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918A -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918A
KR20000051918A KR1019990002625A KR19990002625A KR20000051918A KR 20000051918 A KR20000051918 A KR 20000051918A KR 1019990002625 A KR1019990002625 A KR 1019990002625A KR 19990002625 A KR19990002625 A KR 19990002625A KR 20000051918 A KR20000051918 A KR 2000005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eces
security
piec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황삼청
주식회사 싸이버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삼청, 주식회사 싸이버뱅크 filed Critical 황삼청
Priority to KR101999000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1918A/ko
Priority to AU30575/99A priority patent/AU3057599A/en
Priority to JP2000596524A priority patent/JP2002541497A/ja
Priority to PCT/KR1999/000167 priority patent/WO2000045336A1/en
Priority to CN99804568A priority patent/CN1124567C/zh
Publication of KR2000005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CCIPHERING OR DECIPHERING APPARATUS FOR CRYPTOGRAPHIC OR OTHER PURPOSES INVOLVING THE NEED FOR SECRECY
    • G09C5/00Ciphering apparatus or method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involving the concealment or deformation of graphic data such as designs, written or printed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은 사진과 인감 및 서명을 변환시키는 부분으로 기존의 디지털 기록매체에 저장할 경우에는 다양한 암호화기법을 적용시키더라도 원래의 화상 복원이 용이하지만, 종이 등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이미지센서에 따라 데이터의 시작점을 찾기가 어려워 신뢰성을 제공하기 어려운 만큼, 이미지센서로 읽은 화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쪼개어 각 조각에 일렬 번호를 붙이고, 이 조각들을 보안코드 별로 정해진 순서로 재배열하여 출력장치로 인쇄하여 통장 및 신분증에 부착한다. 해독시에는 암호 화상을 이미지센서로 읽어 각 조각들을 분리하고, 역으로 이동시켜 원래 화상으로 재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통장의 경우에는 재결합한 인감 및 서명과 전표의 인감 및 서명을 동시에 표시하여 창구에서 수동으로 진위여부를 판단하거나 자동으로 판단하여 결과를 표시해주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신분증과 통장에 날인하는 사진과 인감(서명)을 퍼즐화하여 기록하는 이차원화상정보 암호화 방법으로, 기존의 복잡한 광학장치로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과 달리 인쇄면에 바로 암호화된 화상을 기록한다. 원래의 화상을 조각내어 이를 보안코드에 따라 재배열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경우의 수가 무한대에 이르고 해독 장치를 통하지 않고는 해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통장 등에 원래 화상 대신 이를 기록할 경우에는 통장을 분실하더라도 인감 및 서명의 위조가 불가능하여 통장 분실로 인한 금융사고를 방지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통장의 보안시스템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와 주민등록증, 여권의 각종 화상정보(사진+이름+주민등록번호 등)도 암호화할 수 있어, 위변조를 근본적으로 막아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일반 인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암호화 기술로 판단된다.

Description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THE PUZZLING SECURITY PRINCIPLE OF IMAGE DATA AND SUPPORTING DEVICE}
