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422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422A
KR20000066422A KR1019990013505A KR19990013505A KR20000066422A KR 20000066422 A KR20000066422 A KR 20000066422A KR 1019990013505 A KR1019990013505 A KR 1019990013505A KR 19990013505 A KR19990013505 A KR 19990013505A KR 20000066422 A KR20000066422 A KR 2000006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hicle
vehicle remot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096B1 (ko
Inventor
최만호
이종필
민동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1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09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6Caps; Ferru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ceiv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S, PCS, IMT-2000망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 원격 송신제어기능을 구현하고,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에 차량 원격 수신제어기능을 각각 구현함으로써 차량 관련의 편의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첫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성하고, 둘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파수 간섭없이 쉴드처리되는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성하며, 셋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수정없이 소프트웨어상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구성하고,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에 차량 원격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음성 통화는 물론 원격 시동, 도어 잠금 온/오프, 트렁크 오픈 등 차량 관련의 편의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키트에 각각 차량 원격 송/수신제어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하나의 기기를 통해 복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생활의 편리를 더한층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공유부품들의 중복사용을 피하여 부품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Vehicl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 이하, 'DCS'라 칭함),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이하, 'PCS'라 칭함), 아이엠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이하, 'IMT'라 칭함)- 2000망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 원격 송신제어기능을 구현하고,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Hands Free Kit)에 차량 원격 수신제어기능을 각각 구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의 편의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CS, PCS, IMT-2000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중 또는 정지 중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정보나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며,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용 단말기 및 고정휴대 겸용 단말기 등이 있다.
이러한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 또는 음성을 주고받음으로써 실제 생활에 있어 개인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개인의 생활 편의를 위한 장치 외에도 많은 통신장비들이 있으며, 이중 무선신호에 의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에 승차하지 않고도 차량의 시동을 원격으로 걸 수 있고, 또한 원격으로 차량의 문(Door)의 잠금 상태를 온/오프 시킬 수 있으며 트렁크를 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현대에는 많은 개인용 무선 통신관련의 장비들이 창출됨에 따라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개인용 무선 통신관련의 장비들인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 차량용 원격 송/수신제어장치, 핸즈프리 키트들이 제각각 서로 다른 설계과정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정에 따라 개인용 무선 통신관련의 장비들이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점에서 공유 가능한 구성부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으로 제작됨으로써 각각의 기기에 대한 생산 제작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DCS, PCS, IMT-2000망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유 가능한 구성부품을 최대한 공유하여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성하고,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에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음성 통화는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의 편의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 챠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키트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듀플렉서2 : LNA
3,12 : RF 필터 4,11 : 주파수 변환기
5,10 : IF SAW 필터6 : Rx AGC
7 : BBA8 : MSM
9 : Tx AGC13 : PAM
14 : 아이솔레이터20,30 :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
21 : 스위칭부22 : TCXO
23 : 주파수 변환기24,34 : PCB 패턴 안테나
31 : 로직부 32 : CPU
33 : 완칩41 : 시스템 리셋부
42 : 제어부43 : 디지털 필터
44 : 차량 키트 접속부45 : HF/HP 모드 선택부
46 : AMP47 : 레귤레이터
48 : PAM49 : DC-DC 컨버터
50 : 노이즈 필터51 : 배터리
60 :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1 : RF 수신 튜너
62 : 마이컴63 : 경보 제어부
64 : 차량 도어 제어부65 : 차량 시동 제어부
