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141A - 접촉피부염방지를위한조성물,장벽막,및방법 - Google Patents

접촉피부염방지를위한조성물,장벽막,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141A
KR20000065141A KR1019980708742A KR19980708742A KR20000065141A KR 20000065141 A KR20000065141 A KR 20000065141A KR 1019980708742 A KR1019980708742 A KR 1019980708742A KR 19980708742 A KR19980708742 A KR 19980708742A KR 20000065141 A KR20000065141 A KR 20000065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contact dermatitis
composition
m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바 토마 존 달라
커티스 엘. 칼
Original Assignee
하이드로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드로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이드로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6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임의적인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임의적인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적합성 접촉 피부염 방지 및 감소 장벽막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임의적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된다. 상기 조성물은 로션, 겔, 또는 크림의 형태로 된 피부 보호 제품으로 포유동물의 피부에 도포된다. 일단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면, 조성물내의 용매가 증발하여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임의적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이 남게 된다.

Description

접촉 피부염 방지를 위한 조성물, 장벽막, 및 방법
본 출원은 1996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계류 출원 제 08/642,227 호의 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또한 접촉 피부염을 방지하기 위한 피부 적합성 장벽막도 포함된다.
접촉 피부염은 피부의 염증으로서, 소정의 환경 물질에 의한 자극 또는 그에 대한 민감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급성 또는 만성 상태를 나타낸다. 경증의 경우에는 가려움증, 화상, 또는 붉어짐의 징후가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소포 및 부종이 나타나 진물 및 부스럼이 발생할 수 있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출혈 소포 및 큰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접촉 피부염은 전형적으로 일차 자극성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으로 분류된다. 일차 자극성 피부염은 접촉 피부염의 아주 보편적인 형태로서, 통상 누구라도 오래 노출될 시 피부염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자극성 약품에 의해 발생된다.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 일부 특정인에게 물리적인 접촉 시 반응을 발생시키는 여러 물질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 반응은 민감한 사람에게는 과민증을 야기 시킨다. 그 결과 이러한 사람들은 후속 접촉 시 접촉 피부염이 발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접촉 피부염은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에게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특히 작업자가 직업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때문에 직장을 잃거나 불편하게 되는 경우 그와 같은 접촉 피부염에 대한 보호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접촉 피부염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는데, 일례로 Tomalia 등등의 미국 특허 제 4,112,067 호에는 러스(Rhus) 속(genus) 식물에 의해 형성된 알레르겐(allergen)에 노출된 사람에 생긴 피부염을 치료 및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Tomalia 등등의 방법에 있어서는 5,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민 중합체의 국소 적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 방법으로부터 본 발명을 착상할 수는 없다.
Lay 등등의 미국 특허 제 4,451,453 호에도 러스 속 식물에 의해 형성된 알레르겐에 노출된 사람에 생긴 피부염을 조절 및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Lay 등등의 방법에 있어서는 이스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 스티렌 또는 알킬스티렌과, C1 내지 C20의 알콜과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산의 하나 이상의 알킬 에스테르의 교차결합 공중합체의 국소 도포를 필요로 하는 것이나, 이 방법으로부터 본 발명을 착상할 수는 없다.
Kelly 등등의 미국 특허 제 3,961,044 호, 제 3,981,990 호, 그리고 Willer 등등의 미국 특허 제 4,137,301 호, 4,141,966 호, 4,144,319 호, 제 4,160,818 호에는 보호제의 도포에 의해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의 염증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Willer 등등의 보호제는 15개 이상의 탄소 고리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극성기들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그러나, 이 조성물들 및 방법들에서는 접촉 피부염에 대한 보호를 개선시킬 수 있는 저 분자량 당류의 사용에 관한 설명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조성물들 및 방법들로부터 그러한 사용을 착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 피부 적합성 장벽막, 그리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조성물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synergistic)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 조성물은 또한 항균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당류로는 셀룰로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저 분자량 상승 당류로는 비 변성 단당류, 유도체화 단당류, 비 변성 이당류, 유도체화 이당류, 가수분해 녹말, 또는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물, 저급 알콜, 저 분자량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본 발명 조성물과 화학적으로 양립될 수 있고 장벽 성능에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서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으로 유익한 것이면 어느 성분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상기한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피부에 접촉 피부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양만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접촉 피부염을 방지 및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피부 적합성 장벽막도 제공된다. 이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친수성 및 비 이온성의 막 형성 다당류와, 자체로는 장벽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고, 비 변성 또는 유도체화 단당류, 이당류 및/또는 가수분해 녹말로 구성되는 장벽막 증강제를 포함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적합성 용매에 용해되어 피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자연적인 또는 합성적인 알레르기성 약품 또는 다른 피부 자극제의 침투를 감소 또는 방지시키는 비 접착성 막의 형태로 건조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으로는 저 분자량의 상승 당류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피부 적합성 장벽막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접촉 피부염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또 다른 이점으로는 상기 조성물에 항균제를 사용하여 첫째, 상기 조성물의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둘째, 상기 조성물의 도포시 노출 또는 감염된 피부의 감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고, 셋째, 접촉 피부염을 방지 및 감소시키기 위한 비가시성 글러브(glove)를 형성하기에 앞서 피부를 청결화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접촉 피부염은 다양한 자극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많은 사람에게 접촉 피부염에 대한 감작을 일으켜 접촉 피부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자연적인 알레르겐으로는 독성 담쟁이 덩굴, 독성 오크, 그리고 독성 옻나무와 같은 러스 속 항원성 식물들을 들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다른 알레르겐으로는 재충국(Pyrethrum) 또는 로테논(Rotenone)을 함유하는 살충제들과 같은 상업적인 제품들, 아닐린, 니트로 화합물들, 안트라센 및 그의 유도체들과 같은 염료 중간물들과, 파라페닐렌디아민 및 아닐린 블랙과 같은 염료와, 히드로퀴논 및 파라-아미도-페놀과 같은 광 현상액과, 헥사메틸렌 테트라민과 같은 산화방지제와, 나무 로진 및 페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합성 및 자연 로진들, 그리고 세제 및 고무 및 라텍스 글러브들의 성분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의 상승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접촉 피부염의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또한 항균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반응을 배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약품(일례로, 러스 속 식물, 살충제, 염료, 염료 중간물 등등)과의 접촉에 앞서 피부에 피부 적합성 장벽막을 도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유도된다. 