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630A -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630A
KR20000065630A KR1019990012072A KR19990012072A KR20000065630A KR 20000065630 A KR20000065630 A KR 20000065630A KR 1019990012072 A KR1019990012072 A KR 1019990012072A KR 19990012072 A KR19990012072 A KR 19990012072A KR 20000065630 A KR20000065630 A KR 2000006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unbalance
automatic washing
time
inpu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630A/ko
Publication of KR2000006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전자동 세탁기에서, 발신홀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와, 수신홀이 형성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발신홀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광빔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발신홀에 설치되는 적외선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홀에 설치되는 포토 트랜지스터와,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여 탈수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판에 형성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세탁물이 세탁조의 일측에 편중된 상태에서 탈수행정 진행시 발생되는 세탁조의 언밸런스 및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세탁기의 전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각 부분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숙한 상태에서 탈수행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unbalance for auto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수류를 일으켜 상기 수류에 의한 세탁물의 마찰력과 세제의 분해력 등에 의해 세탁물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동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자동 세탁기는 본체(1) 내부에 복수의 지지대(3)로 지지되어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2)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조(4)와, 상기 세탁조(4)의 언밸런스 여부를 감지하는 언밸런스 감지 스위치(5a)와, 상기 외조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6)와, 상기 세탁조(4)의 수평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여부 표시부(7)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6)가 닫힐 경우 언밸런스 감지스위치(5a)의 동작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레버(10) 및 전환레버(11)에 의해 상기 언밸런스 감지스위치(5a)의 제 1 및 제 2단자(12)(13)와 제 1 및 제 2 접점(12a)(13a)이 접지 되어 도통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도어(6)가 닫힌 후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세탁조(4)가 진동하여 외조(2)와 충돌함과 동시에 외조(2)가 언밸런스 감지레버(14)를 소정 거리(L) 만큼 이격시켜 상기 전환레버(14)의 동작에 의해 제 1 및 제 2단자(12)(13)의 접점(12a)(13a)이 이격 되어 차단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4)는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완료 후 고속 회전시 상기 세탁조(4)내 일측에 세탁물이 편중되어 있으면 세탁조(4)의 언밸런스가 발생하게 되어 세탁조(4)가 외조(2)와 충돌함과 동시에 외조(2)가 언밸런스 감지레버(14)를 밀어내게됨에 따라 제 1 및 제 2단자(12)(13)의 접점(12a)(13a)이 일정시간(t)동안만 차단된 상태로 있게된다.
이와 같은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제어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밸런스 감지여부에 따라 스위칭하는 언밸러스 감지스위치(5a)와, 상기 언밸런스 감지스위치(5a)가 온 되면 입력전원을 분배하여 마이컴(18)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언밸런스 감지 스위치(5a)가 오프되면 상기 마이컴(18)으로 로우(Low) 신호가 인가되며, 온되면 상기 마이컴(18)으로 하이(High) 신호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언밸런스 감지 방법은 전원이 입력되면 탈수행정을 시작한다(S1).
그리고, 하이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탈수행정을 계속 수행한다(S3).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입력시간(t)이 기 설정시간(t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판단 결과(S4), 상기 입력시간(t)이 기 설정시간(t1) 이상이면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여 탈수행정을 정지시킨다(S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4), 상기 오픈 감지시간(t)이 일정시간(t1) 이하이면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탈수행정을 정지시킨다(S6).
