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025A -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025A
KR20000055025A KR1019990003434A KR19990003434A KR20000055025A KR 20000055025 A KR20000055025 A KR 20000055025A KR 1019990003434 A KR1019990003434 A KR 1019990003434A KR 19990003434 A KR19990003434 A KR 19990003434A KR 20000055025 A KR20000055025 A KR 2000005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ether
agent
aqueou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007B1 (ko
Inventor
류병규
이선율
임안기
장두원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9-000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0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4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카본블랙을 반응성유화제인 공액이중결합을 포함한 폴리옥시에틸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써 수중분산시키고, 개시제로 카본블랙과 상기의 반응성유화제와의 그래프트반응을 유도하여 카본블랙입자를 1μm이하의 크기로 미세분산시킨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물,보습제 및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만든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은 그래프트반응의 효율이 좋고 분산안정성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해 제조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는 흑색도, 번짐성등의 인쇄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안정성과 토출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AQUEOUS PIGMENTED INK USING REACTIVE EMULSIFIER}
본 발명은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카본블랙을 반응성유화제인 공액이중결합을 포함한 폴리 옥시에틸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써 수중분산시키고 개시제로 카본블랙과 상기의 반응성유화제와의 그래프트반응을 유도하여 카본블랙입자를 1μm이하의 크기로 미세분산시킨 분산액을 만든 후, 여기서 만들어진 카본블랙 수분산액에 물, 보습제 및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수성 안료형 잉크젯 잉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잉크의 색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용매에 용해되는 염료와 용매에 불용성인 안료를 들 수 있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 오던 염료를 사용하는 잉크는 색상이 밝고 투명한 장점이 있는 반면 내광성, 내수성이 부족하고, 색상간의 번짐이 심하며, 미생물에 의해 변색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 들어와서 용매에 용해되는 염료 대신에 용매에 불용성인 안료가 관심을 끌고 있는데, 염료에 비해 안료는 내수성이 우수하고, 내광성이 우수하고, 열에 안정하며, 색상간의 번짐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안료형 잉크젯 잉크의 제조과정에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은 안료의 분산이고, 여기에는 입자의 크기, 분포 및 분산안정도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안료의 분산은 특히 중요한데, 장시간 사용할 경우를 고려하여 수개월동안 안료입자의 응집이나 침전이 없어야 한다. 만약 안료입자가 응집되면 생성된 응집물은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을 막아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게 된다. 대부분의 안료형 흑색잉크는 색소로서 카본블랙을 사용하는데, 카본블랙을 분산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으로는 카본블랙 표면에 친수성의 모노머 등의 반응성 물질을 화학적으로 반응시키는 표면개질법, 분산제를 사용하여 카본블랙표면에 흡착시켜 분산시키는 물리적 방법, 등이 있다.
표면개질에 의해 카본블랙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미국특허 5,609,671호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카본블랙을 특수표면처리하거나 미국특허 4,530,961호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카르복실산염을 함유하는 친수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카본블랙에 그래프트반응시키는 방법, 미국특허 5,281,261호에서와 같이 카본블랙의 존재하에 비닐방향족염을 중합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표면개질에 의한 방법중에서 수중에서 표면처리하는 공지의 방법은 카본블랙을 수중에 기계적으로 분산시키고 수용성 모노머를 개시제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지된 특허들은 카본블랙에 그래프트반응시키려고 하는 대부분의 모노머가 수용성이므로 실제 반응시에는 많은 양이 수중에서 모노머끼리 중합된 호모폴리머가 생성되어 모노머의 일부만이 카본블랙표면에 그래프트반응되므로 표면개질의 효율이 감소하고 이로인해 분산효율 및 저장안정성이 떨어지게된다. 또한 이러한 수분산액을 사용하면 이후 제조된 최종잉크에서도 표면개질시 생성된 수용성고분자로 인한 잉크의 점도상승 및 노즐에서의 토출특성이 저하되어 흑색도, 번짐성 등의 인쇄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분산제를 첨가하여 카본블랙을 분산시키는 예로서는 미국특허 3,687,887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티렌-말레인산무수물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카본블랙을 분산하거나 미국특허 4,597,794호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소수성을 가지는 고분자에 카르복실산, 술폰산, 설페이트 등의 친수성 관능기가 부가된 분산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 외 카르복실산의 친수성을 부가한 랜덤공중합체를 분산제로서 적용한 예로는 미국특허 5,229,786호, 5,172,133호, 5,160,370호, 5,184,148호, 5,106,417호 등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5,085,698호, 5,221,334호에서는 친수성과 소수성 모노머를 AB, BAB 타입(예를들어 A:친수성 모노머 B:소수성 모노머)의 블록공중합체를 분산제로서 사용하였고, 미국특허 5,589,522호에서는 그래프트고분자를 이용하였으며, 미국특허 4,959,661호, 5,125,968호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유화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분산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분산제를 구하기 쉽고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블록공중합체 및 그래프트공중합체를 분산제로 사용할 경우 제조가격이 비싸고 일반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분산중에 거품이 과량 발생하여 공정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용성 분산제가 카본블랙 표면에 물리적으로 흡착할 뿐이므로 과량의 분산제를 사용하여야하고, 분산효율이 떨어지게되며, 분산안정성이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액을 사용하여 잉크를 제조할 경우 장기적 저장안정성이 떨어져 응집이나 침전이 일어나기 쉽다.
