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999B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999B1
KR100376999B1 KR10-2000-0049713A KR20000049713A KR100376999B1 KR 100376999 B1 KR100376999 B1 KR 100376999B1 KR 20000049713 A KR20000049713 A KR 20000049713A KR 100376999 B1 KR100376999 B1 KR 10037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magnetic field
correction piece
coi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410A (ko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9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정편의 진동에 의한 이음을 감소시키켜 편향요크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편향요크는 네크부와 스크린부로 이루어지며, 내,외측면에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는 편향코일이 마련되고, 네크부와 스크린부 사이의 외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형성된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편향코일을 통한 핀 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철편과, 이 철편의 외부를 감싸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보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럴 자계화를 위하여 마련되는 보정편이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보정편에 구비된 완충부재에 의하여 이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중간부분에 부착되는 보정편을 통한 수직 편향자계의 배럴화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음극선관(10)의 전자총부(11)에 위치되어 전자총(12)으로 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0)의 스크린(13)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20)의 구조를 보면, 전자총부(11)에 개재되는 코일 세퍼레이터(21)를 구비한다.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내,외면에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수평자계 및 수직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코일 예컨대 수평편향코일(22)과 수직편향코일(24)이 선택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에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자계 형성을 통해 수직자계를 강한 배럴(barrel) 자계화 하여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보정편(25)이 180도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통상 보정편은 냉간 압연규소강판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컨버젼스 특성은 음극선관(10)의 전자총(12)에서 주사되는 적,녹,청의 3전자 빔을 스크린(13)의 형광막의 지정된 위치에 집중시켜 화상의 색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보정편(25)은, 코일 세퍼레이터(21)상에 음극선관(10)을 기준으로 하여 스크린(13)부측 보다 전자총(12)과 근접된 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정편(25)을 전자총(12)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는 것은, 화면의 특성중 E/W 디스토션을 줄이기 위하여 스크린쪽으로 핀형의 자계가 발생되어야 하고, 전자총측에서는 컨버젼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럴형의 자계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보정편(25)은 배럴형의 자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자총측을 향해 치우치게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보정편(25)을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분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로 보정편(25)의 길이와 동일길이를 갖는 결합홈(21a)을 형성하여 이에 보정편(25)을 끼워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보정편(25)을 코일 세퍼레이터(21)의 결합홈(21a)에 끼워 삽입한 상태에서, 편향요크가 작동함과 동시에 보정편(25)이 수직자계를 강화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면, 보정편(25)과 코일 세퍼레이터(21)의 표면 및 페라이트 코어(23) 사이에서 이음(異音)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보정편(25)이 수직편향코일(24)와 함께 강자계를 형성할 때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보정편(25)으로 자계가 집중되는 것이기 때문에 미세하나마 보정편(25) 자체가 떨리는 현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이음은 코일 세퍼레이터(21)의 표면을 따라 편향요크 전체 및 음극선관에 전달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제품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정편의 진동에 의한 이음을 감소시키켜 편향요크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보정편에 의한 자계 형성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보정편과 코일 세퍼레이터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정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정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1 : 전자총부
12 : 전자총 13 : 스크린
20 : 편향요크 21 : 코일 세퍼레이터
21a : 결합홈 23 : 페라이트 코어
25 : 보정편 25a : 철편
25b : 완충부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네크부와 스크린부로 이루어지며, 내,외측면에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는 편향코일이 마련되고, 네크부와 스크린부 사이의 외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형성된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편향코일을 통한 핀 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철편과, 이 철편의 외부를 감싸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보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완충부재는 유연성 및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인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있어서, 코일 세퍼레이터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편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편향요크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음극선관(10)의 전자총부(11)에 위치되어 전자총(12)으로 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0)의 스크린(13)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20)의 구조를 보면, 전자총부(11)에 개재되는 코일 세퍼레이터(21)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21)는 