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950A -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950A
KR20000058950A KR1020000038532A KR20000038532A KR20000058950A KR 20000058950 A KR20000058950 A KR 20000058950A KR 1020000038532 A KR1020000038532 A KR 1020000038532A KR 20000038532 A KR20000038532 A KR 20000038532A KR 20000058950 A KR20000058950 A KR 2000005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ck
server
information
data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용
전유흥
정현호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황철운
주식회사 서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운, 주식회사 서퍼터스 filed Critical 황철운
Priority to KR10200000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8950A/ko
Publication of KR2000005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입력 단말기들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된 증권시세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 1중계서버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가공/관리하는 제 2중계서버와,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들과 제 2중계서버의 증권정보 데이터들을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키를 부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와, 제 1중계서버와 제 2중계서버 및 메인서버의 정보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증권 종목에 대한 시세를 다양한 형태로 보여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증권정보를 생중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REAL-TIME INFORMATION AND MARKET CONDITION OF SECURITIES AND A RECORDING MEDIUM PROVIDING PROGRAM THEREIN}
본 발명은 증권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시세를 서비스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공중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 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해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일반 객장에 나가지 않고서도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상에서 증권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증권 사이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주로 인터넷 상에서 운영되는 증권 사이트(site)를 운영 형태별로 분류하면, 단순 정보 제공형, 시스템 제공형, 실시간 현재가 제공형, 추천 종목 제공형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첫째, 단순정보 제공형은 증권 관련 기사, 보도 자료 및 추천 종목등을 장중 또는 장마감 후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형태이다. 둘째, 시스템 제공형은 단순증권정보와 더불어 차트나 그래픽을 이용한 상승가능 종목을 판단하여 증권서비스 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형태이다. 셋쩨, 실시간 현재가 제공형은 증권전산원으로부터 온라인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각 종목에 대한 현재가 등의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넷째, 추천 종목 제공형은 증권서비스 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 각 종목에 대한 분석 및 매수 및 매도 시점을 제공하며 대부분 유료 전화 서비스를 유도하기 위한 서비스의 형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증권서비스 방법은 모두 자체 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증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컴퓨터가 인터넷망에 접속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웹브라우저를 통해 증권서비스용 웹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해 다른 작업을 수행하거나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증권서비스를 계속해서 받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이러한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년 2월 17일자로 국내에 특허출원한 제200-7458호, "실시간 증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발명한 바 있다. 이 특허출원 제200-7458호의 기술은 증권 서비스용 웹사이트의 접속 여부 또는 컴퓨터 작업 상태에 관계없이 클라이언트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이면 실시간의 증권정보를 서비스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증권정보만을 서비스하고 현물, 코스닥, 선물등의 증권시세는 상세하게 서비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의 증권시세를 알고자 할 때는 다른 경로를 통해서 직접 알아봐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PSTN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개선된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PSTN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개선된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PSTN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서비스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서비스하도록 구현한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입력 단말기들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된 증권시세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 1중계서버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가공/관리하는 제 2중계서버와,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들과 상기 제 2중계서버의 증권정보 데이터들을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키를 부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와, 제 1중계서버와 제 2중계서버 및 메인서버의 정보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을 통해서 메인서버에 자동 접속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메인서버로부터 전송받아서 실시간 표시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 접속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ID와 패스워드를 등록저장된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제1단계와,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등록된 것이 아닐 경우 서비스 프로그램에 에러메시지를 발생하고 다시 인증절차를 반복하는 제2단계와,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해 랜덤(random)하게 발생한 인증키값을 설정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제3단계와, 서비스 프로그램의 초기 상태를 메인서버로부터 업데이팅하는 제4단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권시세 데이터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서비스하기 위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쳐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가 설정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중계서버에 자동 접속하고, 중계서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데이팅한 후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권시세 데이터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3a 내지 3q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작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내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시세를 전송하는 중계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를 전송하는 중계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시세 및 증권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메인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정보입력 단말기 120 : 제 1중계서버
122 : 현물서버 124 : 코스닥서버
126 : 선물서버 130 : 데이터베이스서버
140 : 제 2중계서버 150 : 메인서버
160 : 관리자 단말기 200 : 증권전산원
3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400 : 인터넷/PST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정보입력 단말기들(110), 제 1중계서버(120), 제 2중계서버(140), 데이터베이스서버(130), 메인서버(150), 관리자 단말기(160),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400)을 통해서 메인서버(150)에 자동 접속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메인서버(150)로부터 전송받아서 실시간 표시하는 서비스 프로그램(302)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입력 단말기(110)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다양한 최근 증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중계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200(200)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된 데이터 패킷(packet) 형태의 증권시세 데이터를 각각 관리한다. 이에, 제 1중계서버(120)는 증권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현물서버(122), 코스탁서버(124), 선물서버(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서버(120)는 중권전산원(200)에서 매일 새롭게 갱신되는 마스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 저장한다.
