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433A -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433A
KR20000056433A KR1019990005759A KR19990005759A KR20000056433A KR 20000056433 A KR20000056433 A KR 20000056433A KR 1019990005759 A KR1019990005759 A KR 1019990005759A KR 19990005759 A KR19990005759 A KR 19990005759A KR 20000056433 A KR20000056433 A KR 2000005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gel
massage
skin
bamboo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725B1 (ko
Inventor
김수남
Original Assignee
김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남 filed Critical 김수남
Priority to KR101999000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7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 또는 사우나 실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현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시켜 땀과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류 및 각종 형태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조성은,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반죽하여 죽 상태로 형성한 베이스 20∼50% 정도의 비중에,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 20∼40% 정도의 비중과; 글리세린 15∼20% 정도의 비중과, 올리브유 2∼4% 정도의 비중과; 히아론산 1∼3% 정도의 비중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 2∼4% 정도의 비중과; 프로폴리스 1∼3% 정도의 비중과; 겔 상태의 비타민A 0.8∼1.2% 정도의 비중과; 알로에 즙을 분말로 형성한 것 0.5∼1.5% 정도의 비중과; 파우더 상태의 유황 0.5∼1.5% 정도의 비중; 및 선택적으로 과일향 또는 한방재의 향기를 갖는 향료 0.8∼1.5%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 혼합되어 젤(gel) 상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에 상술한 조성물을 바르는 과정에서, 죽염 입자가 함유된 죽 상태의 곡류와 글리세린을 포함한 유성 성분에 의해 피부의 표면에서 유연하게 유동하며 피부를 지압하여 피부의 피로를 해소시키는 마사지 효과를 얻게 되고, 동시에 피부의 모공 속에 잔류하는 피지와 각질을 포함한 노폐물이 제거되며, 또 그에 따른 탈취 효과가 있다.
또한, 죽염에 의한 소염 작용이 있고, 사용되는 죽염은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자연적으로 용해될 뿐 아니라 샤워를 함에 있어서 쉽게 제거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사용 후 글리세린, 올리브유, 알긴산 등의 첨가제가 수분 및 향료와 함께 잔류하여 피부의 보습 상태와 유연성 및 특정 향기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로 사용되는 죽 상태의 곡류는,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바이오 세라믹과 함께 피부에 잔존하는 각종 형태의 노폐물을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민감성 피부에 대응하여 각 성분의 영향을 중화시키게 된다.
한편, 첨가되는 미량의 유황은 피부의 알러지 방지 기능을, 알로에는 피부의 진정 효과를, 히아론산은 피부의 보습 효과를, 비타민A는 피부의 노화 지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gel-solvent for mass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 또는 사우나 실을 이용함에 있어서, 인체 피부에 바르는 형식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현액순환의 촉진과 땀의 방출을 촉진시켜 땀과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류 및 각종 형태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비누는, 인체 피부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과 피부에 증착 잔존하는 다른 화장품류 및 각종 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세정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미용비누를 제조하는 제조 업체는, 상술한 세정 기능을 포함하여 탄력적이고 보습 상태가 유지되는 피부를 형성하기 위한 미용 및 피부 관리 기능을 겸하도록 하고, 또 이들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세정 기능과 미용 및 피부 관리 기능은, 피부 화장의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미용비누는, 유지와 알칼리 금속을 혼합하여 비누화한 것으로 피부의 세정에 사용되지만 수용액이 알칼리성을 나타내어 자주 사용할 경우 