한편, 제조된 카본블랙의 분산액을 이용하여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물, 보습제, 계면활성제, 침투제,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다양한 분산방법에 의한 각종의 카본블랙의 분산액마다 이들을 이용하여 이후 제조된 잉크가 가장 최적의 토출성능과 인쇄품질을 갖도록 하는 보습제와 계면활성제등의 첨가제가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들의 작용기구가 완전히 규명되지 않음으로 인해 새로운 카본블랙의 분산액을 제조하였다고 해도 최종잉크를 제조하기까지 최적의 첨가제를 찾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분산효율과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표면개질효율이 좋은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수분산액을 이용하여 해상도,내수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며, 장기적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노즐에서의 토출성능이 우수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분산제나 표면개질제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진 물질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분산제 또는 표면개질제를 이용한 카본블랙의 수분산액과 보습제, 계면활성제, 침투제, 킬레이트제, 물을 혼합하여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면개질제로서 공액이중결합을 포함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반응성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액이중결합을 포함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반응성유화제로서 카본블랙을 수중에 분산시키고 개시제로 상기의 반응성유화제를 카본블랙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그래프트반응을 유도하여 제조된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에 그에 적합한 보습제,계면활성제와 물 등을 첨가하여 잉크를 제조하는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의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반응성 유화제는 하기 [화학식1]의 구조를 갖는 공액이중결합을 포함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이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암모니움설페이트 등이 있다.
여기서 R은 H 또는 C1-C18알킬그룹이고, n은 1 내지 30의 숫자이며, M은 H, SO3H, SO3Na, SO3K, SO3NH4중의 하나이다.
상기의 반응성유화제는 카본블랙표면과 강한 친화성을 가진 앵커성분과 카본블랙에 그래프트 반응을 할 수 있는 반응기를 함께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 카본블랙과 함께 수중에서 혼합시키면 알킬페닐기부분이 카본블랙에 물리적으로 우선 흡착하고 흡착된 상태에서 비닐기가 개시제에 의해 카본블랙표면에 그래프트반응을 하게되므로 높은 그래프트반응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폴리옥시에틸렌구조 및 소듐염부분이 입체적, 정전기적 효과로써 분산액의 안정성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에있어 사용되는 반응성유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두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성유화제의 양은 분산하고자 하는 카본블랙의 양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더욱 좋게는 20 내지 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중량%를 초과하면 그래프트반응의 효율이 떨어져 비경제적이고 10중량%미만이면 분산성이 좋지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본블랙은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다만 분산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서 산성화표면처리된 카본블랙을 사용하면 물에 젖음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세분산을 위해서 일차입자 크기가 3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산성화 표면처리된 카본블랙은 여러 회사에서 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캐보트사의 BLACK PEARLS 1300, MONARCH 1000, MOGUL L, 데구사사의 FW-200, FW-18, SPECIAL BLACK 4, SPECIAL BLACK 4A, Printex 75, Printex 80, 콜롬비안케미칼사의 RAVEN 5250, RAVEN 5000 ULTRA, 미쯔비시사의 MA100, #2400 등이 있다. 카본블랙의 양은 수분산액에서는 전체 수분산액의 통상 5 내지 30중량%이며, 잉크에서는 잉크 전체 무게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이다.
