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613A -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613A
KR20000062613A KR1020000008932A KR20000008932A KR20000062613A KR 20000062613 A KR20000062613 A KR 20000062613A KR 1020000008932 A KR1020000008932 A KR 1020000008932A KR 20000008932 A KR20000008932 A KR 20000008932A KR 20000062613 A KR20000062613 A KR 2000006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wireless
mobile
base statio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631B1 (ko
Inventor
다께쯔구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6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고,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이동기로부터 이동기가 재권(在圈)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한다.

Description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전화나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에리어를 복수의 무선 존으로 커버하는 작은 존 방식(small zone method)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무선 존이란, 각 무선 기지국이 자동자 등에 탑재되어 있는 이동기와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범위를 말한다.
하나의 무선 존에는 하나의 무선 기지국이 배치되고, 복수의 이동기는 각 무선 존을 자유롭게 이동한다. 각 무선 기지국은 파일럿 채널이라 불리는 제어용 무선 채널을 통해 자국의 식별자나 사용 무선 채널 등의 정보를 이동기에 항상 통지한다. 각 이동기는 각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 내를 이용할 때, 최초의 파일럿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주변의 무선 기지국의 정보를 수집한다.
각 이동기가 발호할 때에는, 상기 수집된 각 무선 기지국의 정보 중에 가장 강한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발호를 행하여,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각 무선 기지국은 복수의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신을 행하는 이동기와의 사이의 전파 전파 환경(radio wave propagation environment)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채널을 결정한다. 더우기, 통신 중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채널의 전파 전파 환경이 나쁘게 된 경우에는 다른 무선 채널로 이행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을 통화중 채널 전환(핸드오버)이라 부른다.
또한, 핸드오버시의 무선 채널 전환시에 통신이 두절되지 않도록, 복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신호를 이동기로 송신함으로써 이동기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다중 접속되고, 이동기가 복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고(Ekihito Akehi, Hiroyuki Morikawa, Moriji Mizumachi의 "Hand-Over Method Using Micro Diversity in Microcell", ShingaKugihou RCS93-86, 1994), 이것을 다이버시티 핸드오버라 칭한다.
또한,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이버시티 핸드오버를 소프트 핸드오버라 칭하기도 한다. 북미에서의 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인 IS-95 시스템에서는, 파일럿 채널의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여 통신하고, 어떤 이동기에서, 주변 무선 존의 파일럿 채널의 정보를 주변 무선 존 세트라 칭하고, 그 이동기가 동시에 접속된 무선 기지국 세트를 액티브 세트라 칭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시에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을 관리하고 있다.
파일럿 채널의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면, 무선 존 내외의 통신·제어 트래픽이 변동된 경우, 이동기에서의 파일럿 채널의 수신 품질이 변동하고, 이에 따라 무선 존의 사이즈가 변동한다. 이 때문에, 트래픽에 따르지 않고 단말 발호시의 무선 존 사이즈를 일정하게 하는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이동기가 상기 주변 무선 존 세트에 기초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고자 하는 무선 기지국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면, 요구된 무선 기지국은 자기 통신 트래픽량으로부터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다중 접속의 허가/불허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기에 통지한다.
그러나, 이들 다중 접속을 위한 통신 신호나 제어 신호는 통신 품질의 열화 요인이 되고, 이러한 호 제어 방법에서는, 소프트 핸드오버 중의 이동기와 새로운 발호를 행하는 이동기가 동일하게 취급되게 되어, 호손율(call loss rate)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기지국이 고 트래픽 상태에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재권(在圈)하고 있는 이동기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허가를 행할 수 있는 호 제어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이동기로부터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랙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함과 함께 상기 식별자의 동일한 무선 존 내에 재권하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이동기는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상기 무선 존의 식별자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단, 및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수단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된 무선 존의 식별자를 자기 무선 존 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 자기 이동기가 재권하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수단과,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식별자가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수단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송수신 장치를 가지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소프트 핸드 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 장치를 갖는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갱신 장치를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갱신 장치를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갱신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된 무선 존의 식별자를 자기 무선 존에 재권하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송수신 장치를 가지며,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송수신 장치를 갖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식별자가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지를 판정하여,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 장치를 더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무선 기지국이 기억하고 있는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식별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이동기(100)의 구성도.
도 4는 무선 기지국(200∼219)의 구성도.
도 5는 이동기에서의 처리 플로우차트.
도 6은 무선 기지국에서의 처리 플로우차트.
도 7은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고 있는 제어 신호의 포맷도.
도 8은 이동기에서의 처리 플로우차트.
도 9는 통신 트래픽과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
도 10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와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
도 11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와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기
200 ∼ 219 : 무선 기지국
300 ∼ 319 : 무선 존
Z300 ∼ Z319 : 무선 존의 식별자
400 : 이동 통신 제어국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이동기(100)와, 각 무선 존(300∼319) 내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기(100)와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200∼219)과, 무선 기지국(200∼219)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무선 존(300∼319)의 식별자를 각각 Z300 ∼ Z319로 한다. 또한, 본 식별자는 무선국의 각 섹터마다 부여해도 된다.
