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698A - 강관 성형기 - Google Patents

강관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698A
KR20000053698A KR1019990061210A KR19990061210A KR20000053698A KR 20000053698 A KR20000053698 A KR 20000053698A KR 1019990061210 A KR1019990061210 A KR 1019990061210A KR 19990061210 A KR19990061210 A KR 19990061210A KR 20000053698 A KR20000053698 A KR 2000005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feeding
galvanized steel
feeding roller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김한곤
주식회사 보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곤, 주식회사 보람테크 filed Critical 김한곤
Priority to KR101999006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3698A/ko
Publication of KR2000005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1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6Supply, or operations combined with supply, of strip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폭을 갖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강관을 성형하는 강관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아연도금강판을 강관으로 성형하기 위해 금형쪽으로 피딩시켜 주는 피딩부의 구조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주는 금형의 구조를 일부 달리 구성하여 아연도금강판을 피딩부에 의해 피딩시켜 줄 때 가급적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함에 따라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피딩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금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그 표면에 긁힘(scratch)이 일어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성형 완료된 상태에서의 강관을 사용할 때 쉽게 부식되는 일도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일정폭을 갖는 롤상태의 아연도금강판(3)을 풀림가능하게 장착하는 언코일러(un-coiler)(1)와, 상기 언코일러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지지되어 내부로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본체(4)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언코일러(1)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3)이 풀리면서 피딩될 때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5)와, 상기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아연도금강판(3)에 언코일러(1)와 반대되는 쪽으로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6)와, 상기 안내부재(5)에 설치되어 피딩부(6)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의 양측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절곡편(301)(302)을 형성하는 절곡편 형성부(7)와, 상기 기기 본체(1)의 상부면중 대략 안내부재(5)의 힌지부 부분에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대향되는 절곡편(301)(302)을 서로 락심(lock seam) 연결시켜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8)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는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이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아연도금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이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와는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베어링을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아연도금강판(3)이 피딩부(6)에 의해 피딩될 때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피딩부를 구성하는 모든 피딩롤러중 어떠한 피딩롤러의 외측둘레면에도 너얼링(604)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강관 성형기{machine for forming steel pipe}
본 발명은 일정폭을 갖는 아연도금강판을 금형을 이용해 나선상으로 말아 일정직경의 강관을 성형하는 강관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연도금강판을 금형쪽으로 피딩시키는 피딩부의 구조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주는 금형의 구조를 일부 달리 구성하여 아연도금강판을 피딩부에 의해 피딩시켜 줄 때 가급적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함과 함께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피딩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금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그 표면에 긁힘(scratch)이 일어나는 일도 없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steel plate)을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강관(steel pipe)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따라 그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통상 각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오수와 빗물 등은 땅속에 매설되어 있는 흄관을 통해 안내되어 메인 배수유로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상기 흄관은 자체의 중량 및 부피의 증가로 인해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게 되고, 시공시 운반을 위해서는 반드시 중장비의 투입이 요구되며, 길이가 짧게 제한되는 관계로 시공과정에서의 연결부가 증가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공사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흄관일 경우에는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서 성형한 강관을 기존에 사용되던 흄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덕트로 사용함이 대중화되어 가고 있고, 상기한 강관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원재료인 강판은 땅속에 매설할 경우 수분 및 유해가스 등으로 인해 부식이 쉽게 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표면에 아연도금이 이루어진 아연도금강판을 원재료로 사용하고 있음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면 먼저 종래 강판을 이용한 강관 성형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바퀴(2)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일정폭을 갖는 롤상태의 아연도금강판(3)을 풀림가능하게 장착하는 언코일러(un-coiler)(1)와, 상기 언코일러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지지되어 내부로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본체(4)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언코일러(1)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3)이 인출되면서 피딩될 때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5)와, 상기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아연도금강판(3)에 언코일러(1)와 반대되는 일측방향으로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6)와, 상기 안내부재(5)에 설치되어 피딩부(6)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의 양측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절곡편(301)(302)을 형성하는 절곡편 형성부(7)와, 상기 기기 본체(4)의 상부면중 대략 안내부재(5)의 힌지부 부분에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대향되는 절곡편(301)(302)을 서로 락심(lock seam) 연결시켜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아연도금강판(3)에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6)는, 안내부재(5)의 적소에 부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01)와, 상기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모터(60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적인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1피딩롤러(602)와, 상기 제1피딩롤러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적인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2피딩롤러(603)와, 상기 제1피딩롤러(602)의 표면인 외측둘레면에 형성되어 제1피딩롤러의 회전시 상기 제1피딩롤러(602)와 아연도금강판(3)의 접촉력을 높여주기 위한 너얼링(knurling)(60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모터(601)의 구동력을 제1피딩롤러(602)가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601)에는 구동기어(605)가 축결합되고, 제1피딩롤러(602)의 일측 축상에는 구동기어(605)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1종동기어(606)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제2피딩롤러(603)가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2피딩롤러의 일측 축상에는 제1종동기어(606)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2종동기어(60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강관 성형장치에 의해 아연도금강판(3)을 나선상으로 말으면서 강관을 성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제로 기기가 동작되기 전 상태에서는 기기 본체(4)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안내부재(5)를 이후 성형될 강관의 직경에 맞는 각도만큼 회동시킨 다음 일정 폭을 갖는 롤상태의 아연도금강판(3)을 언코일러(1)에 풀림가능한 상태로 장착한다.