상기 제 2중계서버(140)는 정보입력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가공(저장, 갱신)/관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3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대한 사용자 정보(ID 및 패스워드 포함)는 물론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서비스하기 위하여 제 1중계서버(120)의 증권시세 데이터들과 제 2중계서버(140)의 증권정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정보입력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되는 증권정보에 의해 기저장된 정보를 삭제 또는 갱신하게 된다.
상기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키를 부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인증키는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서 랜덤하게 발생되는 키 값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50)는 제 1중계서버(120)의 증권시세 데이터 전송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증권전산원(200)으로부터 다시 증권시세 데이터를 재전송받으며 제 1중계서버(120)의 증권시세 데이터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옵션에 따라 제 1중계서버(120)의 증권시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동일한 증권시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는 제 1중계서버(120)와 제 2중계서버(140) 및 메인서버(150)의 정보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한다. 관리자 단말기(16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구성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만을 예로 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인터넷/PSTN(400)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메인서버(150)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302)을 다운로드 받거나 서비스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예컨대 CD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302)을 단말기인 컴퓨터에 설치한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서비스 프로그램(302)이 설치되면, 서비스 프로그램(302)을 실행하고, 실행된 프로그램의 로그-인 창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에,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부터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접속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 등록저장된 ID 및 패스워드와 수신된 ID와 패스워드를 비교해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한 메인서버(15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ID와 패스워드를 추출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데, 인증이 허가되면 프로그램버전과 증권시세(예컨대 현물버전, 코스닥버전, 테마버전 등)를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각의 버전들과 비교한다. (S10∼S12 참조)
메인서버(150)는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ID 또는 패스워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프로그램(302)에 에러메시지를 발생하고 다시 인증절차를 반복한다. 반면에,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이미 사용중인 ID와 이에 맞는 패스워드인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서비스 프로그램(302)에 대해 랜덤하게 발생한 인증키값을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와 메인서버(150)를 자동 접속시킨다. (S14 참조)
그 다음,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메인서버(150)로부터 최근의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서비스 프로그램(302)의 초기 상태를 업데이팅한다. (S16 참조)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데이팅이 완료된 후, 서비스 프로그램의 옵션에서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기설정된 증권종목의 시세를 조회한다. 즉, 서비스 프로그램의 옵션에서 설정된 관심 종목, 수익률코드 조회를 요청한다. (S18 참조)
이에, 메인서버(150)는 이미 제 1중계서버(120)와 제 2중계서버(140)에 수신된 최근 시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PSTN(400)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전송해서 서비스 프로그램(302)에 요청한 설정된 증권종목의 시세로 보여준다. (S20 참조)
그리고나서, 제 1중계서버(120)는 현물서버(122), 코스닥서버(124), 선물서버(126)를 통해 증권전산원(200)으로부터 수신된 실시간의 증권시세를 현물 시세, 코스닥 시세, 선물시세로 분류, 가공해서 데이터베이스서버(130)로 저장하고 증권시세를 재구성하여 메인서버(150)로 전송함과 동시에 제 2중계서버(140)는 정보입력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증권정보를 재구성하여 메인서버(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제 1중계서버(120)와 제 2중계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의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서비스 프로그램(302)은 실시간으로 전송된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S22 참조)
그리고, 메인서버(150)는 인터넷/PSTN(400)을 통해서 계속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접속되어 제 1중계서버(120)를 통해 200(200)에서 제공한 증권시세와 제 2중계서버(140)를 통해 정보입력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증권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서비스 프로그램(302)에서 변경된 옵션이 있는지를 검출한다. 이에, 변경된 옵션(예컨대 관심 종목 또는 수익률 코드)이 있을 경우 메인서버(150)는 변경된 옵션 설정에 따라 새로운 증권시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서 업데이팅한다. (S22∼S26 참조)
만약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접속을 중단하여 더 이상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증권시세와 증권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메인서버(15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가 계속 접속되어 있다면,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실시간의 증권시세와 증권정보를 계속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가 증권정보 서비스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서도 인터넷/PSTN을 통해 실시간으로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수신받을 수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단말기상에서 실행되는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바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예컨대 CD)에 기록될 수 있는데, 이 기록 매체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쳐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가 설정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중계서버에 자동 접속하고, 중계서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데이팅한 후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권시세 데이터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도 3a 내지 3q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작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 서버스 프로그램(302')은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로그-인 창(12)과, 증권정보의 수신 유/무를 알리는 표시등(5,6)과,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표시하는 티거바(3) 및 다수의 기능 선택버튼과 표시창을 갖는 디스플레이수단(8,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티거바(3)는 선택버튼에 따라 표시창을 크게 확대 또는 작게 축소하여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표시한다.