피부의 피지 성분이 과다하게 제거되고, 각질층을 연화시켜 피부의 건조 및 거칠어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유지에 알칼리 금속이 첨가된 미용비누는 피부에 자극을 주었고, 특히 민감한 피부에는 과민 반응을 일으켜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관계로 보다 피부에 자극이 적은 순한 별도의 객체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피부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죽염 입자와 유성 성분 및 영양성분을 포함한 조성물을 형성하여 바르도록 함으로써 죽염 입자가 유성 성분에 의해 피부의 표면에서 수분과 함께 유연하게 유동하며 피부를 지압하도록 하여 피부의 긴장과 피로를 해소시키기 위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고, 동시에 피부의 모공 속에 잔류하는 피지와 각질을 포함한 각종 노폐물을 제거와 그에 따른 탈취 효를 얻도록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상된 피부에 대응하여 소염 작용이 있도록 하고, 사용된 조성물 중 죽염에 의한 염분이 샤워시 물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사용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며, 사용 후 피부의 보습 상태와 유연성 및 특정 향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피부에 잔존하는 각종 형태의 노폐물을 흡착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민감성 피부에 대응하여 각 성분의 영향을 중화시키도록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은,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반죽하여 죽 상태로 형성한 베이스 20∼50% 정도의 비중에,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 20∼40% 정도의 비중과; 글리세린 15∼20% 정도의 비중과, 올리브유 2∼4% 정도의 비중과; 히아론산 1∼3% 정도의 비중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 2∼4% 정도의 비중과; 프로폴리스 1∼3% 정도의 비중과; 겔 상태의 비타민A 0.8∼1.2% 정도의 비중과; 알로에 즙을 분말로 형성한 것 0.5∼1.5% 정도의 비중과; 파우더 상태의 유황 0.5∼1.5% 정도의 비중; 및 선택적으로 과일향 또는 한방재의 향기를 갖는 향료 0.8∼1.5%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 혼합되어 젤(gel) 상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죽염 입자는 150∼200mesh 정도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성비를 이루는 상기 죽염의 비중은, 150∼250mesh의 바이오 세라믹 10∼20% 정도가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곡류를 분쇄하여 당귀, 감초를 포함한 한방 생약을 달이는 과정에서 추출한 증류수에 혼합 반죽하여 죽 상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마사지용 젤용제의 제조방법은, 혼합기 내에 투입되는 전체 투입량 중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죽 상태로 반죽 형성한 베이스를 20∼50% 정도의 비중으로 하고, 15∼20% 정도 비중 글리세린과, 2∼4% 정도 비중의 올리브유 및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을 20∼40% 정도 비중을 이루도록 하여 이들 구성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 반죽하는 단계와; 0.5∼1.5% 정도 비중으로 파우더 상태의 유황과, 상기 혼합기 내에 1∼3% 정도 비중의 히아론산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2∼4% 정도 비중의 알긴산과, 1∼3% 정도 비중의 프로폴리스와, 0.8∼1.2% 정도 비중으로 겔 상태의 비타민A와, 0.5∼1.5% 정도 비중으로 분말 상태의 알로에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기에 열분해 성이 높은 과일향 또는 한방재의 향기를 갖는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를 0.8∼1.5% 정도의 비중으로 더 첨가 혼합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반죽되어 젤 상태를 이루는 조성물을 진공압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조성에 의한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의 조성비와 이 조성비에 대한 마사지용 젤용제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소정 온도의 가열 상태를 유지하는 혼합기 내부에 조성물의 전체 투입량 중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죽 상태로 반죽하여 형성된 베이스가 20∼50%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베이스는, 상술한 곡류를 분쇄하여 당귀, 감초를 포함한 한방 생약을 달이는 과정에서 추출한 달인 물 또는 그 증류수와 혼합 반죽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죽 상태로 상술한 혼합기에 투입된다.