66 : 선택 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는, 첫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성하고, 둘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파수 간섭없이 쉴드처리되는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별도의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성하며, 셋째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수정없이 소프트웨어상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구성하고,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에 차량 원격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음성 통화는 물론 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시동, 도어 잠금 온/오프, 트렁크 오픈 등 차량 관련의 편의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RF(Radio Frequency)단의 블록 구성도로서,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1)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 이하, 'LNA'라 칭함)(2)와, 상기 LNA(2)에서 증폭된 RF신호중 희망대역의 R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Filter)(3)와, 상기 RF 필터(3)를 통과한 RF신호를 IF신호로 주파수 다운(Down)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4)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4)에서 변환된 IF신호중 희망대역의 I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IF 표면 음향파(Surface Acoustic Wave ; 이하, 'SAW'라 칭함) 필터(5)와, 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득을 자동 조절제어하는 Rx 자동 이득 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 ; 이하, 'AGC'라 칭함)(6)와, 상기 Rx AGC(6)를 통과한 IF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MSM(8)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IF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아날로그 프로세서(Base-Band Analog processor ; 이하, 'BBA'라 칭함)(7)와, 상기 BBA(7)와 인터페이스하고 복조기(Demodulator), 변조기(Modulator), 디코더(Decoder) 등으로 이루어져 순방향/역방향 링크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8)과, 상기 BBA(7)를 통해 출력되는 MSM(8)의 IF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득을 자동 조절제어하는 Tx AGC(9)와, 상기 Tx AGC(9)를 통과한 IF신호중 희망대역의 I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IF SAW 필터(10)와, 상기 IF SAW 필터(10)를 통과한 IF신호를 RF신호로 주파수 업(Up)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11)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11)에서 변환된 RF신호중 희망대역의 R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12)와, 상기 RF 필터(12)를 통과한 RF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 이하 'PAM'이라 칭함)(13)와, 단방향으로 신호를 흐르도록 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14)와, 상기 MSM(8)에서 출력되는 전압발진 제어신호에 따라 기준 주파수(Reference Frequency)를 발생하는 VCTCXO(15)와, 상기 VCTCXO(15)에서 출력된 기준 주파수에 따라 전압발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LL(Phase Locked Loop)(16)과, 상기 PLL(16)에서 출력되는 전압발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변환기(4,11)로 해당하는 로컬 주파수(Local Frequency)를 출력하는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17)와, 상기 MSM(8)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는 상기 MSM(8)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부(21)와, 20MHz의 로컬 주파수를 발생하는 TCXO(22)와, 상기 스위칭부(21)가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스위칭이 수행될 경우 Tx AGC(9)를 통해 출력되는 BBA(7)에서 사용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와 상기 TCXO(22)에서 발생된 로컬 주파수를 혼합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변환기(23)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23)에서 발생된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패턴 안테나(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상기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가 MSM(8)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송수신을 위해 BBA(7)의 Tx 탱크(Tank)회로에서 사용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구성 설명을 생략하며, 나머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단과 상호 주파수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단의 MSM(8)과 인터페이스하여 MSM(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로직부(Logic Part)(31)와, 상기 로직부(31)에서 출력된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해당 명령에 맞게 분석하는 CPU(32)와, 상기 CPU(32)에서 분석된 결과대로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440MHz 대역의 아날로그 차량 원격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완칩(One-Chip)(33)과, 상기 완칩(33)에서 변환된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PCB 패턴 안테나(3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단과 상기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30)를 구분지어 쉴드(Shield)처리함에 따라 기기내부의 무선단 간의 상호 주파수 간섭을 제거하며,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와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우를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호간의 주파수 간섭 및 회로의 안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송신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 챠트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련 구성을 하드웨어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소프트웨어상 MSM(8)에서의 부분적인 프로그램 수정을 필요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해서는 송신신호의 출력을 5mW 이하로 제어하도록 하고(S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차량번호 4자리와 고유번호 1자리, 즉 5자리 숫자를 입력한 후 동작 스위치를 누르면(S2,S3), 기지국에서는 이 5자리 CDMA 코드를 의미없는 데이터로 인식하는 반면,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에서는 이를 차량 원격 제어신호로 감지하여 수신함으로써 해당 명령에 맞게 차량을 제어하도록 한다(S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키트의 블록 구성도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핸즈프리 키트는 차량 운전중에 전화 착/발신으로 인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핸즈프리 키트에 종래의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일체로 구현하도록 한다.
