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612A - 복수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 및 복원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 및 복원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612A
KR20000064612A KR1019980707303A KR19980707303A KR20000064612A KR 20000064612 A KR20000064612 A KR 20000064612A KR 1019980707303 A KR1019980707303 A KR 1019980707303A KR 19980707303 A KR19980707303 A KR 19980707303A KR 20000064612 A KR20000064612 A KR 2000006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information signal
digital information
composi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942B1 (ko
Inventor
알폰스 안토니우스 마리아 람베르투스 브루에케르스
Original Assignee
엠. 제이. 엠. 반 캄
코닌클리야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제이. 엠. 반 캄, 코닌클리야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엠. 제이. 엠. 반 캄
Publication of KR2000006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L0,L1,L2,…,R0,R1,R2,…)를 데이터 압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이 일련의 샘플을 포함하는 데이터 압축장치에 대해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1, 2)와,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하여 합성 정보신호(L0,R0,L1,R1,L2,R2,…)를 얻는 병합부(6)를 구비한다. 더구나,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데이터 압축부(12)가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단자(16)가 존재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 및 복원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은 일련의 샘플을 포함하고,
-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신호 합성수단과,
-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데이터 압축수단과,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압축장치와,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며,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여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데이터 복원수단과,
-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복원장치와, 상기 데이터 압축장치를 구비한 송신장치와, 상기 데이터 복원장치를 구비한 수신장치와, 데이터 압축방법과, 데이터 복원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는 과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1인 EP-A 402,973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 문헌에는 서브밴드 부호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 각각이 44.1kHz 등의 특정한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하여 A/D 변환되고, 이에 따라 얻어진,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의 24 비트 폭을 갖는 워드의 형태를 지닌 복수의 샘플이 서브밴드 스플리터 필터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서보밴드 스플리터 필터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적 협대역의 복수의 서브밴드 신호로 분할한다. 심리음향 모델(psycho acoustic model)을 사용하여, 마스킹 임계값(masked threshold)을 도출한 다음, 상기한 마스크 임계값에 응답하여, 복수의 서브밴드 신호의 복수의 샘플로 이루어진 블록을 서브밴드 신호의 블록 각각에 대해 샘플당 특정한 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양자화함으로써, 전송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당한 데이터 압축을 얻게 된다. 이때 수행되는 데이터 압축은 귀에 들리지 않는 오디오 신호의 성분을 '버리는 것'에 근거를 두고 있으므로, 손실성 압축방법에 해당한다.
강도 스테레오 모드에 있어서는, 동일한 서브밴드에 있어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에 대한 복수의 서브밴드 신호로 이루어진 샘플을 혼합하고, 복수의 합성 서브밴드 신호로 이루어진 샘플을 얻기 위해 그것들을 가산하여, 합성 서브밴드 신호에 대해 데이터 압축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데이터 축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문헌 D1에 기재된 데이터 압축방법은 다소 지능적인 데이터 압축방법으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 상당한 수의 게이트 또는 명령어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더구나, 이에 따른 복원장치 또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에 상당한 수의 게이트 또는 명령어를 필요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무손실 부호기와 같은 보다 단순한 데이터 압축장치를 사용하여 더욱 단순한 방법으로 데이터 압축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하면서도 비용이 적게 드는 상기한 데이터 압축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복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하여 상기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병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데이터 압축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입력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압축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합성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압축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복원장치와, 상기 데이터 압축장치를 구비한 송신장치와, 상기 데이터 복원장치를 구비한 수신장치와,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내용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러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데이터 압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데이터 압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병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기록매체 상에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내부에 통합된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압축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장치 내부에 통합된 데이터 압축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오류정정 부호기와 채널 부호기를 더 구비한 기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원래의 정보신호의 복제본으로 데이터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데이터 복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추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내부에 통합된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복원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전송매체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내부에 통합된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복원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채널 복호기와 오류정정부를 더 구비한 재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제 1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 L0,L1,L2,…를 수신하는 입력단자(1)와,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 R0,R1,R2,…를 수신하는 입력단자(2)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 각각에 해당한다.