계속해서 상기 언코일러(1)를 기기 본체(4)의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시키면서 상기 언코일러(1)에 풀림가능하게 장착된 아연도금강판(3)의 선단이 안내부재(5)를 정확히 향하도록 상기 언코일러(1)를 특정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위치를 조정하는데, 상기 언코일러의 이동은 바닥면에 부착된 복수개 바퀴(2)의 구름운동을 받아 이루어지므로 그 이동이 원활해 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언코일러(1)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3)을 일부 풀어 그 선단이 안내부재(5)에 설치된 절곡편 형성부(7)를 통과하여 피딩부(6)를 구성하는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 사이에 물리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기기 본체(4)의 적소에 구비된 파워스위치를 온시킴과 함께 동작시작모드를 선택하면 안내부재(5)에 부착된 모터(601)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므로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60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기어는 제1피딩롤러(602)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1종동기어(606)와 기어물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피딩롤러(602)는 모터(601)의 구동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피딩롤러(603)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2종동기어(607)는 제1종동기어(606)와 기어물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피딩롤러(603)는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결국 상기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 사이에 물려있는 아연도금강판(3)이 언코일러(1)에서 점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언코일러와 반대되는 방향인 도면상 좌측으로 피딩된다.
상기에서 아연도금강판(3)을 피딩시켜 주는 제1피딩롤러(602)는 그 표면인 외측둘레면에 너얼링(60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상기 제1피딩롤러(602)와 아연도금강판(3)의 표면접촉력이 향상됨에 따라 결국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피딩력이 그만큼 향상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의해 아연도금강판(3)이 풀리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피딩될 때 기기 본체(4)의 상부면중 안내부재(5)의 힌지부 부분에는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유지하도록 원통형 금형(8)이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의 선단부는 원통형 금형(8)의 입구부를 통해 인입되면서 상기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여 나선상으로 말아지고, 이 과정에서는 상기 아연도금강판(3)의 양측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편(301)(302)이 서로 끼워맞춤되면서 도시하지 않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락심 연결됨에 따라 결국 아연도금강판(3)이 원통형 금형(8)의 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상태에서는 완전한 상태의 강관이 도 6과 같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일정직경을 갖는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고 난 상태에서 직경이 다른 새로운 강관을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통형 금형(8)을 그 성형될 강관의 직경에 맞는 원통형 금형으로 교체하여야 함은 물론 기기 본체(4)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아연도금강판(3)의 피딩을 안내하는 안내부재(5)를 수평회동시켜 적정각도를 유지하게 하면서 언코일러(1)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3)이 안내부재(5)를 정확히 향하도록 상기 언코일러(1)도 위치 이동시켜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이는 강관을 성형할 때 그 강관의 직경이 좁으면 좁을수록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로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그 나선각도가 커지고, 강관의 직경이 넓으면 넓을수록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로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감겨질 때 그 나선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강관 성형기는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이 원통형 금형(8)의 입구부를 통해 내경부로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아연도금강판(3)은 도 5와 같이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에 직접 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피딩부(6)를 구성하는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에 그만큼 부하가 크게 걸리게 되고, 이 부하는 결국 상기 제1피딩롤러(60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601)에 전달되므로 상기 모터가 부하를 받게되어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제작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딩부(6)를 구성하는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의 부하에 의해 상기 제1,2피딩롤러(602)(603)가 아연도금강판(3)과 슬립(slip)이 일어날 경우 피딩력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피딩롤러(602)의 표면인 외측둘레면에 너얼링(604)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너얼링에 의해 피딩력은 떨어지지 않지만 상기 제1피딩롤러(602)가 접촉되는 아연도금강판(3)의 표면(강관으로 성형된 상태에서는 그 내측 둘레면)에 긁힘이 일어나게 됨은 물론 아연도금강판(3)이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에 직접 접촉되는 과정에서도 아연도금층의 일부가 벗겨지는 현상을 초래케되므로 이후 강관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강관을 흄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할 때 외부적인 영향을 받아 상기 강관이 쉽게 부식되어 수명이 그만큼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아연도금강판을 강관으로 성형하기 위해 금형쪽으로 피딩시켜 주는 피딩부의 구조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주는 금형의 구조를 일부 달리 구성하여 아연도금강판을 피딩부에 의해 피딩시켜 줄 때 가급적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함에 따라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피딩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금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그 표면에 긁힘(scratch)이 일어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성형 완료된 상태에서의 강관을 사용할 때 쉽게 부식되는 일도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는 종래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강관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강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강관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강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언코일러 3. 아연도금강판
