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283A -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283A
KR20000039283A KR1019980054578A KR19980054578A KR20000039283A KR 20000039283 A KR20000039283 A KR 20000039283A KR 1019980054578 A KR1019980054578 A KR 1019980054578A KR 19980054578 A KR19980054578 A KR 19980054578A KR 20000039283 A KR20000039283 A KR 2000003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phase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광묵
Original Assignee
채광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광묵 filed Critical 채광묵
Priority to KR101998005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283A/ko
Priority to US09/450,386 priority patent/US6388656B1/en
Priority to CN99125521A priority patent/CN1256425A/zh
Priority to IT1999MI002541A priority patent/IT1314105B1/it
Priority to PCT/KR1999/000730 priority patent/WO2000035237A1/en
Priority to AU15133/00A priority patent/AU1513300A/en
Priority to JP34879399A priority patent/JP2000231445A/ja
Priority to FR9915492A priority patent/FR2787906A1/fr
Priority to GB9929041A priority patent/GB2344673A/en
Priority to DE19959373A priority patent/DE19959373A1/de
Publication of KR2000003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평면의 위치를 지시하는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동일 주파수의 파형을 동시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진 송신장치(1)와, 상기 송신장치(1)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극단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가 기준신호에 대해 편이된 위상의 변화량에 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발생된 위상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 예컨대, TV, 컴퓨터, VCR,LDP, DVD 플레이어, VOD 시스템, 케이블 TV 단말기, 각종 통신 단말기, 가정용 게임기, 유아용 컴퓨터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커서의 이동을 쉽게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동일 주파수의 파형을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그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장치로 이루어진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원격위치 지시용 송신장치는 보통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송신기를 통해 신호를 일정거리 떨어진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을 가진 각종 전자장치에 동시에 송출한다. 그에 따라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각각의 신호를 회로적인 혹은 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증폭하고,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변환하여 각각의 크기의 차이를 좌표계에 환산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혹은 동시에 수신된 신호에 대한 분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시차를 두고 신호를 출력하여 수신기에서는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원격위치 지시시스템에서 수신신호처리를 위하여는 매우 복잡한 회로와 수준높은 광학적 정밀도를 요구하는 장치가 필연적이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정정밀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처리가 쉬운 직류(Direct Current:DC)신호를 측정에 사용하므로 주변의 상황에 따른 노이즈에 대하여 변별력이 없어서 위치 지정시 정밀도를 높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인해 실용화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방법은 기존의 원격위치지시용 송신장치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 원격위치 지시용 송신장치와 일체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정밀도와 연관되는 핵심적인 신호 처리를 아날로그 회로에 의존하게 되어 커스텀(CUSTOM)화하여 회로를 소형화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복합 일체화에 의한 원가절감 효과를 거두기가 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장치에서 디지탈 처리하여 메뉴의 선택과 기능의 지시 및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의 위치를 지시하는 원격 위치 지시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동일 주파수의 파형을 동시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진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극단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가 기준신호에 대해 편이된 위상의 변화량에 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발생된 위상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 예컨대, TV, 컴퓨터, VCR,LDP, DVD 플레이어, VOD 시스템, 케이블 TV 단말기, 각종 통신 단말기, 가정용 게임기, 유아용 컴퓨터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커서의 이동을 쉽게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송신장치로부터의 지향특성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파형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좌표결정과정
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화면중심좌측에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화면중심우측에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송신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 지시 시스템의 송
신장치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 은 도 4에 따른 송신장치의 콘트롤 타이밍도이고,
도 7a,7b 는 도 4에서의 송신기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파에 의한 정현파 대치 원리를 나타내는 파형
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수신장치의
수신증폭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수신장치의
디지털 신호처리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1 은 도 10에서의 위상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12 는 도 10에 따른 수신장치에서의 디지탈필터 및 복조상태의 흐름도이
고,
도 13 은 도 10에 따른 수신장치에서의 신호처리의 흐름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흐름도에서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된 이후의 제어부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위치 입력부, 20: 제어부,
40: 구형파 발생부, 200: 수신 증폭부,
310: 클럭(clock) 발진부,
312: 피엘엘(Phase Locked Loop:PLL)회로,
320: 직렬-병렬변환회로, 322: 분주회로,
324: 송신기 코드비교기, 326: R-S플립플롭,
328: 위상 비교구간발생기, 330: 위상차카운트회로,
332: 위상값 계산부, 334: 위치값 기억레지스터,
336: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338: 시스템 리셋회로,
40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정현파인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은 수학적인 기본 단위이므로 가장 단순한 계산이 가능하고 서로 9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종류의 파형 중 가장 단순한 한종류의 파형으로서의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이 두 파형을 적용하여 두 파형의 합성시에 발생하는 진폭에 대한 위상의 편이 현상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x,y)점이 θ 만큼만 회전하였을 때의 새로운 좌표( χ , y )에 대한 회전식은 아래와 같이 행렬식으로 표현하고,
위 행렬식을 풀면 다음과 같다.
