기름 안내수단(60)의 수평부(61)도 물위에 떠있다 잠기는 형태를 이룬다. 이 경우 잠기면서 선체(51, 52)가 저속으로 이동하면(정지하여도 된다) 일종의 쓰레받이처럼 해수(오염지역이므로 해수와 가름이 섞인 해수(이하 편리상 기름으로 표현한다))를 퍼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 선체(51, 52) 사이는 선수에서 중앙으로 이동할 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상대적으로 안내된 기름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기름의 두께가 선체 외부보다 두꺼워진 상태로 기름을 기름 안내수단(60)으로 안내한다. 안내된 기름은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70)을 통하여 안내 가이드(90)로 안내된다. 즉 기름 인양수단(70)을 통하여 수면(P2)보다 높은 안내 가이드(90)로의 위치 에너지의 상승을 유도한다. 도 6 및 도 8 에 보인 안내 가이드(90)로 안내된 기름은 자연스럽게 안내 가이드(90)에서 경사진 경사면(92, 93)을 따라서 기름 유입공(55)을 지나 제 1 집유조(110)로 일차 안내된다. 상기에서 안내 가이드(90)는 도 6 과 같이 가이드벽(91)에 의하여 갑판(53)과 공간을 이루게 되므로 파도가 높아도 기름이 효율적으로 기름 유입공(55)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된다. 제 1 집유조(110)는안내 가이드(90)에 의하여 상승된 위치 에너지에 의한 도 7 과 같은 수면(P3)을 가지며, 안내된 기름에 포함된 해수는 기름과의 비중차이로 인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제 1 배수구(114)의 배출로는 외부 해수의 수면(P2)보다 높지만 제 1 집유조(110)의 수면(P3)보다는 낮아서 배출 압력을 제공받아 외부 수면(P2)으로 자연스럽게 연속 배출 가능케 된다. 물론 필요시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여 배출토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기름의 양이 많아지면 제 1 집유조(110)의 수면(P3)보다 높이가 낮은 제 1 격벽(111)을 타고 제 2 집유조(120)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 1 격벽(111)에 접하는 위치에는 아래에 제 1 이동공(112)을 가진 제 1 회류판(113)이 있는바 이는 일정 수위(P3)를 유지하면서 기름이 제 1 이동공(112)을 통하여 이동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원리로 제 1 집유조(110)에서 제 2 집유조(120)로, 제 2 집유조(120)에서 제 3 집유조(130)로 순차 이동하면서 순수 기름을 집유 가능케 된다. 물론 집유조의 개수는 줄이거나 늘려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쓰레받이 형태의 기름 안내수단을 양 선체의 중앙에 설치하여 기름을 안내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기름의 안내가 용이하다.
또한 선체에 집유조를 수개 다단으로 수면이 상이하도록 설치하므로 점차 기름의 농도가 높은 기름을 집유 가능토록 하고 각 집유조에는 해수를 아래에서 배출하므로 자연스럽게 기름만을 집유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을 조정하여 기름 오염지역 까지의 이동시에는 부력을 높여 선체가 뜨도록하여 이동시의 저항을 줄여 신속히 이동 가능토록 하고, 작업시에는 배가 상대적으로 잠기게 하여 기름의 유입을 용이하도록 하여 기름 수거를 쉽게한다.

Claims (3)

  1. 제1 선체와 제 2 선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동일 갑판으로 형성한 선박에 있어서,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의 중앙부에 갑판과는 별도로 갑판 하부 위치에 일체로 설치되며 선단은 수평부를 후단은 상부로 상향 만곡된 호형부를 이룬 기름 안내수단과;
    기름 안내수단의 호형부에 수차날개의 선단이 기름 이동 공간을 두고 접하도록 제 1 선체와 제 2 선체 사이에 유착되어 기름을 인양하는 수차형 기름 인양수단;
    호형부 상단에 연하여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며 기름 인양수단의 인양 기름을 제 1 선체 및 제 2 선체에 형성한 각 집유조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각 집유조는 순수 기름을 집유토록 집유조에 포함된 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수거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름 인양수단은 부양하여 이송 할 때의 수위와, 부력을 낮추어 기름 인양시의 수위 사이의 위치에 수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수거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물을 빼거나 주입하여 이송시와 작업시의 선박 수위를 조절하는 부력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부력조절수단은 펌프와, 펌프를 통하여 부력 조정실의 해수를 선체 밖으로 배출토록 흡입하는 흡입관과, 해수를 부력 조정실로 주입하는 주입관과 선체 외부에서 해수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주입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수거 선박.
KR1019990014219A 1999-04-21 1999-04-21 기름 수거 선박 KR10033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19A KR100331457B1 (ko) 1999-04-21 1999-04-21 기름 수거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19A KR100331457B1 (ko) 1999-04-21 1999-04-21 기름 수거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838A true KR20000066838A (ko) 2000-11-15
KR100331457B1 KR100331457B1 (ko) 2002-04-09

Family

ID=1958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219A KR100331457B1 (ko) 1999-04-21 1999-04-21 기름 수거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029A1 (ko) * 2013-10-20 2015-04-23 이정용 수상오염물 제거장치
US10240312B2 (en) 2013-10-20 2019-03-26 Jeong Yong Lee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029A1 (ko) * 2013-10-20 2015-04-23 이정용 수상오염물 제거장치
US10240312B2 (en) 2013-10-20 2019-03-26 Jeong Yong Lee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457B1 (ko) 200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349B1 (ko) 부유물수거선박
US3715034A (en) Device for removing oil slicks
CN108824385B (zh) 一种节能环保的水面清污装置
KR100215917B1 (ko) 기름 수거 장치
US6471862B1 (en) Oil skimming apparatus
CN112408683B (zh) 自动清洗的梯度式净化器
US5593579A (en) Mechanically assisted hydraulic filter
US4477348A (en) Open sea skimmer barge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CN201176586Y (zh) 滚筒式收油机
KR100279939B1 (ko)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 방법
KR100331457B1 (ko) 기름 수거 선박
KR20110134069A (ko) 청항선
CN204452858U (zh) 水面收油船
US4399040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6174436B1 (en) Irrigation type oil skimmer and method for skimming oil
CN116856767A (zh) 一种泳池机器人及其清洁方法
US4379054A (en) Open sea skimmer barge
JPH05270484A (ja) 水面浮遊物吸引方法及び装置
KR0161609B1 (ko) 기름 수거용 선박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CN208248448U (zh) 垃圾收集筐
CN105239546A (zh) 回流阻隔式水面薄油膜回收分离装置
US20020000411A1 (en) Submersion drum skimmer
CN220580653U (zh) 一种泳池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