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909A -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909A
KR20000054909A KR1019990003260A KR19990003260A KR20000054909A KR 20000054909 A KR20000054909 A KR 20000054909A KR 1019990003260 A KR1019990003260 A KR 1019990003260A KR 19990003260 A KR19990003260 A KR 19990003260A KR 20000054909 A KR20000054909 A KR 2000005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color
voltage controlled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수
이성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0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909A/ko
Publication of KR2000005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색에 대한 자유로운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키고, 바탕 표시색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로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을 표현하는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를 적층하여 ECB형 구동 표시소자가 구현하는 표시색의 농도를 조절하며,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또다른 ECB형 보상 표시소자를 적층하여 가산혼합에 의해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STN형 구동 표시소자와 ECB형 보상 표시소자를 적층시키고, 외부 전압조절부재를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와 접속시켜 STN형 구동 표시소자가 구현하는 화상의 바탕색을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reflective type}
본 발명은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키고, 표시색에 대한 자유로운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바탕 표시색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 양단에 배열되는 도전막에 인가된 전압 차이에 의해 각 화소에서의 액정 배향이 변화되어 광 투과율을 가변시키므로써 계조 표현이 가능한 표시장치이다.
여러 종류의 액정표시장치 가운데 하나인 에스티엔(Super Twisted Nematic. 이하, STN형이라 칭함)형 액정표시장치는 단순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급준성을 향상시켜 표시용량을 증대시킨 액정표시장치이다.
이 가운데 액정 셀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의 유전이방성에 의해 액정분자 배열이 변화하여 그 결과 셀중의 복굴절이 변화되며, 상기 복굴절들의 변화가 광투과율의 변화로 나타나는 전압 제어 복굴절(ECB;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효과를 이용하여 표시를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전압 제어 복굴절형(이하, ECB형이라 칭함) 액정표시장치라 한다.
상기 ECB형 액정표시장치는 도전막에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주변의 액정분자를 제외한 액정 분자의 장축이 일정 각도만큼 기울며, 입사편광은 이로 인해 유발되는 복굴절에 의해 타원편광되어 광 투과량을 조절한다.
이 때, 액정분자의 기울기는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므로, 구현되는 색상은 인가전압의 크기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ECB형 액정표시장치는 칼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전압 제어에 의해 칼라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STN 기술이며, 이는 기존의 STN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고 복굴절(Δn) 특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하여 광학적 이방성을 극대화시키므로써 전압 레벨에 따라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ECB형 액정표시장치는 구현 가능한 색의 수가 극히 제한되어 있고, 색순도 또한 칼라 필터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서 일정 부분 떨어지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키고, 표시색에 대한 자유로운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바탕 표시색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 B부의 확대 단면도.
도 4 ∼ 도 6은 각각 도 2의 C, D, E 지점에서의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편광상태도.
도 7은 최종 표시색의 구현 가능한 농도 범위를 나타내는 농도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8 I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H 지점에서의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편광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 J-J선의 단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표현하여 ECB형 구동 표시소자가 구현하는 표시색의 농도를 제어하는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는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인가 전압에 따라 소정의 색을 구현하여 ECB형 구동 표시소자의 표시색과 가산혼합을 일으켜 표시색을 다양화시키는 ECB형 보상 표시소자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와 ECB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는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TN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사용자에 의한 인가 전압 조절에 의해 표시색을 변화시켜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의 바탕 표시색을 변화시키는 ECB형 보상 표시소자와,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는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구동 표시소자가 각 화소별로 구현하는 표시색에 대한 자유로운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칼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키고, 바탕 표시색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A-A선의 단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32)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저면으로 배치되는 제 3 편광판(40) 및 반사판(42)과,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상면으로 배치되는 제 2 편광판(38)과 제 2 위상차 필름(46) 및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을 표현하여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농도를 제어하는 농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는 투명한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4)과, 상기 기판들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16) 및 배향막(18)과, 상기 기판들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고 굴절율의 ECB형 액정(2)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ECB형 액정(2)은 상기 구동회로(32)를 통하여 액정 양단에 배치된 도전막(16)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그 복굴절(Δn)이 변화되므로, 구현색은 인가전압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그리고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상면으로 배치되어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색의 농도를 제어하는 농도 조절수단은 보상회로(34)에 의해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개별 구동하는 다른 하나의 액정표시소자로서, 각 화소들은 각각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화소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을 표시하는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 또한 제 1 기판(22) 및 제 2 기판(24)과, 상기 기판들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26) 및 배향막(28)과, 상기 기판들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STN형 액정(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는 상면으로 각각 제 1 편광판(36)과 제 1 위상차필름(4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를 적층함에 따라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표시색은 상기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를 거치면서 그 농도가 제어되므로, 하나의 표시색에 대하여 다양한 농도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실선으로 도시한 화살표)은 순차적으로 제 1 편광판(36)과, 제 1 위상차필름(44) 및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와, 제 2 편광판(38) 및 제 2 위상차필름(46)과, ECB형 구동 표시소자(10) 및 제 3 편광판(40)을 거쳐서 반사판(42)에 도달한다.
