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622A -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622A
KR20000063622A KR1020000043215A KR20000043215A KR20000063622A KR 20000063622 A KR20000063622 A KR 20000063622A KR 1020000043215 A KR1020000043215 A KR 1020000043215A KR 20000043215 A KR20000043215 A KR 20000043215A KR 20000063622 A KR20000063622 A KR 2000006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book
distributor
textbooks
database
publ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호
Original Assignee
허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호 filed Critical 허태호
Priority to KR102000004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622A/ko
Publication of KR2000006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622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교재의 전자상거래 및 공동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매자에게 교재구입에 필요한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유통단계를 대폭 축소 하면서도 그로인한 소비자의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공동구매방법 개발과,유통비용 절감을 위한 공동배송방법개발과 함께 출판사의 사전주문에 의한 계획출판을 실현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학과,학년별 필요교재를 미리 입력한 데이터 베이스 파일부터 출력하여 구입자에게 필요한 맞춤 교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과, 구입자중 한사람을 중간딜러로 선정하여 중간딜러에게 일정수량의 교재를 배송하고 중간딜러가 나머지 구매자에게 배부하는 대신 교재구입가격을 대폭 할인해줌으로써 공동배송을 구현하는 시스템과, 교재구입 및 신청 날짜를 정해진 교재배부일과 비교하여, 교재의 선주문에 의한 출판사의 계획출판에 기여한 구매자에게 일정한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출판사의 재고부담을 줄이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출판사,도매상,소매서점,소비자 로 연결되던 유통단계가 출판사에서 소비자로 직접 연결되므로 유통단계가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 공동배송으로 물류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출판사의 재고비용절감액을 교재구입자에게 되돌려 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Internet cooperative buying system of teaching material}
구매자에게 교재구입에 필요한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유통단계를 대폭 축소 하면서도 그로인한 소비자의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공동구매방법 개발과,유통비용 절감을 위한 공동배송 방법개발과 함께 출판사의 사전주문에 의한 계획출판을 실현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인터넷을 통하여 교재 또는 서적이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여러권을 구입할 경우 구입 건수 만큼 검색을 한후 구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면이 있으며, 배송 또한 낱권으로 진행되어서 원가부담이 크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유통 단계가 축소되었다 하나 , 재고를 평소에 보유하고 있다가 주문이 들어올 때 개별발송하는 시스템이라서 소매서점 단계가 축소된 것에 불과해서 원가를 낮추는 데는 한계가 있을뿐만 아니라 출판사에 대해서도 도서구매에 대한 정확한 수요정보 제공이 어려우므로 계획출판에 의한 출판원가절감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학습교재와 같이 여러 사람이 같은장소 ,비슷한 시기에 여러권의 교재를 구입할 경우 구입자들에게 적합한 교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학과,학년별 필요교재를 미리 입력한 데이터 베이스를 개발하여 구입자들에게 필요한 맞춤 교재 정보를 제공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재 구입자의 편리한 정보검색을 지원하고, 구입자중 한 사람을 중간딜러로 선정하여 중간 딜러에게 일정수량의 교재를 배송하고 ,중간 딜러가 나머지 구매자에게 배부하는 대신 중간딜러에게 