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466A - 피드포워드 증폭기 - Google Patents

피드포워드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466A
KR20000052466A KR1019990057397A KR19990057397A KR20000052466A KR 20000052466 A KR20000052466 A KR 20000052466A KR 1019990057397 A KR1019990057397 A KR 1019990057397A KR 19990057397 A KR19990057397 A KR 19990057397A KR 20000052466 A KR20000052466 A KR 2000005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output
variable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098B1 (ko
Inventor
스즈키야스노리
노지마도시오
나라하시쇼이치
Original Assignee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치카와 게이지
Publication of KR2000005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 H03F1/3229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using a loop for error extraction and another loop for err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8Positive-feedback circuit arrangements without negative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CDMA송신신호를 증폭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왜곡검출회로 및 왜곡제거회로에 있어서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평형조정에 있어서, 파일럿 부호를, CDMA송신신호의 롱코드와 다른 롱코드로 확산하여 파일럿신호로 하고, 이것을 송신주파수대로 변환하고, 송신신호에 증폭기 입력측에서 주입하고, 왜곡제거회로의 보조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신호 대역을 취출하고, 이것을 베이스 밴드로 변환하고 역확산하여 파일럿신호(부호)를 검출한다.

Description

피드포워드 증폭기{FEEDFORWARD AMPLIFIER}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주로 고주파대에서 사용되는 선형증폭기로서, 주증폭기의 비선형 왜곡(distortion) 성분을 검출하는 왜곡검출회로와, 그 검출한 왜곡성분을 보조증폭기를 사용하여 증폭한 후, 주증폭기의 출력에 다시 주입함으로서 왜곡성분의 상쇄를 행하는 왜곡제거회로를 갖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기본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주증폭기가 발생시키는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2개의 신호상쇄기로 구성된다. 하나는 왜곡검출회로(11)이고, 또 하나는 왜곡제거회로(12)이다. 왜곡검출회로(11)는 입력경로(8), 주증폭신호경로(13), 및 선형신호경로(14)로 구성된다. 왜곡제거회로(12)는 주신호경로(15), 왜곡주입경로(16), 및 출력경로(9)로 구성된다. 더욱더 주증폭기신호경로(13)에는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와 주증폭기(19)가 종속접속되고, 선형신호경로(14)는 지연선로(28)와 위상반전기(29)로 구성된다. 또, 주신호경로(15)에는 지연선로(21)가 접속되고, 왜곡주입경로(16)에는 가변감쇠기(22)와 가변위상기(23)와 보조증폭기(24)가 종속접속된다. 여기서, 전력분배기(25), 전력합성/분배기(26) 및 전력합성기(27)는 트랜스회로, 하이브리드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무손실 전력분배기 및 전력합성기이다.
우선,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입력된 신호는, 전력분배기(25)에 의하여 주증폭기신호경로(13)와 선형신호경로(14)로 분배된다. 이때, 주증폭기신호경로(13)와 선형신호경로(14)의 신호를 등진폭, 동시에 역위상으로 되도록 주증폭기신호의 경로(13)의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를 조정한다. 다만, 역위상의 조건은, 전력분배기(25) 혹은 전력합성/분배기(26)에 있어서 입출력단자간의 이상(移相)량을 적당히 설정하므로써 실현하든가, 혹은, 주증폭기(19)에서의 위상반전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현한다. 왜곡검출회로(11)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증폭기신호경로(13)와 선형신호경로(14)의 두개의 경로의 차성분이 검출된다. 이 차성분이 바로 주증폭기(19)가 발생하는 왜곡성분 그 자체이다. 이 사실로부터, 상기 구성은 왜곡검출회로라 불리운다.
다음에, 왜곡제거회로(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왜곡검출회로(11)의 출력은, 전력합성/분배기(26)를 통하여, 주신호경로(15)와 왜곡주입경로(16)로 분배된다. 주신호경로(15)에는, 주증폭기신호경로(13)의 출력과 선형신호경로(14)의 출력의 합이 입력된다. 또, 왜곡주입경로(16)에는, 주증폭기신호경로(13)의 출력과 신형신호경로(14)의 출력의 차가 입력된다. 왜곡주입경로(16)에는 가변감쇠기(22), 가변위상기(23), 보조증폭기(24)가 삽입되어 있다. 왜곡제거회로(12)의 출력끝단에서, 주신호경로(15)와 왜곡주입경로(16)의 신호를 등진폭, 동시에 역위상으로 되도록 왜곡주입경로(16)의 가변감쇠기(22)와 가변위상기(23)를 조정한다. 그 결과, 주증폭기(19)의 왜곡성분이 역상 등진폭으로 주입되기 때문에, 주증폭기(19)가 발생시키는 왜곡성분의 상쇄가 실현된다.
이상이 이상적인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왜곡보상동작이다. 실제로는 왜곡검출회로(11) 및 왜곡제거회로(12) 각각의 회로의 평형성을 완전히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가령 초기설정이 완전하다 하더라도, 주위온도, 전원 등의 변동에 의하여 증폭기의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안정하고 양호한 평형성을 유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이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왜곡검출회로(11) 및 왜곡제거회로(12)의 평형성을 고정밀도로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자동조정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No. 1-198809,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자동조정기」등이 있고, 이들을 실용화한 장치로서 야시마 도시오, 유우바시 쇼이지,「이동통신용 초저왜곡다주파 공통증폭기…자기조정형 피드포워드 증폭기(SAFF-A)…」전자정보통신학회, 무선통신시스템연구회, RCS90-4, 1990이 알려져 있다.
그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예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와 같이, 왜곡검출회로(11)의 입력경로(8)에 제 1 파일럿신호발생기(31)로부터의 제 1 파일럿신호(PL1)를 송신신호에 주입하는 제 1 파일럿주입기(32)를 설치하고, 제 1 파일럿신호(PL1)를 추출하는 제 1 파일럿신호추출기(33)를 전력합성/분배기(26)와 가변감쇠기(22) 사이에 설치하고,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34)로부터의 제 2 파일럿신호(PL2)를 송신신호에 주입하기 위한 제 2 파일럿주입기(35)를 주증폭기(19)의 단 사이에 설치하고, 제 2 파일럿신호(PL2)를 검출하는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를 왜곡제거회로(12)의 출력경로(9)에 설치한다. 제 1 파일럿신호추출기(33),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로 각각 추출된 제 1, 제 2 파일럿신호(PL1, PL2)의 각 레벨이 제 1 파일럿레벨검출기(37),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38)로 각각 검출되고, 이들 검출레벨은 제어기(39)에 입력된다. 제어기(39)는, 이들 검출레벨을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17, 22), 가변위상기(18, 23)를 제어한다. 즉, 제 1 파일럿신호(PL1) 및 제 2 파일럿신호(PL2)를 사용하여 왜곡검출회로(11) 및 왜곡제거회로(12)의 평형성을 검출하고, 왜곡검출회로(11)의 주증폭기신호경로(13)에 삽입되어 있는 제 1 가변감쇠기(17) 및 제 1 가변위상기(18)와 왜곡제거회로(12)의 왜곡주입경로(16)에 삽입되어 있는 제 2 가변감쇠기(22) 및 제 2 가변위상기(23)를 사용하여 이들 회로(11, 12)의 평형성을 조정함으로서 왜곡보상을 행한다. 각각의 회로(11, 12)의 평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섭동법, 최급강하법 등의 간이한 제어 알고리즘이나 최소자승추정법에 의한 적응제어알고리즘에 의하여 파일럿신호의 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각 가변감쇠기 및 각 가변위상기를 전기적으로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은 자동제어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조정회로에 있어서 파일럿신호의 처리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단순한 단일주파수 파일럿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원평 3-49688 「피드포워드 증폭기」등). 이 방법의 경우, 회로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지만, 파일럿신호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는 동작점을 최적동작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증대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파일럿신호의 검출대역에 다른 장치의 누설전력이나 잡음 등의 간섭신호가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혼입하면, 검출레벨에 오차가 생겨, 고정밀도한 제어동작 및 최적동작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각종 잡음 등의 간섭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동시에 검출정밀도가 높은 파일럿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피드포워드 간섭회로로서, 저주파수로 변조한 파일럿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No. 5-90843, 「피드포워드 간섭회로」), 저주파신호에 주파수 스펙트럼 확산으로 변조한 파일럿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No. 4-364602, 「피드포워드 간섭회로」등이 있다. 이들의 기술은 미국특허 No. 5,166,634에도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자동조정방법은, 파일럿신호와 송신신호의 대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다중접속(Frequene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방식용 송신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유효하였다.