상기 입력단자 1은 병합부(6)의 제 1 입력단자(3)에 접속된다. 또한, 입력단자 2는 병합부(6)의 제 2 입력단자(4)에 접속된다. 상기 병합부(6)의 출력단자(8)는, 출력단자(16)에 접속된 출력단자(14)를 갖는 데이터 압축부(12)의 입력단자(10)에 접속된다. 더구나, 상기 병합부(6)의 출력단자(8)에 접속된 입력단자와 상기 데이터 압축부(12)의 제어신호 입력단자(19)에 접속된 출력단자를 갖는 제어신호 발생부(18)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의 복수의 샘플은 병합부(6)에 공급되고, 이 병합부는 합성신호에 있는 복수의 샘플이 다음 시퀀스와 같이 배열되도록 복수의 샘플을 1개의 합성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한다:
L0,R0,L1,R1,L2,R2,L3,….
이와 같이 얻어진 합성신호는 데이터 압축부(12)로 공급되는데, 이때 데이터 압축부는 허프만(Huffman)형 부호기와 연산 부호기 등의 무손실 데이터 압축 부호기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무손실 부호기는, 무손실 복호기에 의해 데이터 복원된 이후에, 원래의 정보신호를 거의 손실이 없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압축-복원과정을 거친 후에도 정보의 손실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손실 부호기는 가변길이 부호기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길이 부호기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변길이 부호기의 예로는, (이미 언급한) 허프만 부호기, 연산 부호기 및 렘펠-지브 부호기(Lempel-Ziv coder)를 들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2인 D.A. Huffman의 논문 'A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minimum-redundancy codes'와,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3인 G.G. Langdon의 'An introduction to arithmetic coding'과,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4인 J. Ziv et al의 'A universal algorithm for sequential data compression'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한 데이터 압축부(12)는 그것의 제어입력(19)에 주어진 제어신호의 영향하에 상기 합성신호에 대해 데이터 압축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응답하여 그것의 출력단자(14)에서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8)는, 병합부(6)의 출력단자(8)에 존재하는 합성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압축부(12)가 허프만 부호기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입력단자(19)에 주어지는 제어신호는 특정한 진폭을 갖는 샘플의 발생확률을 나타내는 통계 신호에 해당한다. 상기 압축부(12)가 연산 부호기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제어신호는 마찬가지로 합성신호 내부의 샘플의 발생확률을 나타내는 통계 신호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압축비와 2개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별도로 데이터 압축하여 얻어진 압축비를 비교한 결과, 도 1에 도시된 장치가 4%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한 데이터 압축과정은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합성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로 이루어진 블록은 데이터 압축부(12)에 의해 데이터 압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은, 먼저 제 1 정보신호의 샘플(Li)과 그후의 제 2 정보신호의 샘플(Ri)을 포함하도록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 앞에는 동기 워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나중에, 대응하는 데이터 복원장치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합성신호를 별개의 정보신호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압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매우 유사하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모든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병합부(6)와 데이터 압축부(12) 사이에 접속된 예측부(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예측부(20)는, 예측기(22)와, 감산기의 형태를 갖는 신호 합성부(24)를 구비한다. 상기 예측기는 그것의 입력에 인가된 신호의 예측값을 발생하여, 예측 신호를 그것의 출력에서 출력한다. 또한, 신호 합성부(24)는 예측 신호로부터 원래의 합성신호를 감산하여 나머지 신호를 얻으며, 이러한 나머지 신호는 예측부(20)의 출력단자(26)로 출력된다.
