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264A -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264A
KR20000059264A KR1020000043901A KR20000043901A KR20000059264A KR 20000059264 A KR20000059264 A KR 20000059264A KR 1020000043901 A KR1020000043901 A KR 1020000043901A KR 20000043901 A KR20000043901 A KR 20000043901A KR 20000059264 A KR20000059264 A KR 2000005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tmf signal
guide
numeric
nume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식
Original Assignee
한동식
양웅섭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식, 양웅섭,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filed Critical 한동식
Priority to KR102000004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264A/ko
Publication of KR2000005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2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6Speech intera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금잔고, 계좌번호, 주식시세 등의 숫자정보를 DTMF 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숫자정보 안내센터와 안내센터 측에서 송신한 DTMF 신호를 수신하여 LCD 화면 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 DTMF 신호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와 DTMF 신호 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DTMF 신호 전송 및 수신, 표시, 출력 기능을 숫자정보 안내 방식에 적용한 것으로서, 숫자정보 안내센터에서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것에 있어, 기존의 청각적 안내 방식, 즉 안내요원의 육성 및 컴퓨터에 녹음된 소리 이외에, 안내 요원 및 숫자정보 안내센터에서 DTMF 신호를 이용자에게 전송하게 하고, 이용자는 안내 요원 및 숫자정보 안내센터가 전송한 DTMF 신호를 DTMF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 및 출력장치를 통해 LCD 화면 등으로 출력해서 시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NUMBER INFORMATION SYSTEM USING DTMF SIGNAL}
본 발명은 2000년 6월 29일에 출원된 'DTMF신호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건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킨 발명으로서,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전화번호 안내센터 이용 시 뿐만 아니라, 각 은행 증권회사 및 공공기관 회사 단체 등으로 확대시킨 발명이다.
본 발명은,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좀더 쉽고 편하게 숫자정보를 안내 받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청각적으로 안내해 오던 계좌번호, 예금잔고, 주식시세, 전화번호 등의 숫자정보를 LCD 화면 등의 시각적인 방법을 통해 안내해 줌으로서 이용자들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개발목적이다.
본 발명은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정보를 안내 받기 위해 안내센터에 전화를 걸었을 때, 예를 들어 예금 잔고 및 입출금 내역 등의 은행거래에 대한 정보를 안내 받기 위해서 은행 폰뱅킹서비스센터에 전화를 걸었을 때, 기존의 방식, 즉, 안내원의 육성 및 컴퓨터에 녹음된 소리 등으로 예금잔고 및 입출금 내역 등의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것 외에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예금잔액 등의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안내 요원이 직접 전화를 받아서 예금 잔액 및 계좌번호 등을 직접 안내 요원의 육성으로 안내하는 경우와 ARS 센터와 같이 컴퓨터에 녹음된 소리로 안내 받는 경우가 있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전화번호 안내방식은, 귀가 어두운 사람 예컨대, 할아버지, 할머니, 어린이, 청각장애인 등의 사람들에게는 정확히 말을 알아듣기가 어려워서 이용에 불편이 있었고, 일반인들에게는 불러주는 숫자를 일일이 적거나, 별도의 필기구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암기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존에 안내원의 육성 및 컴퓨터에 녹음된 소리를 통해 숫자정보를 안내하던 방식을, DTMF 신호를 이용해 숫자정보를 안내하게 함으로서 청각적 숫자정보 안내방식에서 시각적 숫자정보 안내방식으로 숫자정보 안내방식을 전환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숫자정보 안내방식에 DTMF 신호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청각장애인, 노약자 등 귀가 어두운 사람 및 기억력이 떨어지는 일반인들이 은행, 증권회사, 폰뱅킹서비스 센터, 증권회사 ARS 센터 등의 안내센터를 이용해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것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안내원의 육성 및 녹음된 소리 등, 지금까지의 청각적인 숫자정보 안내방식과 달리, 예금잔고, 계좌번호, 주식시세 등의 숫자정보가 담긴 DTMF 신호를 서버(은행, 증권회사, 폰뱅킹센터, 증권ARS센터, 등) 측에서 이용자 측으로 전송하면, 예금잔고, 계좌번호, 주식시세 등의 숫자정보가 DTMF 신호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 및 DTMF 신호 출력장치에 그대로 표시되게 하여 시각적으로 이용자에게 숫자정보를 인지시켜주는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숫자정보 안내 센터
20 : 안내 센터가 속한 전화국 교환기
30 : 이용자가 속한 전화국 교환기
40 : DTMF 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
50 : DTMF 신호 출력 장치
60 : DTMF 신호 발생 장치
70 : 일반 전화기
80 : 안내 요원
90 : 이용자
본 발명은 예금잔고, 계좌번호, 주식시세 등의 숫자정보를 DTMF 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숫자정보 안내센터(10)와 안내센터(10) 측에서 송신한 DTMF 신호를 수신하여 LCD 화면 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 DTMF 신호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40)와 DTMF 신호 출력 장치(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숫자정보 안내센터(10)는, 전화(70)를 이용해 이용자(90)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곳이며, 이용자(90)에게 안내하는 정보 중에 일부 또는 전체가 숫자일 경우에만 숫자정보 안내센터(10)가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90)가 안내 받고자 하는 정보가 예금 잔고일 경우, 이용자(90)는 은행 폰뱅킹 서비스센터나 은행 지점에 전화를 걸어 확인하게 되는데, 이 때 이용자(90)가 안내 받고자 하는 정보가 숫자이기 때문에, 은행 폰뱅킹 서비스센터나 은행 지점이 숫자정보 안내 센터(10)가 된다. 이 밖에, 주식시세를 안내하는 각 증권회사 별 ARS센터 등 숫자로 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센터가 모두 포함된다.