4. 기기 본체 5. 안내부재
6. 피딩부 7. 절곡편 형성부
8. 원통형 금형 301, 302. 절곡편
601. 모터 602. 제1피딩롤러
604. 너얼링 605. 구동기어
606. 제1종동기어 607. 제2종동기어
608. 제3피딩롤러 609. 제4피딩롤러
610. 제3종동기어 611. 제4종동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특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일정폭을 갖는 롤상태의 아연도금강판을 풀림가능하게 장착하는 언코일러(un-coiler)와, 상기 언코일러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지지되어 내부로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본체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언코일러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이 풀리면서 피딩될 때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아연도금강판에 언코일러와 반대되는 쪽으로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와, 상기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의 양측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절곡편을 형성하는 절곡편 형성부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중 대략 안내부재의 힌지부 부분에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대향되는 절곡편을 서로 락심(lock seam) 연결시켜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는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이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아연도금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면서 아연도금강판이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와는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베어링을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피딩부에 의해 피딩될 때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피딩부를 구성하는 모든 피딩롤러중 어떠한 피딩롤러의 외측둘레면에도 너얼링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강관 성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강관 성형기를 구성하는 금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아연도금강판(3)에 언코일러(1)와 반대되는 쪽으로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6)의 일부 구조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8)의 일부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피딩부(6)의 구조와 원통형 금형(8)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강관 성형기의 피딩부(6)는, 안내부재(5)의 적소에 부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01)와, 상기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모터(60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1피딩롤러(602)와, 상기 제1피딩롤러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2피딩롤러(603)와, 상기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모터(601)의 구동력을 제1피딩롤러(602)와 함께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3피딩롤러(608)와, 상기 제3피딩롤러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안내부재(5)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제3피딩롤러(608)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3)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4피딩롤러(609)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모터(601)의 구동력을 제1피딩롤러(602) 및 제3피딩롤러(608)가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601)에는 구동기어(605)가 축결합되고, 제1피딩롤러(602)의 일측 축상에는 구동기어(605)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1종동기어(606)가 고정됨과 함께 제3피딩롤러(609)의 일측 축상에는 구동기어(605)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3종동기어(6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제2피딩롤러(603)가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2피딩롤러의 일측 축상에는 제1종동기어(606)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2종동기어(607)가 고정되고, 상기 제3피딩롤러(608)의 회전력을 제4피딩롤러(609)가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4피딩롤러의 일측 축상에는 제3종동기어(610)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제4종동기어(611)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원통형 금형(8)은 그 내경부에 복수개의 볼베어링(801)이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로 아연도금강판(3)이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각 볼베어링(801)이 아연도금강판(3)의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와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요구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딩부(6)를 구성하는 모터(601)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면,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구동기어(60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기어는 제1피딩롤러(602)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1종동기어(606) 및 제3피딩롤러(608)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3종동기어(610)와 기어물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피딩롤러(602)는 모터(601)의 구동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제3피딩롤러(609)도 모터(601)의 구동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2피딩롤러(603)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2종동기어(607)는 제1종동기어(606)와 기어물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피딩롤러(603)는 제1피딩롤러(602)의 회전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제4피딩롤러(609)의 일측 축상에 고정된 제4종동기어(611)는 제3종동기어(610)와 기어물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4피딩롤러(609)는 제3피딩롤러(608)의 회전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결국 상기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 사이 및 제3피딩롤러(608)와 제4피딩롤러(609) 사이에 물려있는 아연도금강판(3)이 언코일러(1)에서 점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언코일러와 반대되는 일측방향인 도면상 좌측으로 피딩된다.