χ′ =xcosθ-ysinθ
y=xsinθ+ycosθ
위 식에 대입하여 sinθ 및cosθ 의 기본 위상에 대하여, α 만큼 위상이 편이된 상태를 식으로 유도하면
cos( θ + α )=cos θ cos α - sin θ sin α --(1)
sin( θ + α )=sin θ cos α + cos θ sin α --(2)
위의 (1),(2)의 식이 성립하는 것을 이미 잘려진 사실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송신장치에서 좌, 우 위치검출용 주파수신호를 송출시에, 평면의 가로 및 세로축중 한 축에 대하여 각각 두개의 송신기를 이용한다. 이들 두개의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주파수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필연적으로 신호처리부를 가진 수신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는 두 신호의 합이되기 때문에 (2)항의 식이 적절하며, 만약 두개의 송신기로부터의 파형을 sin θ 및 동일 주파수의 cos θ 로 한다면 (2)식과 완전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송신기로부터 각각 sin θ 및 cos θ 를 동시에 송출하고 이를 수신기로 수신하였을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지향특성으로 인하여 송신기의 송신각도에 대하여 수신기의 수신위치에 따라 수신되는 진폭의 차이가 발생하며,수신기에 입력되는 입력파형의 크기(진폭)를 각각 사인측에 대하여는 kA라 하고, 코사인측에 대하여는 라 가정하면, 수신된 합성파는 위의 (2)식에서 cos α 를 A라 가정하고 sin α 를 B라 가정하면 ksin α 가 됨을 알 수 있다. 그 관계식은 만약
A=cos α , B=sin α 라고 가정하면,
kAsin θ + kBcos θ = ksin( θ + α ) 가 된다.(임의의 진폭값을 만족하는 상수 k 를 각 항에 곱한 형태이다.)
따라서,
가 성립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이론에 의하여 사인파를 발생하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파형의 진폭과 코사인파를 발생하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파형의 진폭에 대하여 아래 식과 같은 α 만큼의 위상변화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즉,
이다.
역으로 생각해 보면 합성파의 위상변화량 α 를 측정함으로써 sin측 송신기로부터의 진폭B와 cos측 송신기로부터의 진폭 A의 비율이 계산 가능하고, 이 계산된 결과를 적용한 송신기에 대한 물리적특성, 즉 송신기 지향특선곡선을 참조하여 수신기에 대한 송신기의 지향각도를 정확하게 환산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예컨대 리모콘과 같은 송신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송신기의 송신각과 수신기의 수신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 마치 직사화기의 탄착점과 같이 송신각에 직선적으로 일치하는 궤적은 실용상 의미가 없으므로, 상기 항의 비례식으로 보아 단순히 α 의 변화량을 평면의 축 이동거리로 직접 환산하여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위 식의 검증을 위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발생 원리인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을 이용한 파형의 합성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준신호로 사용되는 사인파형과 사인파형의 합성파와, 위치 지정용 신호로 사용되는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을 출력함에 있어서 각각 sin=cos, sin> cos, sin< cos의 세가지 경우로 분리하여 그 합성 파형을 나타내었다.
도 2a의 경우는 기준 신호로서 양쪽 송신기 모두 사인파형을 출력한 경우를 나타낸 경우로서, 양쪽 송신기가 어떠한 진폭비율을 갖더라도 당연히 위상 편이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2b는 sin=cos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식과 같이 tan-1 1=45로서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의 중간이 위상편이값이 된다.
또한, 도 2c는 sin > cos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극단적으로는 tan-1 0=0이므로 sin 0도의 위상쪽으로 접근하여가며, 도 2d는 sin <cos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파형의 위상은 극단적으로는 tan-1 ∞=90도로서 cos 0도 쪽으로 접근한다. 따라서 위 식과 같은 결과를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회로구성이 단순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송수신기를 사용하였다.
통상 물리적인 회로를 통하여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의 정현파를 발생시키려면 상당한 복잡도의 회로가 요구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구형파를 해당 주파수의 대역필터를 통과시켰을 경우 기본파인 사인(sin)파 성분만 남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초 송신기에서 사인과 코사인의 위상을 갖는 구형파를 발생시킨다. 수신기에서는 그 구형파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과정에서 구형파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사인, 코사인파형의 정현파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위상 편이량은 위의 계산식과 정확히 일치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의 좌표결정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화면중심좌측에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화면중심우측에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송신장치(1)가 화면(2)중심에서 좌측으로 소정각도 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화면(2)상에 소정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좌신호(sin)와 우신호(cos)는 각각 소정 지향특성곡선을 가진 상태이므로, 파형분석을 해보면, 이 상태에서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신호(sin)< 우신호(cos)인 상태가 되므로, 합성파의 위상은 기본합성파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천이된다. 따라서 화면의 중심에서 약간 왼쪽에 좌표(P1)가 결정된다.
또한, 만약 송신장치(1)가 화면(2)중심에서 우측으로 소정각도 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화면(2)상에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좌신호(sin)와 우신호(cos)는 각각 소정 지향특성곡선을 가진 상태이므로, 파형분석을 해보면, 이 상태에서는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신호(sin) > 우신호(cos)인 상태가 되므로, 합성파의 위상은 기본합성파의 중심에서 우측으로 천이된다. 따라서 화면(2)의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에 좌표(P2)가 결정된다.
도 2(c) 및 도 2(d)의 소정 위상을 가진 파형 ①,②,③, 및 ④는 도 3a 및 도 3b에서의 송신기로부터의 지향특선곡선에서의 ①,②,③, 및 ④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 지시 시스템에서의 송신장치(1)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은 스위치 입력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 개수(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어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10)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되고, 또한 후술하는 클럭분주기(30)와, 구형파 발생부(40)와, 선택부(50)와, 분배부(6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22는 소정의 타이밍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를 나타내고, 24는 슬립(SLEEP) 제어부를 나타낸 것이다.
클럭분주기(3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의 인에이블(EN)단자가 활성화되어 소정 클럭신호를 출력한다.
