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634A -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634A
KR20000061634A KR1019990010807A KR19990010807A KR20000061634A KR 20000061634 A KR20000061634 A KR 20000061634A KR 1019990010807 A KR1019990010807 A KR 1019990010807A KR 19990010807 A KR19990010807 A KR 19990010807A KR 20000061634 A KR20000061634 A KR 2000006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motor
vacuum cleaner
du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162B1 (ko
Inventor
이경옥
Original Assignee
이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옥 filed Critical 이경옥
Priority to KR101999001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1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과 청소 기능을 단일체에 조합한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진기의 일측면에 적층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측에 진공청소기를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집진기와 진공청소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저면에 삽탈 가능한 분진통(3)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여과포(6)를 상, 하에 구비된 장착판(5)(5') 상에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하부 장착판(5')의 일측을 탈진모터(10)의 작동봉에 연결하고, 상기 여과포(6)의 상부에는 하부에 터보펜(8)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팬모터(7)를 장착되어 있는 본체(2)의 일측면(2b)에 차단판(11a)(12a)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11)와 배출구(12)를 형성하고 외측에서 내부에 필터(13)를 일체로 결합된 모터(14)가 내장되고 일정부위에 흡입구(15a)가 형성된 하우징(15)을 볼트(15b)에 의해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Dust collector attached vaccum cleaner}
본 발명은 집진과 청소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진기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본체의 일측면에 적층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측에 진공청소기를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집진기와 진공청소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분체 처리공장이나 연마, 연삭, 샌딩작업 등을 행하는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많은 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므로 인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켜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수시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의 제거작업은 집진기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에 비산되는 각종의 먼지 등을 포집하고, 또 바닥의 이물질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므로서 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작업장에 집진기와 진공청소기를 동시에 비치하는 것은 보관상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사용에 있어 많은 불편이 수반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집진기능과 청소기능을 단일체로 구성하므로서 작업장의 필요에 의해 집진기나 청소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기의 배기구를 집진실의 필터에 연통되도록 하여 필터면적을 증대시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저면에 삽탈 가능한 분진통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여과포를 상하에 구비된 장착판상에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하부 장착판의 일측을 탈진모터의 작동봉에 연결하고, 상기 여과포의 상부에는 하부에 터보펜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팬모터를 장착되어 있는 본체의 일측면에 배기구와 배출구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내부에 필터를 일체로 결합된 모터가 내장되고 일정부위에 청소용 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성 요소인 청소기를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부본체 2…하부본체 3…포집통 4…케스터
5…장착편 6…여과포 7…팬모터 8…터보팬
9…배출구 10…탈진 모터 11…배기구 12…배출구
15…하우징 A…집진장치 B…진공청소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시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실내에서 발생되어 비산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A)와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청소장치(B)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집진장치(A)는 하부본체(2)와 상부본체(1)가 일체로 구성된 함체(20)의 내부에 집진수단을 내설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본체(2)의 저부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4개의 캐스터(4)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삽탈이 가능한 분진통(3)을 슬라이딩 가능토록 구비하고 있다.
또 분진통(3)의 상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횡으로 장착된 장착편(5)(5')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시키기 위한 여과포(6)가 등간격으로 연속 배열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하는 장착판(5')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탈진 모터(10)의 작동봉에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탈진모터(10)는 편심축을 이용하여 사용도중 여과포(6)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적층하게 되면, 이를 구동시켜 여과포(6)를 고정하고 있는 장착편(5)(5')을 흔들어서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하여 분진통(3)에 적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본체(2)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본체(1)의 내부 중앙에는 하부에 터보팬(8)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팬모터(7)를 장착하여 여과포(6)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구(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하부본체(2)의 일측면(2b)에는 차단판(11a)(12b)에 의해 개폐되는 진공청소용 배기구(11)와 쓰레기를 포집통(3)으로 유도하는 배출구(12)가 상, 하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서 내부에 진공청소장치(A)가 내설된 하우징(15)을 장착하게 되는 바, 이 진공청소장치(A)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팬을 구동하는 모터(14) 및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13)가 일체로 구성된 청소장치를 일정개소에 흡입구(15a)가 구비된 하우징(15)에 고정하여 체결수단인 볼트(15b)에 의해 하부본체(2)의 측판(2b)에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 전측에 고정되어 있는 콘트롤판넬(S)상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집진장치(A)와 진공청소장치(B)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먼저 집진장치(A)를 가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7)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하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터보펜(8)의 회동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부본체(2)의 일측면(2b)에 구비되어 있는 흡입구(2a)로 각종의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상, 하 장착편(5)(5')에 배설되어 있는 여과포(6)에 의해 차단되어 여과된 공기만이 상부본체(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9)로 배출되는 것이다.