쉬운 예로, 예금잔고 및 계좌이체, 계좌번호 등 은행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문의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90)는 은행에 직접 전화를 걸어 각 지점별 은행 직원에게 예금잔액을 문의하는 방법과 이용자(90)가 거래하는 은행의 폰뱅킹 서비스센터로 전화를 걸어 각 서비스별 코드를 눌러 이용자(90)가 원하는 정보를 안내 받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폰뱅킹 서비스센터 및 은행 직원에게 직접 문의하는 숫자정보 안내 시스템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고자 하는 숫자정보가 예금 잔고일 때, 첫 번째 경우로 은행의 각 지점에 전화를 걸어 은행 직원에게 문의하는 방법이 있다. 이용자(90)가 은행에 전화를 걸어 은행 직원에게 문의하면, 은행 직원은 비밀번호 확인 후 컴퓨터를 이용해 예금잔액을 확인하여 이용자(90)에게 안내하여 준다. 예금잔고를 알기 위해 은행 직원에게 직접 문의하는 방법은 은행업무 시간 내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이 있고, 은행 직원의 육성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정확히 못 알아들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두 번째 경우로 이용자(90) 거래 은행의 폰뱅킹 서비스센터로 전화를 거는 경우가 있다.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해당 서비스코드를 눌러서 예금 잔고 확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해당 정보 조회 후 컴퓨터 등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성을 통해 이용자(90)에게 안내하게 된다. 예로, 이용자(90)의 예금 잔고가 ₩234,500일 경우,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을 통해 안내할 때 "귀하의 예금 잔고는 이십. 삼만. 사천. 오백. 원. 입니다."라는 식으로 이용자(90)에게 안내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이"와 "일" "삼"과 "사" 등의 혼란스러운 발음이 다수 개 있어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데 큰 불편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발음의 부정확성 및 알아듣기 난해한 점들은 비단 한국의 문제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음을 녹음시킨 후 저장된 소리로 숫자정보를 안내하는 세계 여러 나라들에게도 공통된 문제점이었다. 더욱이 난청자 및 청각장애인의 경우 숫자정보 안내 자체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 외에 일반인(90)의 경우라도 녹음된 소리를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에 별도의 필기구가 없을 경우 연속된 숫자를 외워야만 했다. 필기구가 없어 암기하는 경우는 소리를 못 알아듣는 경우보다 훨씬 더 빈도수가 높아 숫자정보 안내센터(10)로 같은 숫자정보를 다시 문의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숫자정보 안내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청각적인 숫자정보 안내 방식을 청각적인 방식과 함께 시각적인 숫자정보 안내 방식을 같이 제공함으로서 청각적인 안내방식에서의 문제점들(예컨대, 할아버지, 할머니, 난청자, 청각장애인 등 안내 음성을 잘 못 알아듣는 경우 및 필기구가 없어 숫자정보를 암기해야 하는 경우)을 완전히 해결하였다.
전화(70) 연결 방식은 지난 70,80년대를 기점으로 펄스 방식에서 톤 방식으로 전환되었고, 지금은 거의 모든 전화기(70)가 톤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톤 방식의 경우, 통화 중에 이용자(90)가 누르는 키패드의 버튼은 DTMF 신호로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톤(Tone) 방식 자체가 소리를 modulation하는 것이기 때문에, DTMF 신호를 디코딩 할 수 있는 장치만 있으면, DTMF 신호의 해석이 가능하다.