구형파 발생부(4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의 인에이블(EN)단자가 활성화되고 상기 클럭분주기(30)로부터 입력된 클럭에 동기되어 각각 사인 및 코사인 위상을 가진 구형파를 발생하는 사인 및 코사인위상 구형파 발생부(42)(44)를 포함한다.
선택부(50)는 선택단자(S)를 통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으로써 그의 입력단자(IN0,IN1)에 각각 입력되는 상기 구형파 발생부(40)의 사인 및 코사인 위상 발생부(42)(44)의 출력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분배부(60)는 그 입력단자(IN)가 각각 상기 구형파 발생부(40)의 사인위상 발생부(42)의 출력단자(OUT) 및 상기 선택부(50)의 출력단자(OUT)와 연결되고 각각 선택단자(S)를 가진 제 1 및 제 2분배부(62)(64)를 포함하고, 그의 선택단자(S)에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후술하는 좌-우 송신기 (82,86) 또는 상-하 송신기(84,88)를 선택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70은 전류증폭부로서, 상기 제 1 분배부(62)의 두 출력단자(OUT0,OUT1)과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류증폭부(72)(74)와, 상기 제 2 분배부(64)의 두 출력단자(OUT0,OUT1)와 각각 연결된 제 3 및 제 4 전류증폭부(76)(7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류증폭부(72-78)의 각각은 소정의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며 일측이 접지된 적외선 송신기(82,84,86,88)가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 지시 시스템의 송신장치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입력부(10)로부터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또는 타이머 인터럽트신호가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그 버튼 입력 또는 타이머 인터럽트 신호를 체크하고(단계 100), 클럭분주기(30)에 기준클럭 발진을 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102).
이후 선택부(50) 및 분배부(6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형파발생부(40)로부터 사인파위상의 구형파가 예컨대, 좌-우송신기(82,86)로부터 출력되도록 각각 그의 선택단자(S)가 활성화된다(단계 104).
상기 제어부(20)는 구형파 발진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기 인식코드를 출력하는데(단계 102), 그 출력이 비트 '0'이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32). 만약 비트'0'이 출력된 경우에는, 1비트기간동안 사인파 발진기를 발진한다(단계 134). 만약 비트 '0'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1 비트 기간동안 사인파 발진기 발진을 정지한다(단계 135).
이후 송신코드 출력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단계 108). 만약 송신코드 출력이 종료된 경우에는 버튼 1의 상태 출력을 하고(단계 110), 상기한 비트출력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사인파 발진기 발진과정 또는 사인파 발진정지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버튼 2 상태 출력을 하고(단계 112), 계속해서 상기한 비트출력상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인파 발진기 발진과정 또는 사인파 발진 정지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버튼 3 상태 출력을 하고(단계 114), 이후 상기한 비트출력상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인파 발진기 발진과정 및 사인파 발진 정지 과정을 수행한다. 이 버튼 상태 출력은 복수개로 지정가능하다.
이후 설정된 N기간동안 기준위상 발진을 하고(단계 116), 이후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부(50)의 입력단자(IN1)가 활성화되면 코사인 파형이 선택되고, 따라서 송신기의 파형은 좌측이 사인파형, 우측이 코사인 파형이 송신되도록 파형선택되며(단계 118), 또한 그 이후 또 다른 소정 N기간동안 좌/우 위상 발진이 계속되며(단계 120), 송신기의 파형은 상측이 사인파형, 하측이 코사인 파형이 송신되도록 파형 선택되는데(단계 122), 이때는 분배부(60)에서의 제 1 및 제 2 분배부(62)(64)의 출력단자(OUT1)가 선택되어 상,하측 송신기로부터 송신파형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후 또 다른 소정 N기간동안 상/하 위상 발진이 계속된 후(단계 126), 기준클럭 발진이 정지된다(단계 128). 이후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슬립제어부(24)에 제어신호가 가해지면 슬립모드에 진입하고(단계 130), 정지 상태가 된다.
도 6 은 도 4의 송신장치에서의 콘트롤 타이밍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타이머(22)에서의 타이밍 신호이고, b는 타이밍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20)에 의해 출력되는 기준 클럭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c는 기준클럭 제어신호와 동시에 상기 구형파 발생부(40)를 제어하는 구형파 발생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그 구형파 발생 제어신호는 전체 송출구간으로 볼때 송신기 코드, 버튼 코드, 위상체크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위상 체크구간은 다시 기준위상과, 좌우위상, 상하위상체크구간으로 구분된다.
d는 제어부(20)에 의해 출력된 송신기 파형선택 제어신호를 나타내며, e는 좌-우 상-하 송신기 선택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f,h는 제 1 및 제 2전류증폭부(72)(76)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나타내고, g,i는 제2 및 제 4 전류증폭부(74)(78)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나타낸다.