도 3a 내지 3n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작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302)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티커바의 크기가 화면의 일부영역을 차지하는 타이틀 바(title bar)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메인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증권시세를 수신하여 그 내용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작업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각종 메뉴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의 로그-인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서비스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에 이를 실행하면,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로그-인 창(12)이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 로그-인 창(12)에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한 후에 메인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확인버튼(12a)과 회원 가입하기 위한 버튼(12b)이 포함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의 업데이팅 과정은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메인서버에서는 인증 절차를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인증키를 설정하고 서비스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메인서버의 최근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 도면 부호 13은 이러한 업데이트 진행사항을 표시하는 창이다. 업데이트 과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프로그램은 메인 화면을 실행한다.
이에 도 3c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의 관심종목 티커바(ticker bar)와 이에 대한 시세를 나타낸 티커바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프로그램의 관심종목 티커바(302')는 회사 또는 프로그램 등의 로고 버튼(1), 증권시세 티커바(3), 웹전환 버튼(4), 옵션 버튼(5), 선택코너 버튼(6), 숨김 버튼(7), 확대 버튼(8), 종료 버튼(9)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관심종목 티커바(302')에서 로고 버튼(1)을 클릭하면, 서비스 프로그램의 화면은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증권정보를 선택하는 메뉴창으로 바뀐다. 이 메뉴창의 입력란에 어느 한 메뉴를 입력하거나 메뉴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3m, 도 3n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화면이 증권정보 표시창으로 바뀐다.
그리고 증권시세 티커바(3)는 미리 설정한 관심종목의 현재가와 등락을 디스플레이한다. 증권시세 티커바(3)를 클릭(click)하면 도 3d로 표시된 관심종목의 시세 티커바(3'')가 실행되어 관심종목 시세를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도 3d의 시세 티커바(3'')를 클릭하면 상기 관심종목 티커바(302')가 생성되고 다시 관심종목 티커바(302')를 클릭하면 종료된다.
상기 웹전환 버튼(4)을 클릭하면 서비스 프로그램은 메인서버에 구비된 웹 사이트(또는 홈페이지)에 자동 접속된다.
상기 옵션버튼(5)을 클릭하면 서비스 프로그램의 화면은 종목시세, 테마별시세, 손익계산, 환경설정옵션, 티커(ticker)에 대한 선택 메뉴가 나온다. 선택 메뉴중에서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한 메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창이 떠오른다.
상기 선택코너버튼(6)은 메인서버로부터 증권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여부를 알리기 위해 점등된다. 선택코너 버튼(6)을 클릭하면 수신된 증권정보의 종류를 메뉴 형태로 보여준다. 메뉴를 선택하면 도 3e와 같이 선택된 증권정보를 보여준다.
상기 숨김 버튼(7)은 티커바의 실행을 종료시키지 않고 화면에서 제거, 즉 숨길 수 있다.
상기 확대 버튼(8)은 서비스 프로그램의 화면을 도 3d와 같은 관심종목의 시세 티커바(3'')로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마지막으로 종료 버튼(9)은 현재 실행중인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한편, 도면 부호 2로 표기된 부분은 서비스 프로그램 이름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티커바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프로그램 이름을 드래그(drag)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e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된 일 실시예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다. 도 3c에 대비하여 동일한 부분(1, 4, 5, 7, 8, 9)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종목코너 표시창(10a)은 사용자의 마우스 포인터가 선택메뉴 표시창(3)의 15개의 버튼에 위치할 때 그 버튼에 대한 기능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선택메뉴 표시창(10b)은 사용자가 환경설정 옵션(도 3h)에서 설정한 15개의 단축아이콘을 버튼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버튼이 클릭될 경우 해당 버튼의 기능을 제공한다. 관심종목 시세 표시창(11a)은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종목의 현재가와 등락을 디스플레이한다. 업종별 지수표시창(7)은 종합주가지수, 코스닥 지수, KOSPI200 지수, 선물 지수 및 각 지수의 등락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증권정보 표시창(8')은 수신된 증권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f 내지 도 3h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옵션 버튼(5)을 클릭하고 옵션 메뉴를 선택했을 때 디스플레되는 화면이다.