이어서, 반사판(42)에서 반사된 반사광(쇄선으로 도시한 화살표)은 제 3 편광판(40)을 거치며 직선 편광되고, 직선 편광된 빛은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에 도입되는데, 이 때 적색을 표현하는 특정의 계조전압이 상기 구동회로(32)를 통하여 특정 화소의 도전막(16)으로 인가되면, ECB형 액정(2)은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은 배열상태를 이루어 반사광을 타원 편광시키며, 제 2 위상차필름(46)을 통과하여 C 지점에 도달한 반사광의 편광상태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여기서, X축은 제 2 편광판(38)의 편광축으로서,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특정 화소를 통과한 반사광 가운데 적색을 나타내는 타원 편광(실선으로 도시)의 장축이 청색과 녹색을 나타내는 타원 편광보다 상기 X축에 더욱 근접하므로, 상기 화소에서의 표시색은 적색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으로 타원 편광된 반사광은 제 2 편광판(38)을 통과하여 D 지점에 이르며, 도 5는 상기 D 지점에서의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D 지점에서의 반사광은 제 2 편광판(38)을 통하여 직선 편광되는데, 이 때 직선 편광되는 정도는 타원 편광된 장축이 상기 X축과 근접하는 정도에 비례한다.
상기 D 지점에서 직선 편광된 반사광은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와 제 1 위상차필름(44) 및 제 1 편광판(36)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E 지점에 이르러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는 보상회로(34)에 의해 구동되어 흑에서 백에 이르는 순수한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을 표현하므로, 상기 E 지점에서의 편광상태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D 지점에서의 직선 편광의 정도를 조절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Y축은 제 1 편광판(36)의 편광축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표시색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적색을 상기 흑백모드 STN형 보상 표시소자(20)의 작용으로 인하여 가장 어두운 적색에서부터 가장 밝은 적색에 이르기까지 그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구동회로(32)에 의해 제어되는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저면으로 배치되는 제 3 편광판(40) 및 반사판(42)과,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상면으로 배치되는 제 2 편광판(38)과 제 2 위상차필름(46) 및 소정의 색을 구현하여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표시색과 가산혼합을 일으켜 표시색을 다양화시키는 표시색 다양화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구조와 기능은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표시색 다양화수단은 보상회로(48)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개별 구동하는 ECB형 보상 표시소자(50)로 이루어진다.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50)의 구조 또한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구조와 동일하며, 내부의 각 화소들이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화소들과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화소별로 보상회로(48)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표시색을 더욱 다양화시킨다.
즉, 외광이 순차적으로 제 1 편광판(36)과 제 2 위상차필름(44) 및 ECB형 보상 표시소자(50)와, 제 2 편광판(38)과 제 2 위상차필름(46) 및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제 3 편광판(40)을 거쳐 반사판(42)에 도달하면 반사판(42)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다시 제 3 편광판(40)을 거치며 직선 편광되고, 직선 편광된 빛은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에 제공된다.
이 때,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색을 표현하는 계조전압이 상기 구동회로(32)를 통하여 특정 화소의 도전막으로 인가되면 ECB형 액정(2)은 도 3의 배열상태를 이루고, 제 2 위상차필름(46)을 통과하여 F 지점에 도달한 반사광의 편광상태는 도 4와 같으며, 제 2 편광판(38)을 통과하여 G 지점에 도달한 반사광의 편광상태는 도 5와 같다.
