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635A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635A
KR20000049635A KR1020000020763A KR20000020763A KR20000049635A KR 20000049635 A KR20000049635 A KR 20000049635A KR 1020000020763 A KR1020000020763 A KR 1020000020763A KR 20000020763 A KR20000020763 A KR 20000020763A KR 20000049635 A KR20000049635 A KR 20000049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ncrete structure
storage container
injected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환
Original Assignee
장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환 filed Critical 장유환
Priority to KR102000002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635A/ko
Publication of KR2000004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어 브러시로 깨끗하게 긁어내고, 지지부재의 좌판대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에 형성된 중앙관통공이 일치되게 부착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 배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후에 레진저장용기와 체크밸브가 결합된 가이드부재의 삽입부를 지지부재에 형성된 레진주입공내에 결합시키고, 체크밸브를 통해서 가이드부재내로 레진을 주입하고, 레진을 충분이 주입한 후에 레진저장용기 및 가이드부재내로의 레진 주입을 중단하여 레진저장용기내의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레진을 주입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 레진이 경화된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레진주입장치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레진을 주입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A MENDINGㆍREINFORCEMENT METHOD OF CRACK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에폭시수지A와 에폭시수지B(경화제)를 혼합한 레진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의 레진저장용기내의 자체압력으로 주입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하기 위하여 에폭시 방수액을 균열부에 주입하는 장치로서는, 본 출원인이 1990년 8월 31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출원번호; 제90-13621호)하여 1993년 2월 19일자로 공고된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3-677호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1회용 시멘트풀 주입기,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하기 위해 균열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는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좌판부(4)와 관통구멍(6)이 형성된 주입유도관(5)을 가진 주입유도판(1)과, 주사기형 주입체(2) 및 길다란 코일스프링(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유도판(1)은 사각형 좌판부(4)의 배면 양측부에 상기 길다란 코일스프링(3)의 양단을 거는 한쌍의 스프링 걸림부(7)를 가지며, 상기 주사기형 주입체(2)의 일단은 주입유도관(5)에 형성된 관통구멍(6)에 삽입되는 원추형 주입노즐(8)이 마련되어 있고, 타단은 개방단(9)으로 되어 있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내부에서 활주하는 피스톤(11)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11)에 씌워져 고정되고 하단측에는 외측에 스프링 지지홈(14)이 형성된 단면이 +형상인 피스톤봉(12)을 포함하며, 상기 길다란 코일스프링(3)의 양단은 상기 주입유도판(1)의 각 스프링 걸림부(7)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중앙부분은 상기 피스톤(12)의 후단측에 있는 원판(13)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14)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부분을 보수할려면, 먼저 상기 사각형 좌판부(4)를 균열부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시킨 후, 특정시간(약 24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상기 사각형 좌판부(4)의 주입유도관(5)에 형성된 관통공(6)에 에폭시수지(에폭시A와 에폭시B를 혼합한 수지)가 주입되어 있는 실린더(10)의 원추형 주입노즐(8)을 감입시킨다.
다음에, 길다란 코일스프링(3)의 양단부를 상기 사각형 좌판부(4)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 걸림구(7, 7)에 걸고 나서 상기 길다란 코일스프링(3)의 중간 부분을 잡아 당겨서 피스톤봉(12)의 원판(13)에 직경방향으로 횡단되게 형성된 지지홈(14)에 지지시키면, 상기 피스톤봉(12)이 길다란 코일스프링(3)의 수축력에 의해 실린더(10)내에서 원추형 주입노즐(8)측으로 밀려들어 간다.
