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616A - 생수통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생수통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616A
KR20000059616A KR1019990007357A KR19990007357A KR20000059616A KR 20000059616 A KR20000059616 A KR 20000059616A KR 1019990007357 A KR1019990007357 A KR 1019990007357A KR 19990007357 A KR19990007357 A KR 19990007357A KR 20000059616 A KR20000059616 A KR 2000005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ottled water
bottle
fing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최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호 filed Critical 최병호
Priority to KR101999000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616A/ko
Publication of KR2000005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and having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동시에 세척시킬 수 있게 하여 세척공정 및 세척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생수통 세척 장치는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별도의 세척장치에서는 세척시킬 수 밖게 없어 생수 메이커에서는 상기 한 각각의 세척장치를 모두 구비하여야만이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세척시킬 수 있어 장치의 구입에 많은 경제적인 부담과 두개의 장치를 설치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설치공간이 요구됨은 물론 이고, 하나의 장치를 통과한 생수통을 또다른 장치로 이동시켜 세척작업를 행함에 따라 세척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구동모터(20)에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면서, 그 상부에 안착되는 생수통(1)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롤러(11)와; 상기 롤러(11)에 안착된 생수통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외부세척장치(3)와; 승강장치(5)에 의해 승하강동작되고, 생수통(1) 내부에서 펼침동작되는 내부세척장치(4)로 구성함으로서,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생수통의 내 외부면을 동시에 세척시킬 수 있어 세척공정 및 세척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생수통 내부 세척 장치 {Water bottle washing system}
본 발명은 생수통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생수통의 내 외부면을 동시에 세척시킬 수 있게 하여 세척공정 및 세척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통은 생수 메이커로부터 생수가 담겨진 후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 여러유통과정을 거쳐 공급되고, 공급된 후에도 장시간에 걸쳐 마시게 되며, 빈 생수통은 공급 과정과의 반대 과정을 거쳐 생수 메이커에 회수된다.
생수통이 소비자를 거쳐 메이커로 회수되는데 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30일 정도가 소요되며, 생수 메이커로 회수된 생수통은 외부는 물론이고 내부까지 심하게 오염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생수통은 깨끗하게 세척시켜야만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에 있어서의 생수통 세척 방법은 모든 세척작업이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 작업에 많은 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생산성 또한 극히 미비한 실정이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세척작업은 작은 직경의 병목을 통하여 수세미를 삽입시킨후 세척 작업을 함에 따라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세척력도 크게 기대할 수 없으며, 거친 수세미로 과도하게 생수통의 내벽 면을 밀어 세척시킴에 따라 생수통의 내벽 면이 긁히게 되어 생수통의 투명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는 생수통의 내구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생수통의 외부면을 자동으로 세척시킬 수 있게 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79670호(명칭:생수통 외부 세척장치)와 생수통의 내부면을 자동으로 세척시킬 수 있게 한 대한 민국 특허출원 제 97-79671호(명칭:생수통 내부 세척장치)를 선출원 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외부 세척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79670호)는 다수의 생수통이 세척장치내로 공급되는 것을 계수 하는 카운터와, 생수통이 세척장치내로 공급되는 것과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이송 공급 장치와; 이송 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다수의 생수통을 적정 간격으로 정렬하고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와; 생수통의 바닥 면을 세척시키는 하부 세척 장치와;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생수통의 내부 면을 세척시키는 내부 세척 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선출원된 내부 세척장치(대한 민국 특허출원 제 97-79671호)는 다수의 생수통이 세척장치내로 공급되는 것을 계수 하는 카운터와, 생수통이 세척장치내로 공급되는 것과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이송 공급 장치와; 이송 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다수의 생수통을 적정 간격으로 정렬하고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와;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면서 생수통의 바닥 면을 세척시키는 하부 세척 장치와;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생수통의 내부 면을 세척시키는 내부 세척 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선출원 발명들은 생수 메이커로 회수되는 오염된 생수통을 자동으로 세척시킬 수 있어 생수통세척에 따른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생수통의 긁힘을 방지하여 생수통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발명들은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세척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장치에서 