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104A -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104A
KR20000042104A KR1019980058194A KR19980058194A KR20000042104A KR 20000042104 A KR20000042104 A KR 20000042104A KR 1019980058194 A KR1019980058194 A KR 1019980058194A KR 19980058194 A KR19980058194 A KR 19980058194A KR 20000042104 A KR20000042104 A KR 2000004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error
exchang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782B1 (ko
Inventor
김규환
서두수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7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5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in networks
    • H04M3/2263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subscriber, e.g. profile, database, database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시설 및 운용현황 정보를 일괄적으로 열람할 수 있고 해당 정보의 정확성을 자동으로 검증하여 전자교환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환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교환 시스템에서 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검증 및 관리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처리하게 되고, 특히 교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버전 변경시 새로 제작된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검증에 사용하여 교환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집중운용망을 통한 전국 교환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집중화된 전국 교환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기존의 전자교환기의 기능 및 데이터의 양을 복잡 다양화시켜 왔는데, 다량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전자교환기에서는 운용자의 수작업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을 탈피해야 한다. 즉, 전자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시스템의 안정적 운용 및 가입자 서비스 제공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만큼 운용자에 의한 데이터 변경 작업은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100,000 가입자 이상의 데이터를 비롯하여 다량의 중계선 및 기타 호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작업에 의해 검증한다는 것은 지루하고 힘든 일이 아닐 수 없고, 오류입력의 소지가 매우 높다.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범위는 운용자에게 해당 교환 시스템의 운용현황을 파악토록 하는 정보 열람기능에서부터, 해당 정보의 오류를 검증하는 기능까지를 포함하는데, 특히 잘못된 교환기 데이터베이스는 교환서비스 중단 등 교환기 운용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전자교환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에 있어서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은 무엇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교환기의 시설 및 운용현황 정보를 일괄적으로 열람할 수 있고 해당 정보의 정확성을 자동으로 검증하여 전자교환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환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은, 운용자에 의해 작업종류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정보가 저장된 프로세서 로딩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여부를 검증하여 오류발견시 오류내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오류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운용자가 요구한 분야별 보고서를 작성하고 운용자의 요구에 맞게 출력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료로 보관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도로서, 전자교환기로부터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도로서, 전자교환기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장비로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의 범위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준파일 오류검출을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복수국 관리도구의 작업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교환기 11 : 마그네틱 테이프
12 :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 13 : 컴퓨터 시스템
14 : 프린터 20 : 전자교환기
21 : LAN카드 22 : 컴퓨터 시스템
23 : 프린터 24 : 집중운용망
25 : 집중관리 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도로서, 전자교환기로부터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전자교환기, 11은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 12는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Magnetic Tape Unit), 13은 컴퓨터 시스템, 14는 프린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전자교환기(10)는 외부의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편적으로 마그네틱 테이프(11)를 사용한다.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11)에 저장된 데이터는 교환시스템의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사용되는 데이터라는 의미로 PLD(Processor Loading Data)라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수행절차는, 전자교환기(10)에서 마그네틱 테이프(11)를 이용하여 교환기 데이터베이스를 백업(back_up)받고, 이를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12)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3)으로 읽어 들인다. 컴퓨터 시스템(13)에서는 순서적으로 데이터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도로서, 전자교환기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장비로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 20은 전자교환기, 21은 LAN카드, 22는 컴퓨터 시스템, 23은 프린터, 24는 X.25기반의 집중 운용망, 25는 집중관리용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마그네틱 테이프(11)와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12)를 사용하는 대신 직접 전자교환기(20)와 컴퓨터 시스템(22)을 LAN 카드(21)로 연결하여 교환기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22)과 프린터(23)의 역할은 도 1에서의 컴퓨터 시스템(13)과 프린터(14)와 동일하며, 집중관리용 컴퓨터 시스템(25)에서는 집중운용망(24)을 경유하여 전국의 교환기(20)에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22)과 연결하여 각 국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각종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로서, 전자교환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13, 22)에서 수행하는 전체적인 처리흐름도이다.