j,k,l은 각각 상기 스위치입력부(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에서의, 송신기(82,84,86,88)는 도 7a 및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상-하 각각 한쌍으로 서로 중심에서 같은 각도 만큼 기울어져 기구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기의 역할을 하는 각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동일 주파수의 구형파를 송신하는 것이나, 구형파 대신 정현파, 삼각파, 톱니파, 기타 특정 모양의 파형을 송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송신기를 통하여 각각 기준위상 측정을 위한 동위상의 파형들을 송출하고, 이후 상이한 위상의 파형을 송출하거나, 상이한 위상의 파형을 송출한 후 동일 위상의 파형들을 송출하여 기준 위상을 측정하는 등, 시차를 두고 기준신호와 위상이 천이된 검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도 8은 이론적인 정현파와 합성파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형파 및 합성파와 구형파가 대역필터를 통과한 후의 파형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이론적인 정현파와 대역필터를 통과한 구형파에 의해 얻어진 정현파의 파형이 위상면에서 서로 일치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는 코사인파이고, (b)는 사인파를 나타내며, (c)는 합성파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제로 사용한 코사인(cos)위상의 구형파를 나타내고, (e)는 (d)파형이 후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대역통과필터처리된 후의 파형을 나타내며, 도 8의 (f)는 사인(sin)위상의 구형파를 나타내고, (g)는 (f)파형이 후술하는 대역통과필터처리된 후의 파형을 나타내며, (h)는 (d)와 (e)의 합성파를 나타낸 것이며, (i)는 (h)파형이 대역통과 필터처리된 후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 증폭회로 및 대역필터 회로의 처리속도, 지연 특성에 의하여 입력파형에 대하여 필터링된 파형이 일정 위상만큼의 오차가 생길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모든 파형을 동일한 단일회로로 필터링하여 수신한 경우이므로 동일한 값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고, 이것은 기준위상신호와 위치 검출용 위상 신호가 각각 동일한 값의 오차로 위상의 편이가 생기므로 수신된 기준 위상과 위치 검출용 복합 위상 사이의 상대적 차이만을 신호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에서 후술하는 수신장치의 수신증폭부(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접지된 적외선 수신기(201)와, 상기 수신기(201)의 타측에 연결되어 외부 자연광의 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 손실을 줄이도록 한 임피던스 변환 및 증폭부(202)와, 상기 임피던스 변환 및 증폭부(202)로부터 증폭된 신호중 노이즈를 제거하고 교류성분을 증폭하는 이득제어부(AGC)(204)와, 상기 이득제어부(204)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성분만을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부(206)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06)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득제어부(20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7)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06)의 주파수 성분을 증폭하는 제 1 증폭부(208)와, 상기 제 1 증폭부(208)의 신호를 극단적으로 증폭하여 구형파를 출력하는 제 2 증폭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처리에 있어서 수신되는 합성파의 진폭과는 무관하고 단지 위상의 편이량만이 중요하므로 제 2 증폭부(210)를 통해 신호를 극단적으로 증폭하여 포화(SATURATION)시켜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에서의 디지털 신호처리부(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것을 통하여 구체적인 위상편이 측정과정 수행이 완료된다. 먼저 수신증폭부(200)로부터 이미 포화상태로 증폭된 구형파가 출력된다.
참조부호 310은 소정 주파수클럭을 인가하는 클럭발진부를 나타내고, 312는수신증폭부(200)로부터 발생된 구형파 신호가 입력되고, 그 입력신호의 위상 측정시 카운터 값의 경계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상 측정 구간의 시작시점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로킹(LOCKING)을 거는 역할을 하는 피엘엘(Phase Locked Loop:PLL)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클럭발진부(310)는 소정 클럭을 발생시켜 분주회로(322)에 인가하고, 그 분주회로(32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후술하는 직렬-병렬변환회로(320)에 인가된다.
314는 수신증폭부(20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신호를 필터링하는 디지탈 대역 필터부를 나타내고, 316은 캐리어 신호를 카운터에 의한 주기측정법으로 목적된 카운트값의 오차 한계에 의하여 캐리어 주파수의 유무를 판별하는 주파수변별부를 나타낸다. 318은 상기 주파수변별부(316)를 통과한 신호를 캐리어 신호의 유무를 통하여 복조하여 제어부(400)에 입력하는 복조부를 나타내고, 320은 복조된 직렬입력신호를 기준 클럭에 동기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병렬변환회로를 나타낸다.
324는 설정된 송신기 코드와 입력된 송신기 코드를 비교하는 송신기 코드비교기를 나타내고, 326은 일측입력단자에는 후술하는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타측입력단자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소정출력을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R-S플립플롭을 나타낸다.
328은 상기 송신기코드비교기(324)의 발생신호를 통해 위치신호 측정을 위한 구간신호를 발생하는 위상비교구간 발생기를 나타내고, 330은 상기 수신증폭부(200)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상기 피엘엘(PLL)회로(312)로부터의 발생신호 및 상기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차 카운트회로를 나타낸다.
332는 상기 위상차카운트회로(33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의 위상값을 계산하는 위상값계산부를 나타내고, 334는 상기 위상값계산부(332)로부터의 신호를 저장하는 위치값 기억레지스터를 나타낸다. 336은 상기 위치값 기억레지스터(334)로부터의 신호를 직렬-병렬 처리하여 제어부(400)에 입력하는 직렬/병렬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미설명부호 338은 시스템 리셋회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수신장치에서의 구체적인 작용을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입력되면 시스템 리셋이 발생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회로의 각 부분이 초기화된다(단계 500). 이로인해 디지털 신호처리부(300)의 각종 레지스터 및 카운터가 초기화된다(단계 502). 이 초기화 과정은 외부 제어부(400)로부터의 리셋 요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단계 501). 이후 수신증폭부(200)로부터의 위상 성분 구형파가 입력되면(단계 504), 디지털 대역 필터부(314)에서는 펄스의 상태변화를 검출한다(단계 506)(에지 디텍터(edge detector)과정이라고도 한다). 디지털 대역 필터부(314)는 이후 상태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508). 만약 상태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변별부(316)는 주기카운트 값이 목표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512), 상태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구형파 주기 카운트를 계속하여(단계 510) 그 상태변화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주파수변별부(316)에 의해 주기 카운트 값이 목표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레벨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과정(단계 514)을 진행하고, 목표범위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레벨카운터를 감소시키는 과정(단계 516)을 진행하여, 두 과정이후 모두 레벨 카운터가 상한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18). 이로인해, 만약 레벨카운터가 상한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레벨 "1"을 출력한 후(단계 520) 주파수 카운터 리셋과정(단계 528)을 수행한다. 만약 레벨 카운터가 상한치 이상이 아닌경우에는, 다시 레벨 카운터가 하한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22). 이로 인해 만약 레벨 카운터가 하한치 이하인 경우에는 레벨 "0"을 출력한 후(단계 524) 주파수 카운터 리셋과정(단계 528)을 수행하며, 레벨 카운터가 하한치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이전 레벨을 유지한 후(단계 526) 주파수 카운터 리셋과정(단계 528)을 수행한다. 이후 디지털 필터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진행된다(단계 530).