반응성유화제와 카본블랙간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시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용성 열분해성 개시제 또는 레독스계 개시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수용성 열분해성 개시제로서는 포타슘퍼설페이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레독스계 중합개시제로서는 황산제1철, 덱스트로즈, 소듐피로포스페이트 등과 조합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카본블랙의 수분산액의 제조시 반응온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조건인 40~90℃의 범위가 적당하다. 반응온도가 40℃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느려서 실용적이지 못하고, 또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의 증발 및 중합계의 안정성 약화로 분산상태가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반응시간은 통상 30분 내지 3시간이 적당하다. 반응방법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반응성유화제와 개시제를 일괄투입하여 반응시키거나, 반응성유화제 및 개시제를 수차례에 걸쳐 나누어 첨가시키거나 연속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카본블랙의 분산입자의 입경은 1μm미만이며 대부분은 0.3μm에 해당한다.
상기 카본블랙 분산액을 이용하여 잉크를 제조함에 있어서 카본블랙 수분산액에 첨가하는 물질은 물, 보습제, 계면활성제 등이다. 보습제는 물에 쉽게 용해되는 유기용제이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 2-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N-에틸피롤리돈,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보습제는 전체잉크무게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가 적절하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통상 토출특성, 인쇄품질, 건조속도 등을 고려하여 2가지 이상의 보습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는 인쇄시 노즐에서의 토출특성을 향상시키고 인쇄후 건조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데, 전체 잉크무게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듐올레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소듐톨루엔설포네이트, 소듐디이소부틸설포석시네이트 등의 음이온 유화제와 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옥틸페녹시폴리에틸옥시에탄올 등의 비이온유화제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잉크의 제조시에는 잉크의 점도를 높이거나 안료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탈이온수 90g, 카본블랙 PRINTEX 80 (데구사 제품) 10g, 반응성유화제 HITENOL HS-10 (제일공업 제품) 5g,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0.5g과 직경 5㎜의 유리구슬 100g을 자켓이 달린 500ml의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은 다음, 펄 밀 임펠러를 장착한 분산기 DIPSERMAT CV(VMA-GETZMANN제품)을 이용해 2000rpm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항온조를 이용하여 용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한 후 3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한 다음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3미크론의 테프론 필터로 통과시켜 카본블랙 분산액을 얻었다. 입경측정장치인 Malvern Zetasizer 1000에 의해 분산입자의 입경을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0.1526μm의 입경을 가진 입자가 19.9%로 가장 많았으며 0.3μm이하의 입자가 90%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어서 상기 분산액 8g에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 600) 2g, 2-피롤리돈 1g, 포타슘올레이트 0.04g, 탈이온수 9.96g을 혼합하여 잉크를 제조하고, 잉크젯프린터(데스크젯 870K, 휴렛팩커드 제품)을 이용하여 일반복사용지(제록스복사지)에 화상을 출력하였다. 상기 잉크 및 인쇄물에 관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
카본블랙 분산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반응성유화제로서 NOIGEN RN-20(제일공업제품) 6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카본블랙 분산액 및 잉크를 제조하고 제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
카본블랙 분산시 탈이온수 90g, 카본블랙 MONARCH 1300(캐보트 제품) 10g, 반응성유화제 IIITENOL HS-10(제일공업 제품) 4g,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0.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카본블랙 분산액 및 잉크를 제조하고 제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4〉
탈이온수 90g, 카본블랙 FW-200(데구사 제품) 10g, 수산화나트륨 0.6g을 직경 5㎜의 유리구슬 100g을 자켓이 달린 500ml의 스텐렌스 용기에 넣은 다음, 펄 밀 임펠러를 장착한 분산기 DIPSERMAT CV(VMA-GETZMANN 제품)를 이용해 500rpm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때의 pH를 측정한 결과 9.0이었다. 여기에 HITENOL HS-53g과 포타슘퍼설페이트 0.5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00rpm으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항온조를 이용하여 용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한 후 2시간동안 온도를 유지한 다음, HITENOL RN-10 2g과 포타슘퍼설페이트 0.5g을 추가한 후 온도를 80℃로 승온시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분산액을 냉각시킨 후 5미크론의 멤브레인 필터로 통과시켜 카본블랙 분산액을 얻었다.
상기 분산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5〉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분산액 8g에 1,4-부탄디올 3g, N-메틸피롤리돈 0.5g, 디에틸렌글리콜 0.5g, 탈이온수 8g을 혼합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카본블랙 분산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반응성이 없는 음이온유화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3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카본블랙 분산액 및 잉크를 제조하고 제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잉크 제조하여 평가결과 흑색도가 매우 불량하였으며 인쇄문자의 번짐도 심하게 나타났다.