먼저 메뉴를 동작시켜 운용자가 원하는 작업의 종류 즉, 정보 추출작업, 정보 열람작업, 정보 출력작업, 오류 검증작업을 입력받고(단계 S300), 해당 정보가 저장된 PLD(30)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해당 릴레이션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PLD의 헤더(header)를 입력한다(단계 S301). 이어 릴레이션 위치 파악단계(단계 S302)에서는 PLD(30)의 헤더에 위치한 디렉토리(directory), 딕셔너리(dictionary)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릴레이션의 위치를 파악 하고, 파악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PLD(30)로부터 해당 릴레이션을 입력한다(단계 S303).
해당 정보의 입력이 모두 끝나게 되면 입력된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하게 되는데, 데이터 범위(scope) 검증 단계(단계 S304)에서는 해당 데이터가 가져야 할 범위 내의 값을 갖는지를 검증한다.
그 결과, 오류가 발견되면 그 내역을 오류 보고서로 출력하고(단계 S305), 오류정보를 갖는 데이터임을 표시하는 기준값으로 수정한다(단계 S306). 여기서, 기준값으로 수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교환기의 데이터들은 상관관계가 매우 깊게 구성된다. 즉, 어떤 릴레이션에서 다른 릴레이션을 참고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뤄지는데, 데이터 분석 중 잘못된 데이터의 입력은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해야 할 다음 데이터를 찾지 못하게 되어 관리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된다. 이 경우 오류가 발생된 이후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 작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오류 데이터를 출력한 후, 범위 내의 기준값으로 수정하여 프로그램이 중단 없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데이터 범위 검증동작 다음에는 기준파일 검증단계(단계 S307)를 통해 각 교환기마다 고유하거나, 좀처럼 변동되지 않거나, 데이터 오류시 운용상 막대한 손해를 입을 수 있는 정보들을 검증하고, 오류가 검출되면 검출된 오류들을 출력하게 된다(단계 S308).
상술한 바에 의해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증이 완료되면, 운용자가 요구한 분야별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단계 S309). 즉, 국번(Prefix) 정보, 가입자 정보, 트렁크(trunk) 정보, 루트(route) 정보, 과금 정보, 경보소스 정보, No.7 및 ISDN, 패킷 정보들을 운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일정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텍스트(text)파일로 출력한다(단계 S30A).
또한, 분야별 보고서 즉, 국번(Prefix) 정보, 가입자 정보, 트렁크(trunk) 정보, 루트(route) 정보, 과금 정보, 경보소스 정보, No.7 및 ISDN, 패킷 정보들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관리해야 할 교환기가 여러 개일 경우 관리해야 할 보고서의 양이 무척 많아지므로 이들을 모두 출력하거나 관리한다는 것은 출력용지의 낭비일 뿐만 아니라, 시간 낭비를 가져와 오히려 편리해야 할 데이터 관리가 더욱 어렵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분야별 보고서 작성과 별도로 각 보고서 내용 중 교환기 운용에 필수적인 정보인 가입자 통계, 프리픽스 정보, 특수서비스 통계, 루트 및 트렁크 구성정보만 따로 관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후술할 도 6참조).
상기 보고서 출력단계(단계 S30A)에서는 분야별 보고서 작성단계(단계 S309)에서 작성된 파일들을 운용자의 요구에 맞게 출력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자료로 보관하도록 한다.
도 4는 전자교환기 데이터의 범위(scope)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3의 단계 S304에서의 데이터 범위 검증동작에 대한 세부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터의 범위오류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구조 및 특성(attribute)을 정의하고 있는 카탈로그(catalog)파일(40)에서 해당 릴레이션의 정보를 입력하고(단계 S400), 이 정보를 기준으로 실제 교환기 데이터의 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검사를 한다(단계 S401). 만약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1'을 본 프로그램에 리턴(return)하고, 오류가 검출되면 '0'과 함께 오류 내역을 리턴하여 본 프로그램에서 오류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402).