생수통의 일면만 즉, 외부세척장치에서는 생수통의 외부면만을 세척시킬 수 있고, 내부세척장치에서는 생수통의 내부면만을 세척시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생수 메이커에서는 상기 한 각각의 세척장치를 모두 구비하여야만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세척시킬 수 있어 장치의 구입에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두개의 장치를 설치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설치공간이 요구됨은 물론 이고, 하나의 장치를 통과한 생수통을 또다른 장치로 이동시켜 세척작업를 행함에 따라 세척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생수통의 내외부면을 동시에 세척시킬 수 있게 하여 세척공정 및 세척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킬 수 있게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면서, 그 상부에 안착되는 생수통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롤러와; 상기 롤러에 안착된 생수통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외부세척장치와;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동작되고, 생수통 내부에서 펼침동작되는 내부세척장치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핑거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은 본 발명의 핑거장치가 선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암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장치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수통 3. 외부세척장치
4. 내부세척장치 5. 승강장치
6. 핑거장치 7. 선회장치
8. 이송장치 9. 정렬장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터(20)에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면서, 그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생수통(1)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롤러(22)와; 상기 롤러(22)의 상부에 안착된 생수통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외부세척장치(3)와; 승강장치(5)에 의해 승하강동작되고, 생수통(1) 내부에서 펼침동작되는 내부세척장치(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세척장치(3)는 프레임(10)상에 설치되는 브라켓트(30)의 전면에 생수통의 외벽면에 접촉되는 벽면세척솔(31)이 결합되고, 브라켓트(30)의 상부에는 생수통(1)의 바닥면(11)에 접촉되는 바닥세척솔(3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축(33)으로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트(30)의 후면에는 상기 바닥세척솔(32)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장치(34)가 결합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세척솔(32)의 전후단양측에 생수통(1)의 바닥면(11) 외주연과 접촉되는 지지롤러(35)를 설치시켜 생수통(1)의 회전동작시 생수통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의 전면에 생수통(1)을 세척장치내로 공급하고, 세척이 완료된 생수통을 인출하는 핑거장치(6)를 설치시켰다.
상기 핑거장치(6)는 실린더장치(60)에 의해 승하강 동작되는 브라켓트(61)의 상부에 핑거암(63)이 결합된 회전축(62)이 설치되고, 상기 핑거암(63)의 선단에는 유압장치(64)에 의해 펼쳐지고 오므라드는 핑거(65)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2) 일단에는 회전축(62)을 선회시키는 선회장치(7)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선회장치(7)는 회전축(62)의 일측단에 결합된 피니언기어(70)와 상기 피니언기어(70)에 치합되는 래크(71)와, 래크의 일단에 결합되어 래크(71)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실린더장치(7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장치(6)의 전면 하부에는 생수통(1)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8)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8)는 생수통이 얹혀지는 컨베이어벨트(80)와,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8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8)의 일측에는 이송된 다수의 생수통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정렬장치(9)가 설치되며, 상기 정렬장치(9)는 생수통 수만큼의 반원형 정렬홈(92)을 구비하는 정렬판(91)과, 정렬판(91)을 전후진동작시키는 실린더장치(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8)의 입구(A)와 출구(B)에는 생수통(1)의 이송을 제어하는 스톱퍼장치(82)(83)가 설치되고, 입구(A)일측에는 장치내로 유입되는 생수통(1)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장치(8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생수통 이송장치 -
컨베이어벨트(80)에 의하여 세척 장치로 생수통이 공급되면 장치의 입구(A)일측에 설치된 계수 장치(81)가 생수통(1)의 유입을 감지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통의 숫자를 카운트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세척 장치가 6개의 생수통(1)을 한번에 세척시키는 장치인 경우 장치 내로 6개의 생수통이 유입되는 지를 카운트하게 되는 것이다.
카운트(81)가 컨베이어 벨트(80)를 따라 장치 내로 유입되는 생수통(1)을 카운트하다가 생수통(1)이 3개 내지 4개째 유입되는 시점에서 마이콤이 이를 인식하고, 장치의 출구(B)측에 설치된 스톱퍼장치(83)에 신호를 전가시키게 되면 피스톤(830)이 실린더(831)로부터 돌출 전진 동작하여 출구측(B)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출구측(B)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컨베이어 벨트(80)는 계속적으로 구동하여 장치의 내부로 생수통(1)을 유입시킴에 따라 장치 내로 유입된 각각의 생수통(1)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어 입구측(A)에 설치된 계수장치(81)가 6개의 생수통(1)이 유입되었음을 마이콤에 전달시키고,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콤은 구동 모터(84)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입구측(A)의 스톱퍼장치(82)를 동작시킴에 따라 피스톤(820)이 실린더(821)로부터 돌출 전진되어 더이상의 생수통(1) 진입을 차단시키게 된다.
