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177A -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177A
KR20000041177A KR1019980056976A KR19980056976A KR20000041177A KR 20000041177 A KR20000041177 A KR 20000041177A KR 1019980056976 A KR1019980056976 A KR 1019980056976A KR 19980056976 A KR19980056976 A KR 19980056976A KR 20000041177 A KR20000041177 A KR 2000004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speed
recording medium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현
홍성환
박재완
안남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177A/ko
Priority to CN 99126457 priority patent/CN1258063A/zh
Publication of KR2000004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한 헤드에 의해, 정상주행속도의 1/5 이하로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간헐녹화하고, 재생시 상기 특정한 헤드에 의해, 녹화시와 동일하게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임시저장한 후, 상기 독출된 영상신호와 상기 임시저장 후 필드변조된 영상신호가 교번출력되도록 한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은, 자기기록매체를 표준주행속도의 1/5 이하의 일정속도로 저속주행시키는 제 1단계;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필드 단위로 신호처리하는 제 2단계; 및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중 한 헤드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필드단위로 상기 자기기록매체에 간헐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감시용 CCTV에서와 같이 24시간 상시 녹화를 요하는 경우, 관리 실수로 테이프의 교체시기를 놓침으로 인해 중요한 영상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간헐녹화된 영상신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출력되도록 한 경제적이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한 헤드에 의해,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녹화 및 재생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한 헤드에 의해, 정상주행속도의 1/5 이하로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간헐녹화하고, 재생시 상기 특정한 헤드에 의해, 녹화시와 동일하게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임시저장한 후, 상기 독출된 영상신호와 상기 임시저장 후 필드변조된 영상신호가 교번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길이의 자기기록매체에 대해 보다 많은 양의 영상신호가 녹화/재생되도록 한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 자기녹화/재생기에 있어서, 장시간 녹화기술은 실질적인 요건 가운데 하나인데, 자기기록매체로 흔히 이용되는 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Cassette)의 치수는 규격으로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이프의 최대 길이에는 한도가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의 테이프에 2배, 3배의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1/2배, 1/3배로 떨어뜨리게 되면 트랙의 폭도 표준의 1/2, 1/3배로 좁아지게 되어 보다 고밀도의 녹화가 가능하게 되는데, VHS방식의 T-120에 대해 이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항목 표준 모드(SP) 3배 모드(EP)
녹화시간 2시간 6시간
테이프 주행속도 33.35㎜/sec 11.12㎜/sec
트랙폭 58㎛ 19.2㎛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T-120의 테이프에는, 표준 모드의 경우 2시간 분량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녹화되는 반면, 상기 표준 모드에 비해 테이프 주행속도를 1/3배로 감속시켜 영상신호를 고밀도로 녹화하는 3배 모드의 경우, 표준 모드의 3배에 해당하는 6시간 분량의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주행속도를 느리게 설정하여 보다 많은 영상신호를 녹화하고자 하는 방법은, 테이프 주행속도가 한계값 이하로 저속설정되면 헤드가 스위칭되는 속도가 이에 부합하지 못하는 반면, 헤드폭은 동일하기 때문에 영상신호가 녹화된 트랙들이 인접된 트랙간에 심하게 겹치는 현상(오버랩(Overlap)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녹화된 자기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에 크로스토크(Crosstalk, 누화(漏話))의 영향이 커지게 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회전헤드 가운데 특정된 하나의 헤드에 의해, 저속주행하는 테이프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간헐적으로 녹화하여 이를 재생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자기기록매체를 이용한 영상신호 녹화/재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신호처리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3배 모드(EP 모드)시와,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녹화/재생용 모드(XP 모드)시에 녹화되는 트랙을 비교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수직귀선 소거구간이 포함된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를 구분도시한 것이고,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재생 신호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분별 파형도이고,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재생 신호처리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분별 파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재생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프 20 : 스위칭부
