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32B1 -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 Google Patents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32B1
KR0178732B1 KR1019950010525A KR19950010525A KR0178732B1 KR 0178732 B1 KR0178732 B1 KR 0178732B1 KR 1019950010525 A KR1019950010525 A KR 1019950010525A KR 19950010525 A KR19950010525 A KR 19950010525A KR 0178732 B1 KR0178732 B1 KR 017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frame
samples
current fram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995A (ko
Inventor
차형태
이상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732B1/ko
Publication of KR96003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subband decomposition
    • G10L19/0208Subband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8Noise substitution, i.e. substituting non-tonal spectral components by noisy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서브밴드복호기는 서브밴드부호화되어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한다. 서브밴드복호기내의 에러점검부는 외부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로부터 펼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여 점검결과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는 현재프레임보다 앞선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고, 대체데이타결정부는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저장된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 프레임의 바로 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 및 그 서브밴드샘플의 바로 앞 서브밴드샘플간의 크기변화를 판단하며, 판단된 크기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와 동일한 크기변화를 가지면서, 바로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바로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에서 찾고, 찾아진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하며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에 속한 샘플들을 현재 프레임의 해당 서브밴드의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서브밴드합성부는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면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며,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상기 대체데이타결정부로부터 출력하는 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에러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도 거의 원음에 가까운 음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복호기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비트스트림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에러에 의해 복호화되지 않는 프레임을 위한 에러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복호기를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5도는 대체데이타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에러점검부 13 : 메모리
15 : 대체데이타결정부 17 : 서브밴드합성부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밴드부호화되어 프레임단위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상에서 발생한 에러에 의해 복호화가 되지 않는 프레임의 오디오정보를 보상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고품질의 비데오 및 오디오를 위하여, 비데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오디오신호의 경우, 한정된 전송대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프레임단위로 나누어 서브밴드(subband) 부호화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Ⅱ에 의해 제시된 오디오 서브밴드부호기의 경우, 그 내부의 분석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는 광대역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32개의 서브밴드들로 분할된 서브밴드샘플들로 변환한다. 양자화기는 서브밴드샘플들을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서브밴드샘플들은 프레임단위로 패킷화된 다음 비트스트림형태로 전송된다. 서브밴드부호화되어 전송되는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비트스트림은 제1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도에서 보인 것 처럼,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비트스트림은 연속하는 오디오 프레임들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은 오디오 프레임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각 프레임의 시작부분에 삽입된 싱크워드와 오디오 데이타로 구성된다. 서브밴드복호기는 전송되어진 비트스트림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프레임단위로 복호화하여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만든다. 그런데, 전송경로 또는 채널 상에서 비트스트림내에 발생한 에러에 의해 전송되어진 비트스트림의 규격이 미리 정해진 비트스트림의 규격과 서로 다른 프레임이 있게 되는 경우, 복호기는 그러한 프레임의 오디오데이타를 복호화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복호기는 복호화할 수 없는 프레임에 대하여 에러보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종래에 사용된 에러보정방법으로는 에러가 생긴 프레임을 묵음화(muting)하는 방법과, 에러가 발생한 서브밴드데이타 대신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이전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 반복사용방법은 제2도에서 보여졌다.