이에 대하여, 부호확산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방식용 송신전력증폭에 있어서는, 종래의 파일럿신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이하의 이유에 의하여 할 수 없었다. 첫째로 CDMA의 반송파의 대역이 종래의 TDMA, FDMA에 의한 무선통신에 비하여 넓고, 파일럿신호를 위하여 1주파수를 확보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의 경제성을 크게 악화시키는 것. 둘째로 가령 파일럿신호를 송신대역에 삽입한 경우,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송신신호에 비하여 충분히 작게 하고, 동시에 레벨검출기로 충분한 검출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은 곤란한 것. 이것은, CDMA 송신신호가 파일럿신호에 대한 감도억압으로 되기 때문이다. 셋째로 가령 두번째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상시 송신출력제어된 송신신호에 대하여 파일럿신호가 직교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송신신호에 간섭 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자동조정방법에 사용되는 파일럿신호의 발생방법과 검출방법에서는, CDMA 무선통신방삭용 저왜곡송신전력증폭기에의 적용성에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CDMA 송신신호를 위하여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파일럿신호로서 특정 비트패턴의 제 1 파일럿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에 의한 송신전력(피드포워드) 증폭기를 사용하는 CDMA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확산부호를 사용하여 제 1 파일럿부호를 스펙트럼확산한다. 이 확산된 제 1 파일럿신호는 주파수변환기에 의하여 제 1 특정주파수대역으로 주파수변환되고, 그것을 제 1 파일럿다중화기에 의하여 송신신호로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제 1 파일럿신호는, 제 1 파일럿신호추출기에 의하여 추출되어, 주파수변환기에 의하여 베이스밴드로 주파수변환된다. 주파수변환된 제 1 파일럿신호는, 앞서 스펙트럼확산에 사용한 확산부호에 의하여 역확산처리되고, 본래의 제 1 파일럿부호를 검출한다.
도 1은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일반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있어서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평형제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파일럿신호 발생기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파일럿 레벨 검출기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CDMA 이동통신의 각 셀의 기지국에 할당하는 롱코드와, 본 발명에서 파일럿 부호의 확산에 사용하는 롱코드와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롱코드와 쇼트코드와의 조합과 주파수대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8b는 확산된 제 1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c는 확산된 송신신호와 확산된 제 1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d는 고주파 송신신호와 업컨버터된 제 1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e는 파일럿 검출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에 되돌려진 송신신호와 제 1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f는 역확산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제 1 파일럿신호와 송신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a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9b는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c는 업컨버터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d는 고주파 송신신호와 업컨버터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e는 파일럿 검출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에 되돌려진 왜곡성분과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f는 역확산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파일럿신호와 왜곡성분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오류정정부호화를 사용한 파일럿신호 발생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사용한 파일럿 검출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사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3은 베이스밴드 송신신호에 파일럿신호를 더하는 구성으로 한 파일럿신호 발생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a는 도 14에 있어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b는 도 14에 있어서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c는 도 14에 있어서 업컨버터된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d는 업컨버터된 고주파 송신신호와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e는 전력합성기에 있어서 송신신호 제거경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억압된 송신신호와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f는 파일럿 검출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로 되돌려진 왜곡성분과 제 2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g는 역확산처리에 의해 얻어진 파일럿신호와 억압된 송신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의 증폭기에 있어서 평형조정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은 도 20의 증폭기에 있어서 평형조정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22a는 도 17 및 도 20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신호 추출기(33)의 출력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2b는 도 17 및 도 20에 있어서 전력합성기(81)의 출력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3a는 도 20에 있어서 전력합성기(75)의 출력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3b는 도 20에 있어서 레벨검출기(601)에 있어서 베이스밴드로 변환된 송신신호와 파일럿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3c는 도 20의 레벨검출기(601)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신호와 송신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도 25의 증폭기에 있어서 평형조정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9는 도 27의 증폭기에 있어서 평형조정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 실시예)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와 기본적 구성은 같지만, 다른 점은, 입력신호가 CDMA 송신신호인 것과, 도 2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31, 34)와, 제 1 및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37, 38)에 대신하여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와 제 1 및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는 같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고, 그들을 대표하여 제 1 파일럿신호발생기(401)만을 도 4에 도시한다. 도 4의 제 1 파일럿신호 발생기(401)는, 파일럿부호 발생기(41), 확산부호 발생기(42), 디지털 승산기(4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4), 저역통과필터(45), 주파수변환기(46), 대역통과필터(47)로 구성된다.
파일럿부호발생기(41)는, 여기서는 예를 들면 특정 비트패턴을 파일럿신호로서 생성하는 의사잡음계열(15)단에 의한 부호발생기(41A)를 채용하고 있다. 파일럿신호(PL1)는 확산부호(SPC)에 의하여 직접 확산되기 때문에 그 선택의 자유도는 크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의 동기용부호 등을 파일럿신호로서 적용할 수 있다. 혹은 톤신호처럼 단일주파수의 디지털신호를 사용하여도 좋다.
확산부호발생기(42)는, CDMA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확산부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광대역 CDMA(Wideband CDMA: W-CDMA) 무선통신방식을 전제로 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부호발생기(42)는 롱코드(LC) 및 쇼트코드(SC)를 생성하는 롱코드발생기(42A), 쇼트코드발생기(42B) 및 롱코드와 쇼트코드를 승산하여, 확산부호(SPC)를 출력하는 승산기(42C)로 구성된다. 쇼트코드(SC)는 각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각각의 셀에 공통의 직교부호이고, 롱코드(LC)는 각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각각의 셀에서 다른 직교부호이다. 쇼트코드(SC)는 일반적으로 주기가 짧은 직교부호가 사용되고, 롱코드(LC)에서는 일반적으로 주기가 긴 직교부호가 사용된다.
제 1 파일럿신호(PLS1)와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구별은, 다른 확산부호에 의하여 행한다. 예를 들면, 쇼트코드로서는, 각 에어리어내의 모든 셀에 동일한 확산부호를 할당하기 때문에, 주로 다른 롱코드(LC)에 의하여 제 1 파일럿신호와 제 2 파일럿신호를 구별한다.
구체적인 피드포워드 증폭기로 사용하는 확산부호의 사용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하나의 서비스 에어리어내의 롱코드에 의하여 구별된 복수의 셀(CEL)의 예를 도시한다. 각 셀(CEL)에는 기지국(BS)를 하나씩 배치하고, 각각 다른 롱코드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롱코드(LC1∼LC5)를 할당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구비한 기지국(BS)의 하나는, 롱코드(LC5)를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기지국(BS)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있어서, 확산부호발생기(42)가 파일럿신호발생에 사용하는 확산부호로서는, 송신신호에의 파일럿신호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에 할당된 예를 들면 롱코드(LC1)를 사용한다. 각 롱코드는 서로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럿신호에 의한 송신신호에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파일럿신호의 레벨은, 송신신호에 비하여 -60dB 이하와 같이 대단히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가령 파일럿신호가 기지국 안테나로부터 전파로서 방사되더라도, 송신신호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이다. 물론, 롱코드(LC1)를 사용하는 에어리어에 대하여도 현실적인 기지국간 거리로 보아서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7에 하나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롱코드와 쇼트코드의 조(組)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공통의 롱코드(LC1)를 쇼트코드(SC1, SC2, …, SCN)와의 조로 송신신호의 확산에 사용하고, 롱코드(LC2)를 쇼트코드 예를 들면 SC1와의 조로 파일럿신호의 확산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파일럿신호는, 종래의 파일럿신호와 달리 송신신호에 중첩된다. 