30 : 신호처리부 31 : 주파수 변조기
32,35 : 주파수 보상기 33,34 : 증폭기
36,37 : 복조기 38 : 혼합기
39 : 필드 메모리 40 : 펄스 발생부
41 : 데이터 변환기 42 : D/A 변환기
43 : 신호 선택기 44 : A/D 변환기
50 : 마이컴(Micom) 60 : 서보(Servo)부
70 : 캡스턴(Capstan)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에 의한 영상신호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를 표준주행속도의 1/5 이하의 일정속도로 저속주행시키는 제 1단계;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필드 단위로 신호처리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한쌍의 헤드 중 한 헤드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필드단위로 상기 자기기록매체에 간헐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재생방법은, 한쌍의 헤드 중 특정한 한 헤드에 의해 저속녹화된 영상신호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를 녹화시와 동일한 속도로 저속주행시키는 제 1단계; 상기 특정한 헤드에 부합하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를, 상기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독출되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임시저장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임시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에서는, 먼저 외부로부터 장시간 녹화모드가 요청되면 자기기록매체를 표준주행속도의 1/5 이하의 일정속도로 저속주행시키게 되고,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한 헤드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필드단위로 상기 자기기록매체에 순차적으로 녹화하게 된다. 녹화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와 같이 녹화된 영상신호의 장시간 재생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자기기록매체를 녹화시와 동일하게 저속주행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저속주행되는 자기기록매체에 녹화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녹화시와 동일한 상기 특정 헤드에 의해 순차독출하게 된다. 상기 독출되는 영상신호는 신호처리 후 출력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신호처리된 신호는 임시저장되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임시저장된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교번출력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자기녹화/재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기록/재생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30); 상기 기록/재생신호를 선택적으로 입출력하는 스위칭부(20); 기록신호를 테이프(10)에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테이프(10)로부터 녹화된 신호를 독출하는 VHS방식의 공용(共用) 헤드(표준 모드(SP 모드)와 3배 모드(EP 모드)에 공용되는 헤드로서, 헤드폭이 26㎛에 해당한다.)(A,B); 콘드롤 헤드(CTL); 상기 스위칭부(20)에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인가하는 펄스 발생부(40); 상기 테이프(10)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키는 캡스턴 모터(70); 상기 캡스턴 모터(70)를 구동시키는 서보부(60); 및 상기 서보부(60), 스위칭부(20) 및 신호처리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30)는, 도 2a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를 주파수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기(31); 상기 주파수 변조된 영상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하는 기록신호 주파수 보상기(32); 및 상기 보상된 영상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기록신호 증폭기(33)와, 녹화시와 동일한 헤드에 의해 독출입력되는 재생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재생신호 증폭기(34); 상기 증폭된 영상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 Ratio : Signal/Noise Ratio)가 증가하도록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는 재생신호 주파수 보상기(35); 상기 보상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각각 복조하는 휘도신호/색신호 복조기(36,37); 상기 복조출력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혼합시켜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는 혼합기(38); 상기 혼합기(38)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기(44); 상기 변환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필드 메모리(39); 상기 임시저장 후 독출되는 복합영상데이터의 필드특성을 가변시키는 데이터 변환기(41); 상기 복합영상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42); 및 필드특성이 상이한 복합영상신호를 교번출력하는 신호 선택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기녹화/재생기의 동작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인 도 6와 도 7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장시간 녹화를 수행하기 위한 'XP 모드(여기서, XP 모드는 S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33.35㎜/sec)의 1/6에 해당하는 속도모드로 가정함.)'의 녹화를 요청하는 키(Key)를 입력하면(S01), 마이컴(50)은 상기 서보부(60)에 의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캡스턴 모터(70)에 의한 테이프(10)의 주행속도를 XP 모드에 상응하는 5.56㎜/sec로 일정하게 조정하게 된다(S02).