산업이 발달하고 인간의 활동 영역과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금융 산업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져 국민 대다수가 많은 통장과 카드를 가지고 있으며 점차 카드를 이용한 은행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홈뱅킹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선진 금융시스템에서도 통장은 금액 확인과 기록유지의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필요한 수단으로 남아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통장의 사용인감이나 서명은 통장에 찍혀있어 위조의 위험이 상시 존재함은 주지의 사실이며, 마찬가지로 여권과 주민증과 같은 신분증들의 위조로 인한 범죄도 심각한 수준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은행 거래에 있어서 필수적인 통장의 암호화기술에 관한 것으로 현재 사용하는 통장에 기록하여 두는 서명 및 인감의 화상을 다른 화상으로 변화시켜 통장에 기록하여 두고 이를 역으로 변환시켜 원래의 인감 및 서명을 읽어내는 방식으로 제공하여 본인과 해독기가 설치된 금용기관 외에는 어떠한 인감 및 서명을 사용했는지 알수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주민등록증이나 여권이 위조되어 많은 사회 문제를 야기하는데, 본 발명은 사진, 이름, 번호를 암호화하여 종이나 플라스틱 등에도 기록할 수 있어 암호를 해독하지 않고는 위조가 불가능한 신분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현재와 같이 통장에 바로 인감 및 서명을 기록할 경우 이를 분실하고 비밀번호가 알려지면 통장 인감과 서명을 바로 위조하여 예금을 찾아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현재까지는 전적으로 예금주의 과실로 처리되어 인감과 서명의 진위 여부를 놓고 은행과 예금주 사이에 많은 논란이 있었고, 최근들어서는 인감의 진위 여부가 구분할 수 있으면 은행측의 과실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원래의 화상이 아닌 변화된 화상을 통장에 기록하고 이를 읽어내어 원래의 화상으로 역변환시켜 청구서의 인감 및 화상과 비교하는 보안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 발명의 배경
점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위조 관련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생하여 현재는 지폐 및 수표, 채권, 통장, 신용카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복제 방지 기술이 보급되어 홀로그램 및 스마트 카드와 같이 능동적인 방어 기법을 화폐 및 신용카드에 적용시키고 있으며 특히 지폐에 있어서 복제방지 기술은 창과 방패의 싸움으로 칭할만큼 지속적으로 위폐의 도전을 받고 있다. 신분증 위조로 인한 각종 범죄의 발생 및 통장 인감의 위조로 인한 창구사고도 신용사회 구축 및 치안유지에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통장의 경우 위조여부가 식별가능할 경우 금용권의 과실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어 통장의 인감에 대한 암호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민등록증, 여권, 신분증 등이 위조되는 사회적 폐혜는 막대하여,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을 도입하고 있지만 효과가 없어 단순한 문양이 아닌 암호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미지센서로 읽은 인감과 서명 및 신분증의 사진, 이름, 고유번호를 일정한 변환법칙을 적용하여 바꾸어 통장 및 신분증에 기록하여, 타인은 해독장치를 통하지 않고는 암호화된 원화상을 알 수 없도록 하여 위조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금융기관과 정부기관에서는 해독장치로 원래의 화상으로 변환시켜 신분을 확인하거나 청구서 등에 찍혀있는 인감 및 서명과 비교 판별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예금주 입장에서는 통장 분실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여 안심하고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금융 기관에서는 통장 분실 및 악용 고객으로부터 인감 및 비밀번호의 이중 누출 책임을 지게할 수 있어 강화된 금융 사고 규정에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각종 신분증이 갱신 초기에는 위조 및 도용의 문제가 없고 위법 사례에 대한 대대적인 적발이 이루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위조 및 도용으로 인한 범죄가 다시 발생하며, 신분증 교체기간 중에는 위조증의 값도 올라가는 기현상도 발생한다. 일례로 주민등록증을 새로 바꾸는 경우 최소 10개월 정도로 장기간에 걸쳐 보급되므로 이 기간 내에 위조 주민등록증이 만들어지면 기소중지자 일제 검거 효과 및 각종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민등록증과 같은 신분증을 새로 교체할 때는 새로 교체한다는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양과 같은 단순한 표식으로는 위변조를 막을 수 없으므로, 최소한 사진, 성명, 고유번호를 화상 암호화하여 종이나 플라스틱에 기록하는 본 발명과 같은 암호화 기술이 필요하다.
*발명의 목적