상기에서 레벨 카운터 증가, 감소시키는 과정이 주파수변별부(316)를 통한 주파수 변별과정이고, 레벨 "1" 또는 레벨"0"을 출력하는 과정이 복조부(318)로 인한 복조작용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주파수 변별 및 레벨 출력과정은 기존 리모콘 기능과 유사하므로 본 발명은 기존 리모콘기능에 아무 문제없이 일체화하여 사용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조부(318)를 통하여 디지털필터 복조신호가 출력되는데(단계 530), 이때 수신장치는 수신대기 상태에 있다(단계 532). 이후 직렬-병렬변환회로(320)는 복조출력이 "0"인가를 판단하는데(단계 534), 이는 송신기 최상위 비트가 로우(low)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복조출력은 무신호시 "1" 상태이므로 "0"상태는 복조 출력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만약 복조출력이 "0"이면, 미리 설정된 보레이트(buad rate)로 수신을 개시하는데(단계 536), 수신된 데이터는 직렬-병렬변환회로(320)에 의해 직렬-병렬 변환된다(단계 538). 송신기코드 비교기(324)에서는 직렬-병렬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코드 설정신호와 비교하여 지정된 송신기 코드인가를 판단한다(단계 540). 만약 지정된 송신기 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대기 상태(단계 532)로 진행한다. 만약 지정된 송신기 코드인 경우에는 PLL회로(312)의 위상을 세트시키고(단계 541),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를 통하여 신호경계구간(t)을 제거한 후(단계 542), 기준위상기간을 계산(N-t)하여 이를 적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544). 또한 이후 또 다른 신호경계 구간(t)을 제거한 후(단계 546), '좌우'위상기간을 계산(N-t)하여 이를 적산하고(단계 548), 또한 이후 또 다른 신호경계구간(t)을 제거한 후(단계 550), '상하'위상기간을 계산(N-t)하여 이를 적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552).
이후, 기준위상에서 좌우위상을 뺀 값으로 좌우위상차를 계산하고(단계 554), 그 값을 좌/우 위상차 값으로 레지스터에 기억시킨다(단계 560). 또한 기준위상에서 상하위상을 뺀 값으로 상/하 위상차를 계산하고(단계 562), 그 값을 상/하 위상차 값으로 레지스터에 기억한다(단계 564). 이후, 상기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는 수신완료 인터럽트신호를 출력하는데(단계 568), 이 과정은 위상 비교구간 발생기(328)가 플립플롭(326)에 세트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수신대기 상태를 계속한다.
도 14 는 도 13 의 흐름도에서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된 이후의 제어부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와 연결된 외부 제어부(400)는 항상 플립플롭(326)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가, 플립플롭(326)이 세트, 즉, '1'인가를 판단하여(단계 570), 만약 플립플롭(326)이 '1'인 경우에는 위치값 기억 레지스터(334)로 부터 데이터를 읽는다(단계 572),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플립플롭(326)을 리세트 시킨다(FF=0)(단계 572).
상기 제어부(400)는 레지스터(334)로부터 읽은 x위치를 좌우위상값으로 하여 좌표계를 변환하고, y위치를 상하위상값으로 하여 좌표계를 변환한다(단계 576). 이후, 좌표영역을 화면해상도와 일치하도록 보정하고(단계 578),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580). 이후 송신장치의 스위치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단계 582), 스위치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기능을 수행하고(단계 584), 스위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플립플롭의 세트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송신기코드 비교와 위상 측정의 각 타이밍도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의 (a)에서 A는 송신기의 구별을 위한 신호 구간이며 B는 위상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구간이다. 이 신호구간에서의 신호는 도 9의 수신증폭부(2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구별을 위한 신호구간(A)은 리모콘인식코드구간과 버튼코드구간의 2구간으로 나뉘며, 위상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구간(B)은 각각 크기가 N인 구간으로서 먼저 기준 위상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위상 신호구간과 수평 축의 위치정보측정을 위한 수평위치 위상신호구간, 그리고 수직 축의 위치정보 측정을 위한 수직위치 위상신호구간의 3 구간으로 나뉜다. 각 구간의 경계면이 신호경계구간(t)을 나타낸다.
