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910A -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 Google Patents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910A
KR20000044910A KR1019980061413A KR19980061413A KR20000044910A KR 20000044910 A KR20000044910 A KR 20000044910A KR 1019980061413 A KR1019980061413 A KR 1019980061413A KR 19980061413 A KR19980061413 A KR 19980061413A KR 20000044910 A KR20000044910 A KR 2000004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ootstrapping
bootstrap
circuit
pre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322B1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3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 읽기 동작시 일정한 시간 간견을 두고 연속적으로 더블 부트스트래핑(Double bootstrapping)을 수행함으로써, 읽기 마진(Read margin)과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전위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의 읽기 동작시 로우 디코더의 출력에 따라 선택된 워드라인으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클럭 발생 회로와, 프리챠지 전압을 공급하는 프리챠지 회로와,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1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1 및 제 2 클럭신호와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전압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전압 드라이버 수단의 출력 전압에 따라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2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3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출력단을 프리챠지 하기 위한 프리챠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본 발명은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Word line bootstrap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 읽기(Read) 동작시 일정한 시간 간견을 두고 연속적으로 더블 부트스트래핑(Double bootstrapping)을 수행함으로써, 읽기 마진(Read margin)과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읽기 동작시 속도(Speed)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전위 전원전압을 그 이상으로 부트스래핑(bootstrapping) 하여 워드라인으로 공급하는 부트스트랩 회로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워드라인을 부트스트래핑 함에 있어, 한번의 부트스트래핑에 의해 원하는 전압 레벨을 얻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트스트랩 회로는 사용되는 전원전압(Vcc)이 2V 이하의 저전압인 경우 읽기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얻기가 불가능하고, 그 이하의 전압 레벨이라 할지라도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 읽기 동작시 일정한 시간 간견을 두고 연속적으로 더블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는 저전위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의 읽기 동작시 로우 디코더의 출력에 따라 선택된 워드라인으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클럭 발생 회로와, 프리챠지 전압을 공급하는 프리챠지 회로와,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1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1 및 제 2 클럭신호와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전압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전압 드라이버 수단의 출력 전압에 따라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2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3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출력단을 프리챠지 하기 위한 프리챠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 읽기 동작시 부트스트랩 회로를 사용할 때, 부트스트래핑이 요구되는 노드에 2개의 부트스트랩 캐패시터를 접속하고, 상기 부트스트랩 캐패시터 각각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첫 번째 부트스트랩 캐패시터가 두 번째 부트스트랩 캐패시터의 부트스트래핑 동작시 부하 캐패시턴스로 작용하지 않도록 출력이 플로팅(Floating) 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칭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율적인 부트스트래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입출력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럭 발생 회로 2: 프리챠지 회로
3: 서브-어레이 스위칭 수단 4: VPPX 전압 스위칭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도이다.
서브-어레이 스위칭 수단(3), VPPX 전압 스위칭 수단(4) 및 부하 캐패시터(CL)에 의해 출력단은 프리 챠지(Pre charge) 된다. 상기 출력단에는 제 1 및 제 2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1및 CB2)가 접속된다. 클럭 발생 회로(1)에서는 제 1 내지 제 3 클럭신호(CK1 내지 CK3)를 생성하게 된다. 전압 드라이버 수단(5)은 상기 클럭 발생 회로(1)에서 생성된 제 1 및 제 2 클럭신호(CK1 및 CK2)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CB1)를 구동시켜 챠지 펌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2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2)는 인버터(I2)를 경유한 상기 제 3 클럭신호(CK3)에 의해 부트스트랩핑 된다.