통장 등에 기록하는 인감과 서명은 분실시 현재는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보고 인감 및 서명을 위조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며, 비밀번호 또한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알아내어 금융 사고를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에 은행과 예금주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만큼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와 같이 통장 인감 및 서명 부분을 해독장치를 통하지 않고는 형태를 알 수 없도록 하는 보안시스템 적용이 필요하며, 이는 각 금용기관 지점 및 특정값에 따라 변환 방식이 다른 화상변환 암호 방식을 적용할 수 밖에 없고 고도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주민등록증과 같은 신분증에 적용하면 종이 및 플라스틱에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사진과 이름 및 고유번호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는 암호화상을 인쇄하며, 해독장치는 신분증의 사진과 성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상을 읽어 이를 해독함으로써 원래의 사진과 성명, 주민번호를 합성하여 표시장치에 나타내도록 제공하여 근본적으로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암호 방식에 영상 압축 및 복원 과정상의 암호화 단계로 압축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퓨리에 변환한 화상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들은 고도의 광학기기 및 디지털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원래 화상을 퍼즐처럼 많은 조각으로 쪼개어 이를 암호값에 따라 변환하여 재배열한 다음 이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면 무한대에 가까운 경우의 수와 암호값에 따라 다른 배열방식, 이미지 변환에 의한 암호 성능 향상이 가능한 일반 인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암호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즉, 원래의 화상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다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경우 재생시 시작점 및 기준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사진과 인감 및 서명 면에 낙서나 먼지가 있을 경우 전체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만큼 퍼즐 방식이 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통장의 사진과 인감 및 서명란을 미세한 조각으로 나누어 정해진 법칙에 의해 재배열하는 기법을 적용하므로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그 부분으로만 국한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고, 인쇄시 각 조각을 해독장치로 재생할 때 완벽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각 조각에 테두리를 삽입하도록 하여 해독시 원래 화상을 충실하게 복원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신분증과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통장 등에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진(이름,고유번호 포함)과 인감 및 서명을 퍼즐식으로 화상 변환하면, 일반적으로는 해독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해독 장치를 통해서만 원래의 사진과 인감 및 서명이 표시장치에 나타나도록 하여, 신분증 및 통장 분실시 위조를 통한 범죄와 금융 사고를 방지하기위한 암호화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은 사진과 인감 및 서명을 변환시키는 부분으로 기존의 디지털 기록매체에 저장할 경우에는 다양한 암호화기법을 적용시키더라도 원래의 화상 복원이 용이하지만, 종이 등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이미지센서에 따라 데이터의 시작점을 찾기가 어려워 신뢰성을 제공하기 어려운 만큼, 이미지센서로 읽은 화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쪼개어 각 조각에 일렬 번호를 붙이고, 이 조각들을 보안코드 별로 정해진 순서로 재배열하여 출력장치로 인쇄하여 통장 및 신분증에 부착한다. 해독시에는 암호 화상을 이미지센서로 읽어 각 조각들을 분리하고, 역으로 이동시켜 원래 화상으로 재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통장의 경우에는 재결합한 인감 및 서명과 전표의 인감 및 서명을 동시에 표시하여 창구에서 수동으로 진위여부를 판단하거나 자동으로 판단하여 결과를 표시해주도록 구성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누락
제 1도는 본 발명의 퍼즐식 화상 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퍼즐식 화상 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을 구현하기위한 입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첫 번째 화상조각 2: 두 번째 화상조각
3: 세 번째 화상조각 4: 네 번째 화상조각
5: 첫 번째 화상조각 6: 두 번째 화상조각
7: 세 번째 화상조각 8: 네 번째 화상조각
9: 이미지센서 10: 중앙처리장치
11: 화상메모리장치 12: 화상인쇄장치
13: 화면표시장치 14: 보안코드 입력장치
15: 이미지센서 16: 중앙처리장치
17: 화상메모리장치 18: 화면표시장치
19: 보안코드입력장치 20: 결과표시장치