하지만, 이와같은 종래의 에러보정방법들중에서, 묵음화방법은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과의 불연속성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음질의 상당한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반복사용방법의 경우,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실제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신호와 이전 프레임의 신호간에는 위상차에 의한 신호의 불연속성이 존재하여 음질의 열화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프레임들간에 존재하는 상관성과 주기성에 근거하여 잘 복호화된 이전 프레임들의 샘플들에 대한 데이타로 에러에 의해 복호화되지 않는 현재프레임의 샘플들에 대한 데이타를 대체하므로써, 거의 원음에 가까운 음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보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 프레임들간에 존재하는 상관성과 주기성에 근거한 상술의 방법을 구현한 서브밴드복호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브밴드복호화방법은 서브밴드 부호화되어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하기 위하여, 현재 프레임보다 앞선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는 단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점검결과에 의해 복원할 수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의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점검결과에 의해 복원할 수 없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프레임의 바로 이전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연속하는 값으로 시작하며 그 서브밴드에 해당하는 갯수의 샘플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의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브밴드복호기는 서브밴드부호화되어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여 점검결과신호를 발생하는 에러점검부; 현재프레임보다 앞선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 프레임의 바로 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 및 그 서브밴드샘플의 바로 앞 서브밴드샘플간의 크기변화를 판단하며, 판단된 크기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와 동일한 크기변화를 가지면서, 상기 바로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상기 바로 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에서 찾고, 찾아진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하여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에 속한 샘플들을 현재 프레임의 해당 서브밴드의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로 결정하여 출력하는 대체데이타결정부; 및 외부로부터의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 및 상기 점검결과신호를 인가받도록 연결되어,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면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상기 대체데이타결정부로부터 출력하는 샘플들을 서브밴드 합성하여 현재프레임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서브밴드합성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밴드부호화는 전체 오디오 주파수대역의 펄스부호변조된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샘플링하여 샘플들을 발생하고, 샘플들을 복수개의 서브밴드로 분할하여 각 서브밴드에 속한 샘플들을 부호화한다. MPEG-Ⅱ의 경우, 대략 1125개의 샘플들을 32개의 서브밴드로 분할하므로, 서브밴드부호화된 한 프레임은 36개의 서브밴드샘플들로 이루어진다. 분석필터뱅크를 사용한 서브밴드부호화에 의한 각 서브밴드의 샘플들은 연속하는 프레임들사이에서 유사한 패턴을 가지며 또한 한정된 시간내에서는 주기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서브밴드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이 갖는 이러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현재프레임의 여러 서브밴드의 샘플들을 이전프레임들에 들어있는 대응 서브밴드의 샘플들로 대체한다.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로 이전 프레임의 대응 서브밴드의 마지막 두개의 샘플들간의 크기변화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크기변화에 근거하여, 상술한 마지막 서브밴드샘플들과 가장 유사한 값의 서브밴드샘플들로 시작하며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을 바로이전 프레임과 바로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에 속한 서브밴드샘플들중에서 결정한다. 결정된 서브밴드샘플들은 현재프레임의 해당 서브밴드의 샘플들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들을 구현한 일 실시예의 구조가 제3도에서 보여졌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복호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3도에서, 서브밴드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형태로 전송된 서브밴드샘플들은 에러점검부(11), 메모리(13), 및 서브밴드합성부(17)로 인가된다. 에러점검부(11)는 각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복호화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고, 그 결과에 의한 점검결과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13)는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한다.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에러점검부(11)로부터의 점검결과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13)에 저장된 현재프레임의 바로 이전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 및 바로 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중의 일부로 현재 프레임의 각 서브밴드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대체한다. 서브밴드합성부(17)는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며, 에러점검부(11)의 점검결과신호에 응답하여 저장하고 있던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과 대체데이타결정부(15)로부터의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펄스부호변조된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3도 장치의 동작을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제3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3도의 장치로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이 입력되면(제4도의 단계 101), 에러점검부(11)는 인가되는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각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복호화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한다(단계 103). 보다 상세하게는, 에러점검부(11)는 입력하는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현재프레임이 전송되어진 비트스트림상의 에러에 의해 서브밴드복호화가 불가능한 프레임인 지를 점검하고 점검결과에 의한 점검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점검결과신호는 대체데이타결정부(15)와 서브밴드합성부(17)로 공급된다. 점검결과신호가 현재 프레임이 서브밴드복호화가 불가능한 에러프레임임을 나타내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제5도 및 제6도에 관련하여 설명될 방법에 따라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을 이전프레임들에 속하는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결정한다(단계 105). 단계 105에 의해 결정된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이 데이타결정부(15)로부터 출력되면, 서브밴드합성부(17)는 결정된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한다(단계 107). 반면에, 점검결과신호가 현재 프레임이 서브밴드복호화가 가능한 프레임임을 나타내면, 서브밴드합성부(17)는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이용하여 현재프레임의 펄스부호변조된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발생한다(단계 107).
상술한 대체데이타결정부(15)의 동작을 L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속한 M개의 샘플들로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든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5도 및 제6도에 관련하여 대체데이타결정부(15)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지금부터는 현재프레임을 K번째 프레임, 그 바로 이전프레임을 K-1번째 프레임, 그리고 바로 이전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K-2번째 프레임이라고 정한다. 또한, SB[K][l][m]은 K번째 프레임의 l번째 서브밴드의 m번째 서브밴드샘플의 값을 의미한다.
