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361A -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 Google Patents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361A
KR20000056361A KR1019990005610A KR19990005610A KR20000056361A KR 20000056361 A KR20000056361 A KR 20000056361A KR 1019990005610 A KR1019990005610 A KR 1019990005610A KR 19990005610 A KR19990005610 A KR 19990005610A KR 20000056361 A KR20000056361 A KR 2000005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layer
layer
security system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헌
Original Assignee
이재철
대원광통신 주식회사
오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대원광통신 주식회사, 오승헌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1999000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6361A/ko
Publication of KR2000005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8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5 or more layers

Abstract

개시된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는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제조 비용 및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광학적으로 도통되고 광이 진행하는 제1 광섬유층은 이산화 규소막으로 약 125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광섬유층의 외부에는 상기 제1 광섬유층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아크릴레이트를 코팅하여 자외선으로 경화시킨 약 62.5μm의 두께를 갖는 제2 광섬유층이 상기 제1 광섬유층을 피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광섬유의 사용내구연한이 증대되고,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제조 비용 및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AN OPTICAL FIBER FOR A SECURITY SYSTEM USING AN OPTICAL FIBER NET}
본 발명은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에서 광섬유망으로서 사용되는 광섬유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광섬유의 제조 비용 및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10)는 실리카 즉, 이산화 규소막(SiO2)을 MCVD(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증착하여 코아층(14)으로 형성한 후, 상기 코아층(14)의 내에 상기 코아층(14)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클래드층(12)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클래드층(12)의 외부로는 아크릴레이트로 상기 클래드층(12)을 감싸도록 코팅하고, 코팅된 아크릴레이트에 자외선(Ultraviolet)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므로써 코팅층(16)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클래드층(12)은 125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코팅층(16)은 약 62.5μm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외에도 상기 코팅층(16)의 외부로는 PVC(Polyvinyl chloride)층, 아라미드 얀(Aramid Yarn)층 그리고 폴리우레탄층이 순차적으로 피복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광섬유에 따르면 실제로 광이 진행하는 코아층(14)이 지나치게 가늘게 형성되므로써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따를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에 따른 제품 단가가 매우 높았다. 또한, 광섬유(10)의 단선시 다시 접속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섬유(10)의 사용내구연한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섬유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광섬유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및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섬유
110 : 코아층
120 : 코팅층
130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층
140 : 바인드사층
150 : 폴리우레탄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는, 광학적으로 도통되고, 광이 진행하는 제1 광섬유층과, 그리고 상기 제1 광섬유층 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고, 상기 제1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2 광섬유층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는 광학적으로 도통되고, 광이 진행하는 제1 광섬유층과, 상기 제1 광섬유층 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고, 상기 제1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2 광섬유층과,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3 광섬유층과, 광섬유망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4 광섬유층과,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5 광섬유층을 포함한다.
이때, 광의 파장이 635nm일 때, 제1 및 제2 광섬유층은 각각 약 1.457 및 1.421의 굴절율을 갖고, 제1 및 제2 광섬유층은 각각 이산화 규소막 및 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광섬유층은 각각 125μm 및 62.5μm의 두께를 갖고, 제3, 제4 그리고 제5 광섬유층은 각각 PVC, 바인드사 그리고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에 따르면, 실제로 광이 진행하는 광섬유층이 매우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광섬유의 단선시 용이하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사용내구연한이 증대된다. 또한, 코아층을 직접 제조하지 않고 기 제조된 제품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 및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100)는 실리카 즉, 이산화 규소막(SiO2)으로 형성된 코아층(110)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코아층(110)은 이미 국제 규격으로 규정된 125μm의 두께(d)를 갖기 때문에 별도로 코아층(11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다음, 광섬유 인출 공정시에 상기 코아층(110)에 코터(coater)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를 코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팅층(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120)은 약 62.5μm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도 4에 참조부호 "e"로 도시된 지름은 총 250μm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코팅층(120)은 상기 코아층(1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기 때문에 클래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코아층(110)을 진행하는 광의 파장이 635nm이면, 상기 코아층(110)의 굴절율은 약 1.457이고 상기 코팅층(120)의 굴절율은 약 1.421이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팅층(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PVC층(130)이 피복되는데, 상기 PVC층(130)은 외부로부터 상기 코팅층(120) 및 코아층(110)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PVC층(130)의 외부에는 아라미드 얀, 즉 바인드사층(140)이 에워싼다.
이때, 상기 바인드사층(140)은 상기 광섬유(100)가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 강도를 높여준다.
다음, 상기 바인드사층(140)의 외부에는 폴리우레탄층(150)이 피복되는데, 상기 폴리우레탄층(150)은 외부로부터 상기 광섬유(10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을 완화시켜주는 역할 및 난연(Flame Retardant)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에 따르면, 실제로 광이 진행하는 광섬유층이 매우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광섬유의 단선시 용이하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사용내구연한이 증대된다.
또한, 코아층을 직접 제조하지 않고 기 제조된 제품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 및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광학적으로 도통되고, 광이 진행하는 제1 광섬유층; 및
    상기 제1 광섬유층 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고, 상기 제1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2 광섬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섬유층은 125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광섬유층은 62.5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층은 각각 이산화 규소막 및 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4. 광학적으로 도통되고, 광이 진행하는 제1 광섬유층;
    상기 제1 광섬유층 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고, 상기 제1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는 제2 광섬유층;
    상기 제2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제3 광섬유층;
    상기 제3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어서 광섬유망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4 광섬유층; 및
    상기 제4 광섬유층상에 피복하여 형성되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5 광섬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섬유층은 125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광섬유층은 62.5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층은 각각 이산화 규소막 및 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그리고 제5 광섬유층은 각각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바인드사 그리고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KR1019990005610A 1999-02-19 1999-02-19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KR20000056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610A KR20000056361A (ko) 1999-02-19 1999-02-19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610A KR20000056361A (ko) 1999-02-19 1999-02-19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361A true KR20000056361A (ko) 2000-09-15