이들 확산부호에 대하여는, 동일한 확산부호로 초기위상이 다른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4의 설명에서, 파일럿부호(PL1)와 확산부호(SPC)를 디지털승산기(43)에 의하여 승산하여 파일럿신호(PLS1)를 생성한다. 이로서, 파일럿부호(PL1)는 롱코드 및 쇼트코드로 이루어지는 확산부호(SPC)에 의하여 직접 스펙트럼확산된다. 파일럿신호(PLS1)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4)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저역통과필터(45)에 의하여 대역제한된다. 저역통과필터(45)의 출력은 주파수변환기(46)에 의하여 주파수변환된다. 제 1 파일럿신호(PLS1)의 경우는 송신대역으로 주파수변환되고,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경우는 송신대역외에 주파수변환되고, 각각의 파일럿신호는 대역통과필터(47)에서 소정의 대역 이외의 성분이 제거되고,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베이스밴드 디지털신호를 소망의 예를 들면 송신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접속된 D/A 변환기(44), 저역통과필터(45), 주파수변환기(46) 및 대역통과필터(47)를 포함하는 블록(4X)을 신호변환기라 부르기로 한다.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도 3중의 파일럿 다중화기(32)에 있어서 입력된 송신신호(ST)와 다중화되고, 입력경로(8)에 입력된다. 한편, 제 2 파일럿신호(PLS2)는 주증폭기(19)내의 주입회로(35)에 있어서 주 증폭기신호경로(13)에 입력된다. 도 4에 도시한 구성의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는 후술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도 5에 제 1 파일럿레벨검출기(601)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2)의 구성은, 제 1 파일럿레벨검출기(601)의 구성과 같으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제 1 파일럿레벨검출기(601)는, 대역통과필터(67), 주파수변환기(61), 저역통과필터(62),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63), 디지털승산기, 확산부호발생기(65), 및 파일럿부호검출기(66)로 구성된다. 블록(67, 61, 62, 63)은 입력된 송신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6X)를 구성하고 있다. 확산부호발생기(65)는 도 4의 확산부호발생기(42)와 같은 구성이고, 롱코드발생기(65A)와, 쇼트코드발생기(65B)와, 승산기(65C)로 구성되고, 확산부호발생기(401)와 같은 확산부호(SPC)를 발생한다. 따라서, 실제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의 각 확산신호발생기(65)를 생략하고, 도 3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의 각 확산부호발생기(42)(도 4)에서 발생한 확산부호를 각각 제 1 및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의 승산기(64)에 부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3중의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3, 36)의 각 출력은, 대역통과필터(67)에 의하여 소정의 대역 이외의 성분이 제거되어 주파수변환기(61)에 입력된다. 주파수변환기(61)에서는 추출된 파일럿신호를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변환기(61)의 출력은, 저역통과필터(62)에 입력되고, 대역제한된다. 저역통과필터(62)의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3)에 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확산부호발생기(65)에 의하여 생성된 확산부호(SPC)를 디지털승산기(64)에서 승산하고, 역 환산을 행한다. 확산부호(SPC)는, 각각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에서 사용한 확산부호와 같아야 한다. 역확산된 파일럿신호(PL1)는, 파일럿부호로서 파일럿부호검출기(66)에 의하여 검출된다. 파일럿부호검출기(66)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협대역필터, 어떤 종류의 상관검출기등의 종래의 CDMA용 디바이스를 유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의 구성은 후술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a∼8f는 도 4 및 5의 각부에 있어서 제 1 파일럿 신호와 송신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파일럿부호발생기(41)의 출력인 제 1 파일럿부호(PL1)의 스펙트럼의 예를 도 8a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톤(단일주파신호)으로 되는 스펙트럼이다. 확산부호(SPC)를 사용하여 직접 확산한 파일럿신호(PLS1)의 스펙트럼을 도 8b에 도시한다. 저역통과필터(45)의 출력을 주파수변환한 출력을 도 8c에 도시한다. 확산된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송신주파수대역(FB)내에 변환된다. 주증폭기(19)로 제 1 파일럿신호와 송신신호는 전력증폭된다. 주증폭기(19)의 출력스펙트럼을 도 8d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4 캐리어 증폭의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8d와 같이 하나의 캐리어의 송신신호(ST)에 제 1 파일럿신호(PLS)가 중첩되어 있다. 도 5의 저역통과필터(62)의 출력을 도 8e에 도시한다. 도 8e에서는 송신대역에서 베이스 밴드역으로 주파수 변환되고, 제 1 파일럿 신호를 중첩한 송신신호를 대역제한하고, 추출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고, 확산부호에 의하여 역확산된 출력을 도 8f에 도시한다. 이 도면과 같이, 송신신호에 중첩한 제 1 파일럿부호(PL1)를 디지털신호처리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도 9a∼9f에 제 2 파일럿 신호의 각부에 있어서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제 1 파일럿 신호발생기(402)에 있어서 파일럿부호발생기(41)가 출력하는 제 2 파일럿신호(PL2)의 스펙트럼을 도 9a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톤으로 되는 스펙트럼이다. 확산부호를 사용하여 제 2 파일럿신호(PL2)를 직접 확산하여 얻은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스펙트럼을 도 9b에 도시한다. 저역통과필터(45)(도 4)의 출력을 주파수 변환하여 얻은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스펙트럼을 도 9c에 도시한다.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는 송신주파수대역(FB)에 인접한 대역에 주파수 변환된다. 주 증폭기(19)의 출력스펙트럼을 도 9d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주증폭기(19)에 의한 비선형성 왜곡성분(DM)이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PLS2)을 메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저역통과필터(62)의 출력스펙트럼을 도 9e에 도시한다. 도 9e에서는, 송신대역외로부터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변환된 주증폭기(19)가 발생하는 비선형성 왜곡성분(DM)과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PLS2)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저역통과필터(62)에 의하여 대역 제한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확산부호에 의하여 역확산된 출력의 스펙트럼을 도 9f에 도시한다. 이 도면과 같이 주증폭기(19)가 발생시키는 대역외의 비선형성 왜곡성분(DM)에 메워져 있는 제 2 파일럿신호(PL2)를 디지털신호처리에 의하여 추출된다.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로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도 4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에서는, 파일럿부호발생기(41)에 있어서, 파일럿 부호를 오류정정용 부호기(49)로 부호화하여 파일럿부호를 얻는다. 오류정정용 부호기(49)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BCH부호, 접어넣기 부호등의 부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오류정정 부호화한 경우는, 이것과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를 어느 것이나 도 11에, 도 5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도록 구성한다. 즉 디지털 승산기(64)로부터의 역확산출력은 복호기(68)로 복호처리되어, 파일럿부호검출기(66)로 공급된다. 복호기(68)로서는 도 10중의 오류정정용 부호기(49)에 대응하고, 블록부호용 복호기, 비타비 알고리즘에 의한 접어넣기 복호기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파일럿신호발생기(401, 402)로서 오류정정부호화를 행하는 도 10의 구성 및 파일럿레벨검출기(601, 602)로서 오류정정 부호화에 대한 복호를 행하는 도 11의 구성은 후술의 모든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에 있어서 오류정정 부호화 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오류정정 부호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파일럿신호의 검출 정밀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세로축에 부호 오류율, 가로축에 신호대 잡음전력비(Signal-to-Noise Power Ratio: SNR)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SNR로 부호 오류율을 개선하고 있다. 이는,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하므로 적은 파일럿신호레벨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서, 파일럿신호레벨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술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송신신호는 고주파신호(캐리어 변조를 행한 송신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제 1 파일럿 다중화기(32)(도 3)를 통하여 전력분배기(25)에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입력송신신호가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신호의 경우는, 제 1 파일럿신호발생기(401)를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수가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제 1 파일럿신호발생기(401)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승산기(43)와 D/A변환기(44)와의 사이에 가산기(48)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외부에 설치된 변조기(100)로부터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송신신호(ST)가 가산기(48)에 주어지고, 승산기(43)로부터의 확산된 파일럿신호(PLs1)와 가산된다. 그 가산결과는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D/A변환기(44)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로패스 필터(45)에서 대역을 제한하고, 주파수변환기(46)로 고주파신호로 변환된다. 변환출력은 대역통과필터(47)에 의하여 소정대역 이외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고, 제 1 파일럿신호(PLS1)와 송신신호(ST)가 다중화되어 전력분배기(25)(도 3)에 공급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이와 같은 파일럿신호발생기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도 13에 있어서는, 이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우에, 승산기(43)의 출력으로부터 파일럿신호발생기(401)의 밖으로 취출되는 베이스밴드의 파일럿신호(PLS1)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파일럿과 제 2 파일럿의 조합은 직접확산된 파일럿신호와 직접확산되지 않는 파일럿신호일지라도 좋다. 또, 제 1 파일럿과 제 2 파일럿의 주입하는 대역은, 송신주파수 대역내에서나 밖에서도 좋다.