따라서, 상기 마이컴(18)에 소정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이때의 입력시간을 감지하여 입력시간(t)이 기 설정시간(t1)보다 짧을 경우에는 상기 세탁조(4)의 언밸런스를 감지하고, 입력시간(t)이 기 설정시간(t1)보다 길 경우에는 도어(6)의 열림이 감지된다. 이때, 설정시간(t)은 통상 80-200n/Sec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언밸런스 감지 스위치(5a)는 도어(6)의 열림과 세탁조(4)의 언밸런스를 동시에 감지하기 때문에 감지 기능을 세탁조(4)의 언밸런스 감지에 맞추어 도어(6) 열림의 감지가 어렵고, 도어(6)의 열림감지 기능에 맞추면 세탁조(4)의 언밸런스 감지가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은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구조상 언밸런스 감지레버가 한쪽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언밸런스 감지레버의 동작이외의 방향으로 기울거나 전도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탈수행정 진입시 세탁물의 편측 치우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 및 사용자 부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전도를 감지함으로써 원활한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자동 세탁기에서, 신호 발신홀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와, 신호 수신홀이 형성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신호 발신홀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광빔을 방출하기위해 상기 신호 발신홀에 설치되는 적외선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빔을 수신하기위해 상기 신호 수신홀에 설치되는 포토 트랜지스터와,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여 탈수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판에 형성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포토 트랜지스터 15 : 수신홀
16 : 발신홀 17 : 구름부재
18 : 구름 방지턱 19 : 적외선 다이오드
20 : 일체형 케이스 21 : 힌지
22 : 일체형 차단판 23 : 트랜지스터 포켓
24 : 다이오드 포켓 25 : 와이어 인출구
26 : 리드 와이어 30 : 체결부
31 : 후크 33 : 언밸런스 감지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1)부를 갖는 일체형 케이스(20)와, 상기 일체형 케이스(20)내에 포토 트랜지스터(14)를 보호·삽입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포켓(23)과, 적외선 다이오드(19)를 보호·삽입할 수 있는 다이오드 포켓(24)과, 상기 힌지(21)를 기준으로 상기 일체형 케이스(20)를 접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후크(21)와, 상기 일체형 케이스(20)내의 기판(28)에서 리드와이어(26)를 상기 일체형 케이스(2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와이어 인출구(25)와, 언밸런스 감지센서(33)와, 상기 언밸런스 감지센서(33)를 세탁기 본체에 부착시키는 체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언밸런스 감지센서(33)의 내측상부 중앙에 위치한 발신홀(16) 상부의 적외선 다이오드(19)에서 적외선이 발산되어 상기 발신홀(16)을 통해 내측 하부에 위치한 일체형 차단판(22) 중앙에 위치한 수신홀(15)을 통하여 수신홀(15) 하부의 포토 트랜지스터(14)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체형 차단판(22) 중앙의 수신홀(15)상에 원형볼 등으로 구성된 구름부재(17)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19)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이 차단되어 포토 트랜지스터(14)가 오프되어 비 언밸런스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반대로, 세탁조내의 세탁물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세탁조가 본체에 부딪칠 경우나 세탁기 전도의 경우 상기 일체형 차단판(22) 중앙에 위치한 수신홀(15)을 막고 있는 구름부재(17)가 요동하여 일체형 차단판(22)상의 외주면을 따라 구르게 되므로써 상기 수신홀(15)이 열린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19)에서 발산된 적외선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14)에 도달함으로써 포토 트랜지스터(14)가 도통되어 언밸런스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2)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조(도시생략)가 본체(도시생략)에 연속적으로 부딪칠 경우 구름부재(17)가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발신홀(16)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름 방지턱(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제어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회로는 전원단에 연결된 제 1 저항(R11)과, 상기 제 1 저항(R11)에 직렬접속된 포토 다이오드(D1)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D1)의 출력에 따라 도통여부가 결정되는 포토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연결된 제 2 저항(R12)과,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베이스에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 연결된 제 3 저항(R13)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 연결된 마이컴(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밸런스 감지센서(33)가 도통 상태이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1)가 도통상태가 되어 제 2 트랜지스터(TR2)도 도통되므로 상기 마이컴(40)에 하이 신호가 인가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언밸런스 감지센서(33)가 차단 상태이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1)가 오프상태이므로 제 2 트랜지스터(TR2) 또한 오프되어 상기 마이컴(40)에 로우 신호가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탈수행정을 시작한다(S11).