도 3f는 기본 옵션(①)의 탭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증권정보의 종류와 메니저 및 기간 등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g는 증권사 선택(②)의 탭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으로서, 거래 증권사, 사운드 기능, 거래방법과 수수료를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입력(추가) 또는 변경(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h는 기타 옵션(③)의 탭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으로서, 도 3e의 선택메뉴 표시창(10b)의 단축버튼의 선택사항을 사용자가 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도 3i는 종목 시세창으로서 옵션 버튼(5)의 종목시세 메뉴를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i를 참조하면, 종목 시세창(13)의 화면에서는 거래소와 코스닥 종목들의 실시간 시세(현재가, 전일비, 등락율, 총거래량 등)를 나타낸다. 종목 등록은 사용자가 5개의 분류로 종목들을 구분해서 각 분류별로 10개의 종목들을 관심 종목으로 등록할 수 있다. 각 분류의 종목 선택은 13c의 관심종목 선택을 클릭하면, 5개의 관심종목 분류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어느 한 분류를 선택하면 도면 부호 13f와 같이 선택된 관심종목 분류에 해당하는 종목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관심종목의 시세의 변화(상승/하락)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게 서로 대조적인 바탕색/폰트색이 사용한다. 예를 들면, 상한가 종목의 경우에는 현재가 배경이 빨간색이고, 하한가 종목의 경우에는 현재가 배경이 파란색이다. 상승 종목의 경우에는 현재가 폰트가 빨간색이고 하락 종목인 경우에는 현재가 폰트가 파란색이다. 더구나, 종목명또한 값의 상승/하락에 따라 배경이 빨강색과 파란색으로 변하고 거래량은 값이 변했을 때 단일색으로 깜빡인다.
나머지 도면부호 13a는 종목명과 종목코드의 입력란이다. 도면 13b는 관심 종목 선택란이다. 각각의 입력란에 종목명 또는 종목 코드를 입력하면 도면부호 13e에 표기된 가변 시세란에서 입력한 종목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심종목의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원하는 종목 시세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심종목 등록 버튼(13d)을 클릭하면 도 3k에 도시된 관심종목 등록창(도 3g)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j는 관심 종목의 정보창으로서 도 3i의 종목 시세창에서 관심 종목을 클릭하면 상세한 종목시세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j를 참조하면, 관심 종목 정보창(13c)의 화면에서는 시간에 따라 계속 변화되는 거래소와 코스닥의 관심 종목에 대한 상세한 시세(분배시간, 현재가, 체결량, 누적량 등)를 나타낸다.
도 3k는 관심종목 등록창으로서 도 3i의 종목 시세창에서 관심종목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k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관심종목 등록창(13g)을 통해서 원하는 종목을 추가, 입력, 삭제할 수 있다.
도 3l은 테마 시세창으로서 도 3c의 옵션 버튼(5)의 테마별 시세 메뉴를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l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측의 운영자가 주제별로 테마 종목을 선정하여 이의 시세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는 테마 시세창(14)의 화면을 통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업종, 주제별 테마 종목들의 시세(현재가, 전일비, 등락율, 총거래량 등)를 볼 수 있다. 도면부호 14a로 표기된 테마 선택란을 클릭하면 분류된 테마의 종류가 디스플레이된다. 도면 부호 14c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의 시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4b는 테마 코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m은 상세한 테마 시세창으로서 도 3l의 종목 시세부분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m을 참조하면, 상세한 테마 시세창(14c)의 화면에서는 시간에 따라 계속 변화되는 거래소와 코스닥의 테마 종목의 상세한 시세(분배시간, 현재가, 체결량, 누적량 등)를 나타낸다.
도 3n은 손익 계산창으로서 도 3c의 옵션 버튼(5)의 손익계산 메뉴를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n을 참조하면, 손익 계산창(15)의 화면에서는 일반적인 HTS(Home Trading System)의 3일 결제에 따른 자산의 오차 발생을 없애고 사용자가 현재 시점의 투자 자산을 바로 알 수 있도록 메인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된 투자 자산의 시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면 부호 15a는 손익 계산을 알고자 하는 종목의 신규 등록 버튼이다.