도 5는 전자교환기 공통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3의 단계 S307에서의 기준파일 검증동작에 대한 세부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기준파일 검증의 대상이 되는 프리픽스(prefix)정보, 과금정보, 사전선택제 가입자 정보의 기준파일들(50)을 입력하고(단계 S500), 만약 기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 S501에서 "No"), 현재 입력되어 있는 교환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준파일들을 만들어주는 동작(단계 S506)을 처리함으로써 많은 양의 기준파일들을 수작업으로 생성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준다. 기준파일 생성을 마친 후 본 프로그램으로 리턴하게된다.
반대로, 상기 기준파일들이 존재한다면(단계 S501에서 "Yes"), 검증 대상이되는 데이터와 기준파일을 비교하여 교환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누락되거나(단계 S502), 기준파일이 누락되거나(단계 S503), 데이터의 값이 변경된(단계 S504) 경우에 대해 검증하게 된다.
이러한 검증이 완료된 후, 오류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하여(단계 S505),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1'을 본 프로그램에 리턴하고, 오류가 검출되면 '0'과 함께 오류 내역을 리턴하여 본 프로그램에서 오류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복수국 관리 도구의 작업 흐름도이다. 복수국 관리 도구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면, 관리해야 할 교환기가 여러 개일 경우 분야별 보고서 즉, 국번(Prefix) 정보, 가입자 정보, 트렁크(trunk) 정보, 루트(route) 정보, 과금 정보, 경보소스 정보, No.7 및 ISDN, 패킷 정보들을 관리해야 할 보고서의 양이 무척 많아지므로 이들을 모두 출력하거나 관리한다는 것은 출력용지의 낭비일 뿐만 아니라 시간 낭비를 가져오게 되므로 편리한 데이터 관리를 위해 창안된 본 발명으로 인해 데이터 관리가 더욱 어렵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분야별 보고서 작성과 별도로 각 보고서 내용 중 교환기 운용에 필수적인 정보인 가입자 통계, 프리픽스 정보, 특수서비스 통계, 루트 및 트렁크 구성정보만 따로 관리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여 주요 데이터의 검색 및 검증 업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한 것이다.
상술한 복수국 관리 도구에서의 수행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전체 교환기별 프리픽스 정보를 수집하고(단계 S600), 이어 교환기별 가입자 통계를 계산하고(단계 S601), 교환기별 특수서비스 통계를 게산하며(단계 S602), 교환기별 루트 및 트렁크 정보를 수집(단계 S603)한 후, 수집된 정보를 일정한 형식으로 편집한 보고서를 작성하고(단계 S604), 그 작성된 보고서를 출력하게 된다(단계 S60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교환 시스템에서 교환기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검증 및 관리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처리하게 되고, 특히 교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버전 변경시 새로 제작된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검증에 사용하여 교환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집중운용망을 통한 전국 교환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집중화된 전국 교환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운용자에 의해 작업종류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정보가 저장된 프로세서 로딩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여부를 검증하여 오류발견시 오류내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오류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운용자가 요구한 분야별 보고서를 작성하고 운용자의 요구에 맞게 출력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료로 보관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가 입력하는 작업종류는 정보 추출작업, 정보 열람작업, 정보 출력작업, 오류 검증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정보가 저장된 프로세서 로딩 데이터로부터의 정보추출은 해당 릴레이션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프로세서 로딩 데이터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릴레이션의 위치는 상기 프로세서 로딩 데이터의 헤더에 위치한 디렉토리, 딕셔너리 정보를 참고하여 파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여부 검증은 해당 데이터가 일정 범위내의 값을 갖는지를 검증하고, 상기 데이터 범위 검증후에 각 교환기마다 보유한 기준파일에 대한 오류검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범위 오류검증은 데이터베이스의 카탈로그파일에서 해당 릴레이션의 정보를 입력받아 이 정보를 기준으로 실제 교환기 데이터의 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검사하여 오류가 검출되면 오류내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파일 오류검증은 기준파일 검증의 대상이 되는 기준파일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기준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입력되어 있는 교환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준파일을 만들고, 상기 기준파일이 존재하면 검증 대상이 되는 데이터와 기준파일을 비교하는 검증을 거쳐 오류가 검출되면 오류내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데이터가 일정 범위내의 값이 아닐 경우에는 오류정보를 갖는 데이터임을 표시하는 기준값으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관리해야 할 교환기가 다수개일 경우 각 보고서 내용중 교환기 운용에 필수적인 정보만을 따로 관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운용에 필수적인 정보는 가입자 통계, 프리픽스 정보, 특수서비스 통계, 루트 및 트렁크 구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KR1019980058194A 1998-12-24 1998-12-24 전자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KR10029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194A KR100298782B1 (ko) 1998-12-24 1998-12-24 전자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194A KR100298782B1 (ko) 1998-12-24 1998-12-24 전자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104A true KR20000042104A (ko) 2000-07-15