(제 2 실시예)
송신신호에 파일럿신호를 다중하는 경우는,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규격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특히, CDMA 무선통신에 있어서, 수신대역내 잡음 전력의 증가는 가입자용량의 감소로 된다. 따라서, CDMA용 피드포워드 증폭기에서는, 송신신호에 대하여 충분히 낮은 파일럿신호 레벨로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파일럿신호레벨 검출의 정밀도가 낮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점을 개선하는 실시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도 14에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파일럿 신호를 송신신호와 다중화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증폭기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구성에 송신신호를 캔슬하는 송신신호제거 경로(70)가 다시 추가되어 있을 뿐이므로, 제 1 실시예와 공통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송신신호 제거경로(70)는 전력분배기(71), 가변감쇠기(72), 가변위상기(73), 보조증폭기(74)와 전력합성기(75)로 구성된다. 전력합성기(75)는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와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2)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의 출력과 송신신호 제거경로(70)를 경유하여 주어진 송신신호성분을 전력합성하고,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2)에 부여한다.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입력되는 송신신호(ST)를 전력분배기(71)로 입력경로(8)와 송신신호제거경로(70)로 분배하고, 송신신호제거경로(70)를 지나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전기장과, 주증폭기신호경로(13) 및 주신호경로(15) 및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전기장과 같게, 역위상이 되도록, 즉,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기(39)에 의하여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를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이로서 전력합성기(75)에서는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의 출력중의 송신신호성분이 송신신호제거경로(70)를 경유하여 부여된 송신신호에 의하여 어느 정도 캔슬할 수 있다. 그 캔슬의 정도는, 보조증폭기(74)로 조정한다. 이로서, 확산된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1 파일럿 레벨검출기(611)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를 조정하고, 더욱더, 제 2 파일럿레벨검출기(602)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22)와 가변위상기(23)를 조정한다. 기타의 구성은 도 3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5에 도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파일럿신호의 각부에 있어서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파일럿부호발생기(41)가 출력하는 제 2 파일럿부호(PL2)의 스펙트럼을 도 15a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톤으로 되는 스펙트럼이다. 확산부호(SPC)를 사용하여 직접확산한 파일럿신호(LPS2)의 스펙트럼을 도 15b에 도시한다. 저역통과 필터(45)의 출력을 주파수변환한 출력스펙트럼을 도 15c에 도시한다. 확산된 제 2 파일럿 신호(LPS1)는 송신주파수대역(FB)으로 주파수 변환된다.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의 출력스펙트럼을 도 15d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4 캐리어 증폭의 경우를 상정한다. 도 15d와 같이, 송신신호(ST)에 제 2 파일럿 신호가 중첩되어 있다. 도 15e에서는, 송신신호 제거경로(70)의 보조증폭기(74)의 출력과 제 1 파일럿신호 추출기(36)의 출력을 전력합성기(75)로 합성한다. 이때, 보조증폭기(74)가 포함되는 송신신호 제거경로(70)의 전기장과, 주증폭기신호경로(13) 및 주신호경로(15)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경로의 전기장을 같게 동시에 역위상에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를 제어기(39)로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이로서, 확산된 제 2 파일럿 신호가 다중화된 송신신호(ST)가 도 1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억압된다. 도 5의 저역통과필터(62)의 출력 스펙트럼을 도 15f에 도시한다. 도 15f는, 송신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변환된 송신신호성분과 제 2 파일럿신호(PLS2)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제 2 파일럿신호(PLS2)를 중첩한 송신신호(ST)는 저역통과 필터(62)로 대역제한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어, 확산부호(SPC)에 의하여 역확산된 출력의 스펙트럼을 도 15g에 도시한다. 이 도면과 같이 송신신호(ST)에 중첩한 제 2 파일럿부호(PL2)를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파일럿신호발생기(31, 34)로서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4에 도시한 제 2 파일럿신호의 레벨검출에 있어서 송신신호를 억압하는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모든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 도 13에 도시한 베이스밴드로 송신신호와 파일럿신호를 다중하는 경우의 파일럿신호발생기(411)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ST)와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서 가산기(48)로 다중되고, 다음에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송신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도 16에 있어서 전력분배기(25)에 입력된다. 한편, 베이스밴드 디지털송신신호(ST)는 도 13에 있어서 신호변환부(4X)와 같은 구성의 신호변환부(4X")에도 입력되고, 동일하게 송신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가변 감쇠기(72)에 입력된다. 이 송신신호는 가변위상기(73), 보조 증폭기(74)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75)에 주어지고, 제 2 파일럿신호추출기(36)의 추출 출력중의 송신신호성분을 캔슬한다. 이 실시예의 기타부분의 동작, 제어등은, 도 14, 15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송신신호와 파일럿신호를 디지털신호로서 다중화하더라도 송신신호를 캔슬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파일럿 신호추출기(33)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 1 파일럿신호성분 이외에, 검출된 억압되지 않는 증폭기 왜곡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제 1 파일럿레벨검출에 있어서 잡읍으로서 작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점을 개선한 실시예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의 실시예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대하여, 더욱더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A)와 파일럿신호 제거경로(150B)가 설치된 것이다. 증폭기출력신호 제거경로(150A)는 전력분배기(55), 전력합성기(56), 전력분배기(57), 가변감쇠기(58), 가변 위상기(59), 및 전력합성기(81)로 구성된다. 주증폭기(19)의 출력이 전력분배기(55)로 전력합성기(26)와 전력합성기(56)로 분배되고 전력합성기(56)의 출력은 전력분배기(57)에 의하여 가변감쇠기(58)와 레벨검출기(82)로 분배되고, 가변감쇠기(58)의 출력은 가변위상기(59)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어지고 파일럿신호추출기(33)인 전력분배기의 출력과 합성되어, 그 전력합성기(81)의 출력은 제 1 파일럿레벨검출기(601)로 공급된다.
파일럿신호제거경로(150B)는, 전력분배기(51), 가변감쇠기(52), 가변위상기(53), 보조증폭기(54), 전력합성기(56)로 구성된다. 파일럿신호발생기(401)가 발생시키는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전력분배기(51)로 파일럿다중화기(32)와 가변감쇠기(52)로 분배된다. 가변감쇠기(52)의 출력은 가변위상기(53), 보조증폭기(54)를 통하여 전력합성기(56)로 공급되고, 전력분배기(55)로부터의 증폭기출력과 합성된다. 전력분배기(57)의 출력은, 레벨검출기(82)에 입력된다. 레벨검출기(82)의 출력은, 제어기(39)에서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파일럿신호레벨의 검출동작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파일럿 신호레벨의 검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17중의 제어기(39)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동하여, 가변감쇠기(17, 52, 58) 및 가변위상기(18, 53, 59)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의 원리적인 플로우챠트이다.
이 플로우챠트는, 4개의 단계로 구성된다. 제 1 단계는, 레벨검출기(82)로 검출된 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를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1, S2). 이와 같은 제어방법으로서, 섭동법, 최급강하법, 최소자승 추정법 등의 각종 최적치로 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주지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어에 의하여,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는, 전력합성기(56)에 있어서 주증폭기(19)의 출력으로부터 입력되는 파일럿신호성분과, 보조증폭기(54)로 부터 파일럿신호가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즉, 레벨검출기(82)에 의한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조정된다. 이로서, 증폭기출력신호 제거경로(150A)중의 파일럿신호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전력합성기(56)의 출력중에 잔류하고 있는 신호성분은 송신신호성분과 주증폭기(19)가 발생하는 왜곡성분이다.
다음에 제 2 단계는, 제 1 레벨검출기(601)로 검출된 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58) 및 가변위상기(59)를 제 1 단계와 동일하게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3, S4). 이때, 제 1 파일럿신호 추출기(33)의 출력에는 주증폭기(19)에 의한 왜곡성분과, 억압된 송신신호성분 및 제 1 파일럿 신호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전력합성기(81)에 있어서, 가변위상기(59)의 출력이, 제 1 파일럿신호추출기(33)의 출력과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제어기(39)로 제어된다. 제 1 레벨검출기(601)의 출력을 최소로 함으로써, 전력합성기(81)에 있어서 주증폭기(19)가 발생한 왜곡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합성기(81)의 출력은 거의 제 1 파일럿 신호성분과 송신신호성분만으로 된다.
제 3 단계에서는, 제 1 레벨검출기(601)의 출력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제어한다(S5, S6).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조정하면, 가변감쇠기(52)와 가변위상기(53)로 앞서 조정한 최적치가 어긋나버리기 때문에,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의 조정에 연동하여 가변감쇠기(52)와 가변위상기(53)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 연동제어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의 조정량을 그대로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에 대하여 적용하면 된다. 그 결과, 억압된 송신신호와 파일럿신호만을 제 1 레벨검출기(601)로 검출할 수 있다. 이는, 레벨검출기(82)의 입력신호성분이 주증폭기에 의한 왜곡성분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S4, S4)의 처리에 의하여 전력합성기(81)에 있어서 주증폭기(19)가 생성한 왜곡성분이 캔슬되므로, 파일럿 신호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제 4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 1 ∼제 3 단계를 반복행한다. 이로서, 파일럿 검출 정도의 안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이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어느 것이나 레벨검출기(601, 82)의 출력레벨을 최소로 제어하지만 소정의 전기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는 최소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최소치 부근이라도 관계하지 않는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레벨검출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하나의 레벨검출기를 시간으로 분할사용하여도 관계하지 않다.
(제 5 실시예)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에 도 13에 도시한 파일럿신호발생기(411)를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ST)와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각각 디지털신호로서 가산기(48)로 다중되고, 다음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송신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도 19에 있어서 전력분배기(25)에 입력된다. 한편, 승산기(43)로 확산된 파일럿신호(PLS1)는 도 13에 있어서 신호변환부(4X)와 같은 구성의 신호변환부(4X')에도 입력되고, 동일하게 송신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파일럿신호제거경로(150B)의 가변감쇠기(52)에 입력된다. 이 파일럿신호(PLS1)은 가변위상기(53), 보조증폭기(54)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56)에 주어지고, 주 증폭기출력신호제거경로(150A)를 지나는 파일럿신호성분을 캔슬한다. 이 실시예의 기타부분의 동작, 제어등은 도 17, 18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송신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베이스밴드 디지털신호로서 다중화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증폭기출력신호 제거경로(150A)중의 파일럿신호를 캔슬할 수가 있다.
(제 6 실시예)
도 20에 본 발명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 3 실시예(도 17)에 대하여 도 14에서 도시한 송신신호제거경로(70)가 다시 부가되어 있다. 송신신호제거경로(70)는, 파일럿 다중화기(32)의 입력측에 직열로 설치된 전력분배기(71)와, 이로서 분배된 송신신호가 순차로 통과하는 가변감쇠기(72), 가변위상기(73), 보조증폭기(74)의 직열접속과, 보조증폭기(74)의 출력이 공급되는 전력합성기(75)를 포함한다. 전력합성기(75)는 전력합성기(81)의 출력과 보조증폭기(74)의 출력을 합성하여 제 1 레벨검출기(601)로 출력한다. 제어기(39)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대상에 더하여, 가변감쇠기(72)와 가변위상기(73)를 더욱더 제어한다. 그 제어동작에 대하여는, 도 21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제 4 실시예의 제어수순은, 도 18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제어수순에 있어서 제 2 단계(단계 S3, S4)후에 이하의 단계(단계 S7, S8)를 추가한다. 이하, 단계(S7, S8)를 제 3 단계로 하고, 도 18중의 제 3 단계(단계 S5, S6)를 제 4 단계, 도 18중의 제 4 단계(단계 S1∼S6의 반복)을 제 5 단계로 한다.