더구나, 도 2에는, 제어신호 발생부(18')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어신호 발생부는 직렬 접속된 예측기(22)와 변환부(21)를 구비한다. 변환부(21)는 예측기의 출력신호로부터 데이터 압축부(12)에 대한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통계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한 예측부(20)의 예측기(22)와 신호 합성부(24)에 대한 회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회로 구성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일례로서, 상기한 예측기(22)는 신호 합성부(24)의 출력단자로부터 동일한 신호 합성부(24)의 제 2 입력단자로 궤환 경로로 접속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측기(22)는 나머지 신호로부터 합성부(24)의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의 예측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터 압축장치의 병합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병합부(6')는 3가지 정보신호를 한 개의 합성신호로 병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3가지 정보신호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과 이에 대응하는 중앙 신호이다. 복수의 샘플은 다음과 같이 1개의 합성신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된다:
L0,R0,C0,L1,R1,C1,L2,R2,C2,….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순서로 병합하거나 동일한 신호의 2개의 샘플을 매번 병합하는 것과 같이, 이와 다른 시퀀스 또한 마찬가지로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압축장치를 구비한 기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예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기록장치는 기록매체(52) 상의 트랙에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50)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매체(52)가 자기 기록매체이므로, 상기 기록부(50)는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기록매체(52)에 기록하는 적어도 1개의 자기헤드(54)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록매체로는 CD 디스크 또는 DVD 디스크와 같은 광 기록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전송매체 TRM을 통해 전송하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압축장치를 구비한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장치는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예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송신장치는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전송매체 TRM으로 인가하는 송신부(6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송신부는 안테나(6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 링크 또는 기록매체와 같은 전송매체를 통한 전송과정은, 전송될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에 대해 오류정정 부호화와 채널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기록장치에 대한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에 대해 수행되는 이와 같은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기록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된 오류정정 부호기(56)와, 마찬가지로 당업계에 공지된 채널 부호기(58)를 구비한다.
도 7은,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원래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의 복제본으로 역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복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치는, 도 1의 데이터 압축장치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70)를 구비한다. 이 입력단자(70)는 데이터 복원부(74)의 입력단자(72)에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추출부(80)의 입력단자(78)에 접속된 출력단자(76)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추출부(80)는, 제 1 및 제 2 출력단자(86, 88)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출력단자(82, 84)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데이터 복원부(74)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입력(73)을 갖는다. 데이터 복원부(74)는 상기한 제어신호 입력단자(73)에 주어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여, 그것의 출력단자(76)에서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복원부(74)의 출력단자(76)에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입력단자(73)에 출력단자가 접속된 제어신호 발생부(75)가 존재한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그것의 입력(70)을 거쳐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데이터 복원부(74)의 입력단자(72)애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복원부(74)는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에 대해 데이터 복원과정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 복원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압축장치(12)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 압축과정의 역과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원래의 합성신호의 복제본이 발생되어 출력단자(76)로 주어진다. 상기 합성신호의 복제본은 추출부(80)에 주어진다. 추출부(80)는, 합성신호의 홀수의 샘플을 한 개의 출력단자, 예를 들면 출력단자 82에 공급하고, 합성신호의 짝수의 샘플을 다른 출력단자에 공급함으로써, 그것의 입력단자에 주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2개의 스트림으로 분할한다. 그 결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의 복제본이 출력단자(86, 88)에서 각각 나타나게 된다.
제어신호 발생부(75)는, 상기한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복원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장치와 매우 유사하다. 도 8에 도시된 장치는 도 7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모든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데이터 복원부(74)와 추출부(80) 사이에 접속된 예측부(90)와, 변환부(77)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예측부(90)는 예측기(92)와 가산기의 형태를 갖는 신호 합성부(94)를 구비한다. 이 예측기(92)는 그것의 입력단자에 주어진 신호의 예측값을 발생하여, 예측된 신호를 그것의 출력에서 출력한다. 상기 신호 합성부(94)는 원래의 나머지 합성신호의 복제본을 한성신호의 예측된 신호와 가산하여, 합성신호의 복제본을 얻으며, 이 신호는 예측부(90)의 출력단자(96)로 출력된다.
또한, 도 8에는 제어신호 발생부(75')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어신호 발생부는 직렬접속된 예측기(92)와 변환부(77)를 구비한다. 상기 변환부(77)는, 예측기의 출력신호로부터 데이터 복원부(74)에 대한 제어신호로서 사용되는 통계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예측부(9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한 데이터 복원장치의 추출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추출부(80')는 합성신호의 복제본으로부터 3가지 정보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3가지 정보신호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과 이에 대응하는 중앙 신호에 해당한다.
