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774A - 카올리나이트-함유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축산사료 - Google Patents

카올리나이트-함유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그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축산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774A
KR20000049774A KR1020000022983A KR20000022983A KR20000049774A KR 20000049774 A KR20000049774 A KR 20000049774A KR 1020000022983 A KR1020000022983 A KR 1020000022983A KR 20000022983 A KR20000022983 A KR 20000022983A KR 20000049774 A KR20000049774 A KR 20000049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kaolinite
parts
feed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680B1 (ko
Inventor
홍경표
신언장
Original Assignee
홍경표
신언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표, 신언장 filed Critical 홍경표
Priority to KR102000002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6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성 축산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조성물은 (a) 주성분으로서 입경 100 내지 400 메쉬의 소성된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와; (b)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1보조성분 10∼20중량부와; (c)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2보조성분 1∼10중량부를 함유하며, 이러한 조성의 축산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증체율, 산란율, 유지율, 사료효율의 개선, 그리고 고품질 축산물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의 고부가가치를 구사하며,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가축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면역력을 높이며, 축사환경개선과 생산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올리나이트-함유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축산사료 {Miner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ntaining kaolinite, its preparation and feed containing it}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의 증체율, 산란율, 유지율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그 조성물 및 이러한 첨가제가 배합된 축산 사료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물성 사료 첨가제 또는 보조사료는 일라이트, 제오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단순히 분쇄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하고 있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그 효율의 극대화 또는 최적화를 위하여 앞으로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광물성 사료 첨가제로 적용하는 것이 보고된 적이 없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 高嶺石)를 이용하여 가축의 증체율, 산란율, 유지율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항생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토양 개량 효과를 제공하고 축산 오·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자가 아는 한 광물성 사료 첨가제에 적용하는 것이 보고된 적이 없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 高嶺石)를 이용하여 가축의 증체율, 산란율, 유지율, 식품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카올린상이 표면적이 크고 다공성의 강력한 흡착력을 갖고 있으며, 가열하면 수분이 증발되고 식히면 잃었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에 착안하여,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분대신에 가축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물질이 가축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면역력 향상 그리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며, 토양 개량 효과를 제공하고 축산 오·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산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있어서, (a) 주성분으로서 입경 100 내지 400 메쉬의 소성된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와; (b)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1보조성분 10∼20중량부와; (c)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2보조성분 1∼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에 의하면 상기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카올리나이트를 조분쇄하는 공정, (ⅱ) 얻어진 조분쇄물을 200∼400℃의 온도에서 건조후 냉각하고 100 내지 400 메쉬로 미분쇄하는 공정, (ⅲ) 얻어진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600∼800℃에서 소성하는 공정, (ⅳ) 소성된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실온으로 냉각하되, 냉각중에 소성된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1보조성분 10∼20중량부와;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2보조성분 1∼10중량부를 첨가하여 카올리나이트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사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조성물중 소성 카올리나이트는 축종별 소화율을 고려하여 100 내지 400 메쉬의 범위내에서 적정한 입자크기의 미분체상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의 입자크기가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100∼200메쉬, 바람직하게 140∼160 메쉬인 것이 소화시키기 적당하며, 양돈, 비육우용, 산양용, 면양용, 젖소용 등의 경우에는 200∼400메쉬, 바람직하게 300∼350 메쉬인 것이 소화시키기 적당하다. 카올리나이트는 미세분말 그 자체만으로도 수분흡수에 의한 연변과 수변의 방지, 장내 개스의 흡착 그리고 가축의 소화율 증진효과가 있다. 카올린은 pH 9.9 정도의 음이온 알칼리에너지로서 가축장내의 유효 세균층의 정상화와 유해 균의 증식억제 기능 및 유익 균의 증식을 촉진시켜 생체를 활성화하고 각종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사료 효율 향상, 소화율 향상, 설사 예방, 가스제거, 장내 pH의 조절기능으로 번식·생리개선, 폐사율 감소, 항생물질 피해 및 사용량 감소, 산란율 향상, 유질 향상, 유지율 증가에 큰 효과를 볼수 있으며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단백, 저지방, 저콜레스테롤의 육고기를 생산하는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가축의 면역력 증강은 물론 환경 친화형 축산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토양개량 및 축산 오·폐수로 인한 환경오염방지효과가 크다.
본 조성물에는 제1 보조 성분으로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를 함유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10∼20중량부로 함유된다. 바람직한 제1보조성분은 상기 5가지 물질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다. 제1보조성분을 구성하는 각 물질의 적정 함량은 미분체상 소성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망간 3∼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4∼9중량부; 철분 0.1∼7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5∼6중량부; 구리 0.01∼2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05∼1중량부; 아연 3∼8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5∼6중량부; 요오드 0.01∼1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05∼0.2중량부이다.