제 3 단계는,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를 제 1 레벨검출기(601)의 출력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한다(S7, S8). 이로서, 전력합성기(81)의 출력을 입력하는 전력합성기(75)에 있어서, 그 양입력이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로 조정된다. 그 결과, 경로(150A)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송신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는,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제 1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앞서 조정한 가변감쇠기(52, 72) 및 가변위상기(53, 73)의 최적 조정점으로부터의 어긋남에 대하여는, 도 17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에서의 조정량을 그래도 가변감소기(52, 72)와 가변위상기(53, 73)에 설정함으로써 조정한다.
이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어느 것이나 레벨검출기(601, 82)의 출력을 최소로 제어하지만, 소정의 전기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는 최소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최소치 부근이라도 관계하지 않는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레벨검출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하나의 레벨검출기를 시간으로 분할 사용하여도 관계하지 않다.
도 17, 20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송신신호(ST)와 확산된 제 1 파일럿 신호(PLSI)는, 전력분배기(25)로 주증폭기 신호경로(13)와 선형신호경로(14)로 분배된다. 주증폭기 신호경로(13)에서는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와 주증폭기(19)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선형신호경로(14)에 있어서는 지연선로(28)와 위상반전회로(29)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경로(13, 14)의 신호를 전력합성/분배기(26)로 합성하고, 왜곡주입경로(16)에 있어서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에 입력한다.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는, 파일럿 다중화기(32)와 동일하게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구성된다.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의 도시하지 않는 대역통과필터로 파일럿 신호의 대역 성분을 여파하여 추출된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 22a에 도시한다. 왜곡성분(DM)은 억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억압되어 있는 송신신호(ST) 및 제 1 파일럿 신호(PLSI)에 대하여 비교적 큰 레벨로 되어 있다.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의 출력은,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A)를 경유한 신호, 즉 가변감쇠기(58)와 가변위상기(59)로 등진폭, 등지연특성, 역위상으로 조정한 신호와 합성된다. 그 합성신호의 스펙트럼을 도 22b에 도시한다.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증폭기(19)로 발생한 왜곡(DM)과 송신신호(ST)가 어느 정도 억압되고, 그만큼 제 1 파일럿신호(PLSI)의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도 20의 실시예의 경우는, 송신신호 제거경로(70)의 신호와 전력합성기(81)의 출력신호를 전력합성기(75)에 의하여 전력합성한다. 송신신호 제거경로(70)에서는, 전력합성기(75)의 양입력신호가 등진폭, 등지연, 역위상으로 되도록 제어기(39)로 가변감쇠기(72)와 가변위상기(73)가 조정된다. 전력합성기(75)의 출력스펙트럼의 일예를 도 23a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신호 제거경로(70)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전력합성기(75)에 의하여 전력합성기(81)로부터의 출력과, 등진폭, 등지연, 역위상으로 합성하는 것으로, 경로(150A)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송신신호성분이 캔슬되어 그 레벨이 저하한다. 이로서 파일럿 신호의 검출을 더욱더 용이하게 한다.
전력합성기(75)의 출력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제 1 파일럿 레벨검출기(601)에 입력된다. 대역 통과 필터(67)로 여파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61)에 의하여 베이스 밴드로 주파수 변환된다. 저역통과필터(62)로 여파한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 23b에 도시한다. 이때, 확산된 제 1 파일럿 신호(PLS1)와 송신신호(ST)가 중첩되어 있다. 베이스 밴드에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3)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쇼트코트(SC) 및 롱코드(LC)로부터 생성된 확산부호(SPC)에 의하여 승산기(64)로 승산되어 역확산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래의 제 1 파일럿 부호(PL1)가 복조되고, 역확산 처리된 신호로부터 이 제 1 파일럿 부호(PL1)의 성분을 다른 송신신호(ST)와 분리하여 추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도 20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신호(ST)의 영향을 억제하고 고감도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할 수가 있다. 또, 송신신호(ST)를 억압하여 역확산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파일럿 신호의 레벨을 저하할 수가 있다. 이는, 장치의 동작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본래 무용한 파일럿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하지 않고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에 도 10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오류정정용 부호기(49)를 갖는 파일럿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파일럿 레벨검출기(601)에 도 11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복호기(66)를 갖는 파일럿 레벨검출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 7 실시예)
도 24는 도 20의 실시예에 도 13에서 도시한 파일럿 신호발생기(411)를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구성은, 도 19의 실시예의 구성에 도 16에서 도시한 송신신호 제거경로(70)를 부가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ST)와 제 1 파일럿신호(PLS1)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서 가산기(48)에서 다중되고, 다음에 신호변환부(4X)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다음 송신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되어, 도 24에 있어서 전력분배기(25)에 입력된다. 한편, 승산기(43)로부터의 파일럿 신호(LPS1)는 신호변환부(4X)(도 13)와 같은 구성의 신호변환부(4X')를 통하여 파일럿 신호 제거경로(150B)의 가변감소기(52)에 주어지고, 변조기(100)로부터의 송신신호(ST)는 신호변환부(4X)와 같은 구성의 신호변환부(4X")를 통하여 송신신호 제거경로(70)의 가변감쇠기(72)에 주어진다. 따라서, 주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A)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어지는 신호중의 파일럿 신호성분을 캔슬할 수 있고, 또 경로(150A)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어지고,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신호중의 송신신호성분을 캔슬할 수가 있다.
(제 8 실시예)
도 25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하다. 이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증폭기출력신호 제거경로(150B)와 파일럿신호 주입경로(150D)가 부가되어 있다.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C)는 전력분배기(55), 가변감쇠기(58), 가변위상기(59), 및 전력합성기(81)로 구성된다. 즉 주증폭기(19)의 출력이 전력분배기(55)로 전력합성기(26)와 가변감쇠기(58)로 분배되고, 가변감쇠기(58)의 출력은 가변위상기(59)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어지고,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인 전력분배기로부터 스위치(86)를 통하여 주어진 추출출력과 합성된다.
파일럿신호 주입경로(150D)는, 전력분배기(51)와 가변감쇠기(52)와 가변위상기(53)와 보조증폭기(54)와 전력합성기(84)에 의하여 구성된다. 즉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는 전력분배기(51)에 의하여 제 1 파일럿 다중화기(32)와 가변감쇠기(52)로 분배되고, 가변감쇠기(52)의 출력은 가변위상기(53)를 통하여, 더욱더 보조증폭기(54)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4)로 전력합성기(81)의 출력과 합성된다. 전력합성기(84)의 출력은, 레벨검출기(601)에 입력된다. 레벨검출기(601)의 출력은, 제어기(39)로 가변감쇠기(17, 58, 52) 및 가변위상기(18, 59, 53)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1 파일럿 다중화기(32)의 입력측에 스위치(85)가 직열로 삽입되어 있다. 도 25의 동작에 대하여는, 다음의 도 26에 도시하는 제어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도 25중의 제어기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생략) 등을 구동하고 가변감쇠기(17, 58, 52) 및 가변위상기(18, 59, 53)와, 스위치(85, 86)와, 파일럿신호발생기(401)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의 원리적인 플로우챠트이다.
이 플로우챠트는 4단계로 구성된다. 제 1 단계는 스위치(85, 86)를 온으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의 출력을 오프로 하였을 때(S1), 레벨검출기(601)로 검출된 레벨을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58) 및 가변위상기(59)를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2, S3). 이와 같은 제어로서, 섭동법, 최급강하법, 최소자승추정법 등의 각종 최적치로 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가변감쇠기(58) 및 가변위상기(59)는, 그 출력이 전력합성기(81)에 있어서, 스위치(86)의 출력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제어기(39)에서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을 사용하면서 조정된다. 왜곡주입경로(16)에서 얻어지고 있는 신호성분은 억압된 송신신호성분과 주증폭기(19)가 발생한 왜곡성분(억압되어 있지 않는)이지만, 거의 왜곡성분만이라고 간주할 수가 있다. 한편,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C)에서 얻어지고 있는 신호성분은, 억압되어 있지 않는 송신신호성분과 주증폭기(19)가 발생한 왜곡성분(억압되어 있지 않는)이다. 따라서,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로 추출된 신호성분으로부터 주증폭기(19)에서 발생한 왜곡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잔류하고 있는 신호성분은 송신신호성분이다.