도 10은 재생장치 내부에 통합된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복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재생장치는, 기록매체(52) 상의 트랙으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판독하는 판독부(100)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매체(52)가 자기 기록매체이므로, 판독부(100)는 기록매체(52)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판독하는 적어도 1개의 자기헤드(102)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록매체로는 CD 디스크 또는 DVD 디스크와 같은 광 기록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전송매체 TRM으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수신장치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복원장치를 구비한다. 상기한 수신장치는, 전송매체 TRM으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5)를 더 구비한다. 이때, 수신부(105)는 안테나(107)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 링크 또는 기록매체와 같은 전송매체를 통한 전송과정은 전송될 나머지 신호에 대한 오류정정 부호화와 채널 부호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신시에 이에 대응하는 채널 복호화와 오류정정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재생장치에 대해 판독수단(100)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해 수행되는 채널 복호화와 오류정정에 대한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재생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된 채널 복호기(110)와, 마찬가지로 당업계에 공지된 오류정정부(112)를 구비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의 복제본을 얻는다.
비록,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것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이, 데이터 압축을 실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정보신호를 한 개의 합성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 기재된 이들 모든 신규한 특징부 또는 이들 신규한 특징부의 조합을 포괄한다.
관련문헌 목록
(D1) EP-A 402,973(PHN 13.241)
(D2) 'A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minimum-redundancy codes', by D.A. Huffman in Proc. of the IRE, Vol. 40(10), September 1952.
(D3) 'An introduction to arithmetic coding' by G.G. Langdon, IBM J. Res. Develop., Vol. 28(2), March 1984.
(D4) 'A universal algorithm for sequential data compression' by J. Ziv et al, IEEE Trans. on Inform. Theory, Vol. IT-23, 1977.

Claims (22)

  1.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은 일련의 샘플을 포함하고,
    -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신호 합성수단과,
    -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데이터 압축수단과,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합성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하여 상기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병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압축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입력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압축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합성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합성신호의 통계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n개(이때, n≥2이다)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기 위해, 상기 신호 합성수단은 n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의 한 개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 정보신호로 주기적으로 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수단은 무손실 압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수단은 상기 합성 정보신호에 대해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나머지 합성신호를 얻는 예측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무손실 압축수단은 상기 나머지 합성신호에 대해 무손실 압축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 압축수단은 허프만형 부호기 또는 연산 부호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7.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 압축된 디지탈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압축장치를 구비하고,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상기 전송매체에 인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전송매체에 인가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오류정정 부호화 또는 채널 부호화하는 오류정정 부호화수단 또는 채널 부호화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상의 트랙에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의 형태를 갖고,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상기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0.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며,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여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데이터 복원수단과,
    -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복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신호로부터 개별적인 복수의 샘플을 추출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상기 복제본을 얻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복원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입력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복원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여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한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한성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신호의 통계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n개(이때, n≥2이다)의 디지탈 정보신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기 위해,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로부터 n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의 한 개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주기적으로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13.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수단은 무손실 복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수단은, 상기 무손실 복원수단에 의해 주어진 신호에 대해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예측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15. 전송매체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복원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매체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추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채널 복호화 또는 오류정정하는 채널 복호화수단 또는 오류정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상의 트랙으로부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형태를 갖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8.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지탈 정보신호 각각은 일련의 샘플을 포함하는 데이터 압축방법에 있어서,
    -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갖는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 상기 합성 정보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단계와,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부속 단계와,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하여 상기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부속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20. 적어도 제 1 및 제2 디지탈 정보신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방법에 있어서,
    -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압축된 합성 정보신호를 데이터 복원하여, 교대로 뒤에 위치하도록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병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를 얻는 단계와,
    -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 정보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 상기 데이터 복원된 합성신호로부터 복수의 개별적인 샘플을 추출하여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얻는 단계와,
    - 상기 적어도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본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방법.