이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항균제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로션 또는 크림의 형태로 되어 피부에 도포 되게 된다. 일단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 되면 그 조성물내의 용매가 증발하고, 이에 따라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막이 남게 된다. 이 막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항균제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는 피부에 적합하며, 용매에 용해가능하며, 양질의 막 형성자이다. 이러한 다당류로는 셀룰로스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로는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의 알킬 유도체 및/또는 히드록시알킬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다당류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들 수 있다. 이 다당류의 중합도(DP)는 중요하진 않으나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 될 수 있는 유동성 용액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낮으면서도 양질의 막 형성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충분히 높아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셀룰로스 유도체로는 비 이온성의 선형 다당류를 들 수 있다. 이 다당류는 물 또는 알콜에 쉽게 용해될 수 있게 공지의 방법들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의 다당류의 함량은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본 발명의 다당류와 비교할 때 비교적 작은 수의 단당류 단위들로 구성되어 있다.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바람직하게 극성 및 친수성을 갖는 비 변성 또는 유도체화 단당류, 이당류, 또는 가수분해 녹말일 수 있다. "상승"이란 자체로는 장벽성이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저 분자량 당류들의 존재에 따라 본 발명 조성물의 보호 특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로는 비 변성 단당류, 유도체화 단당류, 비 변성 이당류, 유도체화 이당류, 가수분해 녹말, 또는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당류는 5 내지 6개의 탄소들을 함유한다. 이당류는 두개의 당류 단위들을 함유한다. 유도체화된 단당류, 이당류 및 녹말 가수분해물들로는 바람직하게 지방 에스테르와의 알콕시화 반응, 히드록시알킬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다른 화합물들로 부터 일례로 공지의 방식으로 생성된 단당류, 이당류 및 녹말 가수분해물들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 녹말로는 일례로 공지의 방식으로 변성된 녹말을 들 수 있다.
비 변성 단당류로는 프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를 들 수 있다.
비 변성 이당류로는 수크로스와 말토스를 들 수 있다.
유도체화 단당류로는 메틸 글루코시드(methyl glucoside)의 에톡실레이트(ethoxylate)와, 메틸 글루코시드의 프로폭실레이트(propoxylate)와, 메틸 글루코시드 디스테아레이트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dioleate)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도체화 단당류로는 메틸 글루세스(Methyl Gluceth)-10(메틸 글루코시드의 10 몰 에톡실레이트), 메틸 글루세스-20((메틸 글루코시드의 20 몰 에톡실레이트), PPG-10 메틸 글루코스 에테르(Methyl Glucose Ether)(메틸 글루코시드의 10 몰 프로폭실레이트), PPG-20 메틸 글루코스 에테르(메틸 글루코시드의 20 몰 프로폭실레이트), PPG-20 메틸 글루코스 에테르 디스테아레이트(Methyl Glucose Ether Distearate)(메틸 글루코시드 디스테아레이트의 20 몰 프로폭실레이트), 또는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유도체화 단단류들의 명칭은 "Cosmetic, Toiletries & Fragrance Association(CTFA). Amerchol Corp., Amerchol The Elegance Engineer (1992년 9월)"의 표준 명칭들이다.
덱스트로스 당량(Dextrose Equivalance)(DE)는 녹말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측정 단위로서, 중합도(DP)의 역수이며 녹말 중합체 가수분해의 정량적 측정 단위이다. 일례로, 덱스트로스(글로코스)로 전환시킬 수 있는 총 가수분해도가 100%라 하면 글루코스의 덱스트로스 당량(DE)은 10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가수분해 녹말의 덱스트로스 당량(DE)은 약 4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00이다.
유도체화 이당류 및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로는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포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록폭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가수분해 녹말로는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과, 옥수수 시럽 고형물을 들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의 중합도(DP)는 약 1 내지 약 19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옥수수 시럽 고형물의 중합도(DP)는 약 20 내지 약 10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저 분자량 상승 당류로는 유도체화 단당류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저 분자량 상승 당류로는 메틸 글루세스-20(메틸 글루코시드의 20 몰 에톡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조성물내에서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의 함량은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는 피부에 적합하고 용매에 용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항균제는 한정적이진 않으나 그램(gram) 양성 및 그램 음성의 균, 효모,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의 광범위 스펙트럼에 대해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항균제로는 한정적이진 않으나 Ciba-Geigy Corportaton에서 제조한 "Irgansan™"으로 알려져 있는 트리클로산(triclosan)(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 페놀, 헥세티다인(hexetidine)(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헥사히드로피리미딘), 클로르헥시다인(chlorhexidine) 염(N,N12-비스(4-클로로페닐)-3, 12-디이미노-2,4,11,14-테트라아자테트라데칸디이미디아미드(tetraazatetradecanediimidiamide)의 염),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헥시레조르시놀(hexyresorcinol),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염화 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염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인, 페놀 유도체, 포비돈-아이오다인(폴리비닐피롤리디논-아이오다인), 파라벤(paraben), 히단토인(hydantoin), 히단토인 유도체(2,4-이미다졸리아인네디온(imidazoliainedione)), 페녹시에탄올, 1-(3-클르로알릴(chloroallyl)-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azoniaadamantane)(Dow Chemical Company에서 제조한 "Dowicil 200"으로도 알려진 콰테르늄(quaternium)-15))의 시스 이성질체, 디아졸리디닐(diazolidinyl) 요소,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염화 메틸벤제토늄, 및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히단토인 유도체로는 한정적이진 않으나 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글리단트(glydant)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항균제로는 트리클로산, 1-(3-클로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콰테르늄-15), 히단토인, 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글리단트)와 같은 히단토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조성물내의 항균제 함량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용매로는 피부에 적합하고, 적당한 시간 내에 건조가능하고, 조성물의 고형성분들을 분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매로는 물, 저급 알콜, 저 분자량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로는 C1내지 C4의 알콜을 들 수 있다. 저 분자량 글리콜로는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물, 저급 알콜, 저 분자량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매로는 피부에 침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조성물내의 용매 함량은 약 70 중량% 내지 약 93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이다.