현재프레임이 에러프레임으로 판단된 경우,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먼저, 메모리(13)에 저장된 K-1번째 프레임 및 K-2번째 프레임 각각에 속한 모든 서브밴드샘플들의 값, 즉 SB[K-1][l][m] 및 SB[K-2][l][m](여기서, l=0~L-1,m=0~M-1)을 읽어낸다(단계 201). 단계 201이 완료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서브밴드변수 1 및 서브밴드샘플변수 m을 각각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202). 그런 다음,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첫번째 서브밴드(즉, l=0)에 대하여 K-2번째 프레임 및 K-1번째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로부터 K번째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을 찾는 동작을 시작한다.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K-1번째 프레임내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1][0][M-1]이 그 바로 앞의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1][0][M-2]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203). 단계 203에서 작다고 판단되면, 즉,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두개의 서브밴드샘플들간의 크기변화가 감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1][0][M-1]이 K-2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2][0][0]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1][0][M-1]이 K-2번째 프레임의 두번째 서브밴드샘플의 값 SB[K-2][0][1]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단계 204에서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서브밴드샘플변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음(단계 205), 단계 203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204에서 그렇다고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첫번째 서브밴드샘플에 속한 K번째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의 값들로 첫번째 서브밴드에 속한 K-2번째 프레임의 두번째 서브밴드샘플로부터 K-1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밴드샘플까지의 값들을 결정한다(단계 208). 상술의 단계 203에서 크다고 판단되면, 즉,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두개의 서브밴드샘플간의 크기변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의 값SB[K-1][0][M-1]이 K-2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밴드샘플의 값SB[K-2][0][0]보다 크면서 동시에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의 값SB[K-1][0][M-1]이 K-2번째 프레임의 두번째 서브밴드샘플의 값SB[K-2][0][1]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단계 206). 단계 206에서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서브밴드샘플변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음(단계 207), 단계 203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 206에서 그렇다고 판단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첫번째 서브밴드에 속한 K번째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의 값들로 첫번째 서브밴드에 속한 K-2번째 프레임의 두번째 서브밴드샘플로부터 K-1번째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밴드샘플까지의 값들을 결정한다(단계 208). 첫번째 서브밴드에 대하여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이 결정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서브밴드변수를 1만큼 증가시키고 서브밴드샘플변수를 0으로 초기화한 다음(단계 210), 두번째 서브밴드에 대하여 단계 203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의 단계 208이 이루어질 때 마다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서브밴드변수의 값이 L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09).따라서,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대체데이타의 결정이 완료되면 그 동작을 종료한다.
제6도는 대체데이타결정부(15)가 결정한 각 서브밴드의 대체 서브밴드샘플들을 보여준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러프레임인 K번째 프레임의 각 서브밴드의 서브밴드샘플들은 k-1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한다. 모든 서브밴드에 대하여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이 결정되면, 대체데이타결정부(15)는 결정된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부(17)로 출력한다.
상술의 일 실시예는 서브밴드합성부(17)가 직접 외부로부터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도록 구성하였으나, 메모리(13)에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였다가 서브밴드합성부(17)가 현재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이 아닌 경우 직접 메모리(13)로부터 읽어내게 하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로이전 프레임내의 마지막 두개의 서브밴드샘플들만을 이용하여 서브밴드샘플들의 크기변화를 결정하였으나, 바로이전프레임내의 마지막에 위치한 두개 이상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이용하여 크기변화를 결정하는 것 역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범주내에서 자명한 것으로 여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브밴드복호화 방법 및 그 복호기는 에러에 의해 복호화가 되지 않는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 대신에 바로이전 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의 서브밴드샘플들과 거의 동일한 크기 및 크기변화를 갖는 이전프레임들내의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하며 한 프레임내의 각 서브밴드를 이루는 갯수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현재프레임의 각 서브밴드를 위한 서브밴드샘플들로 사용하므로써, 재생되는 오디오신호가 에러에 의한 불연속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원음에 가까운 음질을 갖게 한다.