교재구입가격을 대폭 할인해 줌으로써 공동배송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교재구입 및 신청 날짜를 정해진 교재배부일과 비교하여, 일찍 주문한 사람의 주문정보는 출판사의 계획출판에 기여한 바가 크므로 이러한 구매자에게 일정한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출판사의 재고부담축소에 의한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 1 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도로서 웹서버, 데이타베이스, 출판사, 교재신청자, 지역관리자 상호간의 관계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홈페이지에 접근한 사용자들의 인증과정에 대한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는 선교재 입력 시스템에 대한 처리 과정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일반회원이 교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일반회원이 교재선택을 하는 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일반회원이 이전의 주문데이타에 대한 수정모드로 진입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교재선택후 배부자 지정 및 결재 처리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일반회원이 교재구매후 결재하기 이전의 확인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은 지역관리자 및 출판사 회원이 각각의 처리를 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은 출판사 회원이 교재주문데이타 현황 메뉴를 선택했을때의 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출판사 회원이 교재주문데이타(신청단위별) 현황 메뉴를 선택했을때의 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은 출판사 회원이 교재주문데이타에 대하여 배부자에 대한 정보조회를 신청했을때의 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도로서 대학교재와 중고등학생들의 참고 교재의 교재명,출판사,저자,출판일,판수등 교재신청에 필요한 데이타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서버(130)와, 웹서버(120)와, 상기 각 서버에 인터넷망으로 접속할 수 있는 출판사 단말기(150)와, 교재신청자 단말기(140)와 지역관리자 단말기(110)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지역관리자(110)가 해당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대한 데이타를 웹브라우저상에서 입력하여 데이타베이스(130)에 저장하면 개별신청자(학생)(140)가 해당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출력하여 교재구입을 신청하고,이 데이타는 데이타베이스 서버(130)에 출판사별로 정리되어 저장된후 출판사(150)가 웹서버(120)에 접속하면 해당 출판사의 교재구입신청현황을 출력하여 지역관리자(110)에게 발송할 수 있도록 데이타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과 데이터의 흐름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이용자가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개요설명을 먼저 하고 이후 데이타의 흐름과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지역관리자 또는 운영자가 전국 4 년재 대학과 전문대학 및 중고등학교의 교재를 등록하기 위하여 지역관리자 단말기(10)의 웹브라우저 상에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운용자측의 웹사이트를 출력한다.
출력된 웹사이트에서 서버운영자가 미리 부여한 아이디를 지역관리자가 입력하면 데이타베이스 서버에서 아이디를 대조하여 지역관리자가 대학교재를 등록하도록 허락된 아이디이면 대학교재를 등록할 수 있는 입력창이 출력되고 중고등학생의 부교재를 등록하도록 허락된 아이디이면 중고등학생의 부교재를 입력할 수 있는 등록창이 웹브라우저에 출력된다
이용자가 교재신청을 위하여 아이디를 입력하고 로그온하면 데이타베이스 서버에서 아이디를 대조하여 교재신청자가 대학생이면 해당 대학교의 해당학과에서 개설된 과목과 대학교재를 신청할 수 있는 입력창이 출력되고 중고등학생이면 그 아이디가 속한 중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부교재를 신청할 수 있는 입력창이 웹브라우저에 출력된다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학생교재를 입력하도록 허락된 지역 관리자의 아이디가 입력된 경우 소속된 학교,학과 학년,성명,아이디가 자동으로 출력되고 해당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교재등록양식이 하단부에 출력된다.