KR100298782B1 KR100298782B1 (ko) 2001-12-17

Family

ID=1956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194A KR100298782B1 (ko) 1998-12-24 1998-12-24 전자교환기의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78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470B1 (ko) * 1999-11-05 2002-04-09 서평원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보장 장치 및 방법
KR100488837B1 (ko) * 2002-11-07 2005-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기 프리픽스 관리방법
KR100500837B1 (ko) * 2002-09-30 2005-07-12 주식회사 케이티 운용시스템간 공유정보 관리방법
KR100532823B1 (ko) * 2002-11-30 2005-12-02 이원재 데이터 무결성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컴퓨터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594078B1 (ko) * 1999-06-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에서 릴레이션 검증방법
KR100873194B1 (ko) * 2006-11-30 2008-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 데이터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0940616B1 (ko) * 2003-05-21 2010-02-05 엘지노텔 주식회사 교환 시스템의 시스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26681B1 (ko) * 2009-01-19 2011-04-07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운용 데이터 오류 탐지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78B1 (ko) * 1999-06-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에서 릴레이션 검증방법
KR100331470B1 (ko) * 1999-11-05 2002-04-09 서평원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보장 장치 및 방법
KR100500837B1 (ko) * 2002-09-30 2005-07-12 주식회사 케이티 운용시스템간 공유정보 관리방법
KR100488837B1 (ko) * 2002-11-07 2005-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기 프리픽스 관리방법
KR100532823B1 (ko) * 2002-11-30 2005-12-02 이원재 데이터 무결성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컴퓨터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40616B1 (ko) * 2003-05-21 2010-02-05 엘지노텔 주식회사 교환 시스템의 시스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73194B1 (ko) * 2006-11-30 2008-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 데이터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1026681B1 (ko) * 2009-01-19 2011-04-07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운용 데이터 오류 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8782B1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7019B2 (ja) 部品選定装置及びcad機能を備えた部品選定システム
US7401125B1 (e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US7304759B2 (en) Document registration system, method thereof, program thereof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0121136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US5729588A (en) Enhanced recording verification system
KR20000042104A (ko) 전자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JP4452211B2 (ja) データ不整合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CN110908955B (zh) Io设备描述文件的管理系统
JP200612694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1146688B1 (en) Execution sets for generated error - logs
CN1192308C (zh) 一种快速消除数据库差异信息的方法
JP3058606B2 (ja) データ表示入力方法
JP2000101773A (ja) 機器操作ガイダンスシステム
JPH0844608A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CN109087058B (zh) 用于变电站线缆敷设的现场作业终端、服务器和系统
KR95000598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상호 대화형 데이터 처리방법
KR100500524B1 (ko) 도서관에서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장서점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960013272B1 (ko) 전자 전화번호부 시스팀
KR100624978B1 (ko) 전자교환기의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검증장치
JPS5941074A (ja) オン・ライン・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の方法
CN114239182A (zh) 一种雷达电子设备结构快速布局方法
JP4119111B2 (ja) メッセージ処理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処理方法
JP3989802B2 (ja) 印刷された電子データの保存位置情報の管理システム、印刷された電子データの保存位置情報の管理装置、印刷された電子データの保存位置情報の管理方法、印刷された電子データの保存位置情報の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5168473A (zh) 数据核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H0969123A (ja) 作業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