1, 2, 3, 4.... 등 이용자(90)가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 때 누르는 12개의 버튼은 각각의 고유한 DTMF 소리가 난다. 우리(90)가 사용하고 있는 톤 방식 전화기(70)의 DTMF는 규격화되어 있다. 일 예로, "2" 버튼을 누를 때 들리는 "삐∼"소리는 세계 어느 나라 톤 방식 전화기(70)의 것을 누르나 동일한 소리가 들리며, "3"을 누를 때 들리는 "삐∼"소리 또한 DTMF 신호로 전세계 전화기(70)가 규격화되어 있다. "2"를 누를 때 들리는 "삐∼"소리와 "3"을 누를 때 들리는 "삐∼"소리가 틀리며, 전화기(70) 키패드에 있는 12개의 버튼이 제각각 서로 다른 DTMF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DTMF 신호를 디코딩해내는 장치만 있으면 상대방과의 전화통화 중, 상대방이 누르는 버튼의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응용해서 상대방과의 전화통화 중 상대방이 누르는 버튼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는, 숫자정보를 담은 연속된 DTMF 신호들을 상대방이 이용자에게 전송했을 때 전송된 DTMF신호에 담긴 숫자정보를 인지해 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전화기(40) 및 DTMF 신호 출력장치(50)가 이미 개발되어 있다.
기존에 상기 설명과 같이, 상대방과의 전화통화 중에 상대방이 상대방 전화기(70) 버튼을 여러 번 누를 때, 상대방이 어떤 숫자의 버튼들을 눌렀는지 알아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전화기(40) 및 출력장치(50)는 이미 개발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출력장치(50)는 기존에 이용자가 사용하던 전화기(70)는 그대로 두고, 전화기(70)의 입력단자에 DTMF 신호 출력 장치(50)를 꽂기만 하면 기존 전화기(70)를 이용해 DTMF 신호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DTMF 신호 전송 및 수신, 표시, 출력 기능을 숫자정보 안내 방식에 적용한 것으로서, 숫자정보 안내센터(10)에서 숫자정보를 안내 받는 것에 있어, 기존의 청각적 안내 방식, 즉 안내요원(80)의 육성 및 컴퓨터에 녹음된 소리 이외에, 안내 요원(80) 및 숫자정보 안내센터(10)에서 DTMF 신호를 이용자에게 전송하게 하고, 이용자(90)는 안내 요원(80) 및 숫자정보 안내센터(10)가 전송한 DTMF 신호를 DTMF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40) 및 출력장치(50)를 통해 LCD 화면 등으로 출력해서 시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숫자정보 안내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 상황을 묘사해 보면, 첫 번째 경우로 안내 받으려는 숫자정보가 예금 잔고이고, 문의하는 숫자정보 안내센터(10)가 은행의 폰뱅킹 서비스센터일 경우, 이용자(90)가 자신의 예금 잔고를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거래 은행의 폰뱅킹 서비스센터로 전화를 건다. 예금 잔고 확인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를 누른 후 이용자(90)의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컴퓨터의 조회 후 이용자의 예금 잔액에 해당하는 소리가 재생된다. 이용자(90)의 예금 잔액이 '₩234,500'일 경우, "귀하의 예금 잔액은 이십. 삼만. 사천. 오백. 원. 입니다."라는 소리가 들린다.
두 번째 경우로, 숫자정보가 예금잔고이고 숫자정보 안내센터(90)가 은행이고 안내 요원(80)이 은행 직원일 경우, 안내 요원(80), 즉 은행 직원이 검색한 숫자정보를 "이십삼만 사천오백원입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직접 육성으로 안내해 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청각적 안내 방식 외에 DTMF 신호를 이용한 시각적 안내 방식을 함께 제공한다. 이용자(90)에게 DTMF 신호 출력 기능을 내장한 전화기(40) 및 DTMF 신호 출력 장치가(50) 있을 경우, 이용자는 기존의 녹음된 소리 이외에 DTMF 신호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ARS 센터를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서비스 코드 중에서 'DTMF 신호를 이용한 안내 코너'가 새로 첨가되어, 'DTMF 신호를 이용한 안내 코너'로 들어가면 기존의 녹음된 소리 이외에 DTMF 신호를 이용자(90)에게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이용자(90)의 DTMF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40) 및 출력장치(50)의 LCD 화면에 예금 잔고가 출력되게 된다. 예금 잔고가 \234,500의 경우 "234500"의 숫자가 LCD 화면에 출력되게 된다.