또한 본 조성물에는 제2보조성분으로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1∼10중량부 함유된다. 제2보조성분을 구성하는 각 물질의 적정 함량은 미분체상 소성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황산동 0.1∼0.5, 요오드화칼륨 0.001∼0.01중량부, 황산망간 0.1∼0.5중량부, 염화코발트 0.001∼0.01중량부, 칼슘 0.1∼2.0중량부, 인 0.1∼1.0중량부, 마그네슘 0.05∼0.5중량부이다. 본 조성물을 양돈 및 양계용으로 적용시키는 경우에는 제2보조성분은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보조성분중 칼슘, 인 및 마그네슘은 젖소용 이외에는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축종에 따라 가축의 사료에 대략 1∼60중량%의 범위내에서 적정하게 선정한 양으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함수 규산염의 성질 즉, 가열하면 수분이 증발되고 식히면 잃었던 수분을 다시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카올리나이트를 소성한 후 실온으로 식히는 과정에서 증발된 수분 대신에 제1보조성분 및/또는 제2보조성분을 일정량으로 계량,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카올리나이트 원광을 구경 30㎝ 이하의 크기로 파쇄한 후 죠크러셔(jaw crusher)와 같은 조분쇄기로 조분쇄하고 체분리하여 대략 7메쉬(약 5㎜) 정도의 입자크기를 갖는 조분쇄물을 얻는다.
다음, 얻어진 조분쇄물을 200∼400℃의 온도에서 건조후 냉각하고 100 내지 400 메쉬로 미분쇄한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미분쇄장치로는 함마밀과 튜브밀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건조시간은 1 내지 3시간 정도, 냉각시간은 5 내지 7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다음, 얻어진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600∼800℃에서 소성한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의 소성은 2 내지 4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음, 소성된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실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제1보조성분과 제2보조성분을 첨가하여 카올리나이트에 흡수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특징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축종별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카올리나이트 원광을 구경 30㎝ 이하의 크기로 파쇄하고 조분쇄한 후 7메쉬의 스톤 세파레이터를 통과시켜 조분쇄물을 얻고, 이를 30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하고 6시간 냉각한 후 함마밀과 튜브밀로 미분쇄하여 표 1에 제시되는 입자크기의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준비하였다. 얻어진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700℃에서 약 3시간 소성하고 나서, 실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표1에 제시되는 양으로 제1보조성분과 제2보조성분을 계량하여 부가혼합하여 축종별 사료 첨가제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표 1]
축종별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동물실험
* 육계에 대한 급여시험 …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육계용 사료에 표 2에 나타낸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육계에 급여하고, 급여에 따른 증체율,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사료비를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평가항목 실시예 1의 조성물 급여 수준
0% 1.5% 3.0%
총증체량(g) 1,526 1,563 1,662
사료섭취량(g) 3,807 3,886 4,865
사료요구율 2,493 2,487 2,460
사료비(생체 1kg당) 205 201 196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의 급여에 의해 증체율과 섭취량이 증가되고 사료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장내 과잉수분을 흡수하여 연변을 방지하고 사료의 장내 통과시간을 지연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산란계에 대한 급여시험 …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산란계용 사료에 표 3에 나타낸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하고, 급여에 따른 평균 난중 및 평균산란율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평가항목 실시예 1의 조성물 급여 수준
0% 1.5% 3.0% 4.5%
평균난중(g) 63.86 63.27 61.92 62.52
평균산란율(%) 87.18 89.37 88.63 87.4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1.5% 급여시 평균산란율과 평균난중이 가장 높았으며, 3.0%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계분의 수분함량은 25%가 감소되었다.
* 돼지에 대한 급여시험 …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육성돈용 사료에 표 4에 나타낸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고, 급여에 따른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평가항목 실시예 2 조성물의 급여수준
0% 1% 2% 4% 6%
개시시 체중(㎏) 35.6 35.4 35.7 35.7 35.4
종료시 체중(㎏) 97.4 91.7 97.5 96.8 94.2
총증체량(㎏) 61.8 56.3 61.7 61.1 58.8
사료섭취량(㎏) 233.50 214.70 235.06 234.02 224.96
사료효율 3.78 3.81 3.81 3.83 3.83
돼지에 대한 본 조성물의 급여효과로서는 표 4에 보는 바와 같이 육성돈의 성장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에너지 대사를 개선시켜 6% 첨가 급여시 각종 병 발생율 및 폐사율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치료 약품비도 절감되었으며, 하리의 발생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사료 영양소 요구량을 측정한 결과 다른 성분의 소화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조단백질의 소화율이 크게 개선되었다.
* 비육우에 대한 급여시험 …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비육우용 사료에 2% 급여시 증체량 및 도체율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하리의 발생도 적었다.