내,외면에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수평자계 및 수직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코일 예컨대 수평편향코일(22)과 수직편향코일(24)이 선택적으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에는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자계 형성을 통해 수직자계를 강한 배럴(barrel) 자계화 하여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복수의 보정편(25)이 180도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컨버젼스 특성은 음극선관(10)의 전자총(12)에서 주사되는 적,녹,청의 3전자 빔을 스크린(13)의 형광막의 지정된 위치에 집중시켜 화상의 색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보정편(25)을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중간부분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외면에는 180도 등간격으로 결합홈(21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정편(25)은 크게 편향코일을 통한 핀 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것으로 통상 판재형으로 제공되는 철편(25a)과, 이 철편(25a)을 감싸는 것으로 철편(25a)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표면 및 페라이트 코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음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5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철편(25a)은 철편(25a)은 통상 실린콘 스틸과 마그네트를 합성한 것을 사용하거나, 특수한 재질(예를들면 YEP-CM;C,SI,MN,CU,FE,NI 합성물 또는 마그네트)등이 사용되며, 완충부재(25b)는 철편(25a)의 외부를 감싸는 것으로 통상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이나 사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25b)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철편(25a)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결함홈(21a)과 접촉하는 철편(25a)의 접촉면에 흡음성이 우수한 완충부재를 제한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21)의 결합홈(21a)상에 결합된 보정편은 철편(25a)에서 편향코일을 통한 핀 자계를 배럴 자계화하여 컨버젼스 특성을 만족시키게 되며, 완충부재(25b)는 수직자계를 강화하는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음을 흡수 및 완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보정편은 떨림을 완충 및 저감시키게 되어 떨림에 의한 이음(異音)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음극선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음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배럴 자계화를 위하여 마련되는 보정편이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보정편에 구비된 완충부재에 의하여 이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편향코일을 통한 핀 자계를 배럴 자계화시키는 철편과, 이 철편의 외부를 사출에 의해 감싸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보정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유연성 및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0-0049713A 2000-08-25 2000-08-25 편향요크 KR10037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13A KR100376999B1 (ko) 2000-08-25 2000-08-25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13A KR100376999B1 (ko) 2000-08-25 2000-08-25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410A KR20020016410A (ko) 2002-03-04
KR100376999B1 true KR100376999B1 (ko) 2003-03-26

Family

ID=196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713A KR100376999B1 (ko) 2000-08-25 2000-08-25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63B1 (ko) * 2001-12-17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정마그네트 삽입고정부를 갖는 세퍼레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746A (ja) * 1989-07-28 1991-03-15 Ube Ind Ltd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ライナ
JPH03112039A (ja) * 1989-09-27 1991-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JPH08264134A (ja) * 1995-03-28 1996-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KR20000011469U (ko) * 1998-12-03 2000-07-05 권호택 편향요크의 니어아암 고정구조
KR20000044152A (ko) * 1998-12-30 2000-07-15 이형도 편향요크
KR20000051549A (ko) * 1999-01-23 2000-08-16 이형도 편향요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746A (ja) * 1989-07-28 1991-03-15 Ube Ind Ltd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ライナ
JPH03112039A (ja) * 1989-09-27 1991-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JPH08264134A (ja) * 1995-03-28 1996-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KR20000011469U (ko) * 1998-12-03 2000-07-05 권호택 편향요크의 니어아암 고정구조
KR20000044152A (ko) * 1998-12-30 2000-07-15 이형도 편향요크
KR20000051549A (ko) * 1999-01-23 2000-08-16 이형도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410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999B1 (ko) 편향요크
KR20000044152A (ko) 편향요크
KR100310643B1 (ko) 편향요크
KR20020016411A (ko) 편향요크
KR100431412B1 (ko) 편향요크
KR100330708B1 (ko) 편향요크
KR20010003593A (ko) 편향요크
KR100422054B1 (ko) 편향요크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KR20010010914A (ko) 편향요크
KR100331002B1 (ko) 편향요크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176978Y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422053B1 (ko) 편향요크
KR100410943B1 (ko) 편향요크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930000785Y1 (ko) 편향요오크
KR100528848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693828B1 (ko) 편향요크
KR100731625B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KR200144627Y1 (ko) 편향요크의 수평코일 유동 방지구조
KR930005829Y1 (ko)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KR20020055730A (ko) 편향요크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