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960A -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960A
KR20000051960A KR1019990002696A KR19990002696A KR20000051960A KR 20000051960 A KR20000051960 A KR 20000051960A KR 1019990002696 A KR1019990002696 A KR 1019990002696A KR 19990002696 A KR19990002696 A KR 19990002696A KR 20000051960 A KR20000051960 A KR 2000005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fiber
cladding layer
refractive index
co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131B1 (ko
Inventor
오성국
서만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131B1/ko
Priority to BR9911392-9A priority patent/BR9911392A/pt
Priority to RU2000132730/03A priority patent/RU2194025C2/ru
Priority to AU43988/99A priority patent/AU751024B2/en
Priority to EP99926978A priority patent/EP1093443A1/en
Priority to CA002335879A priority patent/CA2335879C/en
Priority to PCT/KR1999/000329 priority patent/WO1999067178A1/en
Priority to JP2000555836A priority patent/JP3527707B2/ja
Priority to CNB998077569A priority patent/CN1168681C/zh
Priority to ARP990103059A priority patent/AR018943A1/es
Priority to TW088110774A priority patent/TW418333B/zh
Priority to US09/344,368 priority patent/US6280850B1/en
Priority to ARP000100052A priority patent/AR022216A1/es
Priority to PCT/KR2000/000062 priority patent/WO2000044683A1/en
Priority to JP2000595945A priority patent/JP2002535238A/ja
Priority to EP00902180A priority patent/EP1173390A4/en
Priority to BR0007736-4A priority patent/BR0007736A/pt
Priority to RU2001121156/03A priority patent/RU2230044C2/ru
Priority to AU23300/00A priority patent/AU752956B2/en
Priority to CNB008031401A priority patent/CN1188364C/zh
Priority to MXPA01007641A priority patent/MXPA01007641A/es
Priority to CA002360918A priority patent/CA2360918A1/en
Priority to US09/493,084 priority patent/US6530244B1/en
Publication of KR2000005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4Fibre optics, e.g. core and clad fibre compos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94Multiple layers differing in properties ot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e.g. attenuation, diffusion, stress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8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by glass deposition on a glass substrate, e.g. by inside-, modified-, plasma-, or plasma 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ICVD, MCVD, PCVD, PMCVD], i.e. by thin layer coating on the inside or outside of a glass tube or on a glass rod
    • C03B37/01807Reactant delivery systems, e.g. reactant deposition bur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02B6/03627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arranged -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08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boron or fluorine or other refractive index decreasing dopant
    • C03B2201/12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boron or fluorine or other refractive index decreasing dopant doped with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 C03B2201/31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doped with germ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10Internal structure or shape details
    • C03B2203/22Radial profile of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or softening poi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10Internal structure or shape details
    • C03B2203/22Radial profile of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or softening point
    • C03B2203/24Single mode [SM or mono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된 화학기상증착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에 관한 것으로서, 원튜브와 클래딩층과 사이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원튜브에 포함된 OH가 상기 클래딩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차단층을 더 구비하고, 코아층의 굴절률은 클래딩층의 굴절률보다 크면서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클래딩층과 코어층 사이에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클래딩층에 포함된 OH가 코어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차단층을 더 구비하여, 코어증착공정, 응축공정 또는 크로징 공정에서 원튜브로부터 코어층으로 침투되는 OH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광섬유 고속 인출에 의한 특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에이치. 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모재 및 그 제조방법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정된 화학기상증착 (MCVD)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prefor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H 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모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단위 모재당 인출할 수 있는 길이가 긴 대구경 모재의 제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MCVD 공법을 이용한 모재 제조공정의 경우, 코아층을 얼마나 크게 증착할 수 있는가가 대구경 모재를 제작의 열쇠가 된다. 하지만 증착공정 중에 수반되는 튜브 응축과 아울러 튜브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코아층을 유리화하는데 코아층으로의 열전달이 부족하여 유리화가 잘 되지 않는 기술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단일모드 광섬유는 클래딩층 및 코어층을 증착하여 만든다. DC-SM (Depressed Cladding - Single Mode) 타입의 경우, 클래딩층은 증착온도와 굴절율을 낮추기 위하여 SiO2에 P2O5, GeO2, F 등을 도핑하여 증착하고, 광을 전송하는 코어층은 굴절율을 높이기 위하여 SiO2에 GeO2를 도핑하여 증착한 다음, 응축 및 클로징 공정을 통하여 광섬유 모재를 제작한다.
