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602A -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602A
KR20000039602A KR1019980054992A KR19980054992A KR20000039602A KR 20000039602 A KR20000039602 A KR 20000039602A KR 1019980054992 A KR1019980054992 A KR 1019980054992A KR 19980054992 A KR19980054992 A KR 19980054992A KR 20000039602 A KR20000039602 A KR 2000003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comparative example
foaming agent
toothpaste
f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194B1 (ko
Inventor
김후덕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5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거나 또는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상태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본 발명은 양치 후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상태로 함유함으로써 구강내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경우 치약 사용시 느끼는 자극감은 두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치약에 사용되는 기포제인 알킬황산나트륨의 구강점막자극과 향에 의한 상승작용에 기인하며, 둘째는 치약의 높은 연마도에 의해 치아표면에 강한 물리적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향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양치 후 오렌지나 귤 등 시트러스계열의 과일이나 쥬스를 섭취할 때 떫고 아린 자극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자극감을 쥬스효과라 한다. 쥬스효과를 개선하고자 자극원인 알킬황산나트륨류의 기포제와 향을 포접한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단독으로 적용하여 제조된 치약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쥬스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킬황산나트륨(SLS)은 치약의 대표적인 기포제이다. 알킬황산나트륨의 치약 조성물내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포를 발생시켜 양치감을 좋게하고, 둘째, 세정작용을 돕고, 셋째 약효제의 분산과 침투를 좋게하고, 넷째, 계면장력을 감소시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고, 다섯째, 구강내 세균을 살균시키는 기능이 있다. 또한 향의 치약 조성물내의 역할 중 첫째는 구취를 제거하고 둘째는 상쾌감을 부여하여 사용감을 증진 시킨다.
반면, 알킬황산나트륨의 치약 조성물 내에서 단점은 그 자체의 맛이 쓰므로 구강내 잔존하여 오렌지나 귤 등 시트러스계열의 과일 섭취나 쥬스류의 섭취시 그 자체의 맛을 변형되게 느끼게 하고 구강세포를 자극하여 탈리를 일으킨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 제 87-17967호에서는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와 고급알콜 황산에스테르(알킬기 탄소수 8 내지 18)를 혼합 사용하여 양치시 사용감을 개선하려 하였다. 일본국 특허 제 87-17563호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설탕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용하여 양치 후 쥬스효과와 기포성을 향상시켰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서는 자극을 줄이거나 알킬황산나트륨의 양을 줄이거나 대체하여 상품성의 저하를 가져왔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기포력의 감소로 사용감이 저하되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섞어 사용하여 기포력은 우수하여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절대 함량이 줄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여러기능 중 살균 효능의 저하된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혼용하여도 양치 후 구강 내에 음이온제가 존재하므로 쥬스효과의 감소가 크지는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실험한 결과,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상태로 함유시킨 치약조성물이 구강내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거나 또는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상태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은 연마제로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수산화인회석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20∼70 중량% 정도 사용하며, 기포제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로 알킬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사르코신에이트(lauryl sacrosinate),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 sulfate) 및 소우프(soap)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3 중량%, 바람직하게는 0.2∼1.5 중량%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치약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증가시켜도 기포도가 더 이상 크게 좋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자극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음이온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사르코신에이트(lauryl sarcosinate),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hter sulfate) 및 소우프(soap)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은 또한 연마제 약효제, 결합제, 습윤제, 향료, 감미제, 방부제, 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연마제로는 실리카, 인산일수소칼슘 및 탄산칼슘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1∼45 중량%; 약효제로서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및 피로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5 중량%; 무기결합제로서 점증용실리카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1 내지 30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이온기포제를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려면 사이클로덱스트린 : 물 : 음이온기포제를 16 : 12-15 : 3로 약 2시간 가량 유리막대나 교반기구 (stirrer)로 섞어준다. 이때 필요에 따라 물을 더 첨가하여도 된다. 그후 냉동 감압법(freeze drying)으로 건조시킨 뒤 음이온 기포제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비율을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접 비율은 사이클로덱스트린 : 음이온기포제가 약 8 : 2.0-2.5 로 나타났다.
