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152A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152A
KR20000044152A KR1019980060636A KR19980060636A KR20000044152A KR 20000044152 A KR20000044152 A KR 20000044152A KR 1019980060636 A KR1019980060636 A KR 1019980060636A KR 19980060636 A KR19980060636 A KR 19980060636A KR 20000044152 A KR20000044152 A KR 2000004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oil
deflection
deflection yoke
coi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6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152A/ko
Publication of KR2000004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개재되며, 내면에 수평편향코일이 마련된 코일세퍼레이터와;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면에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편향코일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중간부 외주면에 180도 등간격으로 마련되며, 수직편향코일을 통한 수직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인어 암과; 인어 암의 자계 포화량을 강화시키는 자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코일세퍼레이터의 중간부분에 마련되는 인어 암의 자계포화량을 자계수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강한 배럴자계를 형성할 수 있게되어 전자빔의 편향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잉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중간부분에 부착되는 인어 암(inner arm)의 자계 포화량을 향상시킨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음극선관(10)의 전자총부(11)에 위치되어 전자총(12)으로 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0)의 스크린(13)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편향요크(20)의 구조를 보면, 전자총부(11)에 개재되는 코일 세퍼레이터(21)를 구비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내면에는 수평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2)이 마련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외면에는 페라이트코어(23)와 함께 수직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24)이 마련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에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자계 형성을 통해 수직자계를 강한 배럴(barrel) 자계화 하여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2개의 인어 암(25)이 180도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런 인어 암의 재질은 냉간 압연규소강판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컨버젼스 특성은 음극선관(10)의 전자총(12)에서 주사되는 적,녹,청의 3전자 빔을 스크린(13)의 형광막에 1점으로 집중시켜 화상의 색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인어 암(25)은, 코일세퍼레이터(21)상에 음극선관(10)을 기준으로 하여 스크린(13)부측 보다 전자총(12)과 근접된 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인어 암(25)을 전차총(12)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는 것은, 화면의 특성중 E/W 디스토션을 줄이기 위하여 스크린쪽으로 핀형의 자계가 발생되어야 하고, 전자총측에서는 컨버젼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럴형의 자계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인어 암(25)은 배럴형의 자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자총측을 향해 치우치게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어 암(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어 암(25) 자체의 재질이 냉간 압연규소강판으로 형성되어 자화가 안정되게 수행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도 3의 그래프에서 점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어느 일정시점에서 자계포화(saturation)현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같은 인어 암(25)의 자계포화에 의해서는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적색빔의 불균일한 편향이 야기되는 일종의 비잉(B-ing)현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비잉현상은 특히 음극선관의 평탄화(flate)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게 되며 따라서 화질의 악화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어 암의 자계포화를 방지함으로써 전자빔의 안정된 편향을 도모함으로써 음극선관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인어 암에 의한 자계 형성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인어 암의 자계 포화상태를 보인 그래프,
도 4는 종래 인어 암을 채용한 편향요크를 통한 전자빔의 편향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통한 전자빔의 편향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1 : 전자총부
12 : 전자총 13 : 스크린
20 : 편향요크 21 : 코일세퍼레이터
22 : 수평편향코일 23 : 페라이트코어
24 : 수직편향코일 25 : 인어 암
30 : (자성성분을 포함하는)접착제
40 : 고무자석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개재되며, 내면에 수평편향코일이 마련된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면에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중간부 외주면에 180도 등간격으로 마련되며, 수직편향코일을 통한 수직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인어 암과; 상기 인어 암의 자계 포화량을 강화시키는 자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통해 전자빔의 편향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편향요크(20)는 음극선관(10)의 전자총부(11)에 위치되어 전자총(12)으로 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0)의 스크린(13)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편향요크(20)의 구조를 보면, 전자총부(11)에 개재되는 코일 세퍼레이터(21)를 구비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내면에는 수평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2)이 마련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외면에는 페라이트코어(23)와 함께 수직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24)이 마련된다.