즉,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키트는 시스템 재작동을 위한 시스템 리셋부(41)와, 핸즈프리 키트의 각 구성블록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제어부(42)와, 디지털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43)와, 핸즈프리 키트를 차량에 접속시키기 위한 차량 키트 접속부(44)와, 차량 거치대에 단말기가 장착 또는 탈착되는 경우를 선택하는 HF(Hand Free/Hand Pone) 모드 선택부(45)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AMP(AMPlifier)(46)와, 차량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안정된 정전압/정전류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47)와, 상기 제어부(42)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PAM(48)과, 차량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충전에 필요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Converter)(49)와, 상기 DC-DC 컨버터(49)에서 변환된 전압의 노이즈(Noise)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50)와, 상기 노이즈 필터(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DC-DC 컨버터(49)의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51)와, 이동통신 단말기내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는 안테나(Ant)를 통해 차량 원격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440MHz 대역의 RF신호를 해당 명령에 맞게 수신하는 RF 수신 튜너(Tunner)(61)와, 상기 RF 수신 튜너(61)에서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해당 명령을 분석하는 마이컴(MICOM)(62)과,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충격 경보 명령인 경우 차량의 충격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63)와,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 온/오프 명령인 경우 차량의 도어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부(64)와,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시동 명령인 경우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제어하는 차량 시동 제어부(65)와, 핸즈프리 키트 또는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Option Switch)(6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는 핸즈 프리 키트에 내장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기존에 사용하던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차량 원격 송/수신제어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조작을 통해 전화통화가 아닌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키조작을 선택하면, MSM(8)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내 스위칭부(21)가 Tx AGC(9)의 출력단과 주파수 변환기(23)의 입력단이 접속되도록 스위칭한다.
이후, 차량 제어를 위한 각각의 명령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하게 되면, TCXO(22)에서는 20MHz의 로컬 주파수를 발생하고, 주파수 변환기(23)에서는 상기 스위칭부(21)가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스위칭이 수행되어 Tx AGC(9)를 통해 출력되는 BBA(7)내 Tx 탱크회로에서 사용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상기 TCXO(22)에서 발생된 로컬 주파수와 혼합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PCB 패턴 안테나(24)에서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23)에서 발생된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각각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조작을 통해 전화통화가 아닌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키조작을 선택하면,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30)내 로직부(31)가 MSM(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원격 송신제어임을 인식한다.
이후, 차량 제어를 위한 각각의 명령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하게 되면, 로직부(31)에서는 MSM(8)을 통해 각 명령에 해당하는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CPU(32)로 출력하고, 이어 CPU(32)에서는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해당 명령에 맞게 분석하여 완칩(33)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완칩(33)에서는 CPU(32)에서 분석된 결과대로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440MHz 대역의 아날로그 차량 원격 송신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PCB 패턴 안테나(34)에서는 상기 완칩(33)에서 변환된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각각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수정에 의한 차량 원격 송신제어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조작을 통해 전화통화가 아닌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키조작을 선택하면, MSM(8)에서 이를 인식하여 BBA(7)가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IF신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차량 제어를 위한 각각의 명령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하게 되면, 주파수 변환기(11)에서는 MSM(8)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VCTCXO(15), PLL(16), VCO(17)에서 출력되는 로컬 주파수와 Tx AGC(9)와 IF SAW 필터(10)를 거친 각 명령에 해당하는 IF신호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해당 RF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발생된 RF신호를 RF 필터(12), PAM(13), 아이솔레이터(14), 듀플렉서(2)를 차례로 통과시킨다.
따라서, 안테나(Ant)를 통해 선택 명령에 해당하는 각각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내 차량 원격 송신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선택 스위치(66)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핸즈프리 키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되면, 기존의 기능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대에 장착시켜 놓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선택 스위치(66)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되면,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내 RF 수신 튜너(61)에서는 안테나(Ant)를 통해 차량 원격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440MHz 대역의 RF신호를 수신한다.
이어, 마이컴(62)에서는 상기 RF 수신 튜너(61)에서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해당 신호에 따른 명령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각각 경보 제어부(63), 차량 도어 제어부(64), 차량 시동 제어부(65)로 출력한다.