둘째, 향료를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방법은 위의 음이온기포제를 포접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그 비율은 사이클로덱스트린 : 물 : 향료가 10 : 8-12 : 1.5 이고 포접비율은 사이클로덱스트린 : 향료가 10 : 1.1-1.3 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에서 사용된 향료와 음이온기포제의 사용 비율에 맞춰 포접된 향료와 포접된 음이온기포제를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치약 100g 중 중량%
구 분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연마제 실리카 20 20 20 20 20
인산일수소칼슘 35.0 35.0 35.0 35.0 35.0
탄산칼슘 10.0 10.0 10.0 10.0 10.0
기포제 알킬황산나트륨 2.0 2.2 1.8 2.0 2.2 2.0 1.8 1.8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0.2 0.2
라우릴사르코신에이트 0.2 0.2
soap 0.2
약효제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0.76 0.76 0.76 0.76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트리클로산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산성피로인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유기결합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나트륨 0.8 0.8 0.8 0.8 0.8
카라기난 0.5 0.5 0.5 0.5 0.5
잔탄검 0.4 0.4 0.4 0.4 0.4
알긴산염 0.1 0.1 0.1 0.1 0.1
무기결합제 점증용 실리카 2.0 2.0 2.0 3.0 3.0 3.0 2.0 3.0 2.0 3.0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0.5 0.5 0.5 0.5 0.5
습윤제 소르비톨액 24.0 24.0 24.0 47.0 47.0 47.0 25.0 51.0 25 55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3.0 3.0 3.0
글리세린 3.0 3.0 3.0 6.0 10
방부제 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0.05
안식향산 나트륨 0.1 0.1 0.1 0.1 0.1
포접물 향료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물 9.0 9.0 4.5 4.5
SLS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물 10.2 10.2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8.0 8.0 4.0 4.0
향미제 삭카린 나트륨 0.18 0.18 0.18 0.22 0.22 0.22 0.18 0.22 0.18 0.22
향료 1.0 1.0 1.0 1.0 0.5 0.5 1.0 1.0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양치 후 주스효과의 감소에 대한 선호도 평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시예 1와 비교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 1, 실시예 3과 비교예 1, 실시예 7과 비교예 1, 실시예 4와 비교예 2, 실시예 5와 비교예 2, 실시예 6과 비교예 2, 실시예 8과 비교예 2 등 총 실험군을 8개로 나누어 각각 20명으로 구성된 3개의 실험집단에게 양치시킨 후 100% 무가당 오렌지 쥬스를 섭취시킨후 구강점막에 느껴지는 자극감과 쥬스효과가 적은 쪽을 선택하도록 하여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평가결과는 하기 표2 및 표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1 실시예3 비교예1 실시예7 비교예1
1군 15 5 13 7 14 6 15 5
2군 16 4 13 7 15 5 14 6
3군 16 4 14 8 15 5 15 5
평균 16 4 13 7 15 5 15 5
실험군 5 실험군 6 실험군 7 실험군 8
실시예4 비교예2 실시예5 비교예2 실시예6 비교예2 실시예8 비교예2
1군 16 4 10 10 14 6 15 5
2군 17 3 13 7 14 6 16 4
3군 16 3 12 8 16 4 15 5
평균 16 3 12 8 15 5 15 5
양치후 쥬스효과의 감소에 대한 평가 결과 비교예 1과 비교평가 한 결과, 실시예1, 실시예3과 실시예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2와 상호 비교한 결과는 실시예4, 실시예6, 실시예8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2와 실시예5도 비교예1, 비교예2에 비해 수치상 쥬스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치 후 자극감에 대한 관능 평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실시예8과 비교예1, 비교예2을 각각 10명으로 구성된 평가 집단을 3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8종의 치약을 양치 시킨 후 7점 척도로 자극감에 각각 점수를 주어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평가결과는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자극감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1군 2.5 1.6 1.9 2.2 1.3 1.8 2.2 2.4 3.5 3.4
2군 2.3 1.7 2.0 2.5 1.5 1.8 2.2 2.0 3.3 3.4
3군 2.5 1.2 18 2.1 1.3 1.9 2.3 2.1 3.3 3.6
평균 2.37 1.50 1.90 2.27 1.37 1.83 2.23 2.17 3.37 3.47
평가척도 : 5점: 매우 자극적이다. 4점: 자극적이다.
3점: 조금 자극적이다. 2점: 매우 조금 자극적이다.
1점: 자극감이 없다.
자극감에 대한 비교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실시예8이 비교예1과 비교예2보다 자극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킬황산나트륨을 포접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실시예2와 실시예5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단독으로 투여한 실시예3과 실시예6도 저자극감을 주는데 이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내부 소수성 공간에 알킬황산나트륨의 알킬체인이 포접되고 양쪽끝의 황산기와 나트륨기만 노출되어 기포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치후 구강내 점막을 자극하는 능력은 저하되기 때문에 저자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향료를 포접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양치에 중 향을 이탈시키고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는 동안만 알킬황산나트륨을 포접하므로 상대적으로 활동시간이 짧아 저자극의 효과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알킬황산나트륨 포접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투여한 실시예2와 5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단독으로 투입한 실시예3과 6, 향포접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사용한 실시예 7 및 8 그리고, 향 포접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투여한 실시예1과 4 순으로 저자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감 및 기포력에 대한 관능평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실시예8과 비교예1, 비교예2을 각각 10명으로 구성된 평가 집단을 3 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8종의 치약을 양치 시킨 후 7점 척도로 사용감과 기포력에 대해 각각 점수를 주어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로스마일(Rose-Mile)방법으로 기포력을 각 3회씩 측정하였다. 그 평기결과는 하기 표6에 나타내었다.