본 발명은 현재 이용되는 여러 영상 보안 및 인식시스템에서 상용화된 가장 간단한 정보인 일차원의 바코드와 코드 기반 시스템은 지나친 단순성으로 정보 기록량이 적고 복제가 용이하여 비밀보호 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복제가 어려운 이차원 영상 정보로는 신용카드에 부착된 홀로그램을 들 수 있지만, 이 또한 정보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복제가 가능하고 높은 제작비로 인하여 통장에 기록하는 인감 및 서명과 같은 개인 정보로 이용은 어렵다. 통장 등에 기록하는 인감 및 서명은 본인과 금융기관의 해독장치를 통해서 나타나게 하는 것이 위조를 막을 수 있는 좋은 대안이지만, 화상 정보의 암호화는 지면에 데이터를 인쇄하므로 해상도 및 지면 상태에 의하여 제한을 받으며 무엇보다 반복적인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바코드의 단순성과 홀로그램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면서도 해독이 난해한 주파수카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고가이며 개별적인 제작이 어려운 홀로그램을 이용하고 해독장치가 레이저와 같은 고가의 광학장치를 이용해야 반복,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현재까지는 불가능했던 지면 화상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는 일정 화상 면적(통장의 경우 20㎜ x 20㎜)을 이미지센서로 읽은 데이터를 정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이 미세한 조각으로 나누어(통장의 경우 2㎜간격으로 각각 10등분하고 다시 2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누면 200조각으로 나누어짐) 주어진 보안 코드에 따라라 위치를 재배열하는 방식으로 화상을 재합성하면 이를 풀어낼 확율은 200!(팩토리얼)이므로 슈펴컴퓨터로도 재배열이 어렵지만 재배열 후 판단 과정에서 인식 시간 때문에 해독이 불가능한 수치이며, 보안코드(예: 일렬번호 0000∼9999)에 따라 재배열하는 순서가 다르므로 한가지를 해독했다 하더라도 다른 보안코드 화상은 해독장치 없이는 인식이 불가능하다. 이미지센서로 읽을 때 암호화된 화상 조각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각 조각을 구분할 수 있는 테두리선이나 점으로 화상을 감싸는데, 각 조각을 읽은 후에는 이 테두리를 삭제하고 역으로 재배열하여 원래의 화상을 재현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화상 보안 시스템은 기존의 복잡한 시스템에 비하여 일부분이 훼손되더라도 진위 여부 판독이 용이하며 앞의 2mm 정삼각형 조각의 경우 600dpi 해상도 프린터를 이용하면 1000개 이상의 점을 찍을 수 있어 정교한 인감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국가기관 및 기업체의 기밀문서에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팩시밀리 전송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이를 해독장치를 통하여 원래의 화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가 일례가 될 수 있으며, 주민증과 여권 및 신용카드 등의 사진정보(이름, 주민번호 포함)도 이와 같이 암호화하여 사진과 함께 옆에 기록하면 해독장치를 통하여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인감 및 서명 화상 정보를 기록한 통장의 보안 시스템의 원리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화상암호화의 원리는 암호화하고자 하는 화상(인감, 사진+이름+주민번호 등)을 이미지센서로 읽어 일정하게 조각(정삼각형, 정사각형)내고, 각 조각들을 테두리하여, 암호키에 따라 결정되는 재배열공식에 의해 퍼즐식으로 섞어 인쇄하고, 해독시에는 역으로 이미지센서로 암호화상을 읽어 각 조각들의 테두리를 제거하고, 각 조각들을 암호키에 따라 결정되는 역배열 공식에 의해 이미지를 구성하여 원래 화상을 복원시키도록 되어 있다. 암호화와 함께 해독기술이 같이 병행하여 발전하는 점을 고려하여 퍼즐식으로 암호화하는 것과 함께 각 조각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변환시키면 모자이크 인식기법과 추론프로그램에 의해 퍼즐 조각을 맞추어 나가는 해킹에 대비할 수 있다.
일부 조각들을 반전시켜 구성하면 패턴인식 추론프로그램에서 인식 과정중 윤곽이 연속되는 조각을 찾지 못하게 되며 반전의 강도 레벨에도 암호가 들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각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섞는게 아니라 회전시켜 구성함으로써 인식 과정중 경우의 수를 증대시키며 조각을 원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360도 회전에 따라 많은 계산 시간을 필요로 한다. 원래의 화상 조각외에 별도로 임의의 조각을 만들어 삽입함으로써 임의의 조각과 연결되는 조각들을 찾을 수 없도록하여 추론 과정이 중단되게 합니다. 원래 화상의 조각들을 일정한 형태로 제거하여 분리되는 영역간에 추론 과정의 벽을 구축하며, 이 경우 제거하는 조각대신 임의의 조각들을 끼워 넣습니다. 이 경우 복원된 화상은 일정한 형태(1줄)로 조각이 빠진 상태로 구성됩니다. 조각들을 다시 수개 정도로 균등하게 나누어 이를 이동시킨 새로운 변환조각을 만들어 구성하면, 각 모서리에 맞는 조각을 찾더라도 어긋난 연결 배열을 만들도록 하여 추론이 중단됩니다. 이상과 같은 변형요소 기술을 퍼즐식 암호화 원리에 적용하면 위조가 불가능하며, 암호키에 따른 역 배열함수가 내장되어 있는 전용해독기로만 원래 화상을 복원시켜 읽을 수 있습니다.