수정된 화학기상증착 (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CVD) 방법에 의하여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증착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증착과정에서 튜브의 자기응축(self-collapse)이 일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욱 더 튜브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두껍게 증착된 증착층을 유리화(sintering and consolidation)하기 위하여 고온의 버너가 필요하게 되며, 또한 응축(collapse) 및 클로즈(close) 공정 시간이 길어져서, 원튜브가 장시간에 걸쳐 고온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단위 모재당 300Km 이상의 광섬유를 인출할 수 있는 모재를 만들기 어렵다.
또한 클래딩층과 코아층의 직경비(b/a)를 작게 제작하는 경우, OH 흡수 손실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즉, 증착용 원튜브(substrate tube)에 포함된 미량의 수분(H2O) (일반적으로 수 ppm 정도)이 증착층으로 침투(diffusion)하면서, 침투된 수분이 클래딩 영역에 증착된 P2O5또는 SiO2와 결합하여 P-O-H 또는 Si-O-H 본드결합을 형성하고, 또한 코어영역까지 침투한 OH는 코어층에 증착된 SiO2또는 GeO2와 결합하여, Si-O 또는 Ge-O 본드결합을 해체하면서 Si-O-H 또는 Ge-O-H 본드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증착영역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형성된 O-H 또는 P-O-H 본드결합은 특정한 파장영역에서 흡수밴드에 의한 광손실을 추가적으로 발생시킨다. 단일모드 광섬유의 경우 광손실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파장영역은, O-H 본드의 경우 1.24um 및 1.385um 대역, 그리고 P-O-H 본드의 경우 1.2-1.8um 대역이다. 또한 코어영역으로 침투한 OH는 비가교 산소 (Non-bridging Oxygen; NBO)를 형성하고, 그로 인하여 코어층에 있는 유리질의 구조적 균일도(homogenity)를 국부적으로 떨어뜨리게 되어, 코어층의 밀도 불균질(density fluctuation)을 유발하게 되고, 그 결과 산란 손실(scattering loss)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증착층이 두꺼워짐에 따라 증착공정과 동시에 진행되는 유리화공정에서 튜브 내외경이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적절한 직경비 (즉, 클래딩 직경 / 코어 직경 = b/a)를 확보하기 힘들고, 이에 따라 OH 확산을 막아내기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없어 OH에 의한 손실이 크게 증가된다.
종래에는 원튜브로부터 코어층으로 OH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래딩층의 두께를 많이 쌓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대구경의 모재를 제작하는 경우, 튜브 수축으로 인하여 적절한 직경비를 확보하기 어렵고, 코어층의 증착공정 시에는 튜브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의하여 코어 증착면까지의 열전달 효율이 떨어져 더욱 고온의 버너가 필요하다. 따라서, 튜브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OH에 의한 손실이 크게 나타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모드 광섬유의 굴절율 분포를 개선하여 낮은 직경비(b/a)를 가지면서도 저손실을 구현할 수 있는 광섬유모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모드 (DC-SM)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모드 (DC-SM)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화학기상증착 (MCVD) 방법을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단일모드 광섬유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모재는,
원튜브, 클래딩층 및 코아층을 구비하는 광섬유 모재에 있어서,
상기 원튜브와 상기 클래딩층과 사이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상기 원튜브에 포함된 OH가 상기 클래딩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차단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아층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딩층의 굴절률보다 크면서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클래딩층과 상기 코어층 사이에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상기 클래딩층에 포함된 OH가 상기 코어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차단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은,
원튜브, 클래딩층 및 코어층을 구비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제1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층 내부에 클래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굴절율이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증착하여, 광신호가 전달되는 영역인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클래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코어층을 형성하기 전에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제2차단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모드 (DC-SM)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11은 원튜브, 12는 클래딩층, 그리고 13은 코어층을 나타낸다. 또한, ??+는 코어층의 굴절율을, ??-는 클래딩층의 굴절율을, a는 코어층의 직경을, 그리고 b는 클래딩층의 직경을 각각 나타낸다.