이용자(90)가 자신의 예금 잔고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으로 은행에 직접 전화를 걸어 은행 직원에게 문의하는 경우, 전화를 받은 안내 요원(80) 즉 은행 직원은 이용자(90)의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 컴퓨터로 이용자의 예금 잔액을 조회한다. 조회를 마친 후 안내 요원(80)은 검색한 이용자(90)의 예금 잔액을 어떤 방법으로 안내 받을 지를 묻는다. 이용자(90)에게 DTMF 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40) 및 출력장치(50)가 있어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예금잔액을 안내 받기를 원하면, 은행 직원은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예금 잔액을 이용자에게 안내한다. DTMF 신호 전송은 DTMF 신호 발생 장치(60)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일반 전화기(70)가 있다. 일반전화기(70)의 키패드가 DTMF 신호 발생 장치(60)이고, 일반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에 DTMF를 저장시켜 놓기만 하면 DTMF 신호 발생 장치(60)가 된다. 컴퓨터의 0, 1 ... 9, *, # 등 12 숫자 자판 각각에 DTMF 신호를 입력시켜 놓으면, 예를 들어 컴퓨터의 "2" 자판을 누르면, "삐∼"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데, "삐∼"소리가 전화기(70)에서 들리는 소리와 동일하게 DTMF 신호로 셋팅한다. 컴퓨터의 "2.3.4. 5.6.7.8."을 누르면 "삐. 삐. 삐. 삐. 삐. 삐 .삐."와 같은 DTMF 신호가 출력되도록 컴퓨터를 DTMF 신호 출력 장치(60)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위해서 숫자정보 안내 센터(10)나 숫자정보 안내센터(10)의 안내요원(80)이 별도의 DTMF 신호 발생 장치(60)를 구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전화기(70) 키패드의 숫자버튼을 이용하거나 DTMF 신호발생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쉽게 DTMF 신호 발생 장치(6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 전화기(70)의 키 패드 등을 이용해 DTMF 신호를 이용자(90)에게 전송하면, 예를 들어, 안내하려는 숫자정보가 "2 3 4 5 6 7 8"의 경우, 숫자정보 안내 요원(80)이 전화기(70)의 버튼을 "2. 3. 4. 5. 6. 7. 8."과 같이 연속해서 누르면, 이용자(90)의 DTMF 신호 출력 기능을 내장한 전화기(40) 및 DTMF 신호 출력 장치(50)에 "2 3 4 5 6 7 8"이라는 숫자가 표시된다. 안내 요원(80)이 직접 응대하지 않는 폰뱅킹 서비스센터 및 증권회사 ARS 센터 등에서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안내할 경우, 안내 요원(80)이 일반 전화기(70)의 해당 버튼을 누르는 대신 DTMF 신호를 컴퓨터에서 재생시켜 준다. "2.3.4.5.6.7.8."의 경우, "삐∼ 삐∼ 삐∼ 삐∼ 삐∼ 삐∼ 삐∼ 삐∼"와 같이 "2", "3", "4", "5", "6", "7", "8"에 해당하는 DTMF 신호를 재생하여 이용자(90)에게 전송하면 이용자(90)의 DTMF 신호 출력 기능 내장형 전화기(40) 및 DTMF 신호 출력 장치(50)의 화면에 "2 3 4 5 6 7 8"과 같이 출력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숫자정보 안내센터(10)는, 은행, 은행 폰뱅킹 서비스센터, 증권회사, 증권회사 ARS 센터, 학교, 회사, 공공기관, 등 숫자정보를 안내하는 모든 기관, 단체, 서비스센터, 안내센터 등이 전부 포함되고,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숫자정보는 은행 잔고, 계좌번호, 주식시세, 등 모든 숫자 형태의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다른 실시 예로, 증권회사 ARS 센터를 통해서 주식시세 확인하는 경우, 증권회사 ARS 센터가 숫자정보 안내센터(10)가 되는 것이고, 주식시세가 숫자정보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로,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는 기존의 방식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는 방법만을 예시하였는데, 그 밖에 기존의 안내 방식 외에 단독으로 DTMF 신호를 이용해 숫자정보를 안내하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숫자정보 안내 센터에서 숫자정보를 안내 받을 때 안내원의 육성 및 녹음된 소리 등의 청각적인 안내 방식 외에 문의한 숫자정보가 LCD 화면에 표시되는 시각적인 안내 방식으로도 숫자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되어 좀더 편리한 통신생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예금잔고 및 계좌번호, 거래내역 조회 등 은행 폰뱅킹 서비스 이용 상의 경우 및 주식시세 조회 등 증권회사의 ARS 센터 이용 상의 경우 등 실시 상의 구체적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시각적으로 안내한다는 것에 따른,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숫자 정보를 안내 받으려는 사람이 숫자정보 안내 센터에 전화를 걸어 숫자정보를 문의할 때, 안내요원이 직접 전화를 받아서 문의한 숫자정보를 안내해 주는 방식에 있어;
    안내원(80)의 육성으로 안내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안내 방식과 함께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안내해 주는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 방법.