이때 지난해 같은 학기에 사용하던 해당학과의 교재정보가 미리 출력되어 이중 변경된 부분만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되거나 없어진 과목의 교재는 추가 또는 삭제의 기능을 부여하여 클릭의 수단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삭제의 버튼을 선택할 경우 해당과목의 교재가 삭제되고 추가의 버튼을 선택할 경우 윈도우 상에 작은 창이 출력되어 교재명,저자,출판사 등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도구가 나타난다
이러한 양식에 맞추어 사용학년,강의교수명,교수소속학과,전화,예상수강인원수,과목명,교재명,저자명,출판사명,출판일,판수,가격등 해당 교재임을 명백히 확인 할수있는 데이타를 입력후 웹서버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중고등학생의 부교재를 입력하도록 허락된 지역관리자의 아이디가 입력된 경우 도 2 에 도시한 대학교재를 입력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입력자의 아이디와 성명, 주소등 인적사항이 미리 출력되고 하단부에 교재를 사용할 학교,학년,선생님명,과목명,교재명,출판사명,출판연도, 판수,가격 등의 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교재등록양식이 출력되어 상기에 설명한 방식으로 데이타베이스 서버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교재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후 이용자가 교재신청을 위하여 아이디를 입력하고 웹서버에 접속하면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아이디가 입력된 경우 소속된 학교, 학과, 학년, 성명, 아이디가 자동으로 출력(610)되고 해당 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구매할 수 있는 교재신청양식(650)이 하단부에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교재나 교재를 구입하기 위하여서는 교재명 또는 저자, 출판사 명으로 일일이 하나씩 검색하여 장바구니에 담는 것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여러권의 교재를 구입할 경우 여러 번 검색을 하여야 하나 본 시스템은 학과 및 학년별 수강해야 할 전공필수과목과 수강가능성이 높은 전공 선택과목,교양과목에 대한 교재 꾸러미를 미리 교재정보 데이타베이스 서버(2010)에 저장하고 있다가 이용자가 교재신청을 할경우 이용자의 아이디로 소속된 학과와 학년을 미리 파악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검색과정을 통하여 수강하고자 하는 해당학과를 입력하거나 하는등의 방법으로 해당학과와 학년을 파악하여 필요한 교재 꾸러미를 웹브라우저에 출력하고 이중에서 간단히 클릭만으로 신청할 과목만을 클릭으로 체크하여 선택함으로써 교재신청이 가능하게 하는 꾸러미에서 선택하기 방식과 대부분의 꾸러미 교재가 꼭 필요하다는 가정하에 미리 교재 꾸러미의 교재가 구입하는 것으로 체크되어 있고 , 필요하지 않은 교재만 클릭하여 제외시키는 꾸러미에서 집어내기 방식을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교재이름을 모르더라도 수강신청한 과정명 만으로도 교재신청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본 시스템은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수강등록을 할 때 수강과목 데이타와 함께 교재 데이타도 함께 수록하여 수강등록시 함께 표시된 교재 꾸러미에서 교재를 선택하거나 꾸러미에서 집어내는 방식으로도 활용될수 있다
교재신청양식에는 아이디 소유자가 소속된 학과의 학년별, 과목별 교재명과 교수명, 교재금액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출력되며 교재구입시 운영자가 제공하는 점수 및 해당교재를 점수로 구매할 경우 필요한 점수, 그리고 헌책구매여부, 학기지난후 사용한 교재를 다른사람에게 판매예약을 할수있도록 하는 표시장지, 구매수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목들을 클릭함으로써 간단히 신청서를 작성하도록 구성하였다.
신청서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다른 학과나 교양과목을 신청 할 경우 교재검색 버튼(630)을 선택후 학과명을 선택하면 해당학과의 개설과목을 신청할 수 있으며 그외에 과목명, 교재명, 교수명을 선택 및 검색어를 입력하여 해당교재를 선택후 추가할 수 있으므로 모든과목에 대한 교재를 간단히 신청 할 수 있다.
사용후 판매예약이라는 것은 교재를 사용후 다음학기 또는 다음 학년도에 동일한 교재가 사용될 경우 다른사람에게 중계해주는 방법으로 직거래 방식으로 중계후 마땅한 구매자가 없으면 간접거래 방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한 교재의 거래를 연결시킨다
이외에도 교재구입에 대한 할인이나 점수를 부여함에 있어서 교재신청기간과 교재배부기간의 간격이 클수록 차등화된 점수를 부여하는 시스템이 부가되어 있다. 교재신청을 빨리하면 많은 할인이나 점수를 부여하고 늦게하면 적게 부여함으로써 조기에 교재를 신청하여 출판사의 출판계획에 기여한 이용자는 많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한다.