클래딩층(12)을 증착하기 위하여 P2O5를 사용하는데, 이 P2O5는 그 녹는점이 썹씨 570℃ 정도로서 비교적 녹는점이 낮기 때문에 이를 다른 원료물질과 사용함에 의하여 공정온도를 낮추고, 증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래서, 클래딩층(12)을 증착하기 위하여 P2O5를 사용하지만, 한편으로는 클래딩층(12)에 도핑된 P2O5는 큰 흡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튜브(11)에 포함되어 있는 OH를 코어층(13)으로 전달해주는 OH-가교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하여, 코어층(13)에서의 OH에 의한 손실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모드 (DC-SM)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21은 원튜브, 24는 제1차단층 (외부 클래딩층), 22는 중간 클래딩층, 25는 제2차단층 (내부 클래딩층), 그리고 23은 코어층을 나타낸다. 또한, ??N+는 코어층(23)의 굴절율을, ??N-는 중간 클래딩층(22)의 굴절율을, a는 코어층(23)의 직경을, 그리고 b은 중간 클래딩층(23)의 직경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모재의 클래딩층은 각각 그 화학조성비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즉, 클래딩층은 제1차단층인 외부 클래딩층(24), 중간 클래딩층(22) 및 제2차단층인 내부 클래딩층(25)으로 구성된다.
제1차단층(즉, 외부 클래딩층)(24)은 OH 농도가 큰 원튜브(21) 및 OH의 전달매체개인 P2O5가 포함된 중간 클래딩층(22) 사이에 위치하며, 원튜브(21)에 포함된 OH가 중간 클래딩층(22)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차단층(즉, 내부 클래딩층)(25)은 중간 클래딩층(22)과 코어층(23) 사이에 위치하며, 원튜브(21)로부터 중간 클래딩층(22)으로 침투된 OH 또는 중간 클래딩층(22)의 증착 공정 중에 화학물질에 포함된 수분에 의한 OH가 광도파 영역인 코어층(23)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증착용 튜브의 OH 함유량은 수십 ppb 정도이나 증착용 실리카는 수 ppb 정도로서 튜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증착용 화학물질 중 OH 성분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되고 고온에서 OH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이 실리카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차단층(24, 25)은 OH-가교 역할을 하는 P2O5를 포함하지 않으며, SiO2또는 SiO2+GeO2등을 이용하여 클래딩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이들 차단층의 두께는 클래딩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광섬유 모재의 굴절율 특성을 살펴보면, 코어층(25)의 굴절율은 클래딩층(23)의 굴절률보다 크며, 또한 코아 중심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광섬유를 고속으로 인출할 때 급랭에 의한 열응력(thermal stress)이 발생된다. 따라서 코어층(25)에서 경계부분의 굴절율(??No)보다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중심부분의 굴절율(??N)을 가장 크게 함으로써, 그 열응력에 의한 광섬유의 광손실 및 기계적 특성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낮은 직경비에서도 고속으로 저손실의 특성을 갖는 광섬유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코아층의 최외각 부분의 굴절율은 코아층의 중심부분의 굴절률의 75-99%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클래딩층(24)과 내부 클래딩층(25)의 굴절율은 중간 클래딩층(23)의 굴절율과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조정되며, 원튜브(21) 또는 코아층(23)의 굴절율보다는 크지 않도록 조정된다.
일반적으로 원튜브 내의 증착층에서의 OH농도는 원튜브의 OH농도의 1/1000 이하이다. 그러나 클래딩 증착공정에서 공정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P2O5를 도핑하여 클래딩층을 증착하는데, 그 P2O5는 큰 흡습성을 갖는다. 그리하여, 클래딩층에 증착된 P2O5는 원튜브로부터의 OH를 코어층으로 전달하는 가교역할을 하기 때문에 코어층에서 OH에 의한 손실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OH 농도가 큰 원튜브와 OH 전달 매개체인 P2O5를 포함하는 클래딩층 사이에, 그리고 클래딩층과 코어층 사이에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들로 도핑되어 증착된 OH 차단층을 형성하여, 튜브로부터 코어층으로의 OH 확산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화학기상증착 (MCVD) 방법을 사용하여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단일모드 광섬유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VCD 방법은 유리로 된 원튜브(21) 속으로 SiCl4, GeCl4, POCl3, BCl3등의 고순도 캐리어가스를 산소와 함께 불어 넣고 가열수단에 의하여 원튜브에 열을 가하면 열산화반응에 의하여 그을름 형태의 산화퇴적물이 원튜브의 안쪽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클래딩층을 증착하는 공정에서, OH 전달 매개체가 되는 흡습성이 큰 P2O5등을 제외하고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외부클래딩층(제1차단층)을 형성한 다음, 열전달 특성 및 굴절율 등을 고려하여 공정온도를 낮추고 증착효율을 높이는데 적합한 물질을 더 도핑하여 중간클래딩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 다시 OH 전달 매개체인 P2O5등을 제외하고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내부클래딩층(제2차단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광신호가 전달되는 영역인 코어층은 그 중심의 굴절율보다 낮게 시작하여 코아 중심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증가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각 증착층에 따라 주입되는 원료가스의 조합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것은 혼합밸브 및 차단밸브를 적절히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증착공정에서 중간 클래딩층(22)을 사이에 두고 OH-가교역할을 하는 P2O5가 포함되지 않은 외부 및 내부 OH-차단층(24, 25)을 증착시킴으로써, 코어증착공정, 응축공정 또는 크로징 공정에서 원튜브(21)로부터 코어층(23)으로 침투되는 OH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직경비(b/a)를 유지하면서도 코어층에서의 OH-흡수밴드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직경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증착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써 공정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래딩층의 직경(b)과 상기 코아층의 직경(a)의 비(b/a)가 1.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증착과 함께 진행되는 소결공정에서 내부표면장력으로 인한 자기응축이 수트(soot) 입자의 유리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데, 점성도가 큰 원튜브와 점성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클래딩층 사이에 튜브의 정성도와 유사한 버퍼층이 존재함으로써 튜브의 억지력을 향상시켜 튜브 수축을 줄일 수 있다.
