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132B1 -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132B1
KR970005132B1 KR1019940000759A KR19940000759A KR970005132B1 KR 970005132 B1 KR970005132 B1 KR 970005132B1 KR 1019940000759 A KR1019940000759 A KR 1019940000759A KR 19940000759 A KR19940000759 A KR 19940000759A KR 970005132 B1 KR970005132 B1 KR 97000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encoder
signal
channe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444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132B1/ko
Publication of KR95002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2Dynamic bit allo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부호기 및 복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및 제2채널로 구성되는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인간의 청각특성에 따라 제1 및 제2채널로 구성되는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적응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 특성에 적응적인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t:CD) 및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igital Audio Tape Recoder: DAT)등과 같은 음질 수준의 신호 재생을 목표로 개발중에 있는 고화질 텔레비젼(HDTV)정보 전송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좁은 약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전송선로를 통하여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영상신호에서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신호 압축 기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를 위하여 HDTV용 고음질 디지털 오디오 신호처리 기술로써 인간의 청각특성을 반영하는 적응적 변환 부호와(Adaptive Transform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낮은 전송률에서 비교적 간단한 수신기로도 전술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 수준의 음질을 재생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전술한 적응적 변환 부호화 기법으로서, 두 채널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방법으로는 L 및 R채널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각기 독립적으로 부호화하는 방식,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크기 정보(Scall Factor)를 각 채널에 공유하여 부호화하는 인텐스티스테레오(Intensity Stereo)부호화 방식, 그리고 매트릭스(Matrix)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MS(Middle Side) 스테레오 부호화 방식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호화 방식들은 각 채널에 대한 신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각 채널에 대해 동일한 부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부호화 함으로써 복호화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 및 R채널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L 및 R채널의 차분신호 및 인간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키고 음질을 향상시키는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채널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상관성(Correlation)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장치고, 상기 제1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간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며,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간의 차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1부호기와 ; 상기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간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며,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간의 차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2부호기와 ; 상기 제1부호기에서 복호와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간의 차분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차분신호 발생기와 ; 상기 차분신호 발생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분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부호화된 차분신호를 다시 복호화하여 상기 제1부호기에서 제공되는 복호화된 신호와의 차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문턱치에 따라 상기 차이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3부호기와 ; 상기 제1부호기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및 제2 또는 제3부호기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부호기 선택부와 ; 상기 제2 및 제3부호기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인지 오차를 비교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부호기 선택부가 상기 제2 및 제3부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기와 ; 상기 비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호기 선택부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채널 전송 특성에 적합하게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1채널의 오디오 신호와 제2 및 제3채널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 및 제 3채널에 대한 채널선택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 상기 역다중화부를 통해 추출된 제1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제1복호기와 ; 상기 역다중화부를 통해 추출되어 제공되는 제2 및 제3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제2복호기와 ; 상기 제1복호기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복호기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 상기 제1복호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제2복호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와 ;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채널 선택 정보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가산기 및 제2복호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로 출력하는 복호기 선택부를 포함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1및 제2부호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3부호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복호화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140 : 제1, 제2 및 제3부호기 130 : 차분신호 발생기
150 : 비교기 170 : 부호기 선택부
170 : 다중화부 410 : 역다중화부
420,430 : 제1 및 제2복호기 440 : 가산기
550 : 복호기 선택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발명에 따른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이러한 오디오 부호화 장치는 제1, 제2, 제3 부호기(110,120 및 140), 차분신호 발생기(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 DSG)(13), 비교기(Comparator : 150), 부호기 선택부(160) 및 다중화부(17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호기(110) 및 (120)는 제1 및 제2 채널로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며, 또한 디지탈 오디오 입력신호를 인간의 청각특성에 의해 최적화된 문턱치를 구하고, 이 문턱치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력신호와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간의 차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Perceptual Error)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부호기 선택부(160)로 제공하며, 또한 전술한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는 후술하는 DSG(130) 및 제3 부호기(140)로 제공한다.
