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961A - 확장 유도기를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확장 유도기를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961A
KR20000051961A KR1019990002698A KR19990002698A KR20000051961A KR 20000051961 A KR20000051961 A KR 20000051961A KR 1019990002698 A KR1019990002698 A KR 1019990002698A KR 19990002698 A KR19990002698 A KR 19990002698A KR 20000051961 A KR20000051961 A KR 2000005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writing instrument
state
housing
operat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554B1 (ko
Inventor
하춘광
Original Assignee
하춘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춘광 filed Critical 하춘광
Priority to KR101999000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54B1/ko
Priority to PCT/KR2000/000060 priority patent/WO2000044573A1/en
Publication of KR2000005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7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펜, 볼펜, 립스틱 등의 화장용 애플리케이터, 사인펜, 플라스틱 펜, 수정액 용기, 막대풀을 포함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성분을 배출시키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동 팁을 내장하는 하우징; 상기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팁을 노출시키지 않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성분이 증발 또는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시키고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동 상태에서는 열려 상기 팁을 노출시키는 개폐 단부;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 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팁을 밀폐 상태에서 노출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상기 작동 팁을 보호하면서 상기 단부의 탄성력을 이기고 단부를 열기 위한 확장 유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이 없더라도 내용물이 휘발 또는 증발하지 않도록 밀폐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 유도기를 갖는 필기구{Writing equipment having expander}
본 발명은 수성펜, 유성펜, 볼펜, 립스틱 등의 화장용 애플리케이터, 사인펜, 플라스틱 펜, 수정액 용기, 막대풀을 포함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는 사용되지 않은 동안 캡으로 필기구의 전방 끝을 막음으로써 잉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캡을 갖춘 형태의 필기구는 비효율적이며 쉽게 분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캡의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방 끝을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필기구에 대한 기술이 이미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42-21538 그리고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2-87882는 필기구의 본체의 잔단 쪽에 배치되고 자석에 의해 형성된 슬리브, 연장된 보어를 통해서 슬리브로부터 전방으로 후퇴 가능하게 돌출된 볼펜 리필과 같은 잉크통과 필기 니브(nib)를 포함하는 배럴의 전단, 배럴의 전단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보어를 폐쇄기롤 닫도록 슬리브의 전단에 자기적으로 부착가능하고 볼 또는 플레이트의 형태인 폐쇄기로 구성된 필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38-18620, 소41-13855는 폐쇄기가 탄성부재에 의해서 슬리브에 연결되고 탄성부내는 슬리브 보어를 폐쇄하기 위해 탄성력으로 슬리브의 전단과 접촉하는 폐쇄기를 가압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42-21538과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2-87882에 기재된 필기구로 폐쇄기는 단지 슬리브의 자기력으로 슬리브에 유인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폐쇄기가 90도 이상 기립된 후 배럴의 전단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될 때, 또는 배럴이 필기구가 하향하여 집어넣은 위치로 후퇴할 때 폐쇄기는 원래의 폐쇄위치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고 보어를 완전히 폐쇄하기 못한다.