Family

ID=1957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610A KR20000056361A (ko) 1999-02-19 1999-02-19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636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037A (ko) * 1988-03-15 1989-10-28 도널드 밀러 광섬유 도파관용 중합체 클래딩 조성물
US5402516A (en) * 1993-09-30 1995-03-28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apparatus
JPH08194139A (ja) * 1995-01-19 1996-07-30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覆光ファイバ
JPH08286083A (ja) * 1995-04-12 1996-11-01 Hitachi Cable Ltd 耐熱光ファイバ
JPH08292347A (ja) * 1995-04-21 1996-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
KR960706648A (ko) * 1994-10-31 1996-12-09 구라우치 노리다카 플라스틱-클레드 광 섬유(plastic-clad optical fib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037A (ko) * 1988-03-15 1989-10-28 도널드 밀러 광섬유 도파관용 중합체 클래딩 조성물
US5402516A (en) * 1993-09-30 1995-03-28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apparatus
KR960706648A (ko) * 1994-10-31 1996-12-09 구라우치 노리다카 플라스틱-클레드 광 섬유(plastic-clad optical fiber)
JPH08194139A (ja) * 1995-01-19 1996-07-30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覆光ファイバ
JPH08286083A (ja) * 1995-04-12 1996-11-01 Hitachi Cable Ltd 耐熱光ファイバ
JPH08292347A (ja) * 1995-04-21 1996-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3238B (zh) 弯曲损耗不敏感的单模光纤
US7130516B2 (en) Triple-band bend tolerant optical waveguide
KR101360472B1 (ko) 단일 모드 광섬유
KR101577635B1 (ko) 벤딩에 민감하지 않은 단일모드 광섬유
JP2012247780A5 (ko)
EP1043816A3 (en) Cladding member for optical fibers and optical fibers formed with the cladding member
JP2007536580A (ja) 長波長用純シリカ製コアシングルモードファイバ及び該ファイバを形成する方法
US7689080B2 (en) Optical fiber ribbon
US20230119038A1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CN102692675A (zh) 一种渐变折射率抗弯曲多模光纤
KR20140016980A (ko) 일종의 벤딩에 민감하지 않은 단일모드 광섬유
WO2015109861A1 (zh) 一种具有兼容性的小弯曲半径单模光纤
CN110456446A (zh) 一种单模光纤
KR20100097653A (ko) 광섬유 제조 과정 및 이에 의해 획득한 광섬유
WO2014067291A1 (zh) 一种大有效面积光纤
US20110176783A1 (en)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808906B2 (ja)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および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の製造法
US5898811A (en) Multi-fiber optical cable
WO2013051481A1 (ja) 光ファイバ
CN201247332Y (zh) 一种局域网和接入网用的单模光纤
KR20000056361A (ko)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용 광섬유
KR950017783A (ko) 광파이버용 실리카 글래스 모재의 제조방법
JPH09113773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CN101639549B (zh) 一种980nm传输窗口用单模光纤
US7130515B2 (en) Triple-band bend tolerant optical wave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