상기에서 아연도금강판(3)을 피딩시켜 주는 구성요소중 제3피딩롤러(608)와 제4피딩롤러(609)는 반드시 있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있을 경우 제1피딩롤러(602)와 제2피딩롤러(603) 만으로 아연도금강판(3)에 피딩력을 제공할 때 보다는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피딩력이 더 크기 때문인데, 이는 제1피딩롤러(602)의 표면인 외측둘레면에 종래에 형성되던 너얼링(604)이 형성되지 않아 혹시 피딩력이 떨어지더라도 이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의해 아연도금강판(3)이 풀리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피딩될 때 기기 본체(4)의 상부면중 안내부재(5)의 힌지부 부분에는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유지하도록 원통형 금형(8)이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3)의 선단부는 원통형 금형(8)의 입구부를 통해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지는데, 상기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는 어느방향으로던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의 볼베어링(801)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통형 금형(8) 내에서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아연도금강판(3)은 각 볼베어링(801)에 접촉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에는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원통형 금형(8) 내의 각 볼베어링(801)에 접촉된 아연도금강판(3)은 나선형으로 말아지는 과정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함을 감안할 때 상기 각 볼베어링(801)의 구름운동을 받게 되고, 이에따라 아연도금강판(3)이 원통형 금형(8)에 의해 나선형으로 말아지는 과정에서 부하를 그리 크게 받지 않게됨은 물론 상기 아연도금강판(3)을 피딩시켜 주는 피딩부(6)의 피딩롤러(602)(603)(608)(609)도 부하를 크게 받지 않게되어 상기 피딩부(6)를 구성하는 모터(601)를 종래에 비해 작은 용량의 모터로 사용하여도 아연도금강판(3)의 피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에서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아연도금강판(3)이 상기 원통형 금형(8)의 내경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베어링은 실시예에서 볼베어링(801)을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롤러베어링을 사용하여도 되는데, 상기 롤러베어링을 사용할 때는 설치시 아연도금강판(3)이 말아지는 나선각도를 사전에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므로 제작 과정에서 다소 불편한 점은 있다.
이하 본 발명 강관 성형기에 의해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과정은 종래에서 설명된 과정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일정폭을 가지며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강관으로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에는 그 내경부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과정에서 베어링에 의해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와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음에 따라 그만큼 나선상으로의 말아짐이 원활하고, 이에 따라 아연도금강판에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에는 부하가 적게 걸리므로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기기의 제작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종래에서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의 피딩력을 높여주기 위해 제1피딩롤러의 표면인 외측둘레면에 너얼링을 형성하지 않음은 물론 아연도금강판이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음에 따라 상기 아연도금강판에 코팅된 아연도금층이 벗겨지는 긁힘(scratch)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이후 성형완료된 강관을 특정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강관이 쉽게 부식되는 일도 없게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특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일정폭을 갖는 롤상태의 아연도금강판을 풀림가능하게 장착하는 언코일러(un-coiler)와,
    상기 언코일러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도록 지지되어 내부로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기기 본체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 적소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언코일러에 장착된 아연도금강판이 풀리면서 피딩될 때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아연도금강판에 언코일러와 반대되는 일측으로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와,
    상기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피딩부에 의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의 양측단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절곡편을 형성하는 절곡편 형성부와,
    상기 기기 본체의 상부면중 대략 안내부재의 힌지부 부분에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대향되는 절곡편을 서로 락심(lock seam) 연결시켜 하나의 강관을 성형하는 원통형 금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는 피딩되는 아연도금강판이 인입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아연도금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면서 아연도금강판이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와는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베어링을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아연도금강판이 피딩부에 의해 피딩될 때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피딩부를 구성하는 모든 피딩롤러중 어떠한 피딩롤러의 외측둘레면에도 너얼링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형 금형의 내경부에 설치된 각 베어링은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성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아연도금강판에 피딩력을 제공하는 피딩부는, 안내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기어와 제3종동기어를 통해 받아 제1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3피딩롤러와, 상기 제3피딩롤러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안내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제3피딩롤러의 구동력을 제3종동기어와 제4종동기어를 통해 받아 회전하면서 아연도금강판에 직접 피딩력을 제공하는 제4피딩롤러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성형기.