첨가제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양립할 수 있고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으로 유익한 것이면 어느 성분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으로 유일한 공지의 첨가제로는 장벽 성능에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착색제, 방향제, 햇볕 타기 방지제, 방충제, 계면활성제(습식제), 유동 개질제(레올로지 개질제), 청정제, 가습제, 막 용해성 개질제, 막 가소제, 염, 자연 추출물,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또한 장벽 성능에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박리제, 수렴제, 산화 방지제, 비타민, 자기 태움(self-tanning) 제, 유화제, 완화제, 효소, 각질용해약, 항소양제, 진통제,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균제, 보건제, 항생제, 방부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기타 생 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조성물내 첨가제 함량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션, 겔, 또는 크림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화장품 및 가습제와 같은 피부 보호 제품으로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경우에는 독성 담쟁이 덩굴, 독성 오크, 독성 옻나무 및 기타 자극물과 같은 알레르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사전 노출 로션으로 조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피부에 피부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양만큼 도포하여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항균제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피부에 피부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양만큼 도포하여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접촉 피부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피부 적합성 장벽막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항균제와, 용매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피부에 도포하는 로션, 겔 또는 크림의 형태를 갖는 피부 보호 제품이다. 일단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 되면 그 조성물내의 용매가 증발하고, 이에 따라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막이 남게 된다. 이 막은 또한 다당류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항균제와, 그리고 임의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의 조성은 약 14 중량% 내지 약 87 중량%의 다당류와, 약 5 중량% 내지 약 63 중량%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임의적인 약 3 중량% 내지 74 중량%의 첨가제로 되어 있다.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의 조성은 약 14 중량% 내지 약 87 중량%의 다당류와, 약 5 중량% 내지 약 63 중량%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와, 약 0.1 중량% 내지 60 중량%의 항균제와, 임의적인 약 3 중량% 내지 74 중량%의 첨가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피부 적합성 장벽막은 세제 및 고무 화합물의 구성 성분들과 같은 비 오일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자연 또는 합성 알레르기성 약품 또는 다른 피부 자극제들의 침투를 감소 또는 방지시킬 수 있는 비 접착성 막이다.
상기 막은 유리하게 비 폐색성, 무 독성 및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 막은 또한 무색이나 필요하다면 착색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막은 사용 중에 분말화 및 조각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필름은 또한 화장용으로도 가능하고, 따라서 "비 가시성 글러브" 제품은 물론 환경 보존 피부(얼굴)보호제품으로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적합성 막은 바람직하게 효과적인 장벽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성물내의 다당류는 유리하게 친수성, 비 이온성, 막 형성 특성, 및 소정의 장벽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비록 자체로는 막 형성 특성 또는 장벽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막 형성 다당류와 조합될 경우 각 성분 단독에서 보다 조합물 상태에서 보다 효과적인 막 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조성물내의 항균제는 첫째, 상기 조성물의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둘째, 상기 조성물의 도포시 노출 또는 감염된 피부의 감염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고, 셋째, 접촉 피부염을 방지 및 감소시키기 위한 비가시성 글러브를 형성하기에 앞서 피부를 청결화시킬 수 있게 한다.
비록 어떤 한가지의 이론으로 한정되어서는 않되지만,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의 당 분자들의 짧은 고리들이 훨씬 큰 다당류에 의해 형성되는 막내의 공극들을 채우게 되어 보다 양질의 막 및 보다 효과적인 장벽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분명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자를 위한 가이드로서 하기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해당 조성물들을 하기의 4가지 자극제들에 대해 시험하였다.
·글리세롤내의 1.3 중량%의 피로카테콜(pyrocatechol)
·글리세롤내의 1.3 중량%의 1,4-페닐렌디아민
·메탄올 용액내의 포화 이황화 벤질
·물내의 2.4 중량%의 라우릴 황산나트륨
하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성물의 막 장벽 성능은 전반사율 감쇄식 적외선(Attenuated Total Reflectance-Infrared)(ATR-IR)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하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성물의 항균 효능은 항균/방부 효과 및 항생-미생물 시금용 미국 약전 처방 절차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막 장벽 성능의 측정을 위한 ATR-IR 방법
전반사 감쇄형 부속장치의, 베이스라인이 수평한 아연-셀레늄 결정에 각 실시예의 시험용액의 소정 체적을 도포하고, 이 용액을 막의 형태로 공기 건조시킨 후 이 건조 막의 상면에 소정 체적의 자극제를 도포하였다. 그 뒤에 결과 구조를 중수소화 황산염화 트리글리신(triglycine) 검출기와 옴닉(Omnic)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고 해프-젠젤(Happ-Genzel) 아포디제이션(apodization)을 사용하여 4 cm-1의 해상도로 동작하는 니콜렛(Nicolet) 충격 시리이즈 400D 푸리에 변환 적외선 스펙트로메타에 배치하였다. 30분의 주기로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각 스펙트럼에 대해 각 시험 자극제에 따라 선택된 흡수대들을 감시하였다. 파장은 피로카테콜의 경우 1521 cm-1이었고, 라우릴 황산나트륨의 경우 1225 cm-1이었고, 1,4-페닐렌디아민의 경우 1515 cm-1이었고, 이황화 벤질의 경우 1610 cm-1이었다.