이 때, 상기 피스톤봉(12)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11)이 상기 실린더(10)내에 주입되어 있는 에폭시수지를 원추형 주입노즐(8)측으로 밀어내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되며, 주입된 에폭시 수지가 경화됨에 따라 균열부위를 보강 또는 보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는 관통구멍(6)이 형성된 주입유도관 및 스프링 걸림부(7)를 구비한 주입유도판(1), 주입노즐(8)을 가진 실린더(10) 및 선단부에 피스톤(11)이 장착된 피스톤 봉(12)을 가진 주사기형 주입체(2) 및 금속제의 코일스프링(3)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10)내에 주입된 에폭시A와 에폭시B(또는 경화제라고도 한다)를 혼합한 에폭시수지를 특정시간(경화제가 경화되는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하지 않으면, 에폭시수지가 경화되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에폭시수지 주입장치 및 상기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내에 주입되어 있는 에폭시수지를 폐기처리하여야 하므로, 시공비가 증가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는 고무재질의 피스톤,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 및 합성수지재의 주사기형 주입체(2) 및 합성수지재의 주입유도관(1)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를 재활용할려면, 고무, 금속 및 합성수지를 분해하여 재활용하여야 하므로, 재활용하는데 많은 인건비가 소용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어 브러시로 깨끗하게 긁어내는 이물질제거스텝과, 지지부재의 좌판대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에 형성된 중앙관통공이 일치되게 부착시키는 지지부재 부착스텝과,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 배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 레진저장용기와 체크밸브가 결합된 가이드부재의 삽입부를 지지부재에 형성된 레진주입공내에 결합시키는 결합스텝과,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서 가이드부재내로 레진을 주입하는 레진주입스텝과, 상기 레진주입스텝에서 레진을 충분이 주입한 후에 레진저장용기 및 가이드부재내로의 레진 주입을 중단하는 레진주입 중단스텝과, 상기 레진주입 중단스텝에서 레진주입이 중단된 후에 상기 레진저장용기내의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레진을 주입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스텝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 레진이 경화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레진주입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로부터 제거하는 레진주입장치 제거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에폭시수지 주입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를 보수/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좌판대 102a:관통공
102b:중앙관통공 104:지지대
104a:레진주입공 106:보스부
110:지지부재 110a:레진주입공
112:삽입부 112a:관통공
114:개구부 116:레진유도공
120:가이드부재 130:체크밸브
132:원형 플랜지 140:레진저장용기
140a:눈금 142:삽입부
142a:관통공 150:천정
152:균열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를 보수/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에 삽입되어 레진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개구부(114)에 삽입고정는 체크밸브(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형성된 레진유도공(116)내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서 도입되는 레진을 저장하는 레진저장용기(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02a)이 형성된 좌판대(102)와, 상기 좌판대(102)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뻗음과 동시에 중앙에 레진주입공(104a)이 형성된 지지대(1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10)는 지지대(104)가 형성된 반대측 좌판대(102)에 중앙관통공(102b)이 접착제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상기 중앙관통공(102b)의 둘레에 원형의 보스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그 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지지대(104)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부측에는 개구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측부에 레진유도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에는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 도입되는 레진의 일부(레진저장용기(140)에 저류되지 않고 남은 레진) 및 레진저장용기(140)에서 배출되는 레진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130)는 가이드부재(120)의 개구부(114)에 삽입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 플랜지(13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에는 가이드부재(120)의 측부에 형성된 레진유도공(116)내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14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의 삽입부(142)에는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 도입되는 레진을 저류하기 위해 도입함과 동시에, 저류되어 있는 레진을 콘크리트 균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1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의 삽입부(142)에는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 도입되는 레진을 저류하기 위해 도입함과 동시에, 저류되어 있는 레진을 콘크리트 균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1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에는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 도입되는 레진의 일부(레진저장용기(140)에 저류되지 않고 남은 레진) 및 레진저장용기(140)에서 배출되는 레진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되어 있는 레진이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눈금(140a)이 새겨져 있다.