이와 같이 G 지점에서 직선 편광된 반사광은 ECB형 보상 표시소자(50)를 통과하면서 가산혼합되어 더욱 다양한 색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산혼합은 영상이 빛으로 되어 있는 경우, 3원색의 빛을 더하여 소정의 색을 혼합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ECB형 보상 표시소자(50)는 보상회로(48)에 의해 구동되어 ECB형 표시소자가 구현하는 소정의 색을 구현함에 따라,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적색과 가산혼합을 일으켜 더욱 다양한 표시색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적색을 구현하는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의 특정 화소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소에 보상회로(48)를 통하여 녹색을 표현하는 계조전압을 인가하면, ECB형 보상 표시소자(50) 내의 ECB형 액정(6)은 도 9에서 돗하는 바와 같은 배열상태를 이루어 반사광을 녹색으로 타원 편광시키며, 이후 반사광은 제 1 위상차필름(44)과 제 1 편광판(36)을 통과하면서 직선 편광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H 지점에서의 편광상태는 도 10과 같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H 지점에서는 상기 ECB형 구동 표시소자(10)가 구현하는 적색과,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50)가 구현하는 녹색이 제 1 편광판(36)의 편광축인 Y축과 평행하게 직선 편광됨에 따라, 상기 화소는 적색과 녹색의 혼합색인 노란색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가산혼합에 의하여 표시색을 더욱 다양화시킬 수 있으며, 이 때, ECB형 구동 표시소자(10)와 ECB형 보상 표시소자(50) 각각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편광판의 편광각도 및 개수와, 위상차필름의 위상차값 등을 조절하므로써 가산혼합에 의해 구현가능한 색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외부 프레임을 제거한 도 11 J-J선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구동회로(62)에 의해 제어되는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와,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의 저면으로 배치되는 제 3 편광판(40) 및 반사판(42)과,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의 상면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인가 전압 조절에 의해 복굴절이 변화하여 소정의 표시색 조절이 가능한 바탕색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60)는 투명한 제 1 기판(64) 및 제 2 기판(66)과, 상기 기판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68) 및 배향막(70)과, 상기 기판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STN형 액정(72)으로 이루어지며, STN형 액정(72) 고유의 착색은 상면으로 배치되는 제 2 위상차필름(46)에 의하여 일정 정도 보정된다.
그리고 상기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의 상면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색을 구현하여 최종 화면의 바탕 표시색을 변화시키는 바탕색 조절수단은 인가 전압에 대응하여 소정의 표시색을 구현하는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와,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와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해 인가 전압이 조절되어 표시색을 변화시키는 외부 전압조절부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의 구조와 기능은 앞선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외부 전압조절부재(90)는 원내의 확대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9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정 버튼(94)과, 상기 설정 버튼(94)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홈(92a)과, 상기 설정 버튼(94)의 이동에 따라 인가 전압을 변화시키고, 이를 상기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의 도전막(84)으로 인가하는 가변저항(9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압조절부재(90)는 설정 버튼(94)의 이동 경로상으로 전압수치 또는 구현되는 바탕색에 대응하는 기호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설정 버튼(94)의 이동에 따라 기준점으로 해당기호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광이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와 STN형 구동 표시소자(60)를 거쳐 반사판(42)으로 입사되면, 반사광은 제 3 편광판(40)을 통하여 직선 편광된 다음, 구동회로(62)의 제어를 받는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에 입사되어 소정의 화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화소별로 그 투과량이 변화되며, 이후 제 2 위상차필름(46)과 제 2 편광판(38)을 통하여 ECB형 보상 표시소자(80)에 입사된다.
이 때, ECB형 보상 표시소자(80)는 설정 버튼(94)의 이동에 따라 도전막(84)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설정 버튼(94)의 이동에 따라 ECB형 보상 표시소자(80)로 청색을 표현하는 계조전압이 인가되면 ECB형 보상 표시소자내의 ECB형 액정(86)은 반사광을 청색으로 타원 편광시키며, 타원 편광된 반사광은 이후 제 1 위상차필름(44)과 제 1 편광판(36)을 통과하면서 직선 편광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도달한다.