즉, 도2를 참조하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제1 및 제2부호기(110 및 120)의 상세한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이러한 제1 및 제2부호기는 오디오 입력신호(X(n))를 부호화하는 부호기(210)와, 이러한 부호화 시스템의 부호기(210)와 신호 전송의 호환이 가능한 복호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방식과 동일한 복호기로 복호화하여 차분신호 발생기(130), 제3부호기(140), 인지 오차 측정기(240)로 제공하는 복호기(220)를 포함하며, 또한 오디오 입력신호(X(n))와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Y(n))간의 인지 오차를 측정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신호(X(n))에 대한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산출하고, 이 값으로 인간의 청각특성을 이용한 최적화된 문턱치(M(w))를 계산하는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230)와, 오디오 입력신호(X(n))와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Y(n))간의 차신호의 전력밀고 스펙트럼을 구하며, 최적화된 문턱치 이상이 되는 오차 스펙트럼 성분을 측정하는 인지 오차 측정기(240)를 포함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부호기(210) 및 복호기(220)는 종래의 알려진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통상적인 블록이며, 특히, 복호기(220)는 수신기측 즉, 디지털 오디오 복호화장치에서 이용되는 복호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호기를 이용한다.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23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X(n))를 인간의 청각특성에 따른 마스킹 패턴으로부터 각 임계대역에서의 최적화된 마스킹 문턱치(M(w))를 검출하는 것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간의 청각특성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관적 성능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인지 오차 측정기(140)는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120)에서 검출된 마스킹 문턱치(M(w))를 이용하여 오디오 입력신호(X(n))와 복호기(1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Y(n))간의 인지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오디오 입력신호들(X(n))과 (Y(n))간에 발생되는 에러신호(E(n))의 주파수 스펙트럼, 즉,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구하고, 이 에러신호의 주파수성분이 오디오 입력신호(X(n))의 마스킹 문턱치(M(w)) 이상이 되는 성분에 대한 인지 오차를 측정한다. 예컨대, 에러신호(E(n))가 수식 1과 같을때,
이 에러신호(E(n))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E(w)라고 하면, 인지 오차(PE)는 수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T는 양의 정수로서, 고음질을 실현하려는 경우에는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고, 정보량이 적어 음질이 다소 떨어지는 부호기를 구현하려는 경우에는 약간 큰 값을 설정한다.
전술한 수식 2에 의해 측정된 인지 오차는 주파수대역(B)에 대하여 통상 평균값을 위하게 되는데, 이 인지 오차는 청각특성인 임계대역(Critical Band)에 맞추어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식 2를 임계대역에 맞추어 구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임계대역에 해당하는 PEi(여기서, PE는 i번째 임계대역의 인지 오차를 나타냄)을 다음 수식 3과 같이 산술 평균하여 구하면 된다.
여기서, M은 임계대역의 개수에 해당하며, i번째 임계대역의 인지 오차 PEi는 전술한 수식 2를 이용하여 다음 수식 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Bi는 i번째 임계대역의 대역폭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음 수식 5와 같다.
여기서, αi와 βi는 i번째 임계대역의 상한 및 하한구간을 나타낸다.
전술한 수식 3과 같이 나머지, i번째 임계대역의 인지 오차를 구하고, 그다음 전체 임계대역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인간의 청각특성을 보다 더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임계대역이 인간의 청각으로써 동일한 감도(Sensitivity)로 느끼는 대역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차분신호 발생기(130)는 제1부호기(110)에서 제공되는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y1(n))와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x2(n))간에 발생되는 차신호(d(n))를 다음 수식 6과 같이 추출하여 제3부호기(140)로 제공한다.
즉,
제3도를 참조하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3부호기(140)의 상세한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3부호기(140)는 부호기(310), 복호기(320), 가산기(330),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340) 및 인지 오차 측정기(350)를 포함한다. 부호기(310)는 전술한 차분신호 발생기(130)에서 제공되는 차신호(d(n))를 수신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한다. 복호기(320)는 제2도에 도시된 복호기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가산기(330)는 제1부호기(110)의 복호기(220)를 통해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y1(n))와 제2복호기(320)를 통해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y2(n))를 다음의 수식 7과 같이 가산하여 인지 오차 측정기(350)로 제공한다.