예를들면 개강후 7일 후에 교재를 배부할 경우 개강일 이전에 교재신청을 한 경우 교재신청후 입금확인이 된 날자를 데이타베이스 서버에서 불러들여 높은 점수를 부여하거나 할인폭을 확대하고 그이후에 신청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와 할인폭을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후 교재신청버튼을 선택하면 신청한 교재를 우편이나 택배로 대신 수령하여 같은 교재를 사용하는 신청자에게 배부할 꾸러미딜러를 모집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중간배부자란 교재를 발송함에 있어서 1인당 낱권으로 배송되면 배송비용이 매우 크므로 교재신청은 개별로 하는 경우라도, 신청자중 한사람을 중간딜러로 선정하여 중간딜러에게 일정수량의 교재를 배송하고 중간딜러가 나머지 신청자에게 배부하는 대신 교재구입가격을 대폭 할인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꾸러미 딜러는 같은시간에 같은 장소에 모이는 경우가 많은 구매자가 있을 때 특히 효과적인 방법으로 취급하는 상품인 교재의 경우 이러한 경우에 매우 부합되는 예라 하겠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교별 학과별 교재신청이 접수되면 모든 데이타는 각 출판사별로 출력될수 있도록 데이타 베이스 서버에서 처리된다
출판사의 담당자가 출판사 단말기를 통하여 인터넷의 서버에 접속한후 출판사별로 미리 부여한 이이디를 입력하면 해당출판사에서 출판되는 교재에 대한 출판사별 교재신청 현황이 출력되고 여기에서는 교재코드,교재명,저자명,출판년도,교재별수강인원,예비신청자수,결제완료신청자수,현재고,재고과부족등의 데이타가 표시되며 교재 신청자가 해당 교재를 신청할 때마다 수시로 갱신되어 출판사측에서는 해당교재의 합리적인 생산관리와 재고관리를 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재명을 클릭의 수단으로 선택하면 학교 학과등 신청단위별 해당교재에 대한 현황이 웹브라우저에 출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인터넷 상에서 각 출판사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청단위별 교재신청현황부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8에서는 학과코드,지역,학교명,학과명,수강인원,예비신청자수,결제완료 신청자수,발송요청일,예상발송일로 구성되어 있어서 출판사측에서 언제 어느곳에 어떤교재를 발송해야 할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발송요청일은 교재등록자가 등록시 입력한 내용이며,예상발송일또는 발송완료여부는 출판사의 담당자가 입력함으로써 교재신청자가 웹브라우저에 접속했을때 수시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타를 근거로 교재를 출판후 발송하기 위하여 학과코드를 클릭의 수단으로 선택하면 발송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가 출력된다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모든 사용자의 홈페이지 접근의 인증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지역관리자, 출판사, 일반이용자, 웹서버관리자는 모두 인증과정을 거쳐 각각의 처리과정으로 진행이 된다. 서버를 통해 홈페이지(210)에 접속후 회원인증(220), 즉 로그인을 하여 회원여부(230)를 가리게 되며 이때 회원이 아닌경우 약관을 사용자의 웹브라우져상에 디스플레이하여 회원가입여부(240)를 묻게 된다. 이때 가입자는 개인데이타 입력(260)을 통하여 회원 데이타베이스(2020)에 저장되며, 다시 홈페이지(210)가 웹브라우져상에 출력되어 로그인(220)을 하도록 유도된다. 이 로그인후에 접속자에 대한 분류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작업또한 상이하게 된다.
도 3 는 지역관리자(330)의 입력에 의하여 교재정보 데이타베이스(310)가 웹서버(320)을 통해 갱신되는 것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 부분은 선교재 입력시스템의 중요 구성도이다.
먼저 인증에 의한 지역관리자(330)의 접속후 나타나는 입력폼에 전달되는 교재정보를 Active Server Page를 통해 웹서버(320)에 전달되고 웹서버(320)는 그에 따른 데이타베이스(310)에 교재정보를 저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전년도 또는 이전학기의 교재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타가 웹브라우저상에 미리 출력되고 이중 변경된 사항이 있을경우 간단히 클릭의 수단으로 추가 혹은 삭제할수 있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 는 도 3 에서 보인 구성도에 대하여 웹브라우져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구상도이다. 화면 상단에는 교재등록자, 회원의 학교, 학과, 아이디, 이름(410)이 순서대로 나열되며, 지역관리자가 이전의 접속으로 이루어진 교재정보 자료에 대하여 교재정보 데이타베이스(2010)로부터 요청하여 웹브라우져상에 디스플레이되고, 교재정보(450)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오른편에 등록(420), 수정(430), 삭제(440)버튼이 존재하여, 데이타수정 및 입력후 교재정보 데이타베이스(2010)로 입력처리가 되도록 진행된다. 이 교재정보는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될수 있으며, 다만 교재구매기간 이전에 모든데이타 입력 마감이 되어야 바람직하다.