상기 선택된 파장에서 흡수대의 양상은 자극제가 건조 막을 통해 삼투 또는 침투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시간이 시험한 장벽 조성에 의한 보호 기간의 척도이다. 이 데이타와 사람에 대한 임상시험사이에는 양호한 상호 관계가 존재한다.
항균/방부 효과를 위한 미국 약전 처방 절차
20 ㎖의 시료를 멸균 튜브에 장입한 후 0.1 ㎖ 내지 20 ㎖의 샘플마다 미생물 현탁액을 접종하여 혼합한다. 상기 미생물 현탁액은 그램 양성 및 그램 음성 균, 효모, 곰팡이로 구성되어 있다. 접종 튜브들을 각기 7, 14, 21, 28일간 25℃에서 배양한 후 플레이트 계수 방법을 사용하여 각 배양 기간에서의 생존 미생물의 수를 측정한다. 상기 플레이트 계수방법은 멸균 페트리 디쉬에 소정량의 샘플을 피펫을 사용하여 옮기는 단계와, 적당한 우무 증식 배지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페트리 디쉬를 37℃에서 24 내지 48시간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뒤에 생존 군체들의 수를 계수한 후 기록한다.
항생-미생물 시금용 미국 약전 처방 절차
적당한 증식배지를 포함하는 멸균 페트리 디쉬들을 준비한 후 선택 미생물들을 시드(seed)시킨다. 그 뒤에 막 펠릿(pellet)을 우무 배지에 놓고 페트리 디쉬를 37℃에서 24 내지 48시간동안 배양한다. 그 후, 비 증식 영역(저지대)를 측정, 기록한다.
비교 실시예 A 내지 N
다당류 성분들과 당류 성분들의 다양한 조성물들을 준비하였다. 이 조성물들은 표 1에 비교 실시예 A 내지 N으로 기재되어 있다.
막 장벽 성능의 측정을 위해 ATR-IR 방법을 사용하여 각 조성물을 피로카테콜에 대해 시험하였다.
피로카테콜 자극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ATR-IR 방법에 따라 막 장벽 성능을 측정하였다.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100 또는 200 ㎕의 조성물 시험 용액을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의 시험 결과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비교실시예 셀룰로스 성분 당 류 성 분 용매
중량% 형태 등 급 제조자 중량% 형 태 등 급 제조자 중량% 형태 보호기간(시간)
A 0 20 디-프락토스 Aldrich 80 0
B 0 20 디-글루코스 Aldrich 80 0
C 0 20 디-수크로스 Aldrich 80 0
D 0 15 말토덱스트린 Grain Proc. 85 0
E 0 100 메틸글루세스-10 Glucam E-10 Amerchol 0 0.5
F 0 100 메틸글루세스-20 Glucam E-20 Aldrich 0 0.5
G 0 20 디-말토스 Aldrich 80 0.5
H 0 20 디-만노스 Amerchol 80 0
I 0 20 옥수수 시럽 고형물 Maltrin M-250 Grain Proc. 80 0
J 5 MC Methocel A-152V Dow Chem. 0 95 1
K 15 HEC WP-09H Union Carbide 0 85 2
L 15 HPC KLUCEL,EF Aqualon 0 85 에탄올 1
M 20 HPC KLUCEL,EF Aqualon 0 80 에탄올 2
N 5 HPMC Methocel K-100LV Dow Chem 0 95 0.5
실시예 J를 제외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100 ㎕의 시험용액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J에서는 200 ㎕의 시험용액을 사용.
실시예 1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스(15 g)(KLUCEL™ EF 급, Hercules Inc.)를 80 g의 변성 에틸 알콜(SDA-40)에 분사시킨 후 실온에서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메틸 글루세스-20(5 g)(Glucam™E-20, Amerchol Corp.)을 첨가한 후, 결과 혼합물을 대강 교반하였다.
이 조성물을 여러 피부 자극제들에 대한 장벽 성능에 관련해서는 ATR-IR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러스 추출물에 대한 장벽 성능에 관련해서는 임상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막 장벽 성능은 모두 4 개의 자극제들을 사용하여 상기한 ATR-IR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 ㎕의 각 자극제에 대해 200 ㎕의 조성물 시험 용액을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의 시험 결과, 상기한 조성물은 모든 자극제에 대해 8시간 이상의 보호기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러스 추출물에 대한 임상 벙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5명의 인간 대상자의 팔뚝을 비누와 물로 씻은 후, 수건으로 건조시켰다. 그 뒤에 대상자 팔뚝 안쪽의 3개의 4x4 ㎝ 부위에 상기한 조성물의 3개 시험 용액(각기 약 0.2 ㎖)을 도포하였다. 4번째 부위는 치료하지 않은 상태로 두어 제어자로서 작용케 하였다.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10 ㎕의 표준 함유수지 추출물(에탄올내 러스 함유수지의 1:50 희석액)을 0.6 ㎝ 직경의 필터지 디스크들상에 도포하였다. 그 뒤에 상기 디스크들을 30분간 공기 건조시킨 후 핀셋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각 시험 부위에 놓았다. 그 뒤에 반 폐색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각 디스크를 고정시켰다. 8시간 후, 디스크들을 제거하고 팔뚝을 따뜻한 물과 비누로 씻은 후 수건으로 닦아내었다.
72시간(3일)후 그리고 120시간(5일)후 피부염의 평가를 위해 대상자들을 진료소로 보냈다. 이 평가는 계기만을 사용하여 다음의 5가지 점수의 임상 단계들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점수 = 0 무 반응. 정상 피부 상태
= 1 약간의 반응. 최소로 상승된 손상 및 중간정도의 홍반.
= 2 중간정도의 반응. 부종을 수반한 보다 상승된 손상 및 중간정도의 홍반
= 3 강한 반응. 강한 부종을 수반한 전체적으로 상승된 손상, 강한 홍반 및 부스럼 또는 인피 발생.
= 4 매우 강한 반응. 소포 반응.