이후, 유성성분인 글리세린과 올리브유를 각각 첨가제의 전체 투입량 중 15∼20% 정도 비중과 2∼4% 정도 비중을 이루도록 하고, 이 유성성분에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을 첨가제 전체 투입량의 20∼40% 정도 비중으로 혼합한 상태로 혼합기 내부의 투입하여 베이스와 함께 혼합되도록 반죽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되는 죽염 입자는, 그 표면이 유성성분에 도포된 상태로 첨가될 뿐 아니라 베이스가 적정의 죽 상태를 이룸에 따라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혼합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의 혼합기 내부에 첨가제 전체량 중 파우더 상태의 유황을 0.5∼1.5% 정도 비중과, 1∼3% 정도 비중의 히아론산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2∼4% 정도 비중의 알긴산과, 1∼3% 정도 비중의 프로폴리스와, 0.8∼1.2% 정도 비중으로 겔 상태의 비타민A와, 0.5∼1.5% 정도 비중으로 분말 상태의 알로에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 반죽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상술한 첨가제가 상호 혼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혼합기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형성하며 계속적으로 반죽하게 되고, 이어 열분해 성이 높은 향료 즉, 특정 과일향 또는 한방생약의 향기를 갖는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와 특정 색상을 갖도록 하는 염료를 혼합기 내부의 전체 투입량 중 0.8∼1.5%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하여 혼합 반죽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투입된 각 첨가제는, 혼합 반죽되어 젤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것을 호퍼 등의 별도 구성에 투입되어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소정량씩 인출됨과 동시에 튜브 등의 포장용기에 진공 포장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죽염 입자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피부에 대응하여 바르는 과정에서 지압 효과를 얻기 위한 120∼400mesh 정도의 크기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것은 죽염 입자가 120mesh 이하의 크기일 경우 죽염의 결정 구조에 의해 그 입자 크기가 정도 이상으로 큰 관계로 사용할 때 피부를 손상시켜 피부의 거칠어짐을 유발하는 관계로 부적합하다.
또한, 죽염 입자의 크기가 400mesh 이상으로 작게 형성될 경우 베이스에 잔존하는 수분에 용해되어 지압의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죽염의 가장 바람직한 입자 크기는, 150∼200mesh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또 이러한 크기의 죽염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를 지압하는 과정에서 피부 모공 속에 잔존하는 피지와 각질을 피부로부터 제거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첨가제의 전체 비중에 대한 죽염의 조성비 즉, 20∼40% 정도 비중 전체량 중 170∼230mesh 정도 크기의 바이오 세라믹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조성비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죽염의 조성비 전체량에 대하여 바이오 세라믹 입자가 10∼20% 정도를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바이오 세라믹은, 상술한 죽염과 함께 사용시 피부를 지압하게 되고, 또 지압에 의해 돌출되는 피지 및 각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조성비에 다른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의 사용 관계를 살펴보면, 함유된 죽염과 바이오 세라믹 입자는 죽 상태의 베이스와 글리세린과 올리브유 등의 유성성분에 의해 유연한 액상으로 혼합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 의해 인체 피부에 대응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유연하게 유동하며 피부를 지압하게 됨으로써 피로 및 긴장을 해소시키게 된다.
또한, 죽염은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소염 기능과 피부를 진정시켜 트러블을 예방하는 작용을 수행할 뿐 아니라 피부를 지압하는 과정에서 모공 속의 피지를 포함하여 피부의 각질 등의 노폐물을 분리시키는 스크래이프 효과와 이들 각종 노폐물을 흡착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되는 죽염은 사용자가 사우나 실을 이용할 경우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자연적으로 용해될 뿐 아니라 샤워에 의해 쉽게 제거며, 상술한 글리세린과 올리브유를 포함한 유성성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죽염과 바이오 세라믹의 유동을 유연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 후 피부의 표면에서 얇은 막질로 잔존하게 됨에 따라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유연하게 하고, 피부 에 수분 및 향료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보습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파우더 상태로 첨가 투입되는 유황은 반죽 과정에서 용해되며, 피부의 항 알러지 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상술한 곡류는 과민성 피부에 대하여 각 첨가제를 포함한 외부의 자극성 성분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한방생약의 달인 물 또는 그 증류수는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프로폴리스는 항염 작용 및 알러지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해조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은 피부의 표면에서 얇은 피막으로 잔존하게 되어 피부의 매끄럽고 유연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피부에 대한 영양 성분으로 첨가되는 비타민A는 피부의 노화 방지 기능을 기대할 수 있고, 히아론산은 피부의 보습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알로에는 피부를 진정시키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에 상술한 조성물을 바르는 과정에서, 죽염 입자가 함유된 죽 상태의 곡류와 글리세린을 포함한 유성 성분에 의해 피부의 표면에서 유연하게 유동하며 피부를 지압하여 피부의 피로를 해소시키는 마사지 효과를 얻게 되고, 동시에 피부의 모공 속에 잔류하는 피지와 각질을 포함한 노폐물이 제거되며, 또 그에 따른 탈취 효과가 있다.