특히, 필기구의 전단이 하향한 체 배럴이 전방으로 움직일 때, 슬리브로부터 멀리 가압된 폐쇄기는 필기구의 전단 개구를 폐쇄하며, 이것에 의해 배럴 끝의 돌출을 방해한다. 필기구가 강제로 돌출되면, 큰 부하가 배럴 끝에 작용하여 파손된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소38-18620, 소41-13855에 개시된 필기구로 폐쇄기는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슬리브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당히 큰 복원력이 필기구의 완전 폐쇄를 위해서 탄성부재에 필요하다. 따라서, 개시된 장치의 경우에 돌출될 때 배럴 끝은 탄성부재에 의해서 제공된 큰 저항을 받는다. 탄성부재가 변형하면서 이러한 저항이 더욱 큰 범위로 증가하므로 증가된 부하는 필기구의 팁에 작용하여 팁을 파괴한다. 역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작을 때, 필기구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
또한, 한국특허 95-1698호에서는 시일부재 밀폐부가 형성된 슬리브, 폐쇄기를 갖춘 구성으로서 슬리브의 전방 끝 부분과 폐쇄기에는 다른 하나를 유인하도록 자석으로 형성된 필기구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까다롭고, 따라서 생산단가의 상승을 가져오면서 싼값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 98-1341 호에서는 외통 내에 끼워진 필기부재의 앞쪽부분 위턱에, 다수의 주름부와 펜끝 출입구를 갖는 접합부를 형성한 자바라부재의 링부가 끼워지고 상기 외통의 앞끝쪽 나사부에 선단 캡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된 필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작동 팁이 접합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장시간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작동 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단부가 닫혀있는 상태의 단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단부가 열려있는 상태의 단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가 밀폐상태에 있을 때의 단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 유도기가 개폐단부를 가압하여 여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 팁이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 개폐 단부4: 확장 유도기
6: 작동 팁8: 하우징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성분을 배출시키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동 팁을 내장하는 하우징; 상기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팁을 노출시키지 않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시키고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동 상태에서는 열려 상기 팁을 노출시키는 개폐 단부;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 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팁을 밀폐 상태에서 노출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상기 작동 팁을 보호하면서 상기 단부의 탄성력을 이기고 단부를 열기 위한 확장 유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하는 필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 유도기는 상기 작동 팁을 내장하는 원통이며, 상기 팁을 밀폐 상태에서 노출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상기 작동 팁보다 선행하여 상기 단부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개폐단부는 상기 확장 유도기가 가압하면 양쪽으로 열리는 투명 플라스틱이다.
또한, 상기 개폐단부는 어떠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돔형이다. 하우징 역시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작동 팁을 가진 모든 필기구나 화장품, 수정액 용기, 수성펜, 유성펜, 막대풀 등 여러 가지 문구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단부가 닫혀있는 상태의 단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하우징(8)의 단부에는 개폐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내부에는 중공 원통형인 확장 유도기(4), 확장 유도기(4) 내부의 작동 팁(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팁은 볼펜 등의 필기류보다 팁의 경도가 낮은 막대풀이다.
개폐단부(2)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개폐단부(2)는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그 사이로 작동 팁이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단부(2)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단부를 밀폐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단부(2)에 별도의 탄성수단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밀폐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투명 플라스틱 대신에 패킹을 접합면 쪽에 구비한 철판 등으로 대체하거나, 스프링을 개폐단부(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단부가 두 피스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확장 유도기가 가압하면 양쪽으로 분리되지만, 3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하여 방사상으로 개폐단부가 열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유도기(4)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작동 팁이 설치되어 있다. 확장 유도기(4)가 개폐단부(2)를 열 때, 개폐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단부와 접하는 확장 유도기(4)의 부분은 부드러운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팁으로 막대풀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막대풀은 단단하지 못하고 물기가 없어지면 딱딱하게 굳어 풀로써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필기구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개폐 단부가 밀폐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막대풀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물기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막대풀은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탄성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지만, 밀폐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이 아닌 금속으로 개폐단부를 구성하거나,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서 작동 팁(6)과 확장 유도기(4)가 개폐단부(2) 내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팁(6)을 노출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하면, 도 4 와 같이 확장 유도기(4)가 개폐 단부(2)를 가압하면서 밀어 개폐단부(2)가 양쪽으로 열린다. 