즉, 마이컴(62)의 분석 결과 충격 경보 명령인 경우에는 경보 제어부(6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면 경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 온/오프 명령인 경우에는 차량 도어 제어부(6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도어의 잠금상태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시동 명령인 경우에는 차량 시동 제어부(6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각각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경보 제어부(63), 차량 도어 제어부(64), 차량 시동 제동부(65)는 마이컴(6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충격 경보 동작, 도어의 잠금상태 온/오프 동작, 원격 시동동작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키트에 각각 차량 원격 송/수신제어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하나의 기기를 통해 복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생활의 편리를 더한층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공유부품들의 중복사용을 피하여 부품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듀플렉서(1)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LNA(2)와, 상기 LNA(2)에서 증폭된 RF신호중 희망대역의 R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3)와, 상기 RF 필터(3)를 통과한 RF신호를 IF신호로 주파수 다운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4)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4)에서 변환된 IF신호중 희망대역의 I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IF SAW 필터(5)와, 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득을 자동 조절제어하는 Rx AGC(6)와, Rx AGC(6)를 통과한 IF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MSM(8)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IF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BBA(7)와, 상기 BBA(7)와 인터페이스하고 복조기, 변조기, 디코더 등으로 이루어져 순방향/역방향 링크의 CDMA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MSM(8)과, 상기 BBA(7)를 통해 출력되는 MSM(8)의 IF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득을 자동 조절제어하는 Tx AGC(9)와, 상기 Tx AGC(9)를 통과한 IF신호중 희망대역의 I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IF SAW 필터(10)와, 상기 IF SAW 필터(10)를 통과한 IF신호를 RF신호로 주파수 업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11)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11)에서 변환된 RF신호중 희망대역의 RF신호만을 통과시키는 RF 필터(12)와, 상기 RF 필터(12)를 통과한 RF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PAM(13)과, 단방향으로 신호를 흐르도록 하는 아이솔레이터(14)와, 상기 MSM(8)에서 출력되는 전압발진 제어신호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VCTCXO(15)와, 상기 VCTCXO(15)에서 출력된 기준 주파수에 따라 전압발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LL(16)과, 상기 PLL(16)에서 출력되는 전압발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파수 변환기(4,11)로 해당하는 로컬 주파수를 출력하는 VCO(17)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8)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부(21)와, 20MHz의 로컬 주파수를 발생하는 TCXO(22)와, 상기 스위칭부(21)가 차량 원격 송신제어를 위한 스위칭이 수행될 경우 Tx AGC(9)를 통해 출력되는 BBA(7)에서 사용하는 420MHz 대역의 주파수와 상기 TCXO(22)에서 발생된 로컬 주파수를 혼합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변환기(23)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23)에서 발생된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PCB 패턴 안테나(24)로 구성되는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2. 듀플렉서(1)와, LNA(2)와, RF 필터(3)와, 주파수 변환기(4)와, IF SAW 필터(5)와, Rx AGC(6)와, BBA(7)와, MSM(8)과, Tx AGC(9)와, IF SAW 필터(10)와, 주파수 변환기(11)와, RF 필터(12)와, PAM(13)과, 아이솔레이터(14)와, VCTCXO(15)와, PLL(16)과, VCO(17)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8)과 인터페이스하여 MSM(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로직부(31)와, 상기 로직부(31)에서 출력된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해당 명령에 맞게 분석하는 CPU(32)와, 상기 CPU(32)에서 분석된 결과대로 디지털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440MHz 대역의 아날로그 차량 원격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완칩(33)과, 상기 완칩(33)에서 변환된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외부의 차량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PCB 패턴 안테나(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
  3. 듀플렉서(1)와, LNA(2)와, RF 필터(3)와, 주파수 변환기(4)와, IF SAW 필터(5)와, Rx AGC(6)와, BBA(7)와, MSM(8)과, Tx AGC(9)와, IF SAW 필터(10)와, 주파수 변환기(11)와, RF 필터(12)와, PAM(13)과, 아이솔레이터(14)와, VCTCXO(15)와, PLL(16)과, VCO(17)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련 구성을 하드웨어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소프트웨어상 상기 MSM(8)에서의 부분적인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440MHz 대역의 차량 원격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4. 