또한, 죽염에 의한 소염 작용이 있고, 사용되는 죽염은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에 의해 자연적으로 용해될 뿐 아니라 샤워를 함에 있어서 쉽게 제거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사용 후 글리세린, 올리브유, 알긴산 알로에 등의 첨가제가 수분 및 향료와 함께 잔류하여 피부의 보습 상태와 유연성 및 특정 향기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로 사용되는 죽 상태의 곡류는,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바이오 세라믹과 함께 피부에 잔존하는 각종 형태의 노폐물을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민감성 피부에 대응하여 각 성분의 영향을 중화시키게 된다.
한편, 첨가되는 미량의 유황은 피부의 알러지 방지 기능을, 알로에는 피부의 진정 효과를, 히아론산은 피부의 보습 효과를, 비타민A는 피부의 노화 지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반죽하여 죽 상태로 형성한 베이스 20∼50% 정도의 비중에,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 20∼40% 정도의 비중과; 글리세린 15∼20% 정도의 비중과, 올리브유 2∼4% 정도의 비중과; 히아론산 1∼3% 정도의 비중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 2∼4% 정도의 비중과; 프로폴리스 1∼3% 정도의 비중과; 겔 상태의 비타민A 0.8∼1.2% 정도의 비중과; 알로에 즙을 분말로 형성한 것 0.5∼1.5% 정도의 비중과; 파우더 상태의 유황 0.5∼1.5% 정도의 비중; 및 선택적으로 과일향 또는 한방재의 향기를 갖는 향료 0.8∼1.5%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 혼합되어 젤(gel) 상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죽염 입자 크기가 150∼200mesh 정도 크기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죽염의 조성비는, 상기 죽염의 조성비 전체량 중 150∼250mesh의 바이오 세라믹 10∼20% 정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곡류를 분쇄하여 당귀, 감초를 포함한 한방 생약을 달이는 과정에서 추출한 증류수에 혼합 반죽하여 죽 상태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5. 혼합기 내에 투입되는 전체 투입량 중 쌀, 밀가루, 녹두, 옥수수, 감자 또는 고구마에서 추출한 전분을 포함한 곡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죽 상태로 반죽 형성한 베이스를 20∼50% 정도의 비중으로 하고, 15∼20% 정도 비중 글리세린과, 2∼4% 정도 비중의 올리브유 및 120∼400mesh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죽염을 20∼40% 정도 비중을 이루도록 하여 이들 구성을 혼합산 상태로 투입하여 혼합 반죽하는 단계;
    0.5∼1.5% 정도 비중으로 파우더 상태의 유황과, 상기 혼합기 내에 1∼3% 정도 비중의 히아론산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2∼4% 정도 비중의 알긴산과, 1∼3% 정도 비중의 프로폴리스와, 0.8∼1.2% 정도 비중으로 겔 상태의 비타민A와, 0.5∼1.5% 정도 비중으로 분말 상태의 알로에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 반죽하는 단계;
    상기 혼합기에 열분해 성이 높은 과일향 또는 한방재의 향기를 갖는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를 0.8∼1.5% 정도의 비중으로 첨가 혼합 반죽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반죽되어 젤 상태를 이루는 조성물을 진공압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진공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990005759A 1999-02-22 1999-02-22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59A KR100360725B1 (ko) 1999-02-22 1999-02-22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59A KR100360725B1 (ko) 1999-02-22 1999-02-22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433A true KR20000056433A (ko) 2000-09-15
KR100360725B1 KR100360725B1 (ko) 2002-11-18

Family

ID=1957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59A KR100360725B1 (ko) 1999-02-22 1999-02-22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7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24A (ko) * 2000-12-13 2001-04-06 송영응 감기증(感氣症), 목감기, 열감기, 두통, 기침, 가래,기관지염(기관지천식), 코감기, 콧물, 코막힘,비염(축농증)을 치료하는 약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96821A (ko) * 2000-04-14 2001-11-08 이갑선 키토산, 솔잎, 쌀, 당귀, 추출물을 대표하는 맛사지용 팩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368126B1 (ko) * 2000-10-06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030010940A (ko) * 2001-07-27 2003-02-06 김영자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7184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씨엔코스메틱코리아 목욕용 겔화 조성물