다음에 제 2 단계는, 스위치(85, 86)를 오프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S4), 제 1 파일럿 레벨검출기(601)로 검출된 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를 제 1 단계와 동일하게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5, S6). 이때,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로부터 주증폭기(19), 전력분배기(55), 가변감쇠기(58), 가변위상기(59), 전력합성기(81)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84)에 이르는 신호경로를 파일럿 신호 제 1 경로로 부르기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로부터의 제 1 파일럿신호(PLS1)가 가변감쇠기(52), 가변위상기(53), 보조증폭기(54)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84)에 이르는 파일럿 신호 주입경로(150D)를 파일럿 신호 제 2 경로라 부른다. 가변감쇠기(52) 및 가변위상기(53)는 파일럿 신호 제 1 경로의 출력(보조증폭기(54)의 출력)과 전력합성기(81)의 출력이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제어기(39)에서 제어되고,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을 최소로 하는 것으로,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C)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81)에 입력되는 제 1 파일럿 신호 성분을 대폭 제거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는, 스위치(85, 86)를 온으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를 온으로 하고(S7),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로 제 1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그 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제어한다(S8, S9).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조정하면, 가변감쇠기(52, 58)와 가변위상기(53, 59)에서 조정한 최적치가 어긋나기 때문에,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의 조정에 연동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 연동제어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변감쇠기(17)와 가변위상기(18)의 조정량을 그대로 가변감쇠기(52, 58) 및 가변위상기(53, 59)에 적용하면 된다. 그 결과,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로 추출된 억압된 송신신호성분과 제 1 파일럿 신호 성분만을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로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의 입력신호가 왜곡검출출력과 동등한 신호이고, 동시에 왜곡성분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또 본래 캔슬되어 있는 송신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할 수가 있다.
제 4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 1 단계로부터 제 3 단계를 반복행한다. 이로서, 파일럿 검출 정밀도의 안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이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어느 것이나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을 최소로 제어하지만, 소정의 전기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는 최소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최소치 부근 일지라도 상관하지 않는다.
(제 9 실시예)
도 27은 도 25의 실시예에 도 13에서 도시한 파일럿 신호 발생기(411)를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ST)와 제 1 파일럿 신호(PLS1)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서 가산기(48)에서 다중되고, 다음에 블록(44∼4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송신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도 27에 있어서 전력분배기(25)에 입력된다. 한편, 승산기(43)로 확산된 파일럿 신호(PLS1)는 도 27에 신호변환부(4X)와 같은 구성의 신호변환부(4X')에도 입력되고, 동일하게 송신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변환되어 파일럿신호 제거경로(150D)의 가변감쇠기(52)에 입력된다. 이 파일럿신호(PLS1)는 가변위상기(53), 보조증폭기(54)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84)에 주어지고, 주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A)를 통하고, 전력합성기(81)를 경유하여 전력합성기(84)에 이르는 신호중의 파일럿 신호성분을 캔슬한다. 이 실시예의 기타 부분의 동작, 제어등은 도 25, 26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27에 도시한 송신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다중화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A)중의 파일럿 신호를 캔슬할 수가 있다.
(제 10 실시예)
도 28의 실시예는, 도 25의 실시예에 도 20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한 송신신호 제거경로(70)를 추가한 것이다. 송신신호 제거경로(70)는 파일럿 다중화기(32)의 입력측에 설치된 전력분배기(71)는 그 입력을 파일럿 다중화기(32)와 스위치(87)로 분배하고, 스위치(87)의 출력은 가변감쇠기(72), 가변위상기(73), 보조증폭기(74)를 차례로 통하여 전력합성기(75)에 주어지고, 전력합성기(84)의 출력과 합성되어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로 공급된다. 제어기(39)는 도 2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대상에 더하여, 스위치(87), 가변감쇠기(72)와 가변위상기(73)를 더욱더 제어한다. 그 제어동작에 대하여, 도 29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9의 제어수순은, 도 29에서 도시한 제어수순의 제 2 단계(단계 S4, S5, S6)의 직후에 이하 설명하는 단계(S10, S11, S12)를 제 3 단계로서 삽입한다. 그 제 3 단계뒤에, 도 26의 제 3 단계(단계 S7, S8, S9)를 제 4 단계로서 계속한다.
이 제 3 단계는 스위치(85, 86, 87)를 온으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의 출력을 오프로 하고 (S10), 제 1 파일럿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을 최소로 하도록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를 제어한다(S11, S12). 이로서, 송신신호 제거경로(70)를 경유하여 주어지는 송신신호를 제 1 파일럿 신호 추출기(33)로 추출되어 스위치(86), 전력합성기(81, 84)를 경유하여 주어지는 신호중의 송신신호성분이 전력합성기(75)로 등진폭, 등지연 및 역위상이 되도록 가변감쇠기(72) 및 가변위상기(73)가 조정된다. 그 결과, 전력합성기(75)에 있어서, 제 2 단계로 잔류한 송신신호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스위치(87)를 오프로 하는 대신에 가변감쇠기(72)에 의하여 감쇠를 최대로 설정하여도 좋다. 즉 가변감쇠기(72)는 스위치(87)를 겸용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는, 스위치(85, 86, 87)를 온으로 하고, 제 1 파일럿 신호 발생기(401)를 온으로 하여(S7), 레벨검출기(601)의 출력이 최소로 되도록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를 제어한다(S8, S9). 이때, 가변감쇠기(52, 72) 및 가변위상기(53, 73)의 최적 조정점으로부터의 어긋남에 대하여는, 도 26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변감쇠기(17) 및 가변위상기(18)에서의 조정량을 그대로 가변감쇠기(52, 72)와 가변위상기(53, 73)에 적용한다.
이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어느것이나 레벨 검출기(601)의 출력을 최소로 제어하지만, 소정의 전기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는 최소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최소치 부근일지라도 상관 없다.
(제 11 실시예)
도 30은 도 28의 실시예에 도 13에서 도시한 파일럿 신호 발생기(411)를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구성은, 도 27의 실시예의 구성에, 도 16에서 도시한 신호변환부(4X")를 포함하는 송신신호 제거경로(70)를 스위치(87)를 통하여 부가한 것과 같은 것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ST)와 제 1 파일럿 신호(PLS1)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서 가산기(48)에서 다중되고, 다음에 블록(44-47)에 있어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분배기(25)에 입력된다. 한편, 승산기(43)로부터의 파일럿 신호(LPS1)는 신호 변환기(4X')를 통하여 파일럿 신호 제거경로(150D)의 가변감쇠기(52)에 주어지고, 변조기(100)로부터의 송신신호(ST)는 스위치(87) 및 신호변환부(4X")를 통하여 송신신호 제거경로(70)의 가변감쇠기(72)에 주워진다. 따라서, 주증폭기 출력신호 제거경로(150C)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워지는 신호중의 파일럿 신호성분을 캔슬할 수 있고, 또 경로(150C)를 통하여 전력합성기(81)에 주어지고, 전력합성기(75)에 이르는 신호중의 송신신호성분을 캔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CDMA방식을 사용한 이동통신방식의 기지국 공통 송신전력증폭기에 적용할 수 있는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실현할 수 있다. 파일럿 신호는 송신신호에 간섭등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도 파일럿 신호에 중첩하고 있는 왜곡성분을 캔슬하고, 동시에 역 확산처리에 의하여 파일럿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있어서 왜곡보상의 최적 동작점의 설정과 증폭동작의 높은 안정화에 관한 자동조정을 고정밀도 동시에 높은 신뢰로 행할 수 있다.
(1)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왜곡보상의 자동조정을 고정밀도, 동시에 고신뢰로 행할 수 있다.
(2) 파일럿 신호에 CDMA 무선통신방식에서 채용되고 있는 확산부호를 사용하므로, 송신신호와 파일럿 신호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고, 송신신호에 무용한 간섭등을 부여하지 않는다.