상기와 같이 조정된 속도로 테이프(10)가 계속하여 주행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50)은 신호처리부(30)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S03), 상기와 같이 인에이블된 신호처리부(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S04) 테이프(10)에 기록하기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는 신호처리부(30)내의 주파수 변조기(31)로 입력되고, 상기 주파수 변조기(31)는 상기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 가운데 휘도신호(Y-Signal)와 색신호(C-Signal)를 각각 상이하게 주파수 변조하게 되는데, 휘도신호는 3.4∼4.4㎒내의 주파수대역으로, 색신호는 상기 휘도신호보다는 낮은 629㎑±500㎐내의 주파수대역으로 각각 변조된다. 상기와 같이 주파수 변조된 휘도 및 색신호가 기록신호 주파수 보상기(32)로 입력되면, 상기 기록신호 주파수 보상기(32)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노이즈(Noise)의 영향을 덜 받는 특성곡선에 등화시켜 보상하고, 상기 기록신호 증폭기(33)는 상기 등화보상된 영상신호를 일정값만큼 증폭하게 된다.
한편, 펄스 발생부(40)는 30㎐의 헤드 스위칭신호(Head Switching Signal)를 스위칭부(20)로 발생인가하게 되는데, 마이컴(50)은 상기 발생된 헤드 스위칭신호를(SW 30Hz)에 무관하게 특정한 하나의 헤드(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A헤드와 B헤드 중 하나의 헤드)만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05). 상기와 같이 선택된 특정 헤드(A헤드)는 상기 기록신호 증폭기(33)로부터 증폭출력되는 필드단위의 영상신호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홀수필드(odd1), 두 번째 홀수필드(odd2), ... 순으로 녹화하게 되는데(S06), 이 때의 기록신호는, 종래의 EP 모드(S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의 1/3)에서 1/60초마다 절환선택되는 상기 한쌍의 헤드(A,B)에 의해, 첫 번째 홀수필드(odd1), 첫 번째 짝수필드(even1), 두 번째 홀수필드(odd2)... 순으로 기록된 형태를 가지는 도 3a의 기록신호와는 상이하게 된다.
도 3b 형태의 기록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택된 A헤드가 녹화테이프를 주행할 때에 영상신호가 A헤드를 통해 기록되며, 반대측의 B헤드가 녹화테이프를 주행하는 동안에는 신호가 녹화되지 않는다. 테이프의 주행속도는 EP 모드의 1/2이므로, A헤드 주행 후에 테이프의 진행거리는 EP 모드의 진행거리(L)의 1/2이 되고, 다시 B헤드의 주행후에 1/2이 더 진행되어 L거리만큼 테이프가 진행하게 되므로, EP 헤드의 폭을 갖는 A헤드에 의한 다음 신호의 기록트랙이 이전 트랙과 중첩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도 3b와 같은 홀수(또는 짝수)필드만이 기록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 스위칭신호는 콘트롤 헤드(CTL)에 의해, 상기 테이프(10)의 비디오 트랙 하단에 위치하는 콘트롤 트랙상에 1필드의 영상신호 녹화시마다 기록되게 된다(S07).
상기와 같이 특정된 헤드(A)에 의해, XP 모드로 저속주행되는 테이프(10)의 비디오 트랙상에 형성되는 트랙폭은, 상기 도 3a에 비교도시된 EP 모드에서와 동일한 19㎛에 해당하며, 사용자에 의해 녹화중단을 요청하는 키가 입력될 때까지, 5.56㎜/sec의 일정속도로 저속주행하고 있는 테이프(10)에의 장시간 녹화동작은 반복수행되고(S09), 사용자에 의한 녹화중단 요청없이 전술한 동작이 테이프의 저장한도위치까지 수행되면, SP 모드(단, VHS 방식)에서 2시간 분량의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는 테이프에 12시간 분량의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한 헤드(A또는 B)에 의해 녹화된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한 'XP 모드'의 재생을 요청하는 키(Key)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S10), 마이컴(50)은 상기 서보부(60)에 의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테이프(10)의 주행속도를 녹화시와 동일한 5.56㎜/sec(SP 모드의 1/6)로 일정하게 조정하게 된다(S11).