  2. 숫자 정보를 안내 받으려는 사람이 숫자정보 안내 센터에 전화를 걸어 숫자정보를 문의할 때,
    안내요원이 직접 전화를 받지 않고 컴퓨터 등의 별도 장치가 전화를 받아서, 저장장치에 저장된 음성을 이용해 문의 내용을 안내해 주는 방식, 즉 ARS 방식에 있어;
    저장장치에 저장된 음성으로 문의내용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안내 방식과 함께 DTMF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안내해 주는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 방법.
  3. 청구항 1항의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 방법에 있어;
    숫자정보는,
    거래 은행 잔고, 주식시세,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일련번호, 연도, 날짜 등 숫자로 표현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숫자정보 안내 센터는,
    은행, 증권회사, 회사, 공공기관 등 숫자로 표현되는 정보를 안내하는 모든 단체, 기관, 회사를 의미한다.
  4. 청구항 2항의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 방법에 있어;
    숫자정보는,
    거래 은행 잔고, 주식시세,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일련번호, 연도, 날짜 등 숫자로 표현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숫자정보 안내 센터는,
    은행 폰뱅킹센터, 증권회사 ARS센터, 회사 ARS센터, 공공기관 ARS센터 등 숫자로 표현되는 정보를 안내하는 모든 ARS(Auto Response System)센터를 의미한다.
KR1020000043901A 2000-07-28 2000-07-28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KR20000059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01A KR20000059264A (ko) 2000-07-28 2000-07-28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01A KR20000059264A (ko) 2000-07-28 2000-07-28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64A true KR20000059264A (ko) 2000-10-05

Family

ID=1968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901A KR20000059264A (ko) 2000-07-28 2000-07-28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26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52A (ko) * 1994-07-21 1996-02-23 배순훈 전화 번호 안내 장치
KR19980082804A (ko) * 1997-05-09 1998-12-05 한권기 114전화 자동안내 기능에 적용되는 문자 송/수신 제어 처리 방법
KR20000002587A (ko) * 1998-06-22 2000-01-15 윤종용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34454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848A (ko) * 2000-06-29 2000-09-05 한동식 Dtmf 신호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52A (ko) * 1994-07-21 1996-02-23 배순훈 전화 번호 안내 장치
KR19980082804A (ko) * 1997-05-09 1998-12-05 한권기 114전화 자동안내 기능에 적용되는 문자 송/수신 제어 처리 방법
KR20000002587A (ko) * 1998-06-22 2000-01-15 윤종용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34454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848A (ko) * 2000-06-29 2000-09-05 한동식 Dtmf 신호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non-spoken telephone communication
US20090257565A1 (en) Multi-channel quiet calls
SA08290502B1 (ar) طريقة ونظام لإضافة المعلومات إلى نداء الطوارئ
KR20000059264A (ko) Dtmf 신호를 이용한 숫자정보 안내방법
KR20000054848A (ko) Dtmf 신호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US6879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privacy featur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1269722A1 (en) Telephonic device for deaf-mutes
KR100645170B1 (ko) 계좌인증을 이용한 텔레뱅킹 방법
KR100553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에 따른 음성출력 방법
KR100413270B1 (ko) 농아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휴대전화기와 방법
KR20020078113A (ko) 음성, 문자 동시 응답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H08314687A (ja) 身障者用端末システム
JPH08214355A (ja) ページャー
JPS61175773A (ja) Pos端末装置の伝言方式
KR20010026847A (ko) 셀룰라폰을 이용한 금융거래정보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3076658A (ja) 通信システム
TWI244305B (en) Mobile phone providing religion devo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40057021A (ko) 화면이 표출되는 스마트 텔레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65029Y1 (ko) 통역 지원 전화기
KR930015568A (ko) 부재중 통화 가능 키폰 전화기
KR200200743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 음성 및 음향 송출 방법
JPH07274228A (ja) ページャー
JPH10210129A (ja) 携帯電話機
WO1997021181A1 (fr) Dispositif fournissant un son d'identification et systeme d'authentification
JPH07321957A (ja) 通話履歴機能を有する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