도 5 는 일반회원이 인증을 거쳐 교재를 구입하는 처리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 도 6 은 일반회원이 교재선택을 하는 화면을 구성도로 도시한 것이다.
교재구입을 위하여 로그온후 일련의 인증을 거친 날짜를 기준일과 비교(510)하여 기준일 이전의 점수 또는 할인율을 적용(530)하거나 기준일 이후의 점수 또는 할인율을 적용(520)을 하는 단계와 회원이 구매신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교재 꾸러미를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요청하는 단계와 기준일 적용으로 인한 변경된 가격 또는 점수를 포함한 교재정보를 웹브라우저 상에 디스플레이(520)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디스플레이 된 웹브라우저의 데이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원 데이타베이스(2020)와 학교,학과데이타베이스(2030), 교재정보데이타베이스(2010)로부터 데이타를 출력하여 회원이 속한 학교의 학과 및 학년에서 개설된 교과과정, 강의교수명, 교재명, 저자명, 출판사, 정가 교재구입에 대한 부여점수등 교재 꾸러미가 자동으로 출력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며, 교재 꾸러미는 체크 표시 등으로 모두 선택되어 있어서 필요하지 않는 교재는 체크표시를 지움으로써 꾸러미에서 제거할 수 있는 상태이거나 , 체크표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체크를 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교재 꾸러미중 간단한 클릭의 수단으로 교재 꾸러미에서 체크표시를 제거 하거나 또는 선택(550)하는 단계와 꾸러미에 없는 교재중 추가로 필요한 교재에 대하여 검색과 추가 및 수정(580)을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교재주문을 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권의 개별교재를 한권씩 검색후 개별교재의 저자, 출판사, 출판연도를 일일이 확인후 장바구니에 담는 등의 절차를 거치고 그다음에 대금결제와 배송이 이루어 지는 반면 본 시스템은 회원의 소속학과를 데이타베이스로부터 검색후 회원의 교과과정에 필요한 과목과 교재에 대한 개인별 맞춤데이타, 즉 교재꾸러미를 자동으로 출력하여 간단히 클릭만으로 일괄 신청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설명한 목록에 없는 교재(교양과목 내지는 다른학과를 복수전공하는 경우)는 교재검색기능을 이용하여, 학과별, 교수별, 교재제목별 검색을 수행하여 기존의 목록에 추가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 이용자가 교재검색버튼(630)을 선택하여 기존의 웹브라우져 위에 하위 브라우저를 출력하는 단계와 ,하위 웹브라우저 상에서 교육과정명, 교재명, 교수명 등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해당 데이타 베이스에서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는 단계와, 검색된 목록을 클릭하여 하위 브라우져가 종료됨과 동시에 상위 웹브라우저의 기존데이타 하단에 선택된 검색목록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꾸러미에 추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검색하여 추가한 교재는 이미 이용자가 교재구입을 선택하기 위하여 추가한 교재이므로 교재선택을 하지않아도 교재를 선택했음을 표시하는 체크표시가 자동으로 표기되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진다.
교재선택이 완료되면 구입신청한 교재에 대하여 차후에 헌교재를 다른이용자에게 판매를 예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입한 교재에 대한 주문신청시 사용후 판매예약표시란을 선택하여 클릭함으로써 체크표시를 웹브라우저상에 수행후 차후 교재신청 완료 버튼을 선택하였을때 이 교재에 대한 판매예약정보 데이타가 주문 데이타베이스(2050)에 전송되어 저장되며 다음학기 또는 다음학년도에 교재를 다른사람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주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재선택과 사용후 판매예약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교재신청완료 버튼(640)을 이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신청교재 확인단계로 넘어간다.