코일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에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자계 형성을 통해 수직자계를 강한 배럴(barrel) 자계화 하여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2개의 인어 암(25)이 180도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런 인어 암의 재질은 냉간 압연규소강판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컨버젼스 특성은 음극선관(10)의 전자총(12)에서 주사되는 적,녹,청의 3전자 빔을 스크린(13)의 형광막에 1점으로 집중시켜 화상의 색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인어 암(25)은, 코일세퍼레이터(21)상에 음극선관(10)을 기준으로 하여 스크린(13)부측 보다 전자총(12)과 근접된 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인어 암(25)을 전차총(12)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는 것은, 화면의 특성중 E/W 디스토션을 줄이기 위하여 스크린쪽으로 핀형의 자계가 발생되어야 하고, 전자총측에서는 컨버젼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럴형의 자계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인어 암(25)은 배럴형의 자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자총측을 향해 치우치게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어 암(25)은 편향요크(20)의 작동시 화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비잉 현상을 초래하는 자계포화현상이 야기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즉, 자계포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계수단이 마련된다.
즉, 자계수단은 인어 암(25)의 자계 포화량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자계수단은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인어 암(25)과 코일세퍼레이터(21) 사이에 개재되거나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인어 암(25)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인어 암(25)과 코일세퍼레이터(21) 사이에 자계수단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자성편을 부착하여도 무방한 것이지만, 두께면이나 단가절감의 측면에서 인어 암(25)을 코일세퍼레이터(21)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접착제(30)상에 자성성분을 포함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인어 암(25)의 표면에 자계수단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인어 암(25) 전체를 감쌀 수 있고 특히 접착성이 우수한 재질을 갖는 고무자석(40)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무자석(40)과 인어 암(25)을 상호 일체화 시킴에 있어서는 아웃서팅을 통해 용이하게 성형 가능할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도 3의 그래프에 실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인어 암(25) 자체가 갖는 자속밀도는 자계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인어 암(25)에 비하여 향상된 자계포화량을 갖게된다.
즉, 강한 배럴자계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자빔의 편향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면상의 비잉 현상이 방지되어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코일세퍼레이터의 중간부분에 마련되는 인어 암의 자계포화량을 자계수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강한 배럴자계를 형성할 수 있게되어 전자빔의 편향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잉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개재되며, 내면에 수평편향코일이 마련된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면에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중간부 외주면에 180도 등간격으로 마련되며, 수직편향코일을 통한 수직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인어 암과;
    상기 인어 암의 자계 포화량을 강화시키는 자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수단은 상기 인어 암과 코일 세퍼레이터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수단은 상기 인어 암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수단은, 상기 인어 암과 코일 세퍼레이터 사이에 개재되며, 자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수단은, 상기 인어 암을 전면적으로 감싸는 고무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19980060636A 1998-12-30 1998-12-30 편향요크 KR20000044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636A KR20000044152A (ko) 1998-12-30 1998-12-30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636A KR20000044152A (ko) 1998-12-30 1998-12-30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152A true KR20000044152A (ko) 2000-07-15

Family

ID=1956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636A KR20000044152A (ko) 1998-12-30 1998-12-30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1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411A (ko) * 2000-08-25 2002-03-04 이형도 편향요크
KR100376999B1 (ko) * 2000-08-25 2003-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431412B1 (ko) * 2002-02-28 200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411A (ko) * 2000-08-25 2002-03-04 이형도 편향요크
KR100376999B1 (ko) * 2000-08-25 2003-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431412B1 (ko) * 2002-02-28 200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709B2 (en) Deflection yoke for a CRT
KR20000044152A (ko) 편향요크
KR100376999B1 (ko) 편향요크
KR20020000378A (ko) 편향 요크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KR100330708B1 (ko) 편향요크
KR200317353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유동방지구조
KR100422054B1 (ko) 편향요크
KR20010022281A (ko) 개선된 결합 구조 및 집속식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00044109A (ko) 편향요크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US6822382B2 (en) Deflection yoke
KR100405208B1 (ko) 편향요크
JP3840062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100422053B1 (ko) 편향요크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40009387A (ko) 편향 요크의 드리프트 방지 구조
KR20010010914A (ko) 편향요크
KR20010003593A (ko) 편향요크
KR20020016411A (ko) 편향요크
KR20010082808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