- 생수통 정렬장치 -
이어 정렬 장치(9)의 실린더장치(90)가 동작하여 정렬판(91)을 전진시키고, 정렬판의 선단에 형성된 반원형의 정렬홈(92)내로 각각의 생수통(1)이 삽입되면서 생수통의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정렬된다.
- 핑거장치 -
생수통(1)의 정렬이 완료되면 핑거장치(6)의 실린더장치(60) 구동으로 핑거암(63)이 하강되어 핑거(65)의 내부로 병목(12)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장치(64)를 동작시키게 되면 핑거(65)가 오므라 들면서 병목(12)을 파지한다.
핑거(65)에 의해 병목(12)이 파지되면 정렬장치(9)가 후퇴되고, 핑거장치(6)는 실린더장치(60)에 의해 상승동작을 하게된다.
이때 핑거암(63)이 설치된 회전축(62)의 양측단은 가이드부재(15)에 안내되며 상승동작되는 것이다.
- 선회장치 -
핑거장치(6)의 상승동작이 완료되면 회전축(62)의 일측에 설치된 선회장치(7)의 실린더장치(72)가 동작되고 피스톤의 선단에 결합된 래크(71)가 상승되면서 래크(71)에 치합된 피니언(7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62)이 180도 회전되어 핑거(65)에 파지된 생수통(1)을 각각의 구동롤러(22) 상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어 실린더장치(60)에 의해 핑거장치(6)가 하강동작되어 각각의 구동롤러(22)상에 생수통(1)을 안착시킨다.
- 외부세척장치 -
이때 벽면세척솔(31)을 생수통(1)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이어 브라켓트(30) 후면에 설치된 실린더장치(34)를 동작시키게 되면 피스톤(341)이 돌출되면서 바닥세척솔(32)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생수통(1)의 바닥면(11)과 접촉되고, 바닥세척솔(32)의 선단 양측에 설치된 지지롤러(35)는 바닥면(11)의 외주연에 접촉된다.
- 내부세척장치 -
이어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크류봉(51)이 회전되면서 다수의 내부세척솔(40)이 설치된 브라켓트(52)가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상승되는 다수의 내부세척솔(40)은 가이드공(41)을 통과하면서 생수통(1)의 내부로 삽입되고, 생수통(1)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세척솔(40)을 병목(12)을 통과하는 순간부터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되고, 계속되는 상승동작으로 내부세척솔(40) 상단부가 생수통(1)의 바닥면과 접하여 지면서 완전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생수통(1)의 내외부면에 각각의 세척장치(3)(4)가 설치완료되면 핑거(65)가 병목(12)을 풀어주게 되고, 구동모터(20)가 회전되면서 각각의 구동롤러(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생수통(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생수통(1)의 내외부에는 세척수와 세제가 동시에 공급되면서 세척작업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생수통(1)의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0)가 정지되고, 외부 세척장치(3)의 실린더(34)가 작동하여 바닥세척솔(32)을 회동시켜 생수통(1)의 바닥면(11) 상부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핑거(65)가 병목(12)을 파지하게 된다.
이어 구동모터(50)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봉(51)이 역회전되면서 내부세척솔(40)이 결합된 브라켓트(52)가 하강동작되고, 이에 내부세척솔(40)이 병목(12)을 통과하면서 절첩된다.
내외부세척솔이 생수통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면 선회장치(7)에 의해 핑거암(63)이 180도 선회되고, 실린저장치(60)에 의해 하강동작되어 컨베이어벨트(80)상에 생수통(1)을 재치시킨다.