MCVD공법을 이용하여 광섬유 모재를 제작하는 경우, 직경비가 작을수록 전체 공정시간이 짧고 대구경 모재 제작에 훨씬 유리하다. 종래에는 직경비를 작게하면 OH 손실이 급격히 증가하여 광섬유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통상적으로 직경비가 대략 3.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발명에 의하면 직경비를 3.0 이하로, 예컨대 1.1-3.0 정도로 하면서도 OH 흡수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열응력에 의한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에이치. 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모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증착공정에서 원튜브와 클래딩층 사이 및 클래딩층과 코어층 사이에 P2O5가 포함되지 않은 외부 및 내부 OH-차단층을 증착시키고 또한 코아층의 굴절율 분포를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코어증착공정, 응축공정 또는 크로징 공정에서 원튜브로부터 코어층으로 침투되는 OH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광섬유 고속 인출에 의한 특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원튜브, 클래딩층 및 코아층을 구비하는 광섬유 모재에 있어서,
    상기 원튜브와 상기 클래딩층과 사이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상기 원튜브에 포함된 OH가 상기 클래딩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차단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아층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딩층의 굴절률보다 크면서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과 상기 코어층 사이에에 위치하며,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되어 상기 클래딩층에 포함된 OH가 상기 코어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차단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차단층은
    SiO2또는 SiO2+GeO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차단층은
    그 굴절율이 상기 원튜브 또는 상기 코아층의 굴절율보다는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의 직경(b)와 상기 코아층의 직경(a)의 비(b/a)가 1.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층의 최외각 부분의 굴절율은 상기 코아층의 중심부분의 굴절률의 75-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7. 원튜브, 클래딩층 및 코어층을 구비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제1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층 내부에 클래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굴절율이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증착하여, 광신호가 전달되는 영역인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코어층을 형성하기 전에
    OH 확산계수가 낮은 물질에 의하여 증착하여 제2차단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차단층 형성단계는
    SiO2, 또는 SiO2+GeO2로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KR1019990002696A 1998-06-25 1999-01-28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2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96A KR100322131B1 (ko) 1999-01-28 1999-01-28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RU2000132730/03A RU2194025C2 (ru) 1998-06-25 1999-06-22 Заготовка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имеющая барьер для он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AU43988/99A AU751024B2 (en) 1998-06-25 1999-06-22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99926978A EP1093443A1 (en) 1998-06-25 1999-06-22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002335879A CA2335879C (en) 1998-06-25 1999-06-22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1999/000329 WO1999067178A1 (en) 1998-06-25 1999-06-22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0555836A JP3527707B2 (ja) 1998-06-25 1999-06-22 Oh遮断層を具備した光ファイバのプレ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B998077569A CN1168681C (zh) 1998-06-25 1999-06-22 具有oh阻挡层的光纤预制品及其生产方法
BR9911392-9A BR9911392A (pt) 1998-06-25 1999-06-22 Pré-configuração de fibra ótica apresentando barreira de oh e seu método de fabricação