상기 임상 방법을 이용한 시험 결과, 5명의 대상자중 아무도 우루시올(urushiol) 항원과의 접촉후 72시간 및 120시간이 지나도 염증 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5명 전 대상자의 제어 부위(장벽 보호가 없는)에서는 양성 레벨 2의 염증 반응이 나타났다.
실시예 2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스(15 g)(KLUCEL™ EF 급, Hercules Inc.)를 80 g의 증류수에 분사시킨 후 실온에서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디(D)-프락토스(Aldrich Chemical)(5 g)를 첨가한 후, 결과 혼합물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막 장벽 성능 측정을 위해 상기 조성물을 ATR-IR 방법을 사용하여 피로카테콜에 대해 시험하였다.
막 장벽성능은 피로카테콜 자극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ATR-IR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100 ㎕의 조성물 시험 용액을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의 시험 결과, 상기한 조성물은 8시간 이상의 삼투 또는 보호기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15 g)(CELLOSIZE™ WP-09H 급, Union Carbide Corporation)를 80 g의 증류수에 분사시킨 후 실온에서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메틸 글루세스-20(Glucam™ E-20 Amerchol Corporation)(5 g)을 첨가한 후, 결과 혼합물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막 장벽 성능 측정을 위해 상기 조성물을 ATR-IR 방법을 사용하여 피로카테콜에 대해 시험하였다.
막 장벽성능은 ATR-IR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100 ㎕의 조성물 시험 용액을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의 시험 결과, 상기한 조성물은 5시간 이상의 삼투 또는 보호기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25
본 발명의 셀룰로스 및 당류 성분들의 다양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 조성물들은 표 2 및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막 장벽 성능 측정을 위해 상기 조성물들을 ATR-IR 방법을 사용하여 피로카테콜에 대해 시험하였다.
막 장벽성능은 ATR-IR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100 또는 200 ㎕의 조성물 시험 용액을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의 시험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실시예 셀룰로스 성분 당 류 성 분 용매
Wt% 형태 등 급 제조자 Wt% 형 태 등 급 제조자 Wt% 형태 보호기간(시간)
4 15 HPC KLUCEL,EF Aqualon 5 디-프락토스 Aldrich 80 >8
5 15 HPC KLUCEL,EF Aqualon 5 디-글루코스 Aldrich 80 5
6 15 HPC KLUCEL,EF Aqualon 5 디-만노스 Aldrich 80 >8
7 15 HPC KLUCEL,EF Aqualon 5 디-수크로스 Aldrich 80 >8
8 15 HPC KLUCEL,EF Aqualon 5 디-말토스모노하이드레이트 Aldrichl 80 6
9 15 HPC KLUCEL,EF Aqualon 5 옥수수 시럽 고형물 Maltrin M-250 Grain Proc. 80 3
10 15 HPC KLUCEL,EF Aqualon 5 말토덱스트린 Maltrin M-180 Grain Proc. 80 >8
11 15 HPC KLUCEL,EF Aqualon 5 PPG-10 메틸 글루코스에테르 Glucam P-10 Amerchol 80 에탄올 5
12 15 HPC KLUCEL,EF Aqualon 5 PPG-20 메틸 글루코스에테르 Glucam P-20 Amerchol 80 에탄올 5.5
13 15 HPC KLUCEL,EF Aqualon 5 메틸글루세스-20디올리에이트 Glucam E-20 distear. Amerchol 80 에탄올 2
14 15 HEC KLUCEL,EF Aqualon 5 메틸글루코스디올리에이트 Grillocose DO RITA 80 에탄올 4.5
15 15 HPC KLUCEL,EF Aqualon 5 메틸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Grillocose IS RITA 80 에탄올 1
16 15 HPC KLUCEL,EF Aqualon 5 PPG-20 메틸글루코스에테르 디스테아레이트 Glucam P-20 distear. Amerchol 80 에탄올 3
17 15 HPC KLUCEL,EF Aqualon 5 수크로스 시어레이트 Grilloton PSE 141G RITA 80 에탄올 0
18 15 HPC KLUCEL,EF Aqualon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40+40 물+에탄올 5.5
모든 실시예에서 100 ㎕의 시험용액 사용.
표 3
실시예 셀룰로스 성분 당 류 성 분 용매
중량% 형태 등 급 제조자 중량% 형 태 등 급 제조자 중량% 형태 보호기간(시간)
19 5 MC Methocel A-15LV Dow Chem.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90 5
20 15 EC Ethocel Dow Chem.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80 에탄올 >8
21 15 HEC WP-09H Union Carbide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80 5
22 15 HPC KLUCEL, EF Aqualon 5 메틸 글루세스-10 Glucam E-10 Amerchol 80 에탄올 5
23 15 HPC KLUCEL, EF Aqualon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80 에탄올 5
24 5 HPMC Methocel K-100LV Dow Chem. 5 메틸 글루세스-20 Glucam E-20 Amerchol 90 1.5
25 10 CMC Cell Gum 7L2P Aqualon 5 메틸 글루세스-20 Methyl Gluceth-20 Amerchol 85 0.5
실시예 19를 제외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100 ㎕의 시험용액을 사용, 실시예 19에서는 200 ㎕의 시험용액을 사용.