KR1019990061210A 1999-12-23 1999-12-23 강관 성형기 KR20000053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10A KR20000053698A (ko) 1999-12-23 1999-12-23 강관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10A KR20000053698A (ko) 1999-12-23 1999-12-23 강관 성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160U Division KR200194330Y1 (ko) 1999-09-01 1999-12-14 강관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98A true KR20000053698A (ko) 2000-09-05

Family

ID=1962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210A KR20000053698A (ko) 1999-12-23 1999-12-23 강관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369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414A (ja) * 1987-10-15 1989-04-21 Kawatetsu Kokan Kk 薄肉大径スパイラル管の製法と装置
KR920006041U (ko) * 1990-09-18 1992-04-21 오승일 온돌용 주름파이프의 성형장치
JPH05161915A (ja) * 1991-11-20 1993-06-29 Nippon Steel Corp スパイラル造管方法
JPH05269523A (ja) * 1992-03-24 1993-10-19 Kubota Corp スパイラル状突起付き鋼管の製造方法
KR19990035756A (ko) * 1995-07-20 1999-05-25 제이.케이. 리슨 일체적으로 형성된 라이너를 구비한 강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414A (ja) * 1987-10-15 1989-04-21 Kawatetsu Kokan Kk 薄肉大径スパイラル管の製法と装置
KR920006041U (ko) * 1990-09-18 1992-04-21 오승일 온돌용 주름파이프의 성형장치
JPH05161915A (ja) * 1991-11-20 1993-06-29 Nippon Steel Corp スパイラル造管方法
JPH05269523A (ja) * 1992-03-24 1993-10-19 Kubota Corp スパイラル状突起付き鋼管の製造方法
KR19990035756A (ko) * 1995-07-20 1999-05-25 제이.케이. 리슨 일체적으로 형성된 라이너를 구비한 강관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296B2 (ja) ウインチ及びこれを含む自律移動装置
CN107461565B (zh) 一种管道内摄影装置
KR200194330Y1 (ko) 강관 성형기
FI95222B (fi) Laite käämityn muoviputken valmistamiseksi
US3644977A (en) Apparatus for aligning the ends of adjoining lengths of pipe
KR20000053698A (ko) 강관 성형기
US5108283A (en) Apparatus for winding pipes
CN210171758U (zh) 一种专用管防腐涂料喷涂用自导式送料机
CN209753699U (zh) 一种钢管矫直设备
KR101422199B1 (ko) 스틸 그레이팅용 트위스트 바 제조장치
KR20120012293A (ko) 휴대용 코팅관 탈피장치
JPH1054695A (ja) 導管の繰出し巻取り装置
KR20180041791A (ko) 토목 건축용 트위스트 철선·철근 부재와 그 제조 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용 타설철망
JP2003053459A (ja) フィン付伝熱管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伝熱管を用いた熱交換器
JP2918310B2 (ja) 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KR0140420B1 (ko) 강관의 내면코팅장치 및 그 방법
CN219025471U (zh) 一种带有润滑结构的铜管进料机构
KR200306039Y1 (ko) 배선용 가요관 및 그 제조장치
CN213531881U (zh) 钢管矫直机矫直辊曲面的磨削装置
KR100319823B1 (ko) 지관의 자동 왁싱 장치
CN110523590B (zh) 一种面料双面涂层机
CN213657415U (zh) 一种金属处理烘干装置
CN220665460U (zh) 一种具有防锈功能冷轧带钢酸洗装置
CN210936550U (zh) 一种钢管自动轿直装置
CN210281961U (zh) 内壁喷丸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