도 3o는 도 3n의 신규 등록 버튼(15a)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손익 계산 종목의 신규 등록창(15'')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신규 등록창(15'')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투자 종목의 종목명, 코드, 매입단가, 목표상한가, 수량, 목표하한가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도 3p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창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도 3c 및 도 3d의 도면부호 1로 표기된 부분을 클릭한 후에 상세정보 메뉴를 선택하면 실행되는 화면이다. 이 상세 정보창(16)에는 메인서버를 통해 전송된 증권정보의 내용이 자세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3q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정보 확인창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도 3c 및 도 3d의 도면부호 1로 표기된 부분을 클릭한 후에 정보검색 메뉴를 선택하면 실행되는 화면이다. 이 정보 확인창(17)에는 메인서버를 통해 전송된 증권정보 중에서 사용자 검색에 따른 증권정보가 자세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내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현물에 속하는 종목에 관한 실시간 증권시세가 전송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물 시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프로토콜 규약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증권전산원(200)에서는 실시간 증권시세를 제 1중계서버(120)내 현물서버(122)로 전송한다. 현물서버(122)는 수신된 실시간 증권시세를 장내 마스터로서 헤더(header,20) 및 푸터(footer,25), 장내종목마스터(21), KOSPI업종마스터(22), KOSPI200 업종마스터(23), 장내종목시세(27), 장내종목기준가(28), KOSPI업종지수(29), KOSPI200업종지수(30), KOSPI업종등락(31)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현물시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만약 현물서버(122)의 데이터가 푸터(25)로 분류된 경우에는 'fa' 신호를, 마스터 데이터 에러인 경우에는 'Ea' 신호를, 장내종목의 현물시세인 경우에는 'SA일련번호/현재가/총거래량/전송시간/시가/고가/저가/매도호가/매수호가/총매도호가잔량/총매수호가잔량/end/' 신호를, 장내종목의 현물 기준가인 경우에는 'SC일련번호/기준가/상한/하한/end/' 신호를, KOSPI업종지수인 경우에는 'JA지수/end/'신호를, KOSPI200 업종지수인 경우에는 'JB지수/end/'신호를, KOSPI업종등락인 경우에는 'WA상승/상한/하락/하한/end/' 신호를 발생하고 해당 신호를 각각 메인서버(150)로 전송한다.
만약 현물서버(122)에서 증권시세의 데이터 전송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도면 부호 32와 같이 데이터 재전송 요구 작업을 실행하여 'id0xff0x0d0x0a' 신호를 증권전산원(200)으로 전송한 후에 증권시세를 다시 수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인서버(150)는 현물서버(12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데, 'fa'신호인 경우 데이터베이스서버(130)로 데이터를 요구하고 현물 시세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메인서버(150)에 저장된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52)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현물 시세 데이터를 재구성(51)하여 전송한다.
만약, 메인서버(150)는 수신된 신호가 'SA일련번호/현재가/총거래량/전송시간/시가/고가/저가/매도호가/매수호가/총매도호가잔량/총매수호가잔량/end/' 신호인 경우 장내종목의 현물시세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탐색하여 전송한다. 'SC일련번호/기준가/상한/하한/end/', 'JA지수/end/', 'JB지/end/' 또는 'WA상승/상한/하락/하한/end/' 신호인 경우 상기 메인서버(150)는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해당 장내종목 기준가, KOSPI업종지수, KOSPI200 업종지수 또는 KOSPI 업종 등락의 데이터를 전송(54)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기(160)는 현물서버(122)와 메인서버(150)의 데이터 수신상황과 네트워크 접속현황 모니터링 또는 관리와 데이터 재전송 요구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메인서버(150)에서는 56과 같이 클라이언트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160)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 저장한 후에 이를 관리하도록 한다. 이뿐만 아니라, 관리자 단말기(160)는 제 2중계서버와 메인서버의 데이터 수신상황과 데이터 재전송 요구 등도 함께 수행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코스닥에 속하는 종목에 관한 실시간 증권시세가 전송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스닥 시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프로토콜 규약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증권전산원(200)에서는 실시간 증권시세를 제 1중계서버내 코스닥서버(124)로 전송한다. 코스닥서버(124)는 수신된 실시간 증권시세를 장내 마스터로서 헤더(header,33) 및 푸터(footer,36), 코스닥종목마스터(34), 코스닥업종 전일지수(38), 코스닥종목시세(39), 코스닥 업종지수(40), 코스닥업종등락(41)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코스닥 시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만약 코스닥서버(124)의 데이터가 푸터(36)로 분류된 경우에는 'fa' 신호를, 마스터 데이터 에러인 경우에는 'Ea' 신호를, 코스닥 업종전일지수인 경우에는 'MD전일종가/end/'신호를, 코스닥 종목시세인 경우에는 'SB일련번호/현재가/총거래량/전송시간/시가/고가/저가/매도호가/매수호가/총매도호가잔량/총매수호가잔량/end/' 신호를, 코스닥 업종지수인 경우에는 'JD지수/end/' 신호를, 코스닥 업종등락인경우에는 'WB상승/상한/하락/하한/end/'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각각 메인서버(150)로 전송한다. 만약 코스닥서버(124)에서 코스닥 시세의 데이터 전송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도면 부호 42와 같이 데이터 재전송 요구 작업을 실행하여 'id0xff0x0d0x0a' 신호를 증권전산원(200)으로 전송한 후에 코스닥 시세를 다시 수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인서버(150)는 코스닥서버(12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데, 'fa'신호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서버(130)로부터 데이터를 요구하고 코스닥 시세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메인서버(150)에 저장된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52)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코스닥시세 데이터를 재구성(51)하여 전송한다. 이때, 코스닥서버(124)의 'MD전일종가/end/'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서버(150)는 메모리에 코스닥 업종전일지수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만약 메인서버(150)는 수신된 신호가 'SB일련번호/현재가/총거래량/전송시간/시가/고가/저가/매도호가/매수호가/총매도호가잔량/총매수호가잔량/end/'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코스닥 시세 데이터를 요청한 클라이언트200)를 탐색하여 전송(57)하고, 'JD지수/end/' 및 'WB상승/상한/하락/하한/end/' 신호인 경우에는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코스닥 시세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기(16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도면부호 56과 같이 메인서버(150)는 해당 클라이언트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160)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 저장한 후에 이를 관리하도록 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선물에 속하는 종목에 관한 실시간 증권시세가 전송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물 시세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프로토콜 규약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증권전산원(200)에서는 실시간 선물시세를 제 1중계서버내 코스닥서버(126)로 전송한다. 이에 선물서버(126)는 수신된 실시간 선물 시세를 선물 마스터(60), 선물 시세(62)로 분류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만약 선물서버(126)의 데이터가 선물 마스터(60)로 분류된 경우에는 'MC전일종가/end/'신호를, 선물 시세인 경우에는 'JC지수/end/'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각각 메인서버(150)로 전송한다. 만약 선물서버(126)에서 마스터 수신 에러(64)가 발생하면 'Ea' 신호를 발생하여 메인서버(150)로부터 에러를 복구한다.