제 1도에서 처럼, 암호화 화상부를 2차원적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쪼개어 다수의 조각(예:가로 30, 세로 17으로 나누면 510조각)으로 만든후, 이를 각각 정해진 보안 코드(암호키)에 의해 재배열하면 변환전 S열 4줄에 있는 A조각(1)이 변환후 7열 H줄(5)에 위치하게 되는 것과 같이, 전 조각을 재배열하면 이를 재결합할 수 있는 가지수는 무한에 가까운 조합이 나온다. 각 조각들을 재배열하여 그대로 인쇄하면 역변환하기 위해서 화상을 읽을 때 각 조각들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테두리나 점과 같은 구분 요소를 부가하여 인쇄하고 역변환시 이를 제거하여 조각들을 합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종이에 인쇄하는 인식 및 정보장치로는 일차원 정보인 바코드가 유일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퍼즐식 화상 보안 시스템은 간단하게 구성되면서 2차원 조합이므로 경우의 수가 무한대에 가깝고 전용 해독기없이 이를 재배열하여 원래 화상을 해독하기는 불가능하며, 보안 코드에 따라 재배열 순서를 각각 다르게 정의하면 완벽하게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신분증, 통장, 카드, 기밀문서, 고액권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보안코드에 따른 변환 및 재결합 방식은 최고의 기밀사항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퍼즐방식은 모든 암호가 IC칩에 내장되는 스마트카드 방식에 비해 이차원 화상 보안시스템으로 여러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 그러나 반복 신뢰성에 있어서 이미지센서의 환경에 따라 10O% 일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윤곽 및 그래픽정보에 의하여 인식이 가능한 분야로 적용 범위는 한정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퍼즐식 화상 보안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장치 및 재변환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로, 원래의 화상(인감,서명,사진,문서)을 읽어들이기 위한 이미지센서(9)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이를 일정 크기로 조각을 내어 화상 조각 데이터를 분류하고, 보안코드입력장치(14)의 값에 의해 재배열 순서를 정하고 각 화상 조각 데이터에 구분 요소를 첨가한 다음에 이를 합성하여 화상 메모리 장치(11)에 저장하며 이를 인쇄장치(12)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인쇄장치의 출력물은 원래의 화상과는 전혀 다른 조각들의 조합으로 출력되므로 이 상태로는 원래 화상을 알아내기는 불가능하다.
제 2-2도는 암호화된 퍼즐식 화상을 복원하기 위한 장치로 이 화상을 이미지센서(15)로 읽어 중앙처리장치(16)는 각 조각의 윤곽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메모리장치(17)에 각각 저장하고 이를 보안코드 입력장치(19)의 입력 값에 따라 재변환하여 원래화상을 재합성하고 이를 화면표시장치(18)에 표시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통장의 서명과 인감을 전표와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해서는 전표의 인감 및 서명을 이미지센서(11)로 읽어 변환된 인감 및 화상과 비교하여 결과표시장치(20)로 진위 여부를 알려주며 인간이 판별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장치(18)에 두 화상을 다른 색상으로 중첩시켜 주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서명 진위 판별에 사용될 수 있다. 원래 모습으로 변환된 화상은 별도의 출력장치로 인쇄하면 인쇄물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는 기밀문서 해독출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분증과 통장에 날인하는 사진과 인감(서명)을 퍼즐화하여 기록하는 이차원 화상정보 암호화 방법으로, 기존의 복잡합 광학장치로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과 달리 인쇄면에 바로 암호화된 화상을 기록한다. 원래의 화상을 조각내어 이를 보안코드에 따라 재배열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경우의 수가 무한대에 이르고 해독 장치를 통하지 않고는 해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통장 등에 원래 화상 대신 이를 기록할 경우에는 통장을 분실하더라도 인감 및 서명의 위조가 불가능하여 통장 분실로 인한 금융사고를 방지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통장의 보안시스템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와 주민등록증, 여권의 각종 화상정보(사진+이름+주민등록번호 등)도 암호화할 수 있어, 위변조를 근본적으로 막아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일반 인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암호화 기술로 판단된다.