이어 생수통(1)의 병목(12)을 파지하고 있던 핑거(65)가 이완되고 핑거장치(6)는 상승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치의 출구측(B)을 가로막고 있던 스톱퍼(83)가 후퇴되어 출구를 개방시키고 켄베이어벨트(80)가 회전구동되어 세척이 완료된 생수통(1)을 장치외부로 이송시키고 입구(A)측에서는 세척시킬 생수통이 장치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세척장치에서 생수통의 내 외부면을 동시에 세척시킬 수 있어 세척공정 및 세척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세척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그 상부에 생수통(1)인 안착되는 다수의 구동롤러(22)와; 상기 생수통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외부세척장치(3)와; 승강장치(5)에 의해 승하강동작되고, 생수통(1) 내부에서 펼침동작되는 내부세척장치(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세척장치(3)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브라켓트(30)와, 상기 브라켓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벽면세척솔(31)과, 브라켓트(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세척솔(32)과, 상기 바닥세척솔(32)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장치(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세척솔(32)의 전후단양측에 생수통(1)의 바닥면(11) 외주연과 접촉되는 지지롤러(35)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의 전면에 생수통(1)을 세척장치내로 공급하는 핑거장치(6)를 설치시키되, 핑거장치(6)가 실린더장치(60)에 의해 승하강 동작되는 브라켓트(61)와, 브라켓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62)과, 회전축에 결합설치되는 핑거암(63)과, 상기 핑거암(63) 선단에 유압장치(64)에 의해 펼쳐지고 오므라드는 핑거(65)와, 상기 회전축(62) 일단에 회전축(62)을 선회시키는 선회장치(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장치(7)가 회전축(62)의 일측단에 결합된 피니언기어(70)와, 상기 피니언기어(70)에 치합되는 래크(71)와, 래크(71)의 일단에 결합되어 래크(71)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실린더장치(7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세척장치.
KR1019990007357A 1999-03-05 1999-03-05 생수통 세척 장치 KR20000059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357A KR20000059616A (ko) 1999-03-05 1999-03-05 생수통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357A KR20000059616A (ko) 1999-03-05 1999-03-05 생수통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16A true KR20000059616A (ko) 2000-10-05

Family

ID=1957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357A KR20000059616A (ko) 1999-03-05 1999-03-05 생수통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6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50B1 (ko) * 2004-10-11 2007-01-02 이기진 고압 펌프를 가진 생수통 세척장치
WO2017202094A1 (zh) * 2016-05-27 2017-11-30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桶口悬挂式喷淋外洗装置
CN109127607A (zh) * 2018-10-25 2019-01-04 河南特可隆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纯净水灌装生产用300t内外洗一体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77U (ko) * 1994-03-15 1995-10-16 김일환 생수통 세척기
KR970000367A (ko) * 1995-06-07 1997-01-21 최병호 생수통 세척 장치
KR980000361A (ko) * 1996-06-17 1998-03-30 유광식 생수통 자동 세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77U (ko) * 1994-03-15 1995-10-16 김일환 생수통 세척기
KR970000367A (ko) * 1995-06-07 1997-01-21 최병호 생수통 세척 장치
KR980000361A (ko) * 1996-06-17 1998-03-30 유광식 생수통 자동 세척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50B1 (ko) * 2004-10-11 2007-01-02 이기진 고압 펌프를 가진 생수통 세척장치
WO2017202094A1 (zh) * 2016-05-27 2017-11-30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桶口悬挂式喷淋外洗装置
CN109127607A (zh) * 2018-10-25 2019-01-04 河南特可隆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纯净水灌装生产用300t内外洗一体机
CN109127607B (zh) * 2018-10-25 2024-05-03 河南特可隆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纯净水灌装生产用300t内外洗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0031A1 (en) Automatic sterilizing waste glass bottle recycling equipment
CN215279046U (zh) 一种药瓶清洗机
CN205995888U (zh) 全自动化学发光试剂瓶清洗机
KR20050116956A (ko) 생수통 세척장치
KR20000059616A (ko) 생수통 세척 장치
CN213793162U (zh) 一种快捷清洗瓶盖装置
KR200276321Y1 (ko) 용기 세척장치 및 이송장치
CN106111644B (zh) 试剂瓶清洗装置
CN101224459B (zh) 自动洗瓶设备
CN210112954U (zh) 一种桶装水水桶的内壁清理机构
CN220111883U (zh) 一种洗瓶翻转传送装置
KR20120042042A (ko) 생수통 세척방법 및 장치
KR200360046Y1 (ko) 생수통 세척장치
CN205995887U (zh) 清洗机的主传动装置及试剂瓶清洗装置
CN217121166U (zh) 一种化妆品灌装瓶体清洗装置
JP3179659B2 (ja) フィッティングのねじ部洗浄装置
CN115608728A (zh) 一种人参冻干粉包装瓶清洗装置
CN201115855Y (zh) 自动洗瓶设备
CN212474922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矿用pvc管材牵引机
CN112275753B (zh) 一种用于玻璃酒瓶生产线的酒瓶清洗装置
KR19990059463A (ko) 생수통 외부 세척장치
JP2936252B2 (ja) コンテナ容器洗浄機
KR19990059464A (ko) 생수통 내부 세척장치
CN220574268U (zh) 一种回旋洗瓶机
JPH01199895A (ja) 容器の洗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