도 11 (b)는 도 9 의 송신기코드비교기(324)로부터 입력되는 각 신호구간에 따른 파형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 (c)는 도 9 의 송신기코드비교기(324)로부터 입력되는 위상변화량 측정구간(B)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R-S플립플롭(326)에 인가되는 세트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d)는 도 9 의 제어부(400)로부터 R-S플립플롭(326)에 인가되는 리세트신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 (e)는 도 9 의 R-S플립플롭(326)으로부터 출력되어 제어부(400)에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도 11 (f)는 도 9 의 위상값 계산부(33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위치값 기억레지스터(334)에 입력되는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 신호이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 측정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내부의 플립플롭을 세트시키는 과정과(도 11c), 그 출력을 외부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새로운 위치정보가 측정완료되어 갱신되었음을 적용 시스템의 각 컨트롤 회로에 알리게 되며(도 11e), 또한 동시에 측정 된 값을 위치값 기억 레지스터(334)에 기억시킴으로써(도 11f), 다음회차의 수신값 측정에 의하여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부(400)는 새로운 위치정보가 측정 완료되었음이 확인된 시점에서 위치값 기억레지스터(334)에서 데이터를 읽어가고 내부의 플립플롭(326)을 리세트 시킴으로써 새로운 데이터의 측정완료시점을 다시 확인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직렬/병렬 인터페이스(336)에 의하여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좌표게계변환을 거쳐 화면(2)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 마이컴회로 혹은 퍼스널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외부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구간에서 위상을 측정함에 있어서 단 1회의 측정으로 위상 비교를 마칠 경우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측정 정밀도에 의한 불확실성이 증가되어 오차의 요인이 되므로 복수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산출하여 오차를 줄이는 적산방법을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되는 좌-우, 상-하 신호를 단일 적외선 수신기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신하므로 사인 및 코사인위상의 구형파가 각각 송신기의 지향특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지향각도에 따라 다른 진폭으로 수신되고 이렇게 진폭이 결정된 구형파의 합이 본 회로에서 수신되어 증폭,대역통과필터, 극단증폭(saturation)과정을 거쳐서 도 8의 (h)와 같은 파형에 대하여 동일위상의 구형파를 얻게 되고 이 구형파를 종단에 구성된 모듈회로를 통하여 디지탈적인 처리만으로 기준 위상에 대한 편이량을 산출하여 위치정보를 시스템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회로 구성을 가지며 별도의 광학적 장치가 거의 부가되지 않으므로 효과적인 성능과 S/N비의 개선이 가능하여 회로의 소형화와 원가절감효과가 있고, 단지 송신기를 들어 목표위치를 지향하는 것만으로 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등 사용이 매우 쉬우며 캐리어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존의 원격 제어기와 통신 방법 호환이 가능하여 위치지시기능이 없는 기존의 원격제어기를 대체하거나 회로의 변경이 거의 없이 기존의 원격제어기 기능과 일체화가 가능한 전혀 새로운 방식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 지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마치 손전등 빛의 궤적의 움직임처럼 송신기의 가리키는 방향에 따라 커서가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평면의 위치를 확정 짓는 매우 사용이 간편한 방법의 위치 지시 시스템이다.
송신방법에 의하여 위치 지정시 평면 전체 위치에 대하여 한 번의 송신으로 모든 위치를 지정 가능한 절대좌표 표시 방법을 사용하거나, 이전의 위치를 기준으로 새롭게 수신된 위상 변화량을 가감하여 다음 위치를 결정하는 상대좌표계를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송출 신호를 아날로그적인 방식의 검파가 아닌 기준 클럭을 분주한 주파수 카운터를 사용하여 디지털적 신호처리에 의하여 신호의 주파수 혹은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신호의 검파 및 복조를 수행하여 기존의 원격제어기와 결과적으로 호환성을 유지하는 복조방법의 신호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신장치는 적외선 송신기-적외선 수신기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기타 초음파 송신기-초음파 수신기, 또는 RF송신기-RF수신기 쌍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선형성이 요구되는 정밀한 증폭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온도변화에 따른 회로의 보정이 거의 불필요하며, 노이즈에 대하여서도 영향력이 적다.
회로의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고, 정밀도를 위하여 일반적이지 못한 복잡하고 특별한 증폭회로나 기구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로서 저가와 고기능을 실현하며, 기존의 원격지시기, 즉 리모콘과 신호처리 및 기구적 호환성을 유지하여 향후 일체화가 가능하여 공통적인 기구 및 회로부분의 삭제가 가능하게 하고, 외부 환경이나 노이즈에 대하여 변별력이 뚜렷하여 악조건 속에서도 성능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함으로써 위치 지정에 있어 탁월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 예컨대, TV, 컴퓨터, VCR,LDP, DVD 플레이어, VOD 시스템, 케이블 TV 단말기, 각종 통신 단말기, 가정용 게임기, 유아용 컴퓨터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커서의 이동을 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평면의 위치를 지시하는 원격 위치지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동일 주파수의 파형을 동시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진 송신장치(1)와,
    상기 송신장치(1)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극단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가 기준신호에 대해 편이된 위상의 변화량에 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발생된 위상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1)는
    소정의 입력신호를 스위칭 출력하는 스위치 입력부(10)와,
    상기 스위치 입력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분주기(30)와,
    상기 클럭분주기(30)로 발생된 클럭에 따라 사인 및 코사인 파형의 구형파를 발생하는 구형파발생부(40)와,
    상기 구형파발생부(40)의 사인 및 코사인 파형의 구형파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50)와,
    상기 구형파발생부(40)의 하나의 구형파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분배부(60)와,
    상기 분배부(60)에 의해 인가된 분배신호를 증폭하는 전류증폭부(70)와,
    상기 전류증폭부(70)로부터의 증폭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복수개의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기준클럭 제어신호, 구형파 발진제어신호,우측 및 하측 송신기 파형 선택 제어신호, 좌,우,상,하측 송신기 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22)와, 상기 타이머(22)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슬립(SLEEP)제어기(24)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 발생부(40)는 각각 상기 클럭분주기(3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입력단자(IN)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인에이블단자(EN)를 가진 사인 및 코사인 위상 발생부(4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수신증폭부(200)와,