이어, 콘트롤 헤드(CTL)는, 상기와 같이 조정된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테이프(10)의 콘트롤 트랙으로부터 30㎐의 콘트롤 신호를 독출하여(S12) 재생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A/D변환기(44)의 변환 인에이블 신호로서 인가하게 되고, 마이컴(50)은 녹화시 이용되었던 특정한 헤드(본 실시예에서는 A헤드)만이 선택되도록 상기 스위칭부(20)를 제어하게 된다(S13).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특정한 헤드(A헤드)가 선택되면, 신호처리부(30)는 상기 헤드(A헤드)에 의해 독출입력되는(S14) 필드단위의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신호로 각각 분리시켜 다음과 같은 일련의 복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5).
즉, 재생신호 증폭기(34)는 상기 헤드(A)에 의해 독출되는 영상신호의 이득을 일정레벨까지 증폭하게 되고, 재생신호 주파수 보상기(35)는 상기와 같이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S/N비가 강조되도록 변환하게 된다.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영상신호는 휘도신호 복조기(36)와 색신호 복조기(37)로 각각 입력되고, 상기 휘도신호 복조기(36)는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 가운데 휘도신호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휘도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0∼3㎒로 복조하게 된다. 또한, 색신호 복조기(37)는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 가운데 색신호를 추출하여 3.58㎒±500㎑의 색신호로 복조하고, 상기와 같이 복조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혼합기(38)에 의해 혼합된 후, 복합 영상신호의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S16).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복합 영상신호가 A헤드에 의해 독출된 영상필드(홀수 필드라 가정함)에 해당하게 되면, 상기 신호처리된 필드단위의 영상신호는 출력과 동시에 30Hz의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액티브된 상기 A/D 변환기(44)에 의해 디지털 변환되어 필드 메모리(39)에 임시저장된다. 저장 후에는 30Hz의 인에이블 신호가 디액티브되므로, 상기 A/D 변환기(44)에 의해 노이즈가 A/D변환되어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손상시키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30Hz의 디액티브 시점에 맞추어 상기 마이컴(50)에 의해서, 상기 임시저장되었던 홀수 필드의 영상데이타가 필드 메모리(39)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변환기(41)로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변환기(41)는 상기 홀수 필드의 영상데이타의 수직귀선 소거구간(VBI : Vertical Blanking Interval)내에 처음 등화펄스와 마지막 등화펄스의 위상을 짝수 필드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삭제시키게 된다(S17).
즉,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홀수 필드에서의 처음 등화펄스와 마지막 등화펄스에 각각 인접되는 펄스와 이격된 거리가 1H와 0.5H 이었던 것을,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짝수 필드에 해당하도록, 0.5H와 1H 로 각각 위상이 앞서도록 하기 위해 0.5H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짝수 필드에 적합하게 위상변환된 영상데이타는 D/A 변환기(42)에 의해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마이컴(50)은 SW 30Hz의 재생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혼합기(38)를 통과한 직후의 홀수 필드 영상신호(도 5a의 ㉢)와, 상기와 같이 저장 후 지연되어 위상변환과정을 거친 짝수 필드 영상신호(도 5a의 ㉣)가 교번출력되도록 신호 선택기(43)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선택기(43)로부터 선택출력되는 영상신호(도 5a의 ㉤)는 첫 번째 홀수 필드(odd1), 첫 번째 짝수필드(even1=odd1), 두 번째 홀수 필드(odd2), ...의 순으로 출력되게 된다(S18).