〈비교예2〉
카본블랙 분산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상업적인 안료분산제 DEMOL N(KAO 제품) 3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그 결과 건조시간이 매우 길게 나타났으며 흑색도도 불량하였다.
저장안정성 토출특성 인쇄품질 건조시간(초)
흑색도 번짐성
실시예 1 100
실시예 2 120
실시예 3 70
실시예 4 100
실시예 5 90
비교예 1 × 즉시 건조
비교예 2 × 300
◎: 우수 ○ : 양호 △:보통 ×:불량
[물성평가방법]
1) 저장안정성 : 상온에서 3개월간 잉크를 방치하여 침전여부를 확인하였다.
2) 토출특성 : 상온에서 연속적으로 인쇄하여 화상이 유지되는가를 관찰하였다.
3) 인쇄품질 : 인쇄물의 흑색도 및 번짐성을 관찰하였다.
4) 건조시간 : 인쇄후 손으로 만져서 묻어나지 않을때까지의 시간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는 저장안정성과 토출특성이 우수하고 흑색도, 번짐성과 같은 인쇄품질이 우수하다.

Claims (4)

  1. 분산제 또는 표면개질제를 이용한 카본블랙의 수분산액과 보습제, 계면활성제, 침투제, 킬레이트제, 물을 혼합하여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면개질제로서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공액성분을 포함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반응성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여기서 R은 H 또는 C1-C18의 알킬그룹이고, n은 1내지 30의 숫자이며, M은 H, SO3H, SO3Na, SO3K, SO3NH4중의 하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카본블랙 수분산액의 분산된 카본블랙 입자의 크기가 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보습제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다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트리에텔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로 구성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소듐디이소부틸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소듐올레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
KR10-1999-0003434A 1999-02-02 1999-02-02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KR10053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434A KR100534007B1 (ko) 1999-02-02 1999-02-02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434A KR100534007B1 (ko) 1999-02-02 1999-02-02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25A true KR20000055025A (ko) 2000-09-05
KR100534007B1 KR100534007B1 (ko) 2005-12-06

Family

ID=1957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434A KR100534007B1 (ko) 1999-02-02 1999-02-02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24A (ko) * 2001-08-31 2003-03-06 유정욱 인쇄용 잉크의 제조
US7418838B2 (en) 2002-04-17 2008-09-02 Lg Electronics Inc. Wash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837A (ja) * 1997-02-17 1998-10-2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265704A (ja) * 1997-03-24 1998-10-06 Toyo Ink Mfg Co Ltd 表面処理カーボンブラックおよびその用途
JPH10273605A (ja) * 1997-03-31 1998-10-13 Toyo Ink Mfg Co Ltd 表面処理顔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24A (ko) * 2001-08-31 2003-03-06 유정욱 인쇄용 잉크의 제조
US7418838B2 (en) 2002-04-17 2008-09-02 Lg Electronics Inc.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007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0266A (en) Ink-jet inks containing nanometer-size inorganic pigments
CN100412143C (zh) 油墨组合物
JP263526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の水性顔料入りインク
EP0783023B1 (en) Polymeric dispersants for pigmented inks
US5714538A (en) Polymeric dispersants for pigmented inks
US9120948B2 (en) Process for producing block polymer, coated pigment and aqueous pigment dispersion
EP0891400B1 (en) Ink composition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s produced therefrom
EP2816088B1 (en) Aqueous pigment dispersion liquid and aqueous pigment inkjet ink using same
JP2000007936A (ja) 水性カ―ボンブラック分散液、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JP3396739B2 (ja) インキジェット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8219B2 (ja) 湿式ミリング法のための二成分分散剤
JPS63108087A (ja) 不溶性染料コンプレックス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組成物
EP0819738A2 (en) Aqueous ink jet ink compositions
EP1412438A1 (en) Ink jet ink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ochemical surfactants
EP2006313A2 (en) Pigment dispersants, their production process, and their use
JPH10316909A (ja) 水系ディスパー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1630211A1 (en) Water-based inks for ink-jet printing
EP1652897B1 (en) Water-based ink
EP2216376A1 (en) Water-insoluble colorant dispers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liquid, printed article, image-forming method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5012443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顔料分散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4007B1 (ko) 반응성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안료형 흑색 잉크젯잉크의 제조방법
JP3931205B2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
JPH10298296A (ja) 水性顔料分散液の製造方法
EP1541646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water-based pigment dispersion
US6886931B2 (en) Ink set for ink jet recor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