도 2는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집합의 예이다. 이동기(100)가 접근하고 있는 무선 기지국(212)은 자국의 무선 존 식별자(Z312) 및 타국의 무선 존 식별자(Z307, Z308, Z313, Z316, Z317, Z318)를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기억하고 있다.
이동기(100), 무선 기지국(200∼219)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동기(100)는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를 기억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11)와, 다중 접속 요구를 행하는 다중 접속 장치(12)와, 무선 송수신 장치(13)와, 안테나(14)를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200∼219)은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를 기억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21)와,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를 갱신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갱신 장치(22)와, 다운 통신/제어 트래픽 측정 장치(23)와, 다중 접속 허가를 행하는 다중 접속 허가 장치(24)와, 무선 송수신 장치(25)와, 유선 송수신 장치(26)와, 안테나(27)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기(100)의 무선 기지국(21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서, 이동기(100)는 통신중(단계 500)에 통신 품질이 열화했는지를 무선 송수신 장치(13)에서 판정한다(단계 501). 통신 품질이 규정값보다도 열화한 경우, 이동기(100)는 무선 송수신 장치(13)로부터 접근 중인 무선 존(312)의 무선 기지국(212)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Z307)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프 요구를 낸다(단계 502). 그 후에, 무선 송수신 장치(13)가 무선 기지국(212)로부터 소프트 핸드오버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503), 다중 접속 요구 장치(12)에 의해서 허가된 무선 기지국(212)과 다중 접속을 행하고, 통신을 계속한다(단계 504).
한편, 이동기(100)가 무선 기지국(212)으로부터 소프트 핸드오버 불허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해도 소프트 핸드오버 허가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단계 503에서의 NO)에는 새로운 다중 접속을 행하지 않고 통신을 계속한다.
도 6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212)은 재권 또는 접근 중의 이동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 송수신 장치(25)에서 항시 주사한다(단계 600). 동일한 이동기(100)로부터 해당 이동기(100)가 재권하는 무선 존 식별자(Z307)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한 경우(단계 601), 상기 재권하는 무선 존 식별자(Z307)가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도 2에 도시한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를 구성하는 자국이 기억하고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다중 접속 허가 장치(24)에서 판단한다(단계 602).
이 경우, 상기 재권하는 무선 존 식별자(Z307)가 상기 기억되어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송수신 장치(25)로부터 소프트 핸드 오버 허가 신호를 이동기(100)앞으로 송신한다(단계 603). 한편, 상기 재권하는 무선 존 식별자(Z307)가 상기 기억되어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602에서 NO), 소프트 핸드오버 불허가 신호를 요구가 있었던 이동기 앞으로 송신하게 된다(단계 604).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호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무선 기지국이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통지한 제어 신호의 포멧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무선 기지국이 소프트 핸드오버로서 통지한 제어 신호는 해당 무선 기지국의 식별자, 제어 신호의 종별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 식별자, 통지한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를 나타내는 무선 존 식별자수, 및 해당 무선 기지국이 기억하고 있는 각각의 무선 존 식별자로 구성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이동기에서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2, 7, 8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동기(100)는 무선 기지국(207)의 무선 존(307)에 재권하고, 무선 기지국(212)의 무선 존(31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있어서, 이동기(100)는 무선 송수신 장치(13)에서 통신중(단계 800)에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통신 품질이 규정의 값보다 열화한 경우에(단계 801),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접근 중인 무선 존(312)의 무선 기지국(212)이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통지한 무선 존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802).
이 경우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송수신 장치(13)는 상기 접근 중인 무선 존(312)의 무선 기지국(212)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Z307)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행한다(단계 803).
그 후에, 무선 기지국(212)로부터 소프트 핸드오버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804), 다중 접속 요구 장치(12)에서 상기 허가된 무선 기지국(212)과도 다중 접속을 행하여(단계 805), 통신을 계속한다.
한편, 무선 기지국(212)로부터 소프트 핸드오버 불허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일정시간 경과해도 소프트 핸드오버 허가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단계 804에서 NO), 단계(800)에서 새로운 다중 접속은 행하지 않고 기존의 통신을 계속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에서의 통신 트래픽량과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이다.