그리고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340)는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신호를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산출한 후, 이 값을 인간의 청각특성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문턱치(M(w))를 산출하여 인지 오차 측정기(350)로 제공한다.
인지 오차 측정기(350)는 전술한 가산기(3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y3(n))와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x1(n))의 차신호의 전력밀도 스펙트럼과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340)에서 제공되는 최적화된 문턱치(M(w))를 이용하여 인지 오차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제1채널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PE2, 제2채널의 인지 오차를 PE3라고 하면, 전술한 차분신호(d(n))는 제1채널 오디오 입력신호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y1(n))와,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x2(n))를 전술한 수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고, 이 계산된 차분신호(d(n))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한 신호를 y2(n)라 하면, 전술한 수식 2에 의해 산출된 신호(y3(n))는 실질적으로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를 복호화한 신호가 된다. 만일 제1 및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가 상호 상관성(Correlation)이 많다고 하면, 신호(y3(n))가 제2채널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한 오디오 신호보다 더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와 더 상관성이 있게 된다.
비교기(150)는 전술한 제2 및 제3부호기(120 및 140)에서 제공되는 인지 오차(PE2,PE3)를 비교하여 인지 오차가 적게 발생되는 부호기(120 및 140)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부호기 선택부(16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예를들면, 제2부호기(120)에서 제공되는 인지 오차(PE)가 제3부호기(140)에서 제공되는 인지 오차(PE3)보다 큰 경우에는 후술하는 부호기 선택부(160)에서 제3부호기(140)를 통해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논리 '1'를 출력하며, 이와 반대인 경우는 논리 '0'을 출력한다. 이에따라, 부호기 선택부(160)는 제1부호기(11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후술하는 다중화부(170)로 제공하며, 동시에 전술한 비교기(15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및 제3부호기(120 및 140)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다중화부(170)로 제공한다.
다중화부(170)는 부호기 선택부(160)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와 비교기(150)에서 제공되는 부호기 선택정보를 다중화하여 채널(Channel)특성에 적합한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부호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복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인데, 이러한 복호 시스템은 역다중화(Demux)부(410), 제1 및 제2복호기(420 및 430), 가산기(440), 복호기 선택부(470) 및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부(450,460)를 포함한다.
역다중화부(410)는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 시스템에서 다중화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 즉, 제1 및 제2채널 오디오 신호와 부호기 선택 정보를 복원하여 주정보인 오디오 신호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복호기(420 및 430)로 제공하며, 동시에 부가 정보인 복호기 선택 정보는 후술하는 복호기 선택부(470)로 제공한다.
제1 및 제2복호기(420 및 430)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의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와하는 것으로, 제1복호기의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50) 및 가산기(440)로 제공하고, 전술한 제2복호기(430)를 통해 복호화된 제1 및 제2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가산기(440) 및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복호기선택부(460)의 단자(2)로 제공한다. 가산기(440)는 제1 및 제2복호기(420 및 4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여 전술한 복호기 선택부(470)의 단자(1)로 제공하며, 복호기 선택부(470)는 전술한 가산기(44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복호기(420,430)로부터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가 가산된 복합 오디오 신호와 제2복호기(4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둘중 하나를 부호 시스템에서 선택한 부호기 선택 정보와 동일하도록 전술한 역다중화부(410)에서 제공되는 기설정된 부호기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하는 것으로, 그의 출력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50)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50,460)는 제1복호기(420) 및 채널 선택기(470)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채널들중 한 채널을 기준 채널로 설정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며, 나머지 한 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부호화한 오디오 신호를 다시 복호화한 후, 발생되는 차이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두 채널의 상관성이 큰 신호인 경우, 부호화 및 복호화 효율을 증대시키고 음질을 향상시키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1 및 제2 채널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상관성(Correlation)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장치로, 상기 제1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간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며,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간의 차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1부호기(110)와 ; 상기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간의 청각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며,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간의 차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2부호기(120)와 ; 상기 제1부호기(110)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간의 차분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차분신호 발생기(130)와 ; 상기 차분신호 발생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차분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부호화된 차분신호를 다시 복호화하여 상기 제1부호기(110)에서 제공되는 복호화된 신호와의 차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채널 오디오 입력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문턱치에 따라 상기 차이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추출하는 제3부호기(140)와 ; 상기 제1부호기(110)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및 제2 또는 제3부호기(120,140)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부호기 선택부(160)와 ; 상기 제2 및 제3부호기(120,14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인지 오차를 비교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부호기 선택부(160)가 상기 제2 및 제3부호기(120,140)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기(150)와 ; 상기 비교기(15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호기 선택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채널 전송 특성에 적합하게 다중화하는 다중화부(170)를 포함하는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호기(140)는, 상기 차분신호 발생기(130)에서 제공되는 차이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기(310)와 ;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기(320)와 ; 상기 제1부호기(110)의 복호기(220)로부터 제공되는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복호기(32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330)와 ; 상기 제2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간의 청각특성에 의해 최적화된 문턱치를 산출하는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340)와 ; 상기 마스킹 문턱치 계산부(340)에서 산출된 최적화된 문턱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산기(330)에서 가산된 오디오 신호와 제2채널 오디오 신호간의 차이신호에 대한 인지 오차를 측정하여 상기 비교기(150)로 제공하는 인지 오차 측정기(350)를 포함하는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오디오 부호화장치.