시스템 재작동을 위한 시스템 리셋부(41)와, 핸즈프리 키트의 각 구성블록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제어부(42)와, 디지털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43)와, 핸즈프리 키트를 차량에 접속시키기 위한 차량 키트 접속부(44)와, 차량 거치대에 단말기가 장착 또는 탈착되는 경우를 선택하는 HF 모드 선택부(45)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AMP(46)와, 차량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안정된 정전압/정전류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47)와, 상기 제어부(42)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PAM(48)과, 차량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충전에 필요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9)와, 상기 DC-DC 컨버터(49)에서 변환된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50)와, 상기 노이즈 필터(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DC-DC 컨버터(49)의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51)를 포함하여 구성된 핸즈프리 키트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차량 원격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440MHz 대역의 RF신호를 해당 명령에 맞게 수신하는 RF 수신 튜너(61)와, 상기 RF 수신 튜너(61)에서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해당 명령을 분석하는 마이컴(62)과,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충격 경보 명령인 경우 차량의 충격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63)와,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 온/오프 명령인 경우 차량의 도어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부(64)와, 상기 마이컴(62)의 분석결과 차량 시동 명령인 경우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제어하는 차량 시동 제어부(65)와, 핸즈프리 키트 또는 차량 원격 수신제어장치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20)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를 포함한 핸즈프리 키트가 쌍으로 구성되어 차량 원격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원격 송신제어부(30)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를 포함한 핸즈프리 키트가 쌍으로 구성되어 차량 원격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SM(8)의 프로그램을 차량 원격 제어기능을 구비하도록 수정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원격 수신제어부(60)를 포함한 핸즈프리 키트가 쌍으로 구성되어 차량 원격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KR1019990013505A 1999-04-16 1999-04-1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KR10030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505A KR100302096B1 (ko) 1999-04-16 1999-04-1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505A KR100302096B1 (ko) 1999-04-16 1999-04-1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422A true KR20000066422A (ko) 2000-11-15
KR100302096B1 KR100302096B1 (ko) 2001-09-26

Family

ID=1958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505A KR100302096B1 (ko) 1999-04-16 1999-04-1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0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311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형출력제어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36082B1 (ko) * 2001-08-23 2004-06-12 현대디지탈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 정합하는 원격검침 기능을 갖는계량기제어장치
KR100437242B1 (ko) * 2002-08-02 2004-06-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100481305B1 (ko) * 2000-07-21 2005-04-07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100845680B1 (ko) * 2007-02-28 2008-07-1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용 수신기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305B1 (ko) * 2000-07-21 2005-04-07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100436082B1 (ko) * 2001-08-23 2004-06-12 현대디지탈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 정합하는 원격검침 기능을 갖는계량기제어장치
KR20030077311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형출력제어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37242B1 (ko) * 2002-08-02 2004-06-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100845680B1 (ko) * 2007-02-28 2008-07-1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용 수신기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096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6333B2 (ja) 無線通信装置
US5974305A (en)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US6415158B1 (en) Dual mode mobile phone operating as a two-way radio
JP4124784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で使用するための周波数発生方法および装置
US5867794A (en) Audio-output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utilizing a vehicle's AM/FM radio
KR100581453B1 (ko) 다수의 변조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을 공통 중간 주파수 범위로 다운컨버팅하는 방법 및 장치
US5794159A (en) Dual band mobile station employing cross-connected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s
US5884189A (en) Multiple-modes adaptable radiotelephone
KR20000001562A (ko) 무선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및 방법
KR1003020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JPH05308323A (ja) 無線電話装置
KR100557161B1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0614940B1 (ko) 휴대폰 절전 방법 및 그 장치
JPH07147601A (ja) 携帯電話装置
JP2780694B2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557176B1 (ko)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200363911Y1 (ko) 이중모드/삼중모드이동단말기의전원제어장치
KR19990026195A (ko) 듀얼밴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JP2890941B2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システム
KR19990023943U (ko) 라디오 기능을 가진 셀룰라 폰
JPH04343532A (ja) 携帯電話機
JP2000295129A (ja) 信号切替回路
JP4394255B2 (ja) 無線機
KR100724223B1 (ko) 무선 전화기로 겸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방법
KR1003832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듀얼 밴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