이어서, 하이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 결과(S12), 로우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탈수행정을 계속 수행한다(S13).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2), 하이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입력시간(t)을 측정한다(S14).
그리고, 상기 측정된 입력시간(t)이 기 설정된 제 1 설정시간(t1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판단 결과(S15), 상기 측정된 입력시간(t)이 기 설정된 제 1 설정시간(t11) 이상이면 제 2 설정시간(t1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여기서, 상기 측정된 입력시간(t)이 기 설정된 제 1 설정시간(t11) 이하이면 계속해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6), 측정된 입력시간(t)이 제 1 설정시간(t11) 이상이고 제 2 설정시간(t12) 이하이면 언밸런스를 감지한다(S17).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6), 측정된 입력시간(t)이 제 2 설정시간(t12) 이상이면 세탁기 전도를 감지한다(S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은 상기 마이컴(40)에 하이 신호가 인가될 경우 입력시간(t)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제 1 설정시간(t11) 이하이면 탈수를 계속 진행하고, 제 1 설정시간(t11) 이상 제 2 설정시간(t12) 이하이면 언밸런스를 감지하며, 제 2 설정시간(t12) 이상이면 세탁기의 전도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은 전자동 세탁기에서 세탁물이 세탁조의 일측에 편중된 상태에서 탈수행정 진행시 발생되는 세탁조의 언밸런스 및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세탁기의 전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각 부분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숙한 상태에서 탈수행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자동 세탁기에서,
    발신홀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
    수신홀이 형성되는 제 2 케이스;
    상기 발신홀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
    광빔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발신홀에 설치되는 적외선 다이오드;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빔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홀에 설치되는 포토 트랜지스터; 그리고,
    언밸런스를 감지하여 탈수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판에 형성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 상부에는 복수개의 구름 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3.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에 있어서,
    탈수행정 진입 후 하이 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하이 신호가 인가되면 입력시간(t)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측정된 입력시간(t)이 제 1 설정시간(t1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시간(t)이 제 1 설정시간(t11) 이상이면 제 2 설정시간(t1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시간(t)이 제 1 설정시간(t11) 이상 제 2 설정시간(t12) 이하이면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시간(t)이 제 2 설정시간(t12) 이상이면 세탁기의 전도를 감지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로우 신호가 인가되면 탈수행정을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입력시간(t)이 기 설정된 제 1 설정시간(t11) 이하이면 탈수행정을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KR1019990012072A 1999-04-07 1999-04-07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KR20000065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072A KR20000065630A (ko) 1999-04-07 1999-04-07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072A KR20000065630A (ko) 1999-04-07 1999-04-07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30A true KR20000065630A (ko) 2000-11-15

Family

ID=1957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072A KR20000065630A (ko) 1999-04-07 1999-04-07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6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25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장치 및 제어방법
US5870787A (en) Door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KR100971015B1 (ko)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US6384379B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iron and iron incorporating same
US20050016225A1 (en) Front-loading type washing machine
US8997288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ainage of wash water remaining in a washing machine
KR20000065630A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00005436A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960006906B1 (ko) 세탁기덮개의 개폐 감지장치
KR20000009643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온도제어방법
KR101332549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52950B1 (ko) 전자동세탁기의언밸런스감지장치및방법
KR100208175B1 (ko) 세탁기의 오버플로워 방지 장치
KR970002140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감지 회로
KR100857781B1 (ko) 세탁기 및 그 세탁포 오염도 측정에 따른 세탁방법
KR0124876Y1 (ko) 세제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KR960023421A (ko) 세탁기의 부하감지방법
JPH09313777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スイッチ
KR200146586Y1 (ko) 코인세탁기
KR100495068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방법
KR20020037194A (ko)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6710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205413B1 (ko)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60432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348261B1 (ko) 세탁기의 수위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