    상기 수신증폭부(200)의 증폭신호를 디지탈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증폭부(200)는
    일측이 접지된 적외선 수신기(201)와,
    상기 수신기(201)의 타측에 연결되어 외부 자연광의 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 손실을 줄이도록 한 임피던스 변환 및 증폭부(202)와,
    상기 임피던스 변환 및 증폭부(202)로부터 증폭된 신호중 노이즈를 제거하고 교류성분을 증폭하는 이득제어부(AGC)(204)와,
    상기 이득제어부(204)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성분만을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부(206)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06)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득제어부(20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7)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06)의 주파수 성분을 증폭하는 제 1 증폭부(208)와,
    상기 제 1 증폭부(208)의 신호를 극단적으로 증폭하여 구형파를 출력하는 제 2 증폭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300)는
    소정 주파수클럭을 인가하는 클럭발진부(310)와,
    상기 수신증폭부(200)로부터 발생된 구형파 신호가 입력되고, 그 입력신호의 위상 측정시 카운터 값의 경계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상 측정 구간의 시작시점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로킹(LOCKING)을 거는 피엘엘(Phase Locked Loop:PLL)회로(312)와,
    상기 클럭발진부(310)로부터 발생된 소정 클럭에 동기되어 분주를 행하는 분주회로(322)와,
    상기 분주회로(32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직렬-병렬변환하는 직렬-병렬변환회로(320)와,
    상기 수신증폭부(20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신호를 필터링하는 디지탈 대역 필터부(314)와,
    캐리어 신호를 카운터에 의한 주기측정법으로 목적된 카운트값의 오차 한계에 의하여 캐리어 주파수의 유무를 판별하는 주파수변별부(316)와,
    상기 주파수변별부(316)를 통과한 신호를 캐리어 신호의 유무를 통하여 복조하는 복조부(318)와,
    상기 분주회로(322)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조부(318)로부터 복조된 신호중 직렬입력신호는 기준 클럭에 동기되어 병렬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직렬-병렬변환회로(320)와,
    설정된 송신기 코드와 입력된 송신기 코드를 비교하는 송신기 코드비교기(324)와,
    일측입력단자에는 상기 송신기코드 비교기(32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타측입력단자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소정출력을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R-S플립플롭(326)과,
    상기 송신기코드비교기(324)의 발생신호를 통해 위치신호 측정을 위한 구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R-S플립플롭(326)의 일측단자에 소정신호를 발생하는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와,
    상기 수신증폭부(200)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상기 피엘엘(PLL)회로(312)로부터의 발생신호 및 상기 위상비교구간 발생기(328)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차 카운트회로(330)와,
    상기 위상차카운트회로(33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의 위상값을 계산하는 위상값계산부(332)와,
    상기 위상값계산부(332)로부터의 신호를 저장하는 위치값 기억레지스터(334)와,
    상기 위치값 기억레지스터(334)로부터의 신호를 직렬-병렬 처리하여 제어부(400)에 입력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336)와,
    시스템 리셋제어신호에 의해 리셋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 리셋회로(3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무선위치지시 시스템은 적외선 송신기-적외선 수신기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는 초음파송신기-초음파 수신기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는 RF송신기-RF수신기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위치지시 시스템.
KR1019980054578A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KR20000039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78A KR20000039283A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US09/450,386 US6388656B1 (en) 1998-12-09 1999-11-29 Remote position designation system
CN99125521A CN1256425A (zh) 1998-12-09 1999-12-02 远程位置指定系统
IT1999MI002541A IT1314105B1 (it) 1998-12-09 1999-12-03 Sistema di designazione di posizione remota per designare unaposizione opzionale su un piano in corrispondenza di un luogo remoto
PCT/KR1999/000730 WO2000035237A1 (en) 1998-12-09 1999-12-03 Remote position designation system
AU15133/00A AU1513300A (en) 1998-12-09 1999-12-03 Remote position designation system
JP34879399A JP2000231445A (ja) 1998-12-09 1999-12-08 遠隔制御が可能な位置指示システム
FR9915492A FR2787906A1 (fr) 1998-12-09 1999-12-08 Systeme d'indication de position a distance
GB9929041A GB2344673A (en) 1998-12-09 1999-12-08 Remote position designation system
DE19959373A DE19959373A1 (de) 1998-12-09 1999-12-09 Positionsfernbezeichnung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78A KR20000039283A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83A true KR20000039283A (ko) 2000-07-05

Family

ID=1956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78A KR20000039283A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88656B1 (ko)
JP (1) JP2000231445A (ko)
KR (1) KR20000039283A (ko)
CN (1) CN1256425A (ko)
AU (1) AU1513300A (ko)
DE (1) DE19959373A1 (ko)
FR (1) FR2787906A1 (ko)
GB (1) GB2344673A (ko)
IT (1) IT1314105B1 (ko)
WO (1) WO20000352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54B1 (ko) * 2008-02-13 2008-07-18 실리콤텍(주) 적외선 무선 포인팅용 반도체 칩과 이를 이용한 적외선 무선 포인팅 장치
KR20110071159A (ko) * 2009-12-21 201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KR101332407B1 (ko) * 2008-03-06 2013-11-22 실리콤텍(주) 적외선 무선 포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057B2 (ja) * 2000-05-24 2006-11-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指示位置検出装置及び前記装置を用いたゲーム用コントローラ