장시간 사용한 후 여과포(6)상에 적층된 이물질은 하부본체(2)의 외측면에 장착된 탈진모터(10)를 작동시켜 장착편(5)을 흔들어주게 되면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하여 분진통(3)에 적층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공청소장치(B)의 작동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선택스위치를 ON시키면, 하우징(15)의 내부에 진공이 발생되면서 하부본체(2)의 측판(2b)에 형성된 배출구(12)의 외측에 착설되어 있는 차단판(12a)이 압착되어 집진기의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5)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흡입구(15a)에 유입호스를 결합하여 바닥의 각종의 이물질을 흡입하면 중량이 무거운 쓰레기는 하우징(15)의 저부로 낙하하여 적층되게 되며 먼지 등은 필터(13)에 의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13)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11)를 통해서 하부본체(2)의 내부로 공급되어 이에 배설되어 있는 여과포(6)에 의해서 미세한 먼지가 차단되어 외부로는 신성한 공기만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청소기의 가동을 정지할 경우에는 배출구(12)를 차단하고 있는 차단판(12a)이 개방되면서 하우징(15)의 저부에 적층된 쓰레기가 하부로 낙하하여 포집통(3)에 적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본체의 측면에 배기구와 배출구를 형성하여 외측에서 청소기능을 갖는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하므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진기와 청소기를 선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청소기는 2개의 필터로 미세한 먼지까지 차단할 수 있어 정화능력이 가일층 향상되고 집진기와 청소기를 단일체에 구비하여 보관이나 취급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삽탈 가능한 분진통(3)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여과포(6)를 상, 하에 구비된 장착판(5)(5')상에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하부 장착판(5')의 일측을 탈진모터(10)의 작동봉에 연결하고, 상기 여과포(6)의 상부에는 하부에 터보펜(8)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팬모터(7)를 장착되어 있는 본체(2)의 측면(2b)에 차단판(11a)(12a)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11)와 배출구(12)를 형성하고 외측에서 내부에 필터(13)를 일체로 결합된 모터(14)가 내장되고 일정부위에 흡입구(15a)가 형성된 하우징(15)을 볼트(15b)에 의해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KR1019990010807A 1999-03-29 1999-03-29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KR10029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07A KR100295162B1 (ko) 1999-03-29 1999-03-29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07A KR100295162B1 (ko) 1999-03-29 1999-03-29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634A true KR20000061634A (ko) 2000-10-25
KR100295162B1 KR100295162B1 (ko) 2001-07-03

Family

ID=1957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07A KR100295162B1 (ko) 1999-03-29 1999-03-29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506B1 (ko) * 2007-05-01 2008-12-05 이동우 백필터
KR200487433Y1 (ko) 2017-12-28 2018-09-14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산업용 청소기
KR20210004777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KR200493316Y1 (ko) 2019-10-20 2021-03-10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개선된 집진물 배출구조 및 용이한 용량 증대 구조를 갖는 산업용 집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506B1 (ko) * 2007-05-01 2008-12-05 이동우 백필터
KR200487433Y1 (ko) 2017-12-28 2018-09-14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산업용 청소기
KR20210004777A (ko)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KR200493316Y1 (ko) 2019-10-20 2021-03-10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개선된 집진물 배출구조 및 용이한 용량 증대 구조를 갖는 산업용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162B1 (ko)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2594B2 (en) Industrial dust-collector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1417449B1 (ko) 휴대용 흄 집진기
JP4112441B2 (ja) 粉塵類の回収装置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0295162B1 (ko)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US4805353A (en) Pedestal vacuum system for grinder or other tool
US11559180B2 (en) Filter system and a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filter system
JPH02159233A (ja) 電気掃除機
GB2167680A (en) Environmental cleaning machine
JP3635532B2 (ja) 湿式清浄装置
KR200310133Y1 (ko)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JPH0621419Y2 (ja) 吸殻用掃除機における分離装置
JP3188416B2 (ja) ヒューム粉塵類の回収機
JPH0231138Y2 (ko)
CN213669816U (zh) 一种除尘装置
KR200310134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실내 집진장치
JP2003144361A (ja) 電気掃除機
JP2544296Y2 (ja) 切削粉の収集機
KR920004077Y1 (ko) 진공청소기
JP3065144U (ja) 集塵装置
KR950000853Y1 (ko) 공기 정화 장치
CN100394880C (zh) 电动吸尘器
JP2000237516A (ja) 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