TW088110774A TW418333B (en) 1998-06-25 1999-06-25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P990103059A AR018943A1 (es) 1998-06-25 1999-06-25 Una preforma de fibra optica
US09/344,368 US6280850B1 (en) 1998-06-25 1999-06-25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P000100052A AR022216A1 (es) 1999-01-28 2000-01-07 Preforma de fibra optica provista de barrera para oh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2000595945A JP2002535238A (ja) 1999-01-28 2000-01-27 Ohバリアを有する光ファイバ母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00902180A EP1173390A4 (en) 1999-01-28 2000-01-27 PREFORM FOR OPTICAL FIBERS WITH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PROCESS
BR0007736-4A BR0007736A (pt) 1999-01-28 2000-01-27 Pré-forma de fibra ótica com barreira de oh e seu método de fabricação
RU2001121156/03A RU2230044C2 (ru) 1999-01-28 2000-01-27 Заготовка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имеющая барьер для радикала о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PCT/KR2000/000062 WO2000044683A1 (en) 1999-01-28 2000-01-27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U23300/00A AU752956B2 (en) 1999-01-28 2000-01-27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B008031401A CN1188364C (zh) 1999-01-28 2000-01-27 具有氢氧根阻挡层的光纤预型坯及其制造方法
MXPA01007641A MXPA01007641A (es) 1999-01-28 2000-01-27 Preforma de fibra optica que tiene barrera de oh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CA002360918A CA2360918A1 (en) 1999-01-28 2000-01-27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09/493,084 US6530244B1 (en) 1999-01-28 2000-01-28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96A KR100322131B1 (ko) 1999-01-28 1999-01-28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960A true KR20000051960A (ko) 2000-08-16
KR100322131B1 KR100322131B1 (ko) 2002-02-04

Family

ID=1957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696A KR100322131B1 (ko) 1998-06-25 1999-01-28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30244B1 (ko)
EP (1) EP1173390A4 (ko)
JP (1) JP2002535238A (ko)
KR (1) KR100322131B1 (ko)
CN (1) CN1188364C (ko)
AR (1) AR022216A1 (ko)
AU (1) AU752956B2 (ko)
BR (1) BR0007736A (ko)
CA (1) CA2360918A1 (ko)
MX (1) MXPA01007641A (ko)
RU (1) RU2230044C2 (ko)
WO (1) WO2000044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5051A1 (en) * 2000-04-28 2002-01-17 Brown John T. Substantially dry, silica-containing soot, fused silica and optical fiber soot preforms, apparatus, methods and burners for manufacturing same
DE10030264A1 (de) * 2000-06-20 2002-01-03 Deutsche Telekom Ag Lichtwellenleiter auf Quarzglasbasi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50120752A1 (en) * 2001-04-11 2005-06-09 Brown John T. Substantially dry, silica-containing soot, fused silica and optical fiber soot preforms, apparatus, methods and burners for manufacturing same
KR100496143B1 (ko) * 2002-12-10 200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산화기 차단층을 포함하는 광섬유 모재
US20040159124A1 (en) * 2003-02-14 2004-08-19 Atkins Robert M. Optical fiber manufacture
JPWO2005049516A1 (ja) 2003-11-18 2007-06-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裸線の線引方法、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素線
FR2863605B1 (fr) * 2003-12-15 2006-04-28 Cit Alcatel Procede de recharge plasma autour d'un tube dope au fluor
FR2893149B1 (fr) * 2005-11-10 2008-01-11 Draka Comteq France Fibre optique monomode.
FR2899693B1 (fr) * 2006-04-10 2008-08-22 Draka Comteq France Fibre optique monomode.