WO2005119356A2 (en) 2004-05-28 2005-12-15 Erik Jan Banning Interactive direct-point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US9285897B2 (en) 2005-07-13 2016-03-15 Ultimate Pointer, L.L.C. Easily deployable interactive direct-point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20070155489A1 (en) * 2005-12-30 2007-07-05 Frederic Beckley Device and network enabled geo-fencing for area sensitive gaming enablement
WO2008146223A1 (en) * 2007-05-30 2008-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xchanging information via main and reference signals
KR101087870B1 (ko) * 2009-09-02 2011-11-30 채광묵 원격 위치 지시용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KR101673885B1 (ko) * 2010-04-26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해서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DE102011103735B4 (de) 2010-12-10 2018-08-23 Sew-Eurodriv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yklischen digitalen Übertragung eines Positionswertes eines bewegten Objektes mit träger Masse
US9651952B2 (en) 2011-06-20 2017-05-16 Sew-Eurodrive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the cyclic digital transmission of a position value of a moving object with inertial mass
CN110187353A (zh) * 2019-05-22 2019-08-30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远目标激光测距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9514A1 (de) * 1986-09-11 1988-03-16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Digitalschaltung zur gleichzeitigen Erzeugung von digitalen Sinus- und Cosinusfunktionswerten
JPS63131630A (ja) * 1986-11-20 1988-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
US4745402A (en) * 1987-02-19 1988-05-17 Rca Licensing Corporation Input device for a display system using phase-encoded signals
US4796019A (en) * 1987-02-19 1989-01-03 Rca Licensing Corporation Input device for a display system
TW256900B (ko) * 1993-11-25 1995-09-11 Alps Electric Co Ltd
US5579341A (en) * 1994-12-29 1996-11-26 Motorola, Inc. Multi-channel digital transceiver and method
KR0144177B1 (ko) * 1995-07-13 1998-08-17 구자홍 초음파를 이용한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US5892501A (en) * 1996-01-17 1999-04-06 Lg Electronics Inc, Three dimensional wireless pointing device
US5933113A (en) * 1996-09-05 1999-08-03 Raytheon Company Simultaneous multibeam and frequency active photonic array radar apparatus
US6271831B1 (en) * 1997-04-03 2001-08-07 Universal Electronics Inc. Wireless control and pointer system
EP0887658B1 (en) * 1997-06-27 2004-08-25 EADS Deutschland GmbH Radar level gauge
FR2767238B1 (fr) * 1997-08-07 1999-10-01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s monocanal et multicanaux de demodulation coherente sans pilote, et ensemble correspondant de reception a plusieurs chemins de diversi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54B1 (ko) * 2008-02-13 2008-07-18 실리콤텍(주) 적외선 무선 포인팅용 반도체 칩과 이를 이용한 적외선 무선 포인팅 장치
KR101332407B1 (ko) * 2008-03-06 2013-11-22 실리콤텍(주) 적외선 무선 포인팅 장치
KR20110071159A (ko) * 2009-12-21 201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314105B1 (it) 2002-12-04
JP2000231445A (ja) 2000-08-22
FR2787906A1 (fr) 2000-06-30
ITMI992541A1 (it) 2001-06-03
DE19959373A1 (de) 2000-06-21
WO2000035237A1 (en) 2000-06-15
US6388656B1 (en) 2002-05-14
CN1256425A (zh) 2000-06-14
GB2344673A (en) 2000-06-14
ITMI992541A0 (it) 1999-12-03
AU1513300A (en) 2000-06-26
GB9929041D0 (en)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870B1 (ko) 원격 위치 지시용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KR20000039283A (ko)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US4745402A (en) Input device for a display system using phase-encoded signals
US6014129A (en) Coordinate position of moving light source by using separated groups of detectors each group having an iris
US4796019A (en) Input device for a display system
EP0254297B1 (en) Coordinates input system
US4728954A (en) Ground velocity sensor with drop-out detection
US20070127009A1 (en) Multi-modulation frequency laser range finder and method for the same
JP3126797B2 (ja) 信号伝送装置
KR20210104878A (ko) 위치 감지 시스템 및 디지털 스타일러스
US47244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 direction finding with no ambiguity
EP0164526B1 (en) Automated gaging system with microwave telemetry
US5444862A (en) Circuit for stopping data transmission responding to low level and rapid fall of received electric field
CN203825190U (zh) 一种近场电磁测距装置
JP4808965B2 (ja) 測距方法及び測距装置
JP2003194908A (ja) 同期システムとその同期システムを用いた移動体位置測定装置
US4045797A (en) Radar doppler frequency measuring apparatus
US3988733A (en) VOR receiver with improved performance in a Doppler navigation system
KR101598705B1 (ko) 전송 모드에 따른 레이더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3943518A (en) Doppler ILS receiver with beat signal scan synchronization
KR100786943B1 (ko) 도플러전방향표지시설 위상검출 및 교정 방법
US5305010A (en) Crystal oscillator synchronized digital very high frequency omni-range (VOR) instrumentation unit
KR970009453A (ko) 초음파를 이용한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KR100942374B1 (ko) 화면 위치정보 입력 방식
JP2975652B2 (ja) 受信周波数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309

Effective date: 2003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