* 젖소에 대한 급여시험 …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젖소용 사료에 5% 급여로 젖소 송아지(홀스타인종)의 증체율이 증가되고 1㎏에 소요되는 사료비가 절감되었으며, 청초급여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요소를 계량, 부가혼합하여 비유중인 젖소에게 3개월간 급여한 결과 유지율과 유생산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체중은 약간 증가되고 증체 1㎏에 소요되는 사료비가 절감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축의 증체율, 산란율, 유지율, 사료효율의 개선, 그리고 고품질의 축산물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의 고부가가치를 구사하며,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가축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면역력을 높이며, 축사환경개선과 생산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축산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있어서, (a) 주성분으로서 입경 100 내지 400 메쉬의 소성된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와; (b)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1보조성분 10∼20중량부와; (c)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2보조성분 1∼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성분을 구성하는 물질의 함량이 미분체상 소성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망간 3∼10 중량부, 철분 0.1∼7중량부, 구리 0.01∼2중량부, 아연 3∼8중량부, 요오드 0.01∼1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성분을 구성하는 물질의 함량이 미분체상 소성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망간 4∼9중량부, 철분 0.5∼6중량부, 구리 0.05∼1중량부, 아연 5∼6중량부, 요오드 0.05∼0.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성분을 구성하는 물질의 함량이 미분체상 소성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황산동 0.1∼0.5, 요오드화칼륨 0.001∼0.01중량부, 황산망간 0.1∼0.5중량부, 염화코발트 0.001∼0.01중량부, 칼슘 0.1∼2.0중량부, 인 0.1∼1.0중량부, 마그네슘 0.05∼0.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5.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ⅰ) 카올리나이트를 조분쇄하는 공정, (ⅱ) 얻어진 조분쇄물을 200∼400℃의 온도에서 건조후 냉각하고 100 내지 400 메쉬로 미분쇄하는 공정, (ⅲ) 얻어진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600∼800℃에서 소성하는 공정, (ⅳ) 소성된 미분체상 카올리나이트를 실온으로 냉각하되, 냉각중에 소성된 카올리나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망간, 철, 구리, 아연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1보조성분 10∼20중량부와; 황산동, 요오드화 칼륨, 황산망간, 염화코발트, 칼슘, 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2보조성분 1∼10중량부를 첨가하여 카올리나이트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 기재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사료.
KR1020000022983A 2000-04-28 2000-04-28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4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83A KR100341680B1 (ko) 2000-04-28 2000-04-28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83A KR100341680B1 (ko) 2000-04-28 2000-04-28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74A true KR20000049774A (ko) 2000-08-05
KR100341680B1 KR100341680B1 (ko) 2002-06-22

Family

ID=1966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83A KR100341680B1 (ko) 2000-04-28 2000-04-28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96A (ko) * 2001-09-10 2001-11-09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광물사료 및 무기물 먹이
KR100842711B1 (ko) * 2007-02-15 2008-07-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육방법
KR100843627B1 (ko) * 2007-02-14 2008-07-04 민형규 활성수 및 천연 합성 광물질 급여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KR100851313B1 (ko) * 2007-02-15 2008-08-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료용 조성물
KR20220061779A (ko) * 2020-11-06 2022-05-13 김미정 미생물을 포함한 보조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450A (ko) * 2013-01-18 2014-07-28 노스타 바이오테크 주식회사 분사암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274B1 (ko) * 1999-12-21 2002-06-03 이명희 팽창성 광물질을 소재로 한 가축용 사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96A (ko) * 2001-09-10 2001-11-09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광물사료 및 무기물 먹이
KR100843627B1 (ko) * 2007-02-14 2008-07-04 민형규 활성수 및 천연 합성 광물질 급여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KR100842711B1 (ko) * 2007-02-15 2008-07-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육방법
KR100851313B1 (ko) * 2007-02-15 2008-08-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료용 조성물
KR20220061779A (ko) * 2020-11-06 2022-05-13 김미정 미생물을 포함한 보조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680B1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4290A1 (en) Animal feed additives
WO2008129079A2 (de) Biokatalysato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60124555T2 (de) Futterzusammensetzung für das ersetzen der antibiotika
CN1810145A (zh) 天然矿物质饲料添加剂的生产方法
CN102550866B (zh) 一种猪饲料
KR100341680B1 (ko) 광물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053590A (zh) 一种断奶仔猪微量元素预混合饲料及配合饲料
WO2015107218A1 (de) Verwendung von tonmineral als futterzusatzstoff und/oder als ergänzungsfutter für aquatische organismen
RU2319391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свиней и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свиней
CN104905067A (zh) 一种肉牛安全生产及营养调控方法
CN107568457A (zh) 一种替代抗生素和氧化锌降低断奶仔猪腹泻率的饲料
Chrastinová et al. Effect of combinative dietary zinc supplementation and plant thyme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the diet for growing rabbits
Chappel et al. Effect of mineral supplements on digestibility of a corncob ration by sheep
CN106417918A (zh) 畜禽用含硒、em益生菌添加剂及其应用
RU2680009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микотоксинов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тицы (варианты)
KR101851994B1 (ko) 생광석 미네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E2854817A1 (de) Verfahren zur erhoehung der legeleistung von eierlegendem gefluegel
KR100339274B1 (ko) 팽창성 광물질을 소재로 한 가축용 사료
Shinde et al. Effect of chelated minerals supplementation on copper and zinc absorption, retention and wool yield of chokla rams
KR100400139B1 (ko) 젖소 또는 돼지 보조사료용 조성물
JP3017235B2 (ja) 飼 料
KR102001810B1 (ko) 메탄저감용 사료 첨가제
EP0142093B1 (de) Staubfreie Chinoxalin-1,4-di-N-oxid enthaltende Zubereitung
JPH0349539B2 (ko)
KR20150121425A (ko) 생광석 미네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