신청교재 확인단계는 이전단계의 교재목록중 구매하고자 신청한 교재의 데이타만을 검출하여 데이타 베이스 파일로 부터 불러서 웹브라우저상에 출력한다.
도 9 는 일반회원의 교재선택(530)을 마치고 확인을 선택하였을 때 웹브라우져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상도이다.
화면 상단에는 교재신청자, 학교명, 학과명, 아이디, 이름의 회원정보(910)가 데이타 베이스로 부터 요청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이용자가 교재의 종류, 수량, 총금액, 부여점수등의 데이타(950)를 확인하고, 관리자가 임의로 정한 교재수령장소 와 교재배부자를 확인후 사용자가 만약 다른곳에서 교재를 수령하고 싶을 경우 수령할 주소를 입력 하도록 입력란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교재구입에 대한 데이타를 정확히 인지한후 위의 과정에서 잘못된 데이타가 있을 경우 수정(920)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정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결재확인(930)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타가 데이타베이스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결재과정이 수행된다.
대금결제과정 수행 전단계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교재배부자 결정단계가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교재배부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재를 발송함에 있어서 1 인당 낱권으로 배송되면 배송비용이 매우 크므로 교재신청은 개별로 하되 신청자중 한사람을 중간배부자로 선정하여 중간배부자의 이름으로 교재를 배송하고 교재배부자가 나머지 신청자에게 배부하는 대신 교재구입가격을 대폭 할인해주는 시스템으로서 같은 강의실에서 같은 수업을 받는 사람중 교재배부자가 선택될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인 배송방법이다.
도 8 은 위의 도 9 에서 교재선택(530)을 마친 회원이 결재를 신청한 경우에 진행되는 배부자 결정단계로서 교재배부자의 배부단위가 n 권 일경우 해당교재를 최조 주문한 이용자에게 부터 순차적으로 배부자가 될 것인지를 질문한 후 수락하면 그다음부터 주문한 사람에게는 질문을 하지 않다가 배부단위만큼 주문이 완료되고 ,즉 주문량이 n 권에 도달후 n+1 권째 주문하는 사람부터 다시 배부자가 될것인지를 질문하여 배부단위 수량만큼 주문이 완료되어 교재배부자를 정하는 방법이다. 만약 이러한 질의에 동의하지 않아서 배부자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학과 관리자가 자동으로 교재배부자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용자가 대금결재버튼을 클릭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주문신청한 교재중 한종류의 누적권수를 체크하여 배부자 질의를 결정(810)하는 단계와 ,이용자의 웹브라우져상에 질의를 디스플레이할 경우(820) 배부자를 승락하면 배부자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830)와, 교재배부자가 될수 없으면 질문이 출력되지 않고 다음단계로 진행되는 단계와, 배부자가 되었음을 통지하고 이로인한 교재구입시 미리 부여하기로 약정한 가격할인이나 점수가 부여됨과 동시에 변경된 교대금결제 데이타가 출력되는 단계(840)와, 결제신청을 하는 단계(850)로 구성된다.
결제신정단계에서 대금결제방법은 신용카드와 은행송금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진행되며 웹브라우저상에서 대금결재를 완료후 다음단계로 넘어가면 교재신청절차가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교재신청과 결제가 완료되면 이러한 교재구입현황을 출판사별로 각자의 출판교재에 대하여 출력하여 열람할 수 있다.
도 7 은 일반회원이 일련의 교재신청 절차를 거쳐 주문을 완료한 이후에도 이전의 주문에 대한 수정을 하고자 할때 구매수정버튼을 클릭하여 진행되는 처리에 대한 구상도이다.
인증을 거친 회원이 구매수정버튼을 클릭하여 이전의 주문정보가 주문 데이타 베이스(2050), 교재정보 데이타 베이스(2010), 회원 데이타 베이스(2020), 학교 데이타 베이스(2030)으로부터 요청하여 접속자의 이전 주문순서, 학과별, 학년별로 웹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되며, 수정여부(720)를 물어 수정처리(730)를 하도록 하고, 이후 수정모드 계속 여부(740)을 물어 반복을 하거나 종료가 된다.