KR100732499B1 (ko) 2005-05-31 2007-06-27 이선옥 해초성분이 포함된 사우나용 소금 크림
KR101035009B1 (ko) * 2009-05-19 2011-05-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KR20190026478A (ko) * 2017-09-05 2019-03-13 (주)프랜드 전분 항균스크럽비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26B1 (ko) * 2020-08-27 2021-07-01 백은주 수용성 물질로만 이루어진 마사지 컨디셔닝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44B1 (ko) * 1990-04-20 1992-07-11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친유형 유액을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960002195B1 (ko) * 1993-09-20 1996-02-13 주식회사엘지화학 화장비누 조성물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21A (ko) * 2000-04-14 2001-11-08 이갑선 키토산, 솔잎, 쌀, 당귀, 추출물을 대표하는 맛사지용 팩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368126B1 (ko) * 2000-10-06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010025324A (ko) * 2000-12-13 2001-04-06 송영응 감기증(感氣症), 목감기, 열감기, 두통, 기침, 가래,기관지염(기관지천식), 코감기, 콧물, 코막힘,비염(축농증)을 치료하는 약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0940A (ko) * 2001-07-27 2003-02-06 김영자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7184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씨엔코스메틱코리아 목욕용 겔화 조성물
KR100732499B1 (ko) 2005-05-31 2007-06-27 이선옥 해초성분이 포함된 사우나용 소금 크림
KR101035009B1 (ko) * 2009-05-19 2011-05-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KR20190026478A (ko) * 2017-09-05 2019-03-13 (주)프랜드 전분 항균스크럽비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725B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403B2 (ja) 組成物
KR100321105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6433A (ko)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93691A1 (en) Composition for oral or corporeal hygiene or for health comprising seeds or ground material or protein extracts based on seeds of a plant of the genus moringa
KR20200110088A (ko) 캡슐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1131054A (ja) スクラブ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01247A (ko) 녹차를 이용한 입욕제 및 방향제 제조방법
KR20030010940A (ko)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420537A (zh) 一种玫瑰花渣去角质按摩沐浴膏及其制备方法
KR100222129B1 (ko) 현미를 함유하는 미용비누
CN106580748A (zh) 一种护肤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20160120470A (ko) 고체 타입의 클렌저
KR20040080007A (ko) 핵산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KR20040072158A (ko) 겔 상태의 슬리밍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8862A (ja) Dhea産生促進剤、美容方法およびdhea産生促進剤の使用方法
KR101852857B1 (ko) 조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JP2004155684A (ja) 化粧料
JP6090884B1 (ja) 洗浄剤
KR101123518B1 (ko) 세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981602B2 (ja) フコイダンを配合した脱臭洗浄剤。
JP2004238345A (ja) 美容パック
KR20180015863A (ko)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S6137712A (ja) 化粧料
Dwiyanti et al. Cypirus Rotundus L: Formulation and Evaluation Antiseptic So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