무선 기지국에서, 통신 트래픽이 T10인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는 3이며,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갱신 장치(22)는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를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를 많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에서의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와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이다.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트래픽의 비가 임계값 R10을 초과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100)의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갱신 장치(22)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여기서, 새롭게 기억된 무선 존의 식별자는 해당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오는 재국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에서의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와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로서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의 관계도이다.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통신 트래픽의 비가 임계값 R11을 밑도는 경우에,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갱신 장치(22)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에리어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 존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킨다. 여기서, 삭제되는 무선 존의 식별자는 해당 무선 기지국 앞으로 소프트 핸드오버의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오는 재권 무선 존의 식별자의 중에서 허가를 제공한 회수가 가장 적은 무선 존의 식별자를 선택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에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의 가부를 결정하고, 무선 기지국이, 고 트래픽 상태에 있어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기만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요구를 행함으로써, 호손실율을 저감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이, 기억하고 있는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함으로써, 자국이 현재 수용하고 있는 통신 트래픽에 따라, 소프트 핸드오버의 요구에 대한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이,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트래픽의 비가 어떤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 1만큼 증가시킴에 의해서, 자국이 송신하고 있는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를 일정하게 하면서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에 대한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이,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링크 통신 트래픽의 비가 어떤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 1만큼 감소시킴에 의해서, 자국이 송신하고 있는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를 일정하게 하면서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에 대한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에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의 가부를 결정하고, 무선 기지국이 고 트래픽 상태에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기만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허가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호손실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무선 기지국이, 고 트래픽 상태에 있어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기만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의 요구를 행하여 제어 신호 트래픽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트래픽 량에 따라서, 소프트 핸드 오버시의 다중 접속의 수를 증감시켜 자국내에서 발호하는 이동기의 호손실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호출 신호의 통신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호출 범위를 일정하게 하면서 통신 트래픽 량에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시의 다중 접속을 증감시켜 자국내에서 발호하는 이동기의 호손실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예가 되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기술 및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변경 실시예가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실시예 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제시된 특징에 따른 등가물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이동기로부터 상기 이동기가 재권(在圈)하고 있는 상기 무선 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down)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임의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5.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함과 함께, 상기 식별자의 동일한 자기 무선 존에 재권하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이동기는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상기 무선 존의 식별자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를 받은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방법.
  9.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단, 및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기억된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수단을 갖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임의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수단을 갖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수단을 갖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3.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단, 및
    상기 기억된 무선 존의 식별자를 자기 무선 존에 재권하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에 자기 이동기가 재권하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식별자가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7.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및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가 상기 식별자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 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1. 복수의 이동기와, 복수의 무선 존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 존 내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을 총괄하는 이동 통신 제어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의 무선 존에 접근한 이동기가 최초에 수신한 제어 채널을 각 무선 기지국이 통지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및
    상기 기억된 무선 존의 식별자를 자기 무선 존에 재권하는 이동기에 대하여 통지하는 송수신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기는,
    상기 무선 존에 접근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 중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가 재권하고 있는 무선 존의 식별자를 통지함과 함께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된 식별자가 통지된 무선 존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다중 접속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통신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적게 하고, 통신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많게 하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호출 신호 트래픽과 다운 통신 신호 트래픽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게 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된 자국 및 임의의 타국의 무선 존의 식별자의 총수를 1만큼 감소시키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KR1020000008932A 1999-02-24 2000-02-24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방법 KR10035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047029 1999-02-24
JP11047029A JP3031373B1 (ja) 1999-02-24 1999-02-24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613A true KR20000062613A (ko) 2000-10-25
KR100356631B1 KR100356631B1 (ko) 2002-10-18

Family

ID=1276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932A KR100356631B1 (ko) 1999-02-24 2000-02-24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32232A3 (ko)
JP (1) JP3031373B1 (ko)
KR (1) KR100356631B1 (ko)
BR (1) BR0007109A (ko)
SG (1) SG102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3105518A1 (ja) 2002-06-05 2005-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リンク切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0830C2 (sv) * 1993-05-17 1994-09-12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kanalutnyttjandet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5646978A (en) * 1995-04-27 1997-07-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switch handover in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systems
US5854785A (en) * 1996-12-19 1998-12-29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oft handoff
JP3370902B2 (ja) * 1997-06-03 2003-01-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無線通信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2232A2 (en) 2000-08-30
JP3031373B1 (ja) 2000-04-10
EP1032232A3 (en) 2000-12-27
BR0007109A (pt) 2001-08-07
JP2000244962A (ja) 2000-09-08
KR100356631B1 (ko) 2002-10-18
SG102566A1 (en) 200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5830B2 (en) Mobile station user group operation
US5862483A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for delivering calls in a microcellular network
US6188883B1 (en) Cellular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communication restriction command codes along with base station ID codes for base stations where mobile communications is restricted
AU663548B2 (en) Listening control channel in a cellular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KR10041535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집중형 무선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US6449482B1 (en) Creation of overlapping cells when using multi casting
EP0505106A2 (en) Split service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therefore
US20080240036A1 (en)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and Method For Traffic Guidance in the Multimode Radio
CA2226102C (en) Paging technique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GB2289191A (en) Inter system handover in a multisystem mobile radio environment
CA2306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of subscribers assigned to fixed subscription area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U754661B2 (en) Load sharing for MCPA-equipped base stations
EP11182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toggling between two zon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0240451B1 (ko) 기지국 사이의 연속 하드 핸드오프 감소 방법
EP0505105A2 (en) Communication request retry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therefor
KR20020014805A (ko) 셀룰러 네트워크의 터미널에서 신호의 전력 레벨의 측정과터미널을 개시하는 방법
CA2075984A1 (en) Quality check for a mobile cellular radio system
US2006017815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es for cell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1779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024945A (ko) 이동 시스템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356631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방법
EP0993752A1 (en) A method of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 system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JPH0563635A (ja) 無線基地局出力制御によるトラヒツク分散方式
JP282618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機
JPH0541690A (ja) 無線ゾーン選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