도 10 은 일련의 인증을 거친 회원이 지역관리자 혹은 출판사 회원일 경우의 처리과정에 대한 구상도이다.
먼저 인증을 거친 회원이 지역관리자 혹은 출판사 회원인지 결정(1010)하여 두가지 처리가 이루어진다.
지역관리자일경우 도서정보 목록(1020)이 교재정보 데이타 베이스(2010), 회원 데이타 베이스(2020), 학교 데이타 베이스(2030), 주문 데이타 베이스(2050)에 요청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지역관리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변경된 도서정보를 수정 및 추가를 처리하는 단계(1030)와 수정모드의 반복 여부를 물어 반복 혹은 종료되는 단계(1040)로 구성된다. 이 과정은 선교재 입력 시스템의 주요 부분으로서 교재신청기간 이전에 모든 교재정보가 미리 입력됨으로써 본 발명이 가동되는 것이다.
출판사 회원일 경우 해당 출판사의 주문완료 도서정보를 주문 데이타 베이스(2050), 학교 데이타 베이스(2030), 회원 데이타 베이스(2020)에 요청하여 교재종류별, 배부자별, 가격별로 열람하는 단계(1050)와 추가조회를 물어 반복 혹은 종료되는 단계(1060)으로 구성된다.
도 11, 12 는 출판사 회원이 해당 출판사 주문정보를 열람할때 회원의 웹브라우져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구상도이다. 해당출판사가 취급하는 교재에 대하여 일목요연하게 표시되는 도 11 의 실시예와, 해당출판사가 취급하는 교재의 배부자별 정보가 표시되는 도 12 의 실시예이다.
도 13 은 출판사 회원이 각 배부자별로 배부단위 패키지에 대한 발송용으로 디스플레이 및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구상도이다. 상단에는 배부자가 배부자 결정시에 입력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하단에는 배부자가 배부해야될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간단한 개인정보가 나타난다. 이러한 정보는 곧바로 프린터로 출력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출력버튼만 클릭하면 바로 출판사 회원의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로 출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만들어진 맞춤교재정보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상거래가 이루어 지므로 구매의 편의성이 높고 ,새로운 교재 유통 시스템으로 인하여 유통단계 축소와 공동배부자를 통한 일괄배송으로 유통비용을 대폭 축소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교재를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판사에서는 수요를 미리 예측하여 재고관리와 반품축소로 인한 경영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터넷을 통해 대학교재와 중고등학생의 교재를 공동구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학과,학년별 필요교재를 미리 입력한 데이터 베이스 파일부터 출력하여 구입자에게 필요한 맞춤 교재 꾸러미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과, 교재 꾸러미는 체크 표시 등으로 모두 선택되어 있어서 필요하지 않는 교재는 체크표시를 지움으로써 꾸러미에서 제거할 수 있는 상태이거나 , 체크표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체크를 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는 꾸러미선택시스템과 꾸러미삭제시스템
  2. 교재구입을 위하여 로그온한 날짜를 기준일과 비교(510)하여 기준일 전후로 할인폭이나 부여점수를 달리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3. 이용자가 대금결재버튼을 클릭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주문신청한 교재중 한종류의 누적권수를 체크하여 배부자 질의를 결정(810)하는 단계와 ,이용자의 웹브라우져상에 질의를 디스플레이할 경우(820) 배부자를 승락하면 배부자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830)와, 교재배부자가 될수 없으면 질문이 출력되지 않고 다음단계로 진행되는 단계와, 배부자가 되었음을 통지하고 이로인한 교재구입시 미리 부여하기로 약정한 가격할인이나 점수가 부여됨과 동시에 변경된 교대금결제 데이타가 출력되는 단계(840)와, 결제신청을 하는 단계(850)와 교재가 중간배부자에게 배달되도록 출판사의 단말기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간 배부자 결정 방법과 시스템
KR1020000043215A 2000-07-26 2000-07-26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KR2000006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15A KR20000063622A (ko) 2000-07-26 2000-07-26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15A KR20000063622A (ko) 2000-07-26 2000-07-26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622A true KR20000063622A (ko) 2000-11-06

Family

ID=1968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215A KR20000063622A (ko) 2000-07-26 2000-07-26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6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89A (ko) * 2001-12-06 2002-03-29 김성율 당일 직배송이 가능한 인터넷 서점의 구현방법
KR20030084105A (ko) * 2002-04-24 2003-11-01 배승환 방문 도서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7105A (ko) * 2014-07-11 2016-01-20 방일권 인터넷을 이용한 작문감수 및 에디터(감수자) 관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352A (ja) * 1995-03-03 1996-09-17 Hitachi Ltd 資料購入システム
JPH08329143A (ja) * 1995-05-30 1996-12-13 Fujitsu Ltd 販売システム