사용감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1군 4.6 4.8 3.9 4.8 4.6 4.0 4.3 4.2 4.6 4.7
2군 4.7 4.5 3.8 4.9 4.9 3.9 4.4 4.5 4.8 4.9
3군 4.8 4.5 4.0 4.9 4.7 4.0 4.3 4.3 4.6 4.8
평균 4.70 4.60 3.90 4.87 4.73 3.97 4.33 4.33 4.67 4.80
평가척도: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양치에 의한 사용감은 비교예1 및 비교예2보다 못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며 특히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단독 투여에 따른 입자감이 사용감을 저하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중 느끼는 기포력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기포력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1군 4.9 4.1 4.7 5.5 4.2 4.6 4.5 4.7 5.2 5.5
2군 5.0 4.0 4.7 5.5 4.2 4.5 4.5 4.6 5.1 5.6
3군 5.2 4.2 4.8 5.5 4.1 4.6 4.3 4.6 5.1 5.3
평균 5.10 4.10 4.73 5.50 4.17 4.57 4.43 4.63 5.13 5.47
평가척도 : 7점: 매우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실시예 2와 실시예 5는 기포제를 포접한 상태로 투여하여 비교예1과 2보다는 기포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보통 이상의 기포도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스마일법으로 측정한 기포력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기포력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1군 26.0 21.0 22.0 29.0 22.0 23.0 24.0 24.5 26.5 28.0
2군 27.0 21.0 23.0 28.0 22.0 23.0 24.0 24.0 27.0 28.0
3군 26.0 21.0 23.0 28.0 22.0 23.0 24.5 24.0 27.0 29.0
평균 26.3 21.0 22.7 28.3 22.0 23.0 24.2 24.2 26.8 28.3
물리적인 기포력의 측정 결과 관능평가에 의한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즉, 비교예1과 실시예1, 2 및 3 중에서 실시예1이 비교예1과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비교예2와 실시예4, 5 및 6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포접된 향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반씩 투여한 경우인 실시예7과 8은 중간 정도의 로스마일 수치와 관능평가 수치를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제공한다.
첫째로, 본 발명은 기존의 치약에서 사용되어온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제품이 갖는 제품의 상품력을 그대로 지니면서 양치 후 자극으로 인한 쥬스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둘째는 포접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향을 처방에 도입함으로써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자극과 향의 상승작용을 모두 개선하여 기존의 제품과는 유의적인 자극의 차이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치약제품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자극을 줄이려는 시도로 낮은 기포도와 나쁜 사용감으로 상품성이 떨어졌으나, 본 발명은 기존의 치약에서 사용되어온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기포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거나 또는 음이온기포제나 향료를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상태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음이온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에이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소우프 또는 이의 혼합물을 0.1∼3 중량%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음이온기포제를 0.2∼2.0 중량%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9980054992A 1998-12-15 1998-12-15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KR100559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992A KR100559194B1 (ko) 1998-12-15 1998-12-15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992A KR100559194B1 (ko) 1998-12-15 1998-12-15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602A true KR20000039602A (ko) 2000-07-05
KR100559194B1 KR100559194B1 (ko) 2006-06-22

Family

ID=1956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992A KR100559194B1 (ko) 1998-12-15 1998-12-15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8513A (ja) * 1985-03-23 1986-09-29 Sunstar Inc 香味の変化する歯磨組成物
JPS62116506A (ja) * 1985-11-15 1987-05-28 Sunstar Inc 香味の変化する顆粒状歯磨組成物
US5302373A (en) * 1993-06-10 1994-04-12 Church & Dwight Co., Inc. Liquid mouthwash containing a particulate bicarbonate suspension
JPH07101842A (ja) * 1993-08-12 1995-04-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H0826952A (ja) * 1994-07-15 1996-01-30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194B1 (ko)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717B2 (en) Or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biosurfactant and fluoride
US6235267B1 (en) Taste masking of phenolics using citrus flavors
DE60212673T2 (de) Zusammensetzungen zur linderung von xerostomie und zur behandlung von damit zusammenhängenden erkrankungen
US20070140992A1 (en) Taste masking of essential oils using a hydrocolloid
EP3270873B1 (en) Calcium-based dentifrices for enhanced uptake of active ingredients
JP2010515749A (ja) Hippophae抽出物を含む口腔ケア組成物
WO2013094504A1 (ja) 口腔用組成物
EP0321180B1 (en) Oral compositions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13946A (ko) 구강용 액체 조성물(Oral composition of liquid type)
CA2297454A1 (en) Oral and dental hygiene products for sensitive teeth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CN111902125B (zh) 口腔用组合物及α-烯烃磺酸盐的苦味改进剂
KR20000039602A (ko)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KR100861806B1 (ko) 치약
KR100891972B1 (ko) 액상치약 조성물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KR20050114537A (ko) 알킬실란을 코팅처리한 탄산칼슘 및 인산일수소칼슘을연마제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31788B1 (ko) 구강용 조성물 및 그 변색 억제 방법
KR101142445B1 (ko) 아르간 오일 함유 치약조성물
US20060093563A1 (en) Oral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treating of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PH08245350A (ja) 口腔用組成物
DE10065413A1 (de) Zahnpflegemittel
CN111032004A (zh) 口腔护理组合物
JPH07206650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