표 2 및 표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당류, 즉, 셀룰로스 유도체와, 저분자량 상승 당류의 조합에 의해 우수한 장벽 특성을 갖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이 제공된다. 특히, 표 2의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80 중량%의 물에 15 중량%의 HPC와 5 중량%의 디-프락토스의 조합이 용해된 경우에는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8시간 이상의 보호기간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85 중량%의 에탄올에 15 중량%의 HCP가 용해된 경우(표 1의 비교 실시예 L)에는 단지 1시간의 보호기간만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80 중량%의 물에 20 중량%의 디-프락토스가 용해된 경우(비교 실시예 A)에는 전혀 보호 기간이 제공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표 3의 실시예 19를 참조하면 90 중량%의 물에 5 중량%의 메틸 셀룰로스(MC)와 5 중량%의 메틸 글루세스-20을 용해시킨 경우에는 5 시간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95 중량%의 물에 5 중량%의 메틸 셀룰로스를 용해시킨 경우(비교 실시예 J)에는 단지 1 시간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 또한, 100 중량%의 메틸 글루세스-20을 사용한 경우(비교 실시예 F)에는 0.5 시간 미만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
또한, 표 3의 실시예 21를 참조하면 80 중량%의 물에 15 중량%의 HEC와 5 중량%의 메틸 글루세스-20을 용해시킨 경우에는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5 시간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85 중량%의 물에 15 중량%의 HEC를 용해시킨 경우(표 1의 비교 실시예 K)에는 단지 2 시간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 또한, 100 중량%의 메틸 글루세스-20을 사용한 경우(비교 실시예 F)에는 0.5 시간 미만의 보호 기간이 제공된다.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 분자량 상승 당류 자체는 막 형성 또는 장벽 특성을 실질적으로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 분자량 상승 당류가 본 발명의 막 형성 다당류와 조합되면, 결과 조합물은 의외로 각 성분 단독의 경우보다 효과적인 막 장벽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26
히드록시프로판셀룰로스(30 g)(KLUCEL™ EF 급, Aqualon Company), 메틸 글루세스-20(10 g)(Glucam™ E-20, Amerchol Corporation), 트리클로산(0.6 g)(IRGASAN™ DP 300), 그리고 159.4 g의 SD 알콜 40을 250 ㎖의 날젠(NALGENE) 병에 넣어 혼합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200 ㎕의 상기 조성물을 미국 약전 처방 절차에 따른 항생-미생물 시금을 위해 통풍식 오븐내에서 80℃로 막 펠릿으로 건조시켰다. 결과에 따르면 시험한 막들은 그램 양성 및 그램 음성 균과 효모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TR-IR 시험을 위해 100 ㎕의 조성물을 ZnSe 결정상에 도포한 후 공기 건조시켰다. 그 뒤에,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ATR-IR 방법에 따라 막 장벽 성능을 측정하였다. ATR-IR 방법을 사용한 시험 결과, 상기 조성물이 5 시간의 삼투 또는 보호 기간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7
히드록시프로판셀룰로스(30 g)(KLUCEL™ EF 급, Aqualon Company), 메틸 글루세스-20(10 g)(Glucam™ E-20, Amerchol Corporation), 그리고 0.2 g의 DOWICIL™ 200을 증류수(159.8 g)에 혼합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그램 양성 및 그램 음성 균, 효모, 그리고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풀(pool)에 대해 미국 약전 처방 절차에 따른 항균/방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20 ㎖의 시료를 0.1 ㎖의 미생물 현탁액으로 접종한 상태에서 25℃로 각기 7, 14, 21, 28일간 배양하였다. 생존 유기체들의 수를 측정하기 위해 접종된 샘플의 각 부분들을 떠냈다(plate-out). 결과에 따르면 수회의 시험 사이클 후 조성물은 유기체가 전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TR-IR 시험을 위해, 100 ㎕의 조성물 시험용액을 20 ㎕의 피로카테콜 자극제에 대해 시험하였다. ATR-IR 방법을 사용한 시험 결과, 상기 조성물이 5.5 시간의 삼투 또는 보호 기간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 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6)

  1. 접촉 피부염의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에 있어서,
    다당류(1)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2)와, 용매(3)와, 임의적인 첨가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스 유도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비 변성 단당류, 유도체화 단당류, 비 변성 이당류, 유도체화 이당류, 가수분해 녹말,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단당류는 프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이당류는 수크로스와 말토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에톡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 디스테아레이트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약 20 몰 에톡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이당류는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녹말은 말토덱스트린과 옥수수 시럽 고형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은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저급 알콜, 저 분자량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착색제, 방향제, 햇볕 타기 방지제, 방충제, 계면활성제, 유동 개질제, 청정제, 가습제, 막 용해성 개질제, 막 가소제, 염, 자연 추출물, 박리제, 수렴제, 산화 방지제, 비타민, 자기 태움(self-tanning) 제, 유화제, 완화제, 효소, 각질용해제, 항소양제, 진통제,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균제, 보건제, 항생제, 방부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용매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헥세티다인, 클로르헥시다인 염,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헥시레조르시놀, 염화 벤잘코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인, 페놀 유도체, 포비돈-아이오다인, 파라벤,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페녹시에탄올, 1-(3-클르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디아졸리디닐 요소, 염화 벤제토늄, 염화 메틸벤제토늄,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1-(3-클로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항균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용매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조성물.
  20. 접촉 피부염의 방지 또는 감소 방법에 있어서,
    다당류(1)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2)와, 용매(3)와, 임의적인 첨가제(4)를 포함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균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비 변성 단당류, 유도체화 단당류, 비 변성 이당류, 유도체화 이당류, 가수분해 녹말,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단당류는 프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이당류는 수크로스와 말토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에톡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 디스테아레이트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약 20 몰 에톡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이당류는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녹말은 말토덱스트린과 옥수수 시럽 고형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은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저급 알콜, 저 분자량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착색제, 방향제, 햇볕 타기 방지제, 방충제, 계면활성제, 유동 개질제, 청정제, 가습제, 막 용해성 개질제, 막 가소제, 염, 자연 추출물, 박리제, 수렴제, 산화 방지제, 비타민, 자기 태움(self-tanning) 제, 유화제, 완화제, 효소, 각질용해제, 항소양제, 진통제,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균제, 보건제, 항생제, 방부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용매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헥세티다인, 클로르헥시다인 염,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헥시레조르시놀, 염화 벤잘코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인, 페놀 유도체, 포비돈-아이오다인, 파라벤,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페녹시에탄올, 1-(3-클르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디아졸리디닐 요소, 염화 벤제토늄, 염화 메틸벤제토늄,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1-(3-클로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항균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용매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피부염 방지 또는 감소 방법.