  22. 청구항 제 9항에 기재된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지고, 상기 기록매체 상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 압축된 합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80707303A 1997-01-16 1998-01-07 복수의디지탈정보신호를데이터압축및복원하는장치및방법 KR100526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104.4 1997-01-16
EP97200104 1997-01-16
PCT/IB1998/000017 WO1998032230A1 (en) 1997-01-16 1998-01-07 Data compression/expansion on a plurality of digital information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612A true KR20000064612A (ko) 2000-11-06
KR100526942B1 KR100526942B1 (ko) 2006-03-14

Family

ID=822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303A KR100526942B1 (ko) 1997-01-16 1998-01-07 복수의디지탈정보신호를데이터압축및복원하는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66368B1 (ko)
EP (2) EP0904637A1 (ko)
JP (1) JP3945827B2 (ko)
KR (1) KR100526942B1 (ko)
CN (2) CN1148004C (ko)
ID (1) ID20566A (ko)
MY (1) MY119912A (ko)
TW (1) TW418574B (ko)
WO (1) WO1998032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303B1 (en) * 1998-07-30 2001-12-0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ing a lossy compression service
ATE416455T1 (de) * 2004-06-21 2008-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dieren und dekodieren von mehrkanaltonsignal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456A (en) * 1983-05-27 1986-08-26 M/A-Com Linkabit, Inc. Digital audio scrambling system with error conditioning
JPS60201572A (ja) * 1984-03-22 1985-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ヤンネルレコ−ダ
NL9000338A (nl) 1989-06-02 1991-0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al transmissiesysteem, zender en ontvanger te gebruiken in het transmissiesysteem en registratiedrager verkregen met de zender in de vorm van een optekeninrichting.
US5083310A (en) * 1989-11-14 1992-01-21 Apple Computer, Inc. Compression and expansion technique for digital audio data
JPH06187000A (ja) * 1992-12-21 1994-07-08 Sharp Corp 固体ステレオ音声録音再生装置
US5642463A (en) * 1992-12-21 1997-06-24 Sharp Kabushiki Kaisha Stereophonic voice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KR100321015B1 (ko) * 1993-10-27 2002-06-20 요트.게.아. 롤페즈 제1및제2주신호성분을송수신하는송수신기
US5451942A (en) * 1994-02-04 1995-09-19 Digital Theater System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ed encoding of digital audio information onto a digital audio storage medium
EP0688113A2 (en) * 1994-06-13 1995-12-2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audio signals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audio
US5818943A (en) * 1994-10-25 1998-10-06 U.S. Philips Corpo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first and a second main signal component
JP3793235B2 (ja) * 1996-02-08 2006-07-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2チャネル伝送及び1チャネル伝送に適合するnチャネル伝送
CN1204692C (zh) * 1996-04-10 2005-06-01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编码若干信息信号的编码装置
WO1997042742A2 (en) * 1996-05-08 1997-11-13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ssion of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having a specific first sampling frequency
US6269338B1 (en) * 1996-10-10 2001-07-31 U.S. Philips Corporation Data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n audio signal
CA2242523C (en) * 1996-11-11 2005-07-12 Philips Electronics N.V. Data compression/expansion using a rice encoder/dec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5827B2 (ja) 2007-07-18
ID20566A (id) 1999-01-14
EP1363283A2 (en) 2003-11-19
EP0904637A1 (en) 1999-03-31
JP2000508146A (ja) 2000-06-27
US6266368B1 (en) 2001-07-24
EP1363283A3 (en) 2004-01-02
WO1998032230A1 (en) 1998-07-23
MY119912A (en) 2005-08-30
CN1148004C (zh) 2004-04-28
TW418574B (en) 2001-01-11
CN1480940A (zh) 2004-03-10
CN1216178A (zh) 1999-05-05
KR100526942B1 (ko)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894B1 (ko) 오디오신호의데이터압축및복원장치와방법
KR100518640B1 (ko) 라이스인코더/디코더를사용한데이터압축/복원장치및방법
KR100622590B1 (ko) 다중 채널 정보신호의 연산 인코딩/디코딩
US6498811B1 (en) Lossless encoding/decoding in a transmission system
KR20030073279A (ko) 스케일러블 무손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US6778965B1 (en) Data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n audio signal
KR20010001991A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무손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JP3993229B2 (ja) 第1および第2主信号成分の送信および受信
KR100526942B1 (ko) 복수의디지탈정보신호를데이터압축및복원하는장치및방법
KR100675392B1 (ko)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90638B1 (ko) 디지털오디오신호의무손실부호화를위한부호화및복호화시스템
KR0178732B1 (ko)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JP2007181208A (ja) 音声信号のデータ圧縮及び伸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