  3.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부호화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1채널의 오디오 신호와 제2 및 제3채널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 및 제 3채널에 대한 채널선택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410)와 ; 상기 역다중화부(410)를 통해 추출된 제1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제1복호기(420)와 ; 상기 역다중화부(410)를 통해 추출되어 제공되는 제2 및 제3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제2복호기(430)와 ; 상기 제1복호기(420)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복호기(4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440)와 ; 상기 제1복호기(4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가산기(4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제2복호기(4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50,460)와 ; 상기 역다중화부(410)에서 출력되는 채널 선택 정보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가산기(440) 및 제2복호기(4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60)로 제공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복호기 선택부(470)를 포함하는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털 복호화장치.
KR1019940000759A 1994-01-18 1994-01-18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97000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59A KR970005132B1 (ko) 1994-01-18 1994-01-18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59A KR970005132B1 (ko) 1994-01-18 1994-01-18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444A KR950024444A (ko) 1995-08-21
KR970005132B1 true KR970005132B1 (ko) 1997-04-12

Family

ID=1937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759A KR970005132B1 (ko) 1994-01-18 1994-01-18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682B2 (en) 2006-07-31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using different volt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682B2 (en) 2006-07-31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using different volt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444A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528B1 (ko) 인텐서티-스테레오 프로세스와 예측 프로세스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US6529604B1 (en) Scalable stereo audi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3878952B2 (ja) オーディオ信号コーディング中にノイズ置換を信号で知らせる方法
KR970005131B1 (ko)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US5581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encoding and decoding
US6707944B1 (en) Computational graceful degradation method using priority information in multiple objects case
KR100307596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무손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JPH1032838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並びに記録媒体
RU94046112A (ru) Способ сокращения числа данных при передаче и/или накоплении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поступающих из нескольких взаимосвязанных каналов
KR0134318B1 (ko) 채널간의 마스킹특성을 고려한 비트할당장치 및 그 방법과 복호화장치
EP1310943B1 (en) Speech coding apparatus, speech decoding apparatus and speech coding/decoding method
CA2338266C (en) Coded voice signal format converting apparatus
KR20040044389A (ko)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복호 방법 및 장치
JPS63110830A (ja) 帯域分割符号化復号化装置
KR970005132B1 (ko) 채널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인간의 청각특성에 적응적인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960012477B1 (ko) 인지 정보량을 이용한 적응적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100903109B1 (ko) 오디오 신호의 무손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960003454B1 (ko) 적응적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KR0144935B1 (ko) 비트율 조정이 가능한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100675392B1 (ko)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960003455B1 (ko) 적응적으로 각 채널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엠 에스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JP2820096B2 (ja) 符号化方式および復号方式
JPH0588697A (ja) 欠落音声補間方式
KR960012473B1 (ko)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비트 할당 장치
KR0178731B1 (ko) 디지탈 오디오신호의 에러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브밴드복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