  39. 피부 적합성 장벽막에 있어서,
    다당류(1)와, 저 분자량 상승 당류(2)와, 임의적인 첨가제(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0. 제 39 항에 있어서, 항균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부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비 변성 단당류, 유도체화 단당류, 비 변성 이당류, 유도체화 이당류, 가수분해 녹말,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단당류는 프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변성 이당류는 수크로스와 말토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에톡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시드 디스테아레이트의 프로폭실레이트와,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단당류는 메틸 글루코시드의 약 20 몰 에톡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이당류는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0.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녹말은 말토덱스트린과 옥수수 시럽 고형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1.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화 녹말 가수분해물은 약 1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20 몰의 에톡실레이트, 약 1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 약 20 몰의 프로폭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착색제, 방향제, 햇볕 타기 방지제, 방충제, 계면활성제, 유동 개질제, 청정제, 가습제, 막 용해성 개질제, 막 가소제, 염, 자연 추출물, 박리제, 수렴제, 산화 방지제, 비타민, 자기 태움(self-tanning) 제, 유화제, 완화제, 효소, 각질용해제, 항소양제, 진통제,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균제, 보건제, 항생제, 방부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14 중량% 내지 약 87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6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37 중량% 내지 약 74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헥세티다인, 클로르헥시다인 염,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헥시레조르시놀, 염화 벤잘코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인, 페놀 유도체, 포비돈-아이오다인, 파라벤,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페녹시에탄올, 1-(3-클르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디아졸리디닐 요소, 염화 벤제토늄, 염화 메틸벤제토늄,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트리클로산, 1-(3-클로로알릴)-3,5,6-트리아자-1-염화 아조니아아다만탄의 시스 이성질체, 히단토인, 히단토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56.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약 14 중량% 내지 약 87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 분자량 상승 당류는 약 5 중량% 내지 약 63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항균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약 37 중량% 내지 약 74 중량%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적합성 장벽막.
KR1019980708742A 1996-04-30 1997-04-28 접촉피부염방지를위한조성물,장벽막,및방법 KR20000065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42,227 1996-04-30
US08/642,227 US5837266A (en) 1996-04-30 1996-04-30 Composition,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tact dermatitis
PCT/US1997/007748 WO1997040813A1 (en) 1996-04-30 1997-04-28 Composition,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tact dermatit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141A true KR20000065141A (ko) 2000-11-06

Family

ID=2457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742A KR20000065141A (ko) 1996-04-30 1997-04-28 접촉피부염방지를위한조성물,장벽막,및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4) US5837266A (ko)
EP (1) EP0896521B1 (ko)
JP (1) JP3943598B2 (ko)
KR (1) KR20000065141A (ko)
AP (1) AP9801367A0 (ko)
AT (1) ATE307563T1 (ko)
AU (1) AU715060B2 (ko)
BR (1) BR9708840A (ko)
CA (1) CA2251840C (ko)
DE (1) DE69734446T2 (ko)
EA (1) EA001191B1 (ko)
ES (1) ES2252782T3 (ko)
IL (1) IL126614A (ko)
OA (1) OA10911A (ko)
WO (1) WO1997040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96A (ko) * 2002-11-19 2004-05-24 이경식 셀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각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7266A (en) * 1996-04-30 1998-11-17 Hydromer, Inc. Composition,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tact dermatitis
AUPO690997A0 (en) 1997-05-20 1997-06-12 Novapharm Research (Australia) Pty Ltd Alkylpolyglucosides containing disinfectant compositions active against pseudomonas microorganism
US6391282B1 (en) * 1997-11-10 2002-05-21 Flemington Pharmaceutical Corp. Antihistamine sprays and ointments for relief of delayed contact dermatitis
US6248343B1 (en) * 1998-01-20 2001-06-19 Ethicon, Inc. Therapeu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7566740B2 (en) * 1998-10-06 2009-07-28 Bml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mucositis
US6440432B1 (en) * 1999-03-18 2002-08-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Ski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dextran or maltodextrin and a weak carboxylic acid
US6423746B1 (en) * 1999-07-03 2002-07-23 The William M. Yarbrough Foundation Urushiol induced contact dermatitis and method of use
WO2002002104A1 (en) * 2000-07-03 2002-01-10 The William M. Yarbrough Foundation Urushiol induced contact dermatitis treatment and method of use
US20020122772A1 (en) * 2000-07-14 2002-09-05 Elvin Lukenbach Self foaming cleansing gel
IL142812A (en) * 2001-04-25 2012-12-31 Israel State Highly effective anti-vasodilators and chemicals with high permeability
DE10124475A1 (de) * 2001-05-19 2002-11-21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r oder mehreren Kethohexosen
DE10143080A1 (de) * 2001-09-03 2003-03-20 Beiersdorf Ag Insektenabwehrmittel
US7115563B2 (en) 2002-05-29 2006-10-03 Insignion Holding Limited Composition and its therapeutic use
US7858570B2 (en) 2004-02-24 2010-12-28 Hare William 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urushiol and treating the resulting skin condition
US20050191270A1 (en) * 2004-02-27 2005-09-01 Hydromer, Inc. Anti-infectious hydrogel compositions
US7265257B2 (en) * 2004-08-10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bodily exudate modifying agent and a film-forming skin care formulation
US7642397B2 (en) * 2004-08-10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bodily exudate modifying agent and a skin care formulation
US20060088496A1 (en) * 2004-10-25 2006-04-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salts of hydroxypropyl trialkylammonium substituted mono-saccharide
US8778369B2 (en) 2005-07-29 2014-07-15 Delaval Holding Ab Barrier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8153613B2 (en) 2006-05-24 2012-04-10 Delaval Holding Ab Barrier film-forming germ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mastitis
DE102005059742A1 (de) 2005-12-13 2007-06-14 Beiersdorf Ag Transparentes Sonnenschutzmittel
FR2896691B1 (fr) * 2006-02-02 2008-06-13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Utilisation d'esters d'alkylglucoside comme inducteurs de beta-defensines
MX2008010359A (es) * 2006-02-09 2009-01-30 Elevance Renewable Sciences Composiciones, metodos y sistemas antimicrobianos.