상기와 같이 특정된 헤드에 의해 독출된 신호와, 독출 후 위상변환된 신호가 교번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장시간 재생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중단을 요청하는 키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수행되며(S19), 재생중단되지 않는 한 녹화시와 마찬가지로 동 테이프에 대해 12시간동안 영상신호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서두에서 가정되었던 'X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는, S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를 6의 배수로 나눈 값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X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가 S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의 1/6인 상기 예의 경우 뿐만 아니라 1/12, 1/18, ...로도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X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가 SP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속도의 1/12로 설정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50)은 인가되는 헤드 스위칭신호(㉠')의 2주기마다 특정된 헤드(A)에 의해 영상신호가 녹화 및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동 테이프에 대해 SP 모드에서는 2시간 분량의 영상신호가 녹화될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24시간 분량의 영상신호가 녹화될 수 있으며, 이외의 필드단위의 영상신호 신호처리 및 재생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 중 특정한 하나의 헤드에 의해, SP 모드시의 테이프 주행속도보다 1/5 이하에 해당하는 느린 속도로 계속주행되는 테이프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간헐녹화하고 이를 재생함으로써, SP 모드에서는 2시간, EP 모드에서는 6시간 분량의 영상신호가 각각 녹화/재생되었던 테이프에, 12시간, 24시간, ... 분량의 영상신호가 장시간 녹화/재생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감시용 CCTV에서와 같이 24시간 상시 녹화를 요하는 경우, 관리 실수로 테이프의 교체시기를 놓침으로 인해 중요한 영상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한 헤드에 의해 간헐녹화된 영상신호의 필드특성을, 상기 한쌍의 헤드 가운데 특정되지 않은 헤드에 부합하도록 변조시켜 출력함으로써,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출력되도록 한 경제적이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한쌍의 헤드에 의한 영상신호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를 표준주행속도의 1/5 이하의 일정속도로 저속주행시키는 제 1단계;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필드 단위로 신호처리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한쌍의 헤드 중 한 헤드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필드단위로 상기 자기기록매체에 간헐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주행속도는, 상기 표준 주행속도를 6의 배수로 나누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저속주행속도는, 5.5∼5.6㎜/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방법.
  4. 한쌍의 헤드 중 특정한 한 헤드에 의해 저속녹화된 영상신호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를 녹화시와 동일한 속도로 저속주행시키는 제 1단계;
    상기 특정한 헤드에 부합하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를, 상기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독출되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임시저장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임시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재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임시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상기 특정 헤드가 아닌 타 헤드에 의한 독출시의 영상신호에 부합하도록 신호처리하여 선택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재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는, 영상신호 필드간의 등화펄스를 가변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재생방법.
KR1019980056976A 1998-12-18 1998-12-18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KR20000041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76A KR20000041177A (ko) 1998-12-18 1998-12-18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CN 99126457 CN1258063A (zh) 1998-12-18 1999-12-18 磁记录介质的长时间记录/重放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76A KR20000041177A (ko) 1998-12-18 1998-12-18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177A true KR20000041177A (ko) 2000-07-15

Family

ID=1956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976A KR20000041177A (ko) 1998-12-18 1998-12-18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505186A (pt) Aparelho e processo de gravação/reprodução de dados digitais
US4930024A (en) Variable speed magnetic medium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H0210500B2 (ko)
GB2252196A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JPS6025907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00041177A (ko)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JPS61170189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特殊再生装置
JPS6113169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15766B2 (ja) 再生映像信号の処理装置
KR20000041176A (ko)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JP2635047B2 (ja) 情報消去・再生装置
KR20000041179A (ko)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KR0183170B1 (ko) 디지탈 브씨알 슬로우 재생방법
KR20000041178A (ko) 자기기록매체의 장시간 녹화/재생방법
JPS62163483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0170143B1 (ko) 브이 씨 알의 스틸 재생 장치
US59206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bar
KR91000552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269710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8744B1 (ko) 디지탈/아날로그겸용 기록재생장치
JPS6359081A (ja) 信号再生装置
JP3240624B2 (ja) デジタル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S62168483A (ja) 磁気再生装置
JPS61161087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DE69523522D1 (de) Wiedergabe von digitalen Fernsehsigna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