Claims (4)

  1. 서브밴드부호화되어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에 있어서, 현재프레임보다 앞선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는 단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점검결과에 의해 복원할 수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의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점검결과에 의해 복원할 수 없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프레임의 바로 이전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연속하는 값으로 시작하며 그 서브밴드에 해당하는 갯수의 샘플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의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의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 프레임의 바로 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 및 그 서브밴드샘플의 바로 앞 서브밴드샘플간의 크기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와 동일한 크기변화를 가지면서, 상기 바로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상기 바로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에서 찾는 단계; 및 찾는 단계에 의해 찾아진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하며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에 속한 샘플들을 현재 프레임의 해당 서브밴드의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찾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가 증가상태이면, 증가상태이면서 상기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이전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에서 찾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가 감소상태이면, 감소상태이면서 상기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이전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에서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서브밴드부호화되어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어진 서브밴드샘플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하는 서브밴드 복호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지를 점검하여 점검결과신호를 발생하는 에러점검부; 현재프레임보다 앞선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두개의 이전프레임들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서브밴드들 각각에 대하여 현재 프레임의 바로 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 및 그 서브밴드샘플의 바로 앞 서브밴드샘플간의 크기변화를 판단하며, 판단된 크기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판단된 크기변화와 동일한 크기변화를 가지면서, 상기 바로이전프레임의 마지막 서브밴드샘플과 동일한 값을 갖는 서브밴드샘플을 상기 바로이전 프레임의 이전프레임에서 찾고, 찾아진 서브밴드샘플로 시작하며 한 프레임의 서브밴드에 속한 샘플들을 현재 프레임에 해당 서브밴드의 대체할 서브밴드샘플들로 결정하여 출력하는 대체데이타결정부; 및 외부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 및 상기 점검결과신호를 인가받도록 연결되어,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면 현재프레임의 서브밴드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며, 점검결과신호가 복원할 수 없음을 나타내면 상기 대체데이타결정부로부터 출력하는 샘플들을 서브밴드합성하여 현재프레임에 대한 펄스부호변조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서브밴드합성부를 포함하는 서브밴드복호기.
KR1019950010525A 1995-04-29 1995-04-29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KR0178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25A KR0178732B1 (ko) 1995-04-29 1995-04-29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25A KR0178732B1 (ko) 1995-04-29 1995-04-29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95A KR960039995A (ko) 1996-11-25
KR0178732B1 true KR0178732B1 (ko) 1999-05-01

Family

ID=1941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525A KR0178732B1 (ko) 1995-04-29 1995-04-29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7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95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728B1 (ko) 음향신호의 에러은닉방법 및 그 장치
JP5032314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オーディオ復号化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符号化情報伝送装置
KR100622590B1 (ko) 다중 채널 정보신호의 연산 인코딩/디코딩
KR101067514B1 (ko) 버퍼 조정을 이용하는 예측 코딩 데이터의 디코딩
IL125274A (en) Compression / recovery of data using an encoder / decoder
US6614370B2 (en) Redundant compression techniques for transmitting data over degraded communication links and/or storing data on media subject to degradation
JPH07123242B2 (ja) 音声信号復号化装置
KR20010087391A (ko) 시간 동기식 파형 보간법을 이용한 피치 프로토타입파형으로부터의 음성 합성
US7099823B2 (en) Coded voice signal format converting apparatus
KR100215342B1 (ko) 전송시스템 및 그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신기
KR0178732B1 (ko)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를 보정하는 서브밴드복호화방법 및 그 복호기
KR20200015746A (ko) 음성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KR0178731B1 (ko)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브밴드복호화장치
KR100675392B1 (ko)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S6337724A (ja) 符号化伝送装置
JP3308783B2 (ja) 音声復号化装置
KR100526942B1 (ko) 복수의디지탈정보신호를데이터압축및복원하는장치및방법
RU27926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программа 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и программа декодирования аудио
JP4597360B2 (ja) 音声復号装置及び音声復号方法
JPH0133993B2 (ko)
JP2582072B2 (ja) 符号化復号化方法
KR20000059416A (ko) 오디오 데이터의 에러 정정 장치
JPS62285541A (ja) ボコ−ダ方式の音声デイジタル伝送における誤り制御方法
KR960012477B1 (ko) 인지 정보량을 이용한 적응적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970005132B1 (ko)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