Claims (13)

  1. 화상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암호화 화상부를 2차원적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쪼개어 다수의 조각(예:가로 30, 세로 20으로 나누면 600조각)으로 만든후 이를 각각 정해진 보안코드에 의해 재배열하면 변환전 S열 4줄에 있는 A조각(1)이 변환후 7열 H줄(5)에 위치하게 되는 것과 같이 전 조각을 재배열하여 원래 화상을 변환하여, 각 조각을 재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한대에 가까운 조합을 만들어 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정보 암호화 방법
  2. 1항에 있어서, 각 조각들을 재배열하여 그대로 인쇄하면 역변환하기 위해 화상을 읽을 때 각 조각들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테두리나 점과 같은 구분 요소를 부가하여서 인쇄하고, 역변환시는 이를 제거하여 조각들을 합치는 형태로 원래 화상을 복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정보 암호화 해독 방법
  3. 1항에 있어서, 일부 조각들을 반전시켜 구성하여 패턴인식 추론프로그램에서 인식과정중 윤곽이 연속되는 조각을 찾지 못하도록 하며, 반전의 강도 레벨에도 암호가 들어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4. 1항에 있어서, 각 조각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섞는게 아니라 회전시켜 구성함으로써 인식 과정중 경우의 수를 증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5. 1항에 있어서, 원래의 화상 조각외에 별도로 임의의 조각을 만들어 삽입하여 임의의 조각과 연결되는 조각들을 찾을 수 없도록하여 추론 과정이 중단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6. 1항에 있어서, 원래 화상의 조각들을 일정한 형태로 제거하여 분리되는 영역간에 추론 과정의 벽을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7. 6항에 있어서, 제거하는 조각들 대신 임의의 조각들을 끼워넣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8. 1항에 있어서, 조각들을 다시 수개 정도로 균등하게 나누어 이를 이동시켜 구성하는 새로운 변환조각을 만들어, 조각의 모서리에 맞는 연결조각을 찾더라도 어긋난 연결배열을 만들도록 하여 추론이 중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식 암호화 기술의 고도화 방법
  9. 화상 보안 지원 장치에 있어서, 원래의 화상(인감,서명,사진,문서)을 읽어들이기 위한 이미지센서(9)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이를 일정한 크기로 조각을 내어 화상 조각 데이터를 분류하고, 이를 재배열하고 각 화상 조각 데이터에 구분 요소들을 첨가한 다음에 이를 합성하여 화상 메모리 장치(11)에 저장하고, 이를 정해진 형태로 구성하여 인쇄장치(12)로 출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안 출력 장치
  10. 9항에 있어서, 이미지센서(9)로 읽은 원래 화상의 각 조각은 보안코드입력장치(14)의 값에 따라 재배열 순서를 다르게 하여 이중으로 보안 기능을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보안장치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11. 화상보안 지원 장치에 있어서, 암호화 화상을 이미지센서(15)로 읽어 중앙처리장치(16)는 각 조각의 윤곽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메모리장치(17)에 각각 저장하고 이를 보안코드입력장치(19)의 입력 값에 따라 재변환하여 원래 화상을 재합성하고 이를 표시장치(18)에 나타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안물의 해독장치
  12. 11항에 있어서, 통장의 경우 서명과 인감을 전표와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해서는 전표의 인감 및 서명을 이미지센서(11)로 읽고, 변환된 인감 및 화상과 비교하여 결과 표시장치(20)로 진위 여부를 알려주며, 인간이 판별할 수 있도록 별도로 화면표시장치(18)에 두 화상을 다른 색상으로 중첩시켜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날인 자동 및 수동 인식 장치
  13. 화상암호화대상물에 있어서, 사진과 성명 및 고유번호를 선택,조합하여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고, 이 화상을 조각식 암호화상으로 만들어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민등록증과 여권 및 신분증
KR1019990002625A 1999-01-27 1999-01-27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KR20000051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25A KR20000051918A (ko) 1999-01-27 1999-01-27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AU30575/99A AU3057599A (en) 1999-01-27 1999-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information into puzzle-type
JP2000596524A JP2002541497A (ja) 1999-01-27 1999-04-07 パズル式画像情報を暗号化する方法及び装置
PCT/KR1999/000167 WO2000045336A1 (en) 1999-01-27 1999-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information into puzzle-type
CN99804568A CN1124567C (zh) 1999-01-27 1999-04-07 把图象信息编码成拼图板类型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625A KR20000051918A (ko) 1999-01-27 1999-01-27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918A true KR20000051918A (ko) 2000-08-16

Family

ID=1957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625A KR20000051918A (ko) 1999-01-27 1999-01-27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541497A (ko)
KR (1) KR20000051918A (ko)
CN (1) CN1124567C (ko)
AU (1) AU3057599A (ko)
WO (1) WO200004533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48B1 (ko) * 2002-02-25 2004-06-23 알파로직스(주) 잠상 현출에 의한 화상정보 암호화 이미지의복사·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6411B1 (ko) * 2002-07-12 2005-11-08 알파로직스(주) 영상 데이터의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0243B1 (ko) * 2007-07-30 2009-01-23 주식회사 골드엔키 이미지 퍼즐형 암호화이미지를 이용한 원본이미지암호화시스템