(3) 이 장치가 설치되는 에어리어(영역)와 다른 에어리어에 할당된 확산부호를 사용하므로, 무선통신방식에 있어서 코드의 할당방법에 하등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주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이 파일럿 신호에 중첩하고 파일럿 신호가 간섭을 받는 상태일지라도, 제 2 전력합성기의 출력측에서 상기 왜곡성분이 충분히 억압되고, 파일럿 신호를 왜곡성분에 영향받지 않고 취출할 수 있어, 고감도, 고안정한 왜곡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부호분할 다중접속신호를 증폭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이고,
    입력경로로부터 부여된 신호를 증폭하는 주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 증폭기의 비선형왜곡성분을 검출하는 왜곡검출회로와,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의하여 검출한 왜곡성분을 증폭하는 보조증폭기를 포함하고, 증폭된 상기 왜곡성분을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에 다시 주입함으로써 왜곡성분의 상쇄를 행하는 왜곡제거회로,
    제 1 파일럿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
    제 2 파일럿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파일럿신호 발생수단,
    상기 입력경로에 설치되고, 입력된 송신신호에 상기 제 1 파일럿신호를 다중화하고,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부여하는 다중화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삽입된 제 1 가변감쇠수단과 제 1 가변위상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의 상기 주증폭기의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파일럿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신호 주입수단,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삽입된 제 2 가변감쇠수단과 제 2 가변위상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의 상기 보조증폭기의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레벨검출수단,
    상기 왜곡제거회로의 출력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2 레벨검출수단, 및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은,
    미리 결정한 부호패턴의 제 1 파일럿 부호를 생성하는 부호생성수단,
    상기 제 1 파일럿 부호를 상기 부호분할 다중 접속에 의한 무선통신에 있어서 확산 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확산하는 확산수단, 및
    상기 확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증폭하는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파일럿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신호 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은,
    상기 보조증폭기의 증폭한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대역을 베이스 밴드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하는 제 2 신호 변환수단,
    상기 제 2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을 상기 확산 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역확산을 행하는 역확산수단, 및
    상기 역확산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 1 파일럿 부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부호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수단의 입력측에 있어서, 상기 왜곡검출회로의 상기 입력경로에 삽입되고, 송신신호를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송신신호를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공급하는 전력분배수단,
    상기 전력분배수단에 의해 전력분배된 다른쪽의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제 3 가변위상수단과 제 2 보조증폭수단의 직렬회로, 및
    상기 제 2 파일럿신호 추출수단의 출력과, 상기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및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파일럿신호를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제 1 파일럿신호를 상기 다중화수단에 부여하는 제 1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1 전력분배수단에 의하여 전력분배된 다른편의 제 1 파일럿신호가 입력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제 3 가변위상수단과 제 2 보조증폭수단의 제 1 직렬회로,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부여하는 제 2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2 전력분배수단의 다른편의 출력과 상기 제 1 직렬회로출력을 전력합성하는 제 1 전력합성수단,
    제 4 가변감쇠수단과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제 2 직렬회로,
    상기 제 1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제 2 직렬회로에 부여하는 제 3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3 전력분배수단의 다른편의 출력이 부여되고, 그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부여하는 제 3 레벨검출수단, 및
    상기 제 2 직렬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 1 파일럿 추출수단의 출력을 전력 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2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경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송신신호를 2개로 전력을 분배하고, 한쪽의 송신신호를 상기 다중화 수단에 입력하는 제 4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4 전력분배수단으로부터 전력분배된 다른편의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제 5 가변감쇠수단과 제 5 가변위상수단과 제 3 보조증폭수단의 제 3 직렬회로, 및
    상기 제 2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3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3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5 가변감쇠수단 및 제 5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경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고, 송신신호의 온·오프를 행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파일럿신호를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제 1 파일럿신호를 상기 다중화수단에 부여하는 제 1 전력분배수단,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부여하는 제 2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2 전력분배수단의 다른쪽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 제 3 가변위상수단의 제 1 직렬회로,
    상기 제 1 전력분배수단에 의하여 분배된 다른쪽의 제 1 파일럿신호가 입력되는 제 4 가변감쇠수단과 제 4 가변위상수단과 제 2 보조증폭수단의 제 2 직렬회로,
    상기 제 1 파일럿 추출수단의 출력에 추출한 신호의 온·오프를 행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과 상기 제 1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는 제 1 전력합성수단, 및
    상기 제 1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2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2 전력합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은 오프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의 제어량을 제 4 가변감쇠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의 제어량을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다중화수단 사이에서, 상기 입력경로에 삽입되고, 송신신호를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송신신호를 상기 다중화수단에 부여하는 제 3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3 전력분배수단으로부터 전력분배된 다른쪽의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제 3 스위치,
    상기 제 3 스위치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 5 가변감쇠수단과 제 5 가변위상수단과 제 3 보조증폭수단의 제 3 직렬회로, 및
    상기 제 2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3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3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출력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오프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5 가변감쇠수단 및 제 5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7. 부호분할 다중접속신호를 증폭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이고,
    입력경로로부터 부여된 신호를 증폭하는 주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 증폭기의 비선형왜곡성분을 검출하는 왜곡검출회로,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의하여 검출한 왜곡성분을 증폭하는 보조증폭기를 포함하고, 증폭된 상기 왜곡성분을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에 다시 주입함으로써 왜곡성분의 상쇄를 행하는 왜곡제거회로,
    송신신호와 제 1 파일럿신호의 다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경로를 통하여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부여하는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
    제 2 파일럿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파일럿신호 발생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에 삽입된 제 1 가변감쇠수단과 제 1 가변위상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의 상기 주증폭기의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파일럿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신호 주입수단,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삽입된 제 2 가변감쇠수단과 제 2 가변위상수단,
    상기 왜곡검출회로의 상기 보조증폭기의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레벨검출수단,
    상기 왜곡제거회로의 출력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2 레벨검출수단, 및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은,
    미리 결정한 부호패턴의 제 1 파일럿 부호를 생성하는 부호생성수단,
    상기 제 1 파일럿 부호를 상기 부호분할 다중 접속에 의한 무선통신에 있어서 확산 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확산하고, 베이스 밴드 제 1 파일럿신호를 생성하는 확산수단,
    상기 확산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베이스밴드 제 1 파일럿신호를 베이스밴드 송신신호로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 및
    상기 다중화수단의 출력을 상기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증폭하는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신호로 다중화한 상기 제 1 파일럿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신호 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은,
    상기 보조증폭기의 증폭한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베이스 밴드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신호 변환수단,
    상기 제 2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을 상기 확산 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역확산을 행하는 역확산수단, 및
    상기 역확산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 1 파일럿 부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부호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송신신호가 입력되고, 그것을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제 3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 3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이 부여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제 3 가변위상수단과, 제 2 보조증폭수단과의 직렬회로,
    상기 제 2 파일럿신호 추출수단의 출력과, 상기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베이스 밴드 제 1 파일럿신호가 입력되고, 그것을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 3 신호변환수단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제 3 가변위상수단와 제 2 보조증폭수단의 제 1 직렬회로,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부여하는 제 2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2 전력분배수단의 전력분배된 다른편의 출력과 상기 제 1 직렬회로출력을 전력합성하는 제 1 전력합성수단,
    제 4 가변감쇠수단과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제 2 직렬회로,
    상기 제 1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제 2 직렬회로에 부여하는 제 3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3 전력분배수단의 다른편의 출력이 부여되고, 그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부여하는 제 3 레벨검출수단, 및
    상기 제 2 직렬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 1 파일럿 추출수단의 출력을 전력 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2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및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송신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제 4 신호 변환수단,
    상기 제 4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송신신호가 부여되는, 제 5 가변감쇠수단과 제 5 가변위상수단과 제 3 보조증폭수단의 제 3 직렬회로, 및
    상기 제 2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3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3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5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제 5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의 제어량만큼 상기 제 3 및 제 5 가변감쇠수단 및 제 3 및 제 5 가변위상수단의 설정을 시프트시켜,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상기 다중화수단에 입력하는 상기 베이스밴드 송신신호를 온·오프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주증폭기의 출력을 2개로 전력분배하고, 한쪽의 출력을 상기 왜곡제거회로에 부여하는 제 2 전력분배수단,
    상기 제 2 전력분배수단의 다른쪽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 3 가변감쇠수단과 제 3 가변위상수단의 제 1 직렬회로,
    상기 확산수단의 출력이 주어지는, 제 4 가변감쇠수단과 제 4 가변위상수단과 제 2 보조증폭수단의 제 2 직렬회로,
    상기 제 1 파일럿 추출수단의 출력에 추출한 신호의 온·오프를 행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과 상기 제 1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는 제 1 전력합성수단,
    상기 제 1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2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2 전력합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송신신호가 부여되고, 그 통과의 온·오프를 행하는 제 3 스위치,