소정 길이까지 작동 팁(6)과 확장 유도기(4)가 함께 이동한 뒤에는 도 5와 같이 작동 팁(6)만 바깥으로 노출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도 1과 관련해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다만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개폐단부(2)의 단면이 직선으로 잘려 있지 않고 단(10, 11)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단부(2)의 단부는 어떠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 유도기(4)와 작동 팁(6)을 노출시키는 메커니즘은 종래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즉, 노출 팁을 수성펜이나 유성펜으로 치환한다거나 투명 플라스틱을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치환하는 것, 원통형의 확장 유도기 대신에 봉 형상인 확장 유도기를 사용하는 등 본 발명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이 없더라도 내용물이 휘발 또는 증발하지 않도록 밀폐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개폐단부(2)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필기구와는 다른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Claims (4)

  1.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성분을 배출시키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동 팁을 내장하는 하우징; 상기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팁을 노출시키지 않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시키고 소정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동 상태에서는 열려 상기 팁을 노출시키는 개폐 단부; 작동 팁이 출입하는 하우징의 일단 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팁을 밀폐 상태에서 노출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상기 작동 팁을 보호하면서 상기 단부의 탄성력을 이기고 단부를 열기 위한 확장 유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팁을 일단에 구비하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유도기는 상기 작동 팁을 내장하는 원통이며, 상기 팁을 밀폐 상태에서 노출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상기 작동 팁보다 선행하여 상기 단부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개폐단부는 상기 확장 유도기가 가압하면 양쪽으로 열리는 투명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단부는 돔형이며,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수성펜, 유성펜, 막대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문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19990002698A 1999-01-28 1999-01-28 확장 유도기를 갖는 사무용 필기구 KR10032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98A KR100320554B1 (ko) 1999-01-28 1999-01-28 확장 유도기를 갖는 사무용 필기구
PCT/KR2000/000060 WO2000044573A1 (en) 1999-01-28 2000-01-27 Writing utensil having an expa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98A KR100320554B1 (ko) 1999-01-28 1999-01-28 확장 유도기를 갖는 사무용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961A true KR20000051961A (ko) 2000-08-16
KR100320554B1 KR100320554B1 (ko) 2002-01-16

Family

ID=1957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698A KR100320554B1 (ko) 1999-01-28 1999-01-28 확장 유도기를 갖는 사무용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0554B1 (ko)
WO (1) WO20000445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07B1 (ko) * 2023-06-14 2023-12-1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잉크충전장치를 구비한 만년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9733B4 (de) * 2003-06-18 2014-05-15 Linhardt Gmbh & Co. Kg Zeichen- oder Schreibgerät sowie Gehäuse oder Schutzhülse
EP1488937B1 (de) 2003-06-18 2012-05-02 Linhardt GmbH & Co. KG Zeichen- oder Schreibgerät
US7341388B2 (en) 2003-10-20 2008-03-11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s with volatile inks
WO2005044586A2 (en) * 2003-10-20 2005-05-1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s with a se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7138A (en) * 1970-05-21 1971-11-02 Shiseido Co Ltd Cosmetic applicator
KR890003644Y1 (ko) * 1986-07-04 1989-05-31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캡없는 필기구
JPH0664966U (ja) * 1993-02-20 1994-09-13 俊哉 渡邉 揮発性インクを用いた筆記具等の収納機構
KR980001341U (ko) * 1997-12-12 1998-03-30 박성만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07B1 (ko) * 2023-06-14 2023-12-1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잉크충전장치를 구비한 만년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4573A1 (en) 2000-08-03
KR100320554B1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903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EP0267557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drying preventing mechanism
US5022775A (en) Writing inplement with magnetic closure
KR100320554B1 (ko) 확장 유도기를 갖는 사무용 필기구
DK0557323T3 (da) Efterfyldningspatron til stifthylster
KR900006221Y1 (ko) 액상체 도포기구
KR100880197B1 (ko) 건조방지용 출몰식 필기구
KR100649611B1 (ko) 푸시형 마름방지용 출몰식 필기구
JP2774677B2 (ja) 筆記具
KR100738904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US5632564A (en) Writing implement
KR200371723Y1 (ko) 마르지 않는 원터치 수성펜
CN115008925B (zh) 一种按压式书写工具
KR970007011Y1 (ko) 잉크밸브가 형성된 펜
JP2007118347A (ja) 開閉蓋付のノック式筆記具
KR20230101305A (ko) 3색 마카펜
KR200228870Y1 (ko) 필기구용 뚜껑
KR950004015Y1 (ko) 뚜껑없는 형광펜
KR200389337Y1 (ko) 필기구
JP3679193B2 (ja) 筆記具
DE50012803D1 (de) Kosmetik-Einheit, insbesondere Mascara-Einheit
KR200266321Y1 (ko) 비뚜껑 밀폐형 펜
KR20020094193A (ko) 펜촉 마름방지장치
KR20020035904A (ko)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JP2005067177A (ja) キャップレス筆記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