상기 체크밸브(130)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를 보수ㆍ보강하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레진유도공(116)내에 레진저장용기(140)의 삽입부(142)를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개구부(114)에 체크밸브(130)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2개의 플랜지(132)사이에 형성된 오목홈(134)내에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개구부(114) 둘레에 형성된 클릭(114a)이 외감되어서 상기 체크밸브(130)와 가이드부재(1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130)와 가이드부재(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나서, 스텝S1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어 브러시로 깨끗하게 긁어낸 다음, 스텝S2로 나아가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에 형성된 중앙관통공(102b)이 일치되게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에 형성된 중앙관통공(102b)의 둘레에는 원형의 보스부(10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중앙관통공(102b)이 막히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 배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스텝S4로 나아가서 레진저장용기(140)와 체크밸브(130)가 결합된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를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내에 결합시킨다.
그 후, 스텝S5로 나아가서 상기 체크밸브(130)에 형성된 밑면이 폐쇄된 관통공(130a)내에 도시하지 않은 실링 건의 배출공을 밀어넣어 가이드부재(120)내로 삽입한 후, 도시하지 않은 에폭시(레진)주입장치를 구동시켜서 레진을 상기 가이드부재(120)내에 주입시킨다(상기 실링 건 및 에폭시(레진)주입장치에 대해서는 2000년 3월 6일자로 공개된 한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특2000-12271호(발명의 명칭;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20)내에 주입된 레진의 일부는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에 형성된 관통공(112a), 지지부재(11)의 지지대(104)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 및 좌판대(102)에 형성된 중앙관통공(102b)을 통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레진유도공(116), 삽입부(142)에 형성된 관통공(142a)을 통해서 레진저장용기(140)내의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로 들어가서 저류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 및 가이드부재(120)내에 일정한 압력으로 레진이 주입되면,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체크밸브(130)로부터 실링 건의 배출공을 뽑아내어 상기 레진저장용기(140) 및 가이드부재(120)내로 레진의 주입을 중단하고, 스텝S7로 나아가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저장된 레진은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내로 주입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된 레진의 압력과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의 압력이 같을 때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에 레진이 주입된다.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되는지 여부는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의 외주면에 새겨져 있는 눈금(140a)을 보면서 레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다.
다음에 스텝S8로 나아가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 레진이 경화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레진주입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부터 제거해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수집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은 일정온도하에서 기체의 부피가 줄면 압력은 부피에 반비례하여 정수배로 늘어난다는 보일의 법칙(Boyle's law)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진저장용기(140)의 부피가 일정하고,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레진을 주입하는 시간과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을 콘크리트로 배출하는 시간이 대체로 같으므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레진을 주입하는 온도와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을 콘크리트로 배출할 때의 온도가 일정하다고 간주하면,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은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로 레진이 주입될 때,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주입되므로, 이 압축된 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의 레진저장용기는 천정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주입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진저장용기(140)의 눈금(140a)이 형성된 부분이 천정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바닥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주입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진저장용기(140)의 눈금(140a)이 형성된 부분이 바닥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의 레진저장용기는 벽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주입할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20)의 레진유도공(116)에 결합된 레진저장용기(140)를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어 브러시로 깨끗하게 긁어내고, 지지부재의 좌판대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에 형성된 중앙관통공이 일치되게 부착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의 좌판대 배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후에 레진저장용기와 체크밸브가 결합된 가이드부재의 삽입부를 지지부재에 형성된 레진주입공내에 결합시키고, 체크밸브를 통해서 가이드부재내로 레진을 주입하고, 레진을 충분이 주입한 후에 레진저장용기 및 가이드부재내로의 레진 주입을 중단하여 레진저장용기내의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레진을 주입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 레진이 경화된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레진주입장치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레진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에 레진을 주입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어 브러시로 깨끗하게 긁어내는 이물질제거스텝과,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에 형성된 중앙관통공(102b)이 일치되게 부착시키는 지지부재 부착스텝과,