JPH11296059A (ja) * 1998-04-14 1999-10-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教材流通システム及び方法、教材流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教材ブローカ装置
KR20000036945A (ko) * 2000-04-01 2000-07-05 윤석원 인터넷상에서의 서적판매 네트워크
KR20010084762A (ko) * 2000-02-29 2001-09-06 김정배 온라인을 이용한 서적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4125A (ko) * 2000-05-12 2001-11-24 이기훈 인터넷 학습교재 구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352A (ja) * 1995-03-03 1996-09-17 Hitachi Ltd 資料購入システム
JPH08329143A (ja) * 1995-05-30 1996-12-13 Fujitsu Ltd 販売システム
JPH11296059A (ja) * 1998-04-14 1999-10-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教材流通システム及び方法、教材流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教材ブローカ装置
KR20010084762A (ko) * 2000-02-29 2001-09-06 김정배 온라인을 이용한 서적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6945A (ko) * 2000-04-01 2000-07-05 윤석원 인터넷상에서의 서적판매 네트워크
KR20010104125A (ko) * 2000-05-12 2001-11-24 이기훈 인터넷 학습교재 구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89A (ko) * 2001-12-06 2002-03-29 김성율 당일 직배송이 가능한 인터넷 서점의 구현방법
KR20030084105A (ko) * 2002-04-24 2003-11-01 배승환 방문 도서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7105A (ko) * 2014-07-11 2016-01-20 방일권 인터넷을 이용한 작문감수 및 에디터(감수자)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0344B2 (en)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JP3941358B2 (ja) 受発注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流通支援システム
JP3711324B2 (ja) 認証履歴証明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50108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rules to validate information submitted on an electronic form
JP2005531073A (ja) 会計システム
US20020133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ancillary content for printed materials
JP2002149946A (ja) 個人情報売買方法
EP16380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bonus-credits to the user of products
US71650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mong provider systems
US20070202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managing course materials with integrated distribution and sales of materials
JP2012027739A (ja) クーポン管理装置、クーポン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US200501599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ising buyers how much to pay for goods and services based on the buyers subjective and objective criteria and tradeoffs of prices and referring buyers to sellers of these goods and services
JP6823217B1 (ja) 人材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21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based marketing channels
KR20000063622A (ko) 인터넷을 이용한 교재의 공동구매시스템
US7117166B2 (en) Industrial equipment services marketing and sale system
US200302102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orporate entity
WO2002003165A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electronic buying system
JP2021174412A (ja) 支援情報とのマッチングを有する補助金・助成金マッチング装置、支援情報とのマッチングを有する補助金・助成金マッチング装置におけるサーバ並びに補助金・助成金マッチング方法
CA2281246A1 (en)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KR2005001543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20210042237A (ko) 온라인 교육정보 제공 플랫폼
JP2002259416A (ja) 情報取得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情報送信装置、保存期限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文字情報表示構造、商品検索装置、配送料算定装置、紹介装置
US200903071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ofit and loss for sellers using online auctions or e-stores
Hartono et al. The Analysis of B2B Sales Information System Using SERVQUAL Model (A Case Study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