US7620282B2 (en) * 2006-08-31 2009-11-17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single mode optical fiber
ATE532752T1 (de) * 2007-01-02 2011-11-15 Draka Comteq Bv Verlängertes backverfahren für abscheidungsröhrchen aus quarzglas
CN102099711B (zh) 2007-11-09 2014-05-14 德雷卡通信技术公司 抗微弯光纤
FR2930997B1 (fr) * 2008-05-06 2010-08-13 Draka Comteq France Sa Fibre optique monomode
US7773848B2 (en) 2008-07-30 2010-08-10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single mode optical fiber
WO2011100333A1 (en) * 2010-02-09 2011-08-18 Ofs Fitel, Llc Improvement of dmd performance in bend optimized multimode fiber
CN110028235B (zh) * 2019-03-01 2020-09-08 江苏永鼎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连熔石英套管的光纤预制棒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816A (en) * 1974-02-22 1990-03-2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fabrication and resulting product
US4114980A (en) * 1976-05-10 1978-09-1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Low loss multilayer optical fiber
JPS5395649A (en) * 1977-02-02 1978-08-22 Hitachi Ltd Production of optical fiber
US4184859A (en) * 1978-06-09 1980-01-2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n elliptical core single mode fiber
US4230396A (en) * 1978-07-31 1980-10-28 Corning Glass Works High bandwidth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4227806A (en) * 1978-10-16 1980-10-14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for non-destructively determining parameters of an optical fiber preform
GB2062610B (en) * 1979-10-29 1983-03-09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Single mode optical fibres
JPS5858293B2 (ja) * 1980-01-22 1983-12-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US4385802A (en) * 1980-06-09 1983-05-31 Corning Glass Works Long wavelength, low-loss optical waveguide
US4447127A (en) 1982-04-09 1984-05-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Low loss single mode fiber
JPS593035U (ja) * 1982-06-30 1984-01-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器のスプリング受構造
DE3232888A1 (de) * 1982-09-04 1984-03-0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wellenleiters
JPS59156928A (ja) * 1983-02-22 1984-09-0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光フアイバ用プリフオ−ムの製造方法
US4528009A (en) * 1983-06-01 1985-07-09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forming optical fiber having laminated core
DE3510023A1 (de) * 1985-03-20 1986-09-25 Licentia Gmbh Einwelliger lichtwellenleiter aus quarzgla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3731604A1 (de) * 1987-09-19 1989-03-30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onomode-lichtleitfaser
FR2650584B1 (fr) 1989-08-02 1993-12-17 Cie Generale D Electricit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ibre optique a gaine dopee
US5058976A (en) * 1990-08-03 1991-10-22 At&T Bell Laboratories System comprising Er-doped optical fiber
KR0162604B1 (ko) 1994-10-07 1999-04-15 김광호 광 섬유 모재 제조 방법
US5838866A (en) * 1995-11-03 1998-11-17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resistant to hydrogen-induced attenuation
DE69739406D1 (de) * 1996-03-28 2009-06-25 Mitsubishi Rayon Co Optische Faser mit verteiltem Brechnungsindex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2225889A1 (en) * 1996-12-27 1998-06-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Dispersion-shifted fiber
JP3830636B2 (ja) * 1997-10-14 2006-10-04 株式会社フジクラ 分散シフト光ファイバ
BR9911392A (pt) * 1998-06-25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é-configuração de fibra ótica apresentando barreira de oh e seu método de fabricação
NL1015405C2 (nl) * 2000-06-09 2001-12-12 Draka Fibre Technology Bv Single mode optische vez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ingle mode optische vez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364C (zh) 2005-02-09
AU752956B2 (en) 2002-10-03
EP1173390A4 (en) 2005-02-02
MXPA01007641A (es) 2002-04-24
CN1337926A (zh) 2002-02-27
KR100322131B1 (ko) 2002-02-04
WO2000044683A1 (en) 2000-08-03
BR0007736A (pt) 2001-11-06
AU2330000A (en) 2000-08-18
CA2360918A1 (en) 2000-08-03
RU2230044C2 (ru) 2004-06-10
US6530244B1 (en) 2003-03-11
AR022216A1 (es) 2002-09-04
JP2002535238A (ja) 2002-10-22
EP1173390A1 (en) 2002-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850B1 (en)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22131B1 (ko) 오.에이치.차단층을 구비한 광섬유 모재 및 그 제조방법
CA1145172A (en) Long wavelength, low-loss optical waveguide
US4339174A (en) High bandwidth optical waveguide
US4846867A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EP0028155B1 (en) Single mode optical fibre and method of making it
CN105911639B (zh) 一种低衰减单模光纤
US4327965A (en) Single mode fib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932160A (en) Method for forming low loss optical waveguide fibers
JP4808906B2 (ja)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および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の製造法
EP0612701B1 (en) Vapour axial deposition process for making optical fibre preforms
US7008696B2 (en)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barrier layers for hydroxyl (OH) radicals
KR100337700B1 (ko) 오.에이치.차단막을구비한광섬유모재및그제조방법
KR100420175B1 (ko) 광섬유모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00813B1 (ko) 광섬유 모재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섬유모재 및 광섬유
JP2000159531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JPH0733460A (ja) 光ファイバ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55226A (ja) 光学導波路製造用プレフオームの形成方法
Blankenship et al. Large GRIN preforms deposited at high Rate Using OVD
JPH08106022A (ja) 光導波路の製造方法
JPH01270534A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