    상기 지지부재(110)의 좌판대(102) 배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 레진저장용기(140)와 체크밸브(130)가 결합된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를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내에 결합시키는 결합스텝과,
    상기 체크밸브(130)를 통해서 가이드부재(120)내로 레진을 주입하는 레진주입스텝과,
    상기 레진주입스텝에서 레진을 충분이 주입한 후에 레진저장용기(140) 및 가이드부재(120)내로의 레진 주입을 중단하는 레진주입 중단스텝과,
    상기 레진주입 중단스텝에서 레진주입이 중단된 후에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의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레진을 주입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스텝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된 레진이 경화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레진주입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로부터 제거하는 레진주입장치 제거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주입스텝은 가이드부재(120)내에 주입된 레진의 일부는 가이드부재(120)의 삽입부(112)에 형성된 관통공(112a), 지지부재(11)의 지지대(104)에 형성된 레진주입공(104a) 및 좌판대(102)에 형성된 중앙관통공(102b)을 통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로 주입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레진유도공(116), 삽입부(142)에 형성된 관통공(142a)을 통해서 레진저장용기(140)내의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로 들어가서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스텝은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장된 레진이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의 압축된 공기의 팽창력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내로 주입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된 레진의 압력과 상기 레진저장용기(140)내에 저류된 레진의 압력이 같을 때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내에 레진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KR1020000020763A 2000-04-19 2000-04-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KR20000049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63A KR20000049635A (ko) 2000-04-19 2000-04-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63A KR20000049635A (ko) 2000-04-19 2000-04-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635A true KR20000049635A (ko) 2000-08-05

Family

ID=1966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763A KR20000049635A (ko) 2000-04-19 2000-04-19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6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00B1 (ko) * 2001-08-28 2004-09-24 조덕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KR100628948B1 (ko) *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247U (ko) * 1985-04-08 1986-10-18
JPS6259247U (ko) * 1985-09-30 1987-04-13
KR19990066332A (ko) * 1998-01-24 1999-08-16 유성권 에폭시수지 주입방법
KR19990068512A (ko) * 1999-05-28 1999-09-06 유성권 콘크리트구조물의균열부보수공법
KR19990078821A (ko) * 1999-08-10 1999-11-0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247U (ko) * 1985-04-08 1986-10-18
JPS6259247U (ko) * 1985-09-30 1987-04-13
KR19990066332A (ko) * 1998-01-24 1999-08-16 유성권 에폭시수지 주입방법
KR19990068512A (ko) * 1999-05-28 1999-09-06 유성권 콘크리트구조물의균열부보수공법
KR19990078821A (ko) * 1999-08-10 1999-11-0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00B1 (ko) * 2001-08-28 2004-09-24 조덕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KR100628948B1 (ko) *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46B1 (ko)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EP0299121A1 (en) Fluid injection apparatus
KR20000049635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방법
KR100677899B1 (ko) 균열보수공법
KR20019854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KR2000004963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ㆍ보강용 레진 주입장치
KR200198979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JP2021059854A (ja) コンクリート長穴への剛性棒の接着方法
KR19990068512A (ko) 콘크리트구조물의균열부보수공법
KR20050053409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합성고분자 무기질계 세라믹충전재를 충전하여 철판을 부착시키는 철판부착콘크리트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553901B (zh) 用于后装拔出法检测强度的锚固件成套装置及检测方法
KR1999007882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강방법
CN210622371U (zh) 止逆流注胶头
KR200222509Y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약액 주입기구의 벽면 접착부재
JP3717442B2 (ja) 樹脂注入用治具の構造
KR19990033794U (ko) 콘크리트구조물의균열보수용에폭시수지주입장치
KR20024182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진척도 확인구
CN218438065U (zh) 一种玻化砖粘贴空鼓修复结构及其设备
KR200189873Y1 (ko) 에폭시수지 주입기의 고정장치
KR10048241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고인장 박판 고정구조 및 이를이용한 보강방법
KR102598191B1 (ko) 배기 기능의 포트와 시공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의 에폭시 건식 보수 공법
KR100917425B1 (ko) 콘크리트균열 보수보강공법
KR20018985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 보수용 에폭시 주입 핀
JPS614566A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の壁部補修薬剤自動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