그리고, 선물 시세의 데이터 전송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도면 부호 66와 같이 데이터 재전송 요구 작업을 실행하여 선물서버(126)는 'id0xff0x0d0x0a' 신호를 증권전산원(200)으로 보낸 후 다시 선물 시세를 다시 수신한다.
이에, 본 발명의 메인서버(150)는 선물서버(126)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한다. 즉, 'MC전일종가/end/'신호인 경우 메인서버(150)는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선물 마스터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JC지수/end/'신호인 경우에는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선물 시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160)는 코스닥서버(124)/ 선물서버(126)와 메인서버(150)의 데이터 수신상황과 네트워크 접속현황 모니터링 또는 관리와 데이터 재전송 요구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의 제 1 및 제 2중계서버와 메인서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시세를 전송하는 중계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 1중계서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중계서버(120)는 실시간으로 증권시세를 전송/관리하기 위하여 서버를 작동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데몬(daemon) 프로그램으로 변경한다. 이때, 데몬 프로그램은 서버의 작동 프로그램을 여러가지 종료 원인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실행 상태로 유지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프로그램이다. (S30∼S32)
그 다음, 제 1중계서버(120)는 1개의 쓰레드(thread)를 발생하고 데이터 전송이 정상인지를 체크한다. 이에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가 있을 경우 재전송 체크 루틴을 수행한다. (S34∼S36)
그리고, 제 1중계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60), 메인서버(150) 또는 증권전산원(200)의 접속 요청이 있는지 대기하고, 해당 IP 주소를 검사한다. (S40∼S42)
그러면, 체크된 IP 주소가 관리자 단말기(160), 메인서버(150), 증권전산원(200)의 IP 주소인지에 따라 쓰레드를 발생한 후에 해당 루틴을 수행한다. 만약 IP 주소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접속을 거부하고 쓰레드를 종료한다. (S44, S54, S58, S70∼S72)
즉, 관리자 IP 주소의 경우 제 1중계서버(120)는 관리자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린다.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명령을 분석해서 서버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인 경우에는 제 1중계서버(120)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90)에 전송하고, 재전송 요구 명령인 경우에는 재전송 프래그를 체크하여 재전송 요구 체크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가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명령을 기다린다. (S44∼S52)
그리고, 메인서버의 IP 주소인 경우 제 1중계서버(120)는 증권시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고, 이에 시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메인서버(150)의 접속을 계속 유지하면서 실시간 증권시세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S56)
또한, 증권전산원의 IP주소인 경우에 제 1중계서버는 데이터 수신 루틴을 수행한다. 이에 데이터 수신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증권전산원(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서버(130)에 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타를 메인서버(150)에 전송한다.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에러가 있을 경우 재전송 프래그를 체크하여 재전송 요구 쓰레드가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S60∼S68)
한편, 상기 재전송 요구를 체크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기 재전송 요구를 체크하는 쓰레드는 먼저 재전송 프래그를 체크하여 재전송 프래그가 '양호'하면 쓰레드를 발생하여 발생된 쓰레드로 하여금 재전송 루틴을 수행하게 한다. 이에, 재전송 요구에 관한 쓰레드는 소정 시간, 예컨대 5초간 수행되지 않다가 다시 재전송 프래그를 체크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재전송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재전송요구 패킷을 증권전산원(200)으로 전송하고 재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의 분석, 분류 과정을 거치고 데이터베이스서버(130)로 저장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메인서버(150)로 전송하고 종료한다. (S74∼S9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정보를 전송하는 중계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제 2중계서버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 2중계서버(140)는 실시간으로 증권정보를 전송/관리하기 위하여 서버를 작동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데몬(daemon) 프로그램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 2중계서버(140)는 정보입력 단말기(110) 또는 메인서버(150)의 접속요청을 기다리고 상기 정보입력 단말기(110) 또는 메인서버(150)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증권정보 서비스 쓰레드를 발생하고 해당 IP 주소를 검사한다. (S98∼S102)
그러면, 체크된 IP 주소가 정보입력 단말기(110) 및 메인서버(150)의 IP 주소일 경우 증권정보 서비스 루틴을 수행한다. 만약 IP 주소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접속을 거부하고 쓰레드를 종료한다. (S114∼S116)
제 2중계서버(140)는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에 의해 정보입력 단말기(110)로부터 증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분류, 재구성하여 메인서버(150)로 전송한다. (S108∼S11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증권시세 및 증권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메인서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메인서버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서버(150)는 실시간으로 증권정보를 전송/관리하기 위하여 서버를 작동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데몬(daemon) 프로그램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메인서버(15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초기화한다. 그 다음, 4개의 쓰레드를 발생하여 각각의 쓰레드로 하여금 현물서버 접속루틴, 코스닥 접속루틴, 선물서버 접속루틴, 증권정보서버 접속루틴을 수행하게 한다. (S118∼S124)