상기 제 1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 드라이버 수단(5)은 전원단자(Vcc) 및 접지단자(Vss)간에 상기 제 1 클럭신호(CK1)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인 제 1 PMOS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P1 및 N1)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PMOS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P1 및 N1)간에는 프리챠지 회로(2)의 출력 전압 및 인버터(I1)를 경유한 상기 제 2 클럭신호(CK2)가 제 3 캐패시터(CB3)를 구동시켜 챠지 펌핑된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N2)가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트스트랩 노드인 제 1 노드(K1)는 초기에 프리챠지 회로(2)에 의해 Vcc 전압 레벨까지 프리챠지 되어 있다가 제 1 클럭신호(CK1)에 의해 일차적으로 부트스트래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부트스트래핑 레벨은 이론적으로 3.6V를 넘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플래쉬 메모리에 있어서 적절한 읽기 동작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대 소거 문턱전압(Maximum erase Vt)이 약 2V 전압 수준이며, 최소 프로그램 문턱전압(Mimum program Vt)은 5.5V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읽기 동작시 원하는 속도(Speed)를 얻기 위하여 워드라인에 인가되어야 할 최소한의 전압을 4V로 설정하였다. 이때, 기존의 싱글 부트스트래핑(Single bootstrapping) 회로의 경우, 이론적인 최대 전압이 3.6V 이므로, 상승 시간(Rising time)이 매우 느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캐패시턴스의 비에 의하면 첫 번째 클럭 발생에 의해 2.7V 전압 즉, 150%의 부트스트래핑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이때, 로드 캐패시터(CL)와 두 번째 클럭 발생을 위한 제 2 캐패시터(CB2)의 합이 바로 챠지 분배(Charge sharing) 대상의 캐패시턴스가 된다. 한편, 첫 번째 클럭 발생시 턴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와 출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프리챠지 회로에 의해 전원전압(Vcc)으로 충전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클럭 발생에 사용되는 전압 드라이버 회로(5)의 출력 노드인 제 1 노드(K1)의 전압은 Vcc-Vtn으로 된다. 이러한, 문턱전압(Vtn)의 드롭(Drop)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 전압을 부트스트래핑 하였다. 이때,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 전압이 전원전압(Vcc)보다 훨씬 높게 되어 전압 드라이버 회로(5)의 출력 노드인 제 1 노드(K1)로 최대 전원전압(Full Vcc)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트스트래핑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부트스트래핑이 일어날 때는 다시 전원전압(Vcc) 레벨까지 떨어지게 함으로써, 제 2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2)에서의 로딩 캐패시턴스 중에서 제 1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1)의 로딩 캐패시턴스를 없애주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제 1 노드(K1)가 전원전압(Vcc) 레벨로 복원되면,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 소오스간 전압(Vgs)이 0V 전압으로 되어 차단되고, 또한,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결국 제 1 노드(K1)가 플로팅(Floating) 되기 때문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노드(K1)는 두 번째 부트스트래핑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전압 ΔV 만큼 커플링이 일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2)의 로딩 캐패시턴스를 줄여 상기 제 2 부트스트랩 캐패시터(CB2)의 캐패시턴스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두 번째 부트스트래핑시에는 첫 번째 부트스트래핑 레벨인 2.7V의 전압으로부터 4.1V의 전압으로 상승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입출력 파형도로서,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내지 제 3 클럭신호(CK1 내지 CK3)에 따라 워드라인(W/L) 전압이 연속적으로 부트스트래핑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플래쉬 메모리에서 읽기 동작시 일정한 시간 간견을 두고 연속적으로 더블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함으로써, 읽기 마진과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저전위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의 읽기 동작시 로우 디코더의 출력에 따라 선택된 워드라인으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클럭 발생 회로와,
    프리챠지 전압을 공급하는 프리챠지 회로와,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1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1 및 제 2 클럭신호와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전압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전압 드라이버 수단의 출력 전압에 따라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2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 3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을 부트스트래핑 하기 위한 제 3 부트스트랩 수단과,
    상기 출력단을 프리챠지 하기 위한 프리챠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드라이버 수단은 전원단자 및 접지단자간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와,
    상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간에 접속되며, 상기 프리챠지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제 1 부트스트랩 수단에 의해 펌핑된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챠지 수단은 서브-어레이 스위칭 수단, VPPX 전압 스위칭 수단 및 부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KR1019980061413A 1998-12-30 1998-12-30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KR10029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13A KR100296322B1 (ko) 1998-12-30 1998-12-30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13A KR100296322B1 (ko) 1998-12-30 1998-12-30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10A true KR20000044910A (ko) 2000-07-15
KR100296322B1 KR100296322B1 (ko) 2001-08-07

Family

ID=1956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13A KR100296322B1 (ko) 1998-12-30 1998-12-30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58B1 (ko) * 2005-04-29 2007-03-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압 발생 회로
US7710806B2 (en) 2005-07-23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peed at which data is read from non-volatile memo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58B1 (ko) * 2005-04-29 2007-03-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압 발생 회로
US7710806B2 (en) 2005-07-23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peed at which data is read from non-volatile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322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206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워드라인구동회로
KR9600063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구동회로
KR0172380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버퍼
US4161040A (en) Data-in amplifier for an MISFET memory device having a clamped output except during the write operation
KR100609576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블럭 스위치
US5673225A (en) Word line voltage boos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5677643A (en) Potential detecting circuit which suppresses the adverse effects and eliminates dependency of detected potential on power supply potential
KR100281693B1 (ko) 고속 삼상 부스터 회로
KR0167295B1 (ko) 저전력용 센스앰프회로
US5751643A (en) Dynamic memory word line driver
US7315195B2 (en)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5065361A (en) Semiconductor memory integrated circuit
US5818790A (en) Method for driving word line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225854B1 (en) Voltage boosting circuit having cross-coupled precharge circuits
KR100758885B1 (ko) 플래시 메모리용 고속 디코더
US8723559B2 (en) Dynamic driver circuit
GB2442831A (en) Charge pump circuit with boost stages for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KR016480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회로
KR100296322B1 (ko)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US7230874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5917366A (en) Voltage booster circuit and a voltage drop circuit with changeable operating levels
US6430093B1 (en) CMOS boosting circuit utilizing ferroelectric capacitors
US6836178B2 (en) Boosting circuit
JP3314951B2 (ja) 電荷ポンプ回路
KR96000083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