이와 같이 ECB형 보상 표시소자(80)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써 STN형 구동 표시소자(60)의 화상과 겹치면서 구현되는 최종 화면의 바탕 표시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ECB형 액정표시장치가 구현하는 표시색에 대한 자유로운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ECB형 액정표시장치의 구현 가능한 색수를 증가시키고, STN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상을 기본으로 구현되는 최종 화상에 대한 바탕색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색감을 향상시키고, 표시색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범위를 확대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기판들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 및 배향막과, 상기 기판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고 굴절율의 전압 제어 복굴절형 액정을 포함하는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다양한 농도 표현이 가능한 액정 표시소자로 제공되어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가 구현하는 표시색의 농도를 제어하는 농도 조절수단과;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농도 조절수단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절수단은 흑백 에스티엔형 보상 표시소자로 이루어져 흑백의 그레이 스케일을 표현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흑백 에스티엔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며 표시소자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4.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기판들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 및 배향막과, 상기 기판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고 굴절율의 전압 제어 복굴절형 액정을 포함하는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소정의 색채 표현이 가능한 액정 표시소자로 제공되어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의 표시색과 가산혼합을 일으켜 표시색을 다양화시키는 색채 다양화수단과;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색채 다양화수단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다양화수단은 전압 제어 복굴절형 보상 표시소자로 이루어져 인가 전압에 따라 소정의 색을 구현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어 표시소자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7.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기판들의 마주보는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도전막 및 배향막과, 상기 기판 내부로 주입 및 밀봉되는 에스티엔형 액정을 포함하는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의 다른 일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와 개별 구동하며 사용자에 의한 인가 전압 조절에 의해 복굴절이 변화하여 소정의 표시색 조절이 가능한 액정 표시소자로 제공되어 최종 화면의 바탕색을 조절하는 바탕색 조절수단과;
    상기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바탕색 조절수단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색 조절수단은 인가 전압에 대응하여 소정의 표시색을 구현하는 전압 제어 복굴절형 보상 표시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보상 표시소자와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해 인가 전압이 조절되어 표시색을 변화시키는 외부 전압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에스티엔형 구동 표시소자와 상기 전압 제어 복굴절형 보상 표시소자의 적어도 일면으로 배치되어 표시소자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KR1019990003260A 1999-02-01 1999-02-01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KR20000054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60A KR20000054909A (ko) 1999-02-01 1999-02-01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60A KR20000054909A (ko) 1999-02-01 1999-02-01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909A true KR20000054909A (ko) 2000-09-05

Family

ID=1957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260A KR20000054909A (ko) 1999-02-01 1999-02-01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9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532B1 (ko) * 2006-10-17 2009-06-23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복수의 적층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유닛 및 시스템, 및 구동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532B1 (ko) * 2006-10-17 2009-06-23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복수의 적층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유닛 및 시스템, 및 구동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048B1 (ko) 직렬 연결된 엘씨 필터를 구비한 칼라 표시 장치
US592339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238869A1 (en) High contrast electro-optic liquid crystal camera iris providing angle independent transmission for uniform gray shades
US10928698B2 (en) High contrast liquid crystal light control device providing angle independent variable transmission of incident light for uniform gray shades
JPH09171177A (ja) ツイスト・ネマティ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作製方法
JPS59208993A (ja) カラ−表示装置
EP3049864B1 (en) High contrast electro-optic liquid crystal camera iris
Scheffer et al. Twisted nematic and supertwisted nematic mode LCDs
JP2615715B2 (ja) 電気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537702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liquid crystal elastic constant ratio at least 1.75
GB2314641A (en) Liquid crystal devices
KR20000054909A (ko)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장치
JP364190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20080332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904521B1 (ko)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JPH10104654A (ja) 反射型白黒液晶表示装置
JP2775823B2 (ja) 液晶表示素子
JP3449829B2 (ja) 液晶表示素子
JP2982800B2 (ja) 電気光学素子
JP2625851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装置
JPH04319914A (ja) 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2943062B2 (ja) 電気光学素子
JPH06337397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KR200165722Y1 (ko)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674508B2 (ja) 液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