KR100879961B1 (ko) * 2007-06-29 2009-01-23 주식회사 골드엔키 이미지 퍼즐형 키코드와, 이를 이용한 정보 보안시스템 및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5970B (en) * 2001-05-31 2005-11-23 Nokia Corp Electronic gaming
CN100464584C (zh) * 2006-11-21 2009-02-25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实现信号加密的视频监控系统和视频监控方法
GR20160100542A (el) * 2016-10-14 2018-06-27 Ηλιας Γεωργιου Χρονοπουλος Επιτραπεζιο παιχνιδι με ολισθαινοντα πλακιδια
CN110502913A (zh) * 2019-08-22 2019-11-26 天津一鉴楼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对称散列混淆内容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954A (en) * 1960-10-24 1987-07-28 Cook Richard C Cryptographic process and enciphered product
US5337362A (en) * 1993-04-15 1994-08-09 Rico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data onto plain paper
JPH07152320A (ja) * 1993-11-30 1995-06-16 Tani Denki Kogyo Kk イメージ情報暗号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0107788A (ja) * 1996-10-01 1998-04-24 Bariafurii:Kk 電子データ置換法
KR19990024950A (ko) * 1997-09-09 1999-04-06 조영선 퍼즐식 화상 정보 보안시스템 및 지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1859B2 (ja) * 1994-09-29 2002-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ズルゲーム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
JPH10174782A (ja) * 1996-12-18 1998-06-30 Sharp Corp ジグソーパズ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954A (en) * 1960-10-24 1987-07-28 Cook Richard C Cryptographic process and enciphered product
US5337362A (en) * 1993-04-15 1994-08-09 Rico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data onto plain paper
JPH07152320A (ja) * 1993-11-30 1995-06-16 Tani Denki Kogyo Kk イメージ情報暗号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0107788A (ja) * 1996-10-01 1998-04-24 Bariafurii:Kk 電子データ置換法
KR19990024950A (ko) * 1997-09-09 1999-04-06 조영선 퍼즐식 화상 정보 보안시스템 및 지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48B1 (ko) * 2002-02-25 2004-06-23 알파로직스(주) 잠상 현출에 의한 화상정보 암호화 이미지의복사·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6411B1 (ko) * 2002-07-12 2005-11-08 알파로직스(주) 영상 데이터의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9961B1 (ko) * 2007-06-29 2009-01-23 주식회사 골드엔키 이미지 퍼즐형 키코드와, 이를 이용한 정보 보안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80243B1 (ko) * 2007-07-30 2009-01-23 주식회사 골드엔키 이미지 퍼즐형 암호화이미지를 이용한 원본이미지암호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567C (zh) 2003-10-15
AU3057599A (en) 2000-08-18
CN1295695A (zh) 2001-05-16
WO2000045336A1 (en) 2000-08-03
JP2002541497A (ja)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7999B2 (ja) デジタル符号化画像を復号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96120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playing digital images
EP1514227B1 (en) Visible authentication patterns for printed document
US5913542A (en) System for producing a personal ID card
US5900954A (en) Machine readable record carrier with hologram
US6983048B2 (en) Multi-section decoding lens
EP2320389A2 (en) Visible authentication patterns for printed document
WO2000039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legitimacy of an article
CN1421814A (zh) 一种数字防伪方法
GB2375423A (en) Document printed with graphical symbols which encode information
KR19990024950A (ko) 퍼즐식 화상 정보 보안시스템 및 지원장치
KR20000051918A (ko) 퍼즐식 화상정보 암호화 원리 및 지원장치
JP2006236213A (ja) 認証システム
CN102658741B (zh) 一种基于视觉密码的可视防复印技术
Tkachenko Generation and analysis of graphical codes using textured patterns for printed document authentication
KR100407464B1 (ko) 화소단위의 다단계 암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3875302B2 (ja) 記録物、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H11198573A (ja) 顔写真検証システム
JPH09138852A (ja) 多重画像の周波数変換による個人情報記録カードの製 造方法及びその読取り装置
JPH1173504A (ja) 認証用記録物および真偽判定方法
WO20020394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rypting/decrypting information on a pixel-by-pixel basis and encryption/decryption system using the same
Teraura et al. A QR Symbol with ECDSA for Both Public and Secret Areas using Rhombic Sub-cells
JP2000094858A (ja) 金融取引の証拠証券
JPH05305793A (ja) 偽造防止機能付き光カード
KR100396825B1 (ko) 화소의 기본요소를 이용한 암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암복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