US7951232B2 (en) * 2006-02-09 2011-05-31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Surfac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70203040A1 (en) * 2006-02-24 2007-08-30 Harry Reicherz Bar soap
US20070218020A1 (en) * 2006-03-16 2007-09-20 Tomasi Nestor 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ion from dermatitis, from urushiol and/or from sunlight
JP2007302632A (ja) * 2006-05-12 2007-11-22 Masahito Kamiya アレルギー性物質防護剤
US8128949B2 (en) * 2008-04-14 2012-03-06 John Mosher Kit for insect bites
GB2471135A (en) * 2009-06-19 2010-12-22 H D S Ltd Hair dye composition and use in reducing contact allergy
US20140249102A1 (en) * 2010-09-01 2014-09-0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Topical Applicato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Radiologically Contaminated Dermal Injuries
WO2017142866A1 (en) * 2016-02-15 2017-08-2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Shikimate analogues and methods of use
WO2022026960A1 (en) * 2020-07-31 2022-02-03 Natural Extraction System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excipients and cannabinoid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9523A (en) * 1939-03-31 1941-07-15 Eastman Kodak Co Medicament
US3961044A (en) * 1967-02-01 1976-06-01 Cincinnati Milacron, Inc. Skin protective compositions
US3981990A (en) * 1967-02-01 1976-09-21 Cincinnati Milacron, Inc. Skin protective compositions
US4076799A (en) * 1972-12-27 1978-02-28 Cincinnati Milacron, Inc. Method of inhibiting skin irritation
US4112067A (en) * 1977-02-17 1978-09-05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reating poison ivy dermatitis using certain polyamines and polytertiaryamides
LU77562A1 (de) * 1977-06-17 1979-03-26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pharmazeutischen praeparaten
US4210633A (en) * 1978-10-20 1980-07-01 Eli Lilly And Company Flurandrenolide film formulation
US4451453A (en) * 1982-04-13 1984-05-29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reating contact dermatitis
WO1988004168A1 (en) * 1986-12-08 1988-06-16 Arseco, Inc. A storage stable topical composition
JPS63216815A (ja) * 1987-03-06 1988-09-09 Terumo Corp 皮膚保護剤
DK505488D0 (da) * 1987-12-21 1988-09-09 Bar Shalom Daniel Middel og anvendelse af samme
DE3942726C1 (en) * 1989-12-22 1991-04-18 Btc Biotechnik International Gmbh, 2050 Hamburg, De Skin care compsn. - contg. aq. sol-gel of xanthan and carob bean meal, organic betaine deriv. as surfactant, organic acid, etc.
US5602183A (en) * 1991-03-01 1997-02-11 Warner-Lambert Company Dermatological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same
US5876754A (en) * 1992-01-17 1999-03-02 Alfatec-Pharma Gmbh Solid bodies containing active substances and a structure consisting of hydrophilic macromolecules, plus a method of producing such bodies
US5420114A (en) * 1993-07-07 1995-05-30 Clodman; Percy B.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WO1995006462A1 (en) * 1993-08-30 1995-03-09 Warner-Lambert Company Tablet coating based on a melt-spun mixture of a saccharide and apolymer
US5407919A (en) * 1993-09-29 1995-04-18 Brode; George L. Double-substituted cationic cellulose ethers
US5702709A (en) * 1995-04-18 1997-12-30 Enviroderm Pharmaceuticals, Inc. Skin allergen and irritant barrier lotion
US5837266A (en) * 1996-04-30 1998-11-17 Hydromer, Inc. Composition,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tact dermatit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96A (ko) * 2002-11-19 2004-05-24 이경식 셀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각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6614A (en) 2004-07-25
OA10911A (en) 2003-02-21
EA001191B1 (ru) 2000-12-25
US5837266A (en) 1998-11-17
CA2251840C (en) 2006-10-03
EP0896521A4 (en) 2002-01-30
CA2251840A1 (en) 1997-11-06
IL126614A0 (en) 1999-08-17
AU715060B2 (en) 2000-01-13
DE69734446D1 (de) 2005-12-01
DE69734446T2 (de) 2006-08-03
WO1997040813A1 (en) 1997-11-06
US5851540A (en) 1998-12-22
AP9801367A0 (en) 1998-12-31
JP3943598B2 (ja) 2007-07-11
US5888520A (en) 1999-03-30
BR9708840A (pt) 2000-01-04
ES2252782T3 (es) 2006-05-16
ATE307563T1 (de) 2005-11-15
JP2000510827A (ja) 2000-08-22
AU2831497A (en) 1997-11-19
EP0896521A1 (en) 1999-02-17
EP0896521B1 (en) 2005-10-26
EA199800958A1 (ru) 1999-04-29
US6110475A (en)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5141A (ko) 접촉피부염방지를위한조성물,장벽막,및방법
US6342537B1 (en) Gel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for disinfection of the skin
JP6734781B2 (ja) 手指衛生ガイドラインの順守を奨励するために改善された審美性及び皮膚コンディショニングを有する手指消毒剤
EP1252820B1 (en) Pediculicidal and ovicidal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killing head lice and their eggs
GB1569423A (en) Potentiate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4197318A (en) Potentiated antimicrobial medicaments
JPH11279079A (ja) 高グリセリン含有抗微生物洗浄液
WO2018211333A1 (en) Preservative systems
LV12582B (en) DISINFECTING MIXTURE
WO1992009636A1 (en) Skin protec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inhibiting skin irritation
CA1072009A (en) Potentiated medicaments 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s
US6576223B2 (en) Insect repellent
US5462728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602004013037T2 (de) Sanfte und verbesserte konservierungsmittelsysteme
US11998767B2 (en) Hand sanitizers with improved aesthetics and skin-conditioning to encourag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guidelines
US7494672B2 (en) Use of guaiac wood for treating inflammation of th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