이에, 메인서버(150)의 현물서버 접속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현물서버(122)로 접속을 요청하고 접속이 이루어지면 현물서버(122)로부터 실시간 시세 데이터를 수신한다. 증권시세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를 확인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수신된 데이터로 갱신한 후에 데이터를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나머지 코스닥서버 접속루틴과 선물서버 접속루틴을 수행하는 나머지 쓰레드도 상술한 현물서버의 접속루틴에 해당하는 쓰레드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 수행된다. (S126∼S136)
그리고, 증권정보서버, 즉 제 2중계서버의 접속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제 2중계서버(140)로 접속을 요청하고 접속이 이루어지면 제 2중계서버(140)로부터 실시간 증권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증권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를 확인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수신된 데이터로 갱신한 후에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증권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S140∼S146)
또한 메인서버(150)의 메인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부터 접속요청을 기다리고 접속요청이 있으면 증권시세 및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한 쓰레드를 발생하여 서비스 루틴을 수행한다. 이에, 메인서버(150)에서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는 사용자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서 수신된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 및 처리하여 해당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만약 메인서버(150)가 관리자 단말기(160)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관리자 명령을 수신받고 수신된 명령을 분석 및 처리하여 그 결과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메인서버(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접속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증권시세를 중계하는 제 1중계서버(현물서버, 코스닥서버, 선물서버)의 접속 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증권시세를 전송하고, 증권정보를 중계하는 제 2중계서버의 접속루틴을 수행하는 쓰레드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증권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즉시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증권 종목에 대한 시세를 다양한 형태로 보여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증권정보를 생중계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증권 서비스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서도 상기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되어 각종 증권정보와 증권시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다른 프로그램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계속적으로 증권정보와 시세를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1)

  1.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입력 단말기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된 증권시세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 1중계서버;
    상기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가공/관리하는 제 2중계서버;
    상기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들과 상기 제 2중계서버의 증권정보 데이터들을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 접속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키를 부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상기 제 1중계서버와 제 2중계서버 및 메인서버의 정보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메인서버에 자동 접속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전송받아서 실시간 표시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랜덤(random)하게 발생되는 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중계서버는 증권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현물서버, 코스탁서버, 선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중계서버는 중권전산원에서 매일 새롭게 갱신되는 마스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 전송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증권전산원으로부터 다시 증권시세 데이터를 재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옵션에 따라 상기 제 1중계서버의 증권시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동일한 증권시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중계서버, 제 2중계서버 및 메인서버는 실시간으로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전송/관리하기 위하여 서버를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즉시 데몬 프로그램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로그-인 창과, 증권정보의 수신 유/무를 알리는 표시등과,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표시하는 티거바 및 다수의 기능 선택버튼과 표시창을 갖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티거바는 상기 선택버튼에 따라 상기 표시창을 크게 확대 또는 작게 축소하여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
  10.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 접속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ID와 패스워드를 등록저장된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등록된 것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에 에러메시지를 발생하고 다시 인증절차를 반복하는 제2단계;
    상기 인증절차의 수행결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해 랜덤(random)하게 발생한 인증키값을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자동 접속시키는 제3단계;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의 초기 상태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업데이팅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권시세 데이터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방법.