    제 3 스위치의 출력을 상기 미리 결정한 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 2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신신호가 주어지는, 제 5 가변감쇠수단과 제 5 가변위상수단과 제 3 보조증폭수단의 제 3 직렬회로,
    상기 제 2 전력합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3 직렬회로의 출력을 전력합성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제 3 전력합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3 가변감쇠수단 및 제 3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오프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감쇠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동시에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의 제어량을 상기 제 4 가변위상수단의 설정치로부터 시프트하고,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온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5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5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의 검출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포워드 증폭기가 설치되는 에어리어에 할당되고 있는 통신용의 확산부호와 다른 확산부호가 상기 확산수단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제 1 파일럿 부호를 오류정정부호화하여 상기 확산수단에 부여하는 오류정정부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벨검출수단은 상기 오류정정부호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역확산수단의 출력을 복호하고, 상기 부호검출수단에 부여하는 오류정정복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은,
    미리 결정한 제 2 부호패턴의 제 2 파일럿 부호를 생성하는 제 2 부호생성수단,
    상기 제 2 파일럿 부호를 상기 부호분할 다중접속에 의한 무선통신에 있어서 제 2 확산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확산하는 제 2 확산수단, 및
    상기 제 2 확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증폭하는 미리 결정한 또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파일럿 주입수단에 부여하는 제 2 파일럿 제 1 신호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은,
    상기 제 2 파일럿신호 추출수단의 추출출력을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파일럿 제 2 신호 변환수단,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상기 확산부호에 의하여 스펙트럼 역확산을 행하는 제 2 역확산수단, 및
    상기 제 2 역확산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 2 파일럿 부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2 부호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일럿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제 2 파일럿 부호를 오류정정 부호화하여 상기 제 2 확산수단에 출력하는 제 2 오류정정 부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수단은 제 2 역확산수단 출력을 복호화하는 상기 제 2 오류정정부호 수단에 대응하는 복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17.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검출회로는,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입력경로와, 상기 주증폭기가 삽입된 주증폭기 신호경로와, 선형 신호경로와, 상기 송신신호를 상기 증폭기신호경로와 상기 선형신호경로에 분배하는 전력분배기와, 상기 주증폭기신호 경로에 삽입된 상기 제 1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1 가변위상수단과, 상기 주증폭기신호 경로의 출력과, 상기 선형신호경로의 출력을 전력 합성하고, 2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전력 합성/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왜곡제거회로는,
    상기 합성/분배기의 한쪽의 출력이 부여되고, 상기 보조증폭기가 삽입된 왜곡주입경로와, 상기 합성/분배기의 다른쪽의 출력이 부여되는 주신호경로와, 상기 출력경로와, 상기 왜곡주입경로에 삽입된 상기 제 2 가변감쇠수단 및 상기 제 2 가변위상수단과, 상기 주신호경로와, 상기 왜곡입경로로부터의 신호를 전력합성하고, 상기 출력경로에 출력하는 전력합성기를 포함하는 왜곡제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
KR1019990057397A 1998-12-14 1999-12-14 피드포워드 증폭기 KR100312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94498 1998-12-14
JP98-354944 1998-12-14
JP35494298 1998-12-14
JP98-354942 1998-12-14
JP99-009348 1999-01-18
JP934899 1999-01-18
JP934999 1999-01-18
JP99-009349 199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66A true KR20000052466A (ko) 2000-08-25
KR100312098B1 KR100312098B1 (ko) 2001-11-05

Family

ID=2745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97A KR100312098B1 (ko) 1998-12-14 1999-12-14 피드포워드 증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8204B1 (ko)
EP (1) EP1014564B1 (ko)
KR (1) KR100312098B1 (ko)
CN (1) CN1131587C (ko)
DE (1) DE6993976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033A (ja) * 1999-11-05 2001-05-18 Nec Corp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7053702B2 (en) * 2000-11-20 2006-05-30 Soma Networks, Inc. Feed forward amplifier
US6340915B1 (en) 2000-11-20 2002-01-22 Soma Networks, Inc. Feed forward amplifier
SE0102026D0 (sv) * 2001-06-07 2001-06-07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multicarrier power amplifiers
CN1300935C (zh) * 2001-06-11 2007-02-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前馈失真补偿放大器的控制方法和电路
US6614298B2 (en) 2001-08-13 2003-09-02 Soma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daptive circuits
US6420929B1 (en) 2001-08-23 2002-07-16 Thomas Ha N way cancellation coupler for power amplifier
CA2737849C (en) * 2001-10-26 2017-0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915275B1 (ko) * 2001-11-05 2009-09-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기
US6700442B2 (en) * 2001-11-20 2004-03-02 Thomas Quang Ha N way phase cancellation power amplifier
US7110739B2 (en) 2003-04-10 2006-09-19 Powerwave Technologies, Inc. Multi-transmitter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nti-phase pilot signals
US7187232B2 (en) * 2003-05-07 2007-03-06 Powerwave Technologies, Inc. Feed forward amplifier employing positive feedback pilot generation with automatic level control
KR101160136B1 (ko) * 2003-08-12 2012-06-26 파나소닉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파일럿 심볼 전송 방법
JP4371830B2 (ja) * 2004-01-27 2009-11-25 富士通株式会社 歪補償増幅装置および基地局
DE602005023551D1 (de) 2004-01-28 2010-10-28 Ntt Docomo Inc Mehrfachband-Vorwärtskopplungsverstärker und Methode zur Einstellung desselben
EP1732206B1 (en) * 2005-06-03 2007-09-26 NTT DoCoMo INC. Band selection type feed forward amplifier
CN100576767C (zh) * 2005-06-03 2009-12-30 株式会社Ntt都科摩 多频带用前馈放大器
US8207777B1 (en) * 2005-11-21 2012-06-26 Analog Devices, Inc. Compensation with ratiometric attenuation
CN101388649B (zh) * 2008-10-13 2010-08-11 电子科技大学 一种低非线性功率放大器
US9203348B2 (en) 2012-01-27 2015-12-0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justable power splitt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and apparatus
US8514007B1 (en) 2012-01-27 2013-08-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justable power splitter and correspond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140361793A1 (en) * 2013-05-30 2014-12-11 Tech4Imaging Llc Interactive and Adaptive Data Acquisition System for Use with Electrical Capacitance Volume Tomography
US9110115B2 (en) 2013-08-13 2015-08-18 Tech4Imaging Llc Modular stretchable and flexible capacitance sensors for use with electrical capacitance volume tomography and capacitance sensing applications
US9225291B2 (en) 2013-10-29 2015-12-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adjustment of power splitter
US9379673B2 (en) * 2014-05-30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Distortion cancellation for dual stage carrier-aggregation (CA) low noise amplifier (LNA) non-linear second order products
TWI545907B (zh) * 2014-09-24 2016-08-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消減電路及收發電路
US9774299B2 (en) 2014-09-29 2017-09-26 Nxp Usa, Inc. Modifiable signal adjustment devices for power amplifi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and apparatus
US9901282B2 (en) 2015-04-27 2018-02-27 Tech4Imaging Llc Multi-phase flow decomposition using electrical capacitance volume tomography sensors
US9647611B1 (en) 2015-10-28 2017-05-09 Nxp Usa, Inc. Reconfigurable power splitters and amplifi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0488236B2 (en) 2016-02-23 2019-11-26 Tech4Imaging Llc Velocity vector field mapping using electrical capacitance sensors
US9958408B2 (en) 2016-05-11 2018-05-01 Tech4Imaging Llc Smart capacitance sensors for use with electrical capacitance volume tomography and capacitance sensing applications
US10281422B2 (en) 2016-09-12 2019-05-07 Tech4Imaging Llc Displacement current phase tomography for imaging of lossy medium
US10502655B2 (en) 2017-03-07 2019-12-10 Tech4Imaging Llc Magnetic pressure sensors system for measurement and imaging of steel mass
US10705043B2 (en) 2017-05-31 2020-07-07 Tech4Imaging Llc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maging, monitoring, or measuring systems and processes utilizing capacitance sensors
CN109067370B (zh) * 2018-08-08 2022-03-11 义乌工商职业技术学院 电子数据信号处理电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617A (en) * 1974-11-18 1975-11-25 Cutler Hammer Inc Adaptive feed forward system
JP2699864B2 (ja) * 1994-03-10 1998-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ードフォワード型歪補償回路
US6049535A (en) * 1996-06-27 2000-04-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5745839A (en) * 1995-09-01 1998-04-28 Cd Radio, Inc. Satellite multiple access system with distortion cancellation and compression compensation
US5774018A (en) * 1996-09-18 1998-06-30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Linear amplifier system and method
JP3352929B2 (ja) * 1997-12-12 2002-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098B1 (ko) 2001-11-05
US6208204B1 (en) 2001-03-27
EP1014564A2 (en) 2000-06-28
CN1131587C (zh) 2003-12-17
DE69939765D1 (de) 2008-12-04
EP1014564B1 (en) 2008-10-22
CN1261739A (zh) 2000-08-02
EP1014564A3 (en)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98B1 (ko) 피드포워드 증폭기
EP06760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using reference signals
JP5372294B2 (ja) 中継衛星および衛星通信システム
RU2470456C2 (ru) Многопортовые усилители в спутниках связи
CA2327510C (en) Feed-forward amplifier and controller of the same
US6515544B1 (en) Multi-terminal power combining feed-forward amplifier
KR20010090039A (ko) 궤환기법을 응용한 실시간 자력적/적응성 간섭잡음제거장치 및 그 방법
US7173484B2 (en) System and method of carrier reinjection in a feedforward amplifier
US20050110567A1 (en) System and method of pilot tone reuse in a feedforward amplifier
EP0905919B1 (en) Nonlinear amplifi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US6750706B2 (en) Control method and circuit for feedforward distortion compensation amplifier
US20050110563A1 (en) Dual loop feedforward power amplifier
KR100353709B1 (ko) 혼변조신호의개별차수조정전치왜곡선형화장치및방법
US66085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ilot signal in a distortion reduction system
JP3666641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EP1867203B1 (en) Connection inhibi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1063791A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
GB2273622A (en) Spread spectrum pilot tone for distortion or instability correction
JP4185601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基地局
US20020136178A1 (e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ignal processing
WO2000038317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signals
JP2000183661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干渉回路
KR20020089041A (ko) 무선중계기용 이득조정장치
KR20020044381A (ko) Dcs 및 pcs 대역의 cdma 신호 발생 장치
JP2005269350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