  11. 인터넷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서비스하기 위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가 설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실시간의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를 제공하는 중계서버에 자동 접속하고, 상기 중계서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데이팅한 후에 증권전산원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증권시세 데이터와 정보입력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증권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00038532A 2000-07-06 2000-07-06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00058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32A KR20000058950A (ko) 2000-07-06 2000-07-06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32A KR20000058950A (ko) 2000-07-06 2000-07-06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950A true KR20000058950A (ko) 2000-10-05

Family

ID=1967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532A KR20000058950A (ko) 2000-07-06 2000-07-06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89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0111A1 (en) * 2002-04-19 2003-10-30 Road To Future Co., Ltd. Method of renewing display of web browser in real ti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same
KR20040026897A (ko) * 2002-09-26 2004-04-01 (주)로코모 이동통신 단말에의 실시간 증권정보 제공 장치 및 실시간증권정보 생성/전송 방법
WO2014163658A1 (en) * 2013-04-04 2014-10-09 Td Ameritrade Ip Company, Inc. Ticker tiles
US10509612B2 (en) 2017-08-10 2019-12-17 Td Ameritrade Ip Company, Inc.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859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Ltd 株価データ送信システム
KR19990083865A (ko) * 1999-08-21 1999-12-06 정회선 인터넷을 통한 증권정보 및 뉴스 서비스 시스템
KR20010048792A (ko) * 1999-11-29 2001-06-15 이강민 사이버 증권시스템에서 희망주가 알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86726A (ko) * 2000-03-02 2001-09-15 김창용 주식 가격 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KR20010092924A (ko) * 2000-03-27 2001-10-27 강선근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증권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097692A (ko) * 2000-04-25 2001-11-08 이준희 증권 정보의 전송 및 증권 정보 프로그램의 운용 방법
KR20010099531A (ko) * 2000-04-27 2001-11-09 차형훈 증권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859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Ltd 株価データ送信システム
KR19990083865A (ko) * 1999-08-21 1999-12-06 정회선 인터넷을 통한 증권정보 및 뉴스 서비스 시스템
KR20010048792A (ko) * 1999-11-29 2001-06-15 이강민 사이버 증권시스템에서 희망주가 알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86726A (ko) * 2000-03-02 2001-09-15 김창용 주식 가격 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KR20010092924A (ko) * 2000-03-27 2001-10-27 강선근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증권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097692A (ko) * 2000-04-25 2001-11-08 이준희 증권 정보의 전송 및 증권 정보 프로그램의 운용 방법
KR20010099531A (ko) * 2000-04-27 2001-11-09 차형훈 증권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0111A1 (en) * 2002-04-19 2003-10-30 Road To Future Co., Ltd. Method of renewing display of web browser in real ti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same
KR20040026897A (ko) * 2002-09-26 2004-04-01 (주)로코모 이동통신 단말에의 실시간 증권정보 제공 장치 및 실시간증권정보 생성/전송 방법
WO2014163658A1 (en) * 2013-04-04 2014-10-09 Td Ameritrade Ip Company, Inc. Ticker tiles
US20140304133A1 (en) * 2013-04-04 2014-10-09 Td Ameritrade Ip Company, Ip Ticker tiles
US10509612B2 (en) 2017-08-10 2019-12-17 Td Ameritrade Ip Company, Inc.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567B1 (en) Authenticated access to internet based research and data services
US7552136B2 (en) Context management super tools and filter/sort model for aggregated display webpages
KR100815928B1 (ko) 컴퓨터간 통신에 의해 원격의 유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US20180152804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JP3034836B2 (ja) 取引仲介システム及び取引仲介管理方法
JP5778383B2 (ja) 財務情報システム、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
US20020019812A1 (en) System and service for receiving, customizing, and re-broadcasting high-speed financial data to users operating wireless network-capable devices
US6931416B2 (en) Ephemeral list for object-action navigation
US20030041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ulti-interface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200301101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applications availability i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US20020122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JP200552197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て、承認の要求を呈示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メモリ、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0155725A (ja) 取引仲介システム、取引仲介管理方法、端末装置および情報送受信システム
JP2003091633A (ja) 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情報収集・管理装置、そのシステムの端末装置、収集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収集情報を閲覧させる方法、これらの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CA2375311C (en) 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KR20000058950A (ko) 실시간 증권정보 및 증권시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040049444A1 (en) Trade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US200500276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1297165A (ja) 電子サービスサイトの運営システム
KR20000030264A (ko) 실시간 증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00036968A (ko) 통신망을 이용한 금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6862A (ja) 決済実行サイト、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0444188B1 (ko) 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통합 금융정보 서비스 및다중매매체결 시스템
KR20020038974A (ko) 실시간 주가정보 제공기능을 구비한 인스턴트 메신저,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 및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을이용한 실시간 주가정보 제공방법
KR20000058572A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