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159A -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159A
KR20110071159A KR1020090127634A KR20090127634A KR20110071159A KR 20110071159 A KR20110071159 A KR 20110071159A KR 1020090127634 A KR1020090127634 A KR 1020090127634A KR 20090127634 A KR20090127634 A KR 20090127634A KR 20110071159 A KR20110071159 A KR 20110071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quid crystal
driving
light sourc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718B1 (ko
Inventor
양준혁
조순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7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발진기로부터 제공된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식별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리모콘, 백라이트 유닛, 무선 포인팅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Back Light Unit, Liquid Crystal Diplay and Wireless Poin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의 투과도 변화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박막트렌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어레이가 형성된 제1기판, 컬러필터(Color Filter) 어레이가 형성된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공급하기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된 후 그대 로 소멸된다. 최근에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순히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에 맞추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용하여 다른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용하여 추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개의 반송파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발진기;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구동모듈, 및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어 광신호를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제1광원모듈, 및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제2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주파수발진기로부터 제공된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은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리모콘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해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신호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송신하는 위치신호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식별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은 주파수발진기(2), 구 동부(3), 및 광원부(4)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발진기(2)는 복수개의 반송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송파신호들을 상기 구동부(3)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신호는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또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방식 등에 의해 변조된 전류신호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4)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신호로부터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제1구동모듈(31) 및 제2구동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는 제1합성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제1합성모듈에 의해 합성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1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 를 합성하여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는 제2합성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제2합성모듈에 의해 합성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들은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구동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들은 상기 구동부(3)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 Luminescent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제1광원모듈(41) 및 제2광원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광원모듈(41)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모듈(41)로부터 상기 제1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광원모듈(4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모듈(42)로부터 상기 제2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광신호들이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모듈들에 대응되는 개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 및 액정표시패널(11)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주파수발진기(2), 구동부(3), 및 광원부(4)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발진기(2)는 복수개의 반송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송파신호들을 상기 구동부(3)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제1구동모듈(31) 및 제2구동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들은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구동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들은 상기 구동부(3)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으로 상기 광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직하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제1광원모듈(41) 및 제2광원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광원모듈(41)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모듈(41)로부터 상기 제1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광원모듈(4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모듈(42)로부터 상기 제2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광원모듈(41)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위치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모듈들에 대응되는 개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광원모듈들은 횡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열방향(X축 방향) 및 횡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상기 광원모듈들이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3)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위치별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은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타면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은 박막트렌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어레이가 형성된 제1기판(111), 컬러필터(Color Filter) 어레이가 형성된 제2기판(112), 및 상기 제1기판(111)과 상기 제2기판(112) 사이에 위치되는 액정(Liquid Crystal,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광신호는 상기 제1기판(111), 상기 액정(113), 및 상기 제2기판(112)을 투과하여 영상신호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리모콘(200, 도 5에 도시 됨)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하는데 상기 광신호들이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은 상기 제1기판(111)에 결합되는 제1편광판, 상기 제2기판(112)에 결합되는 제2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상기 광원부(4)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1) 사이에 위치되는 프리즘시트, 확산시트 등의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수신부(12) 및 영상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채널 변경, 음향 변경 등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미도시)을 상기 수신부(12)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는 상기 수신모듈과는 별개로 상기 수신부(1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한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복수개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1블럭(11a) 및 제2블럭(11b)으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럭(11a) 또는 상기 제2블럭(11b)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제1블럭(11a) 또는 상기 제2블럭(11b)에 상기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영상은 상기 영상신호와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기호, 문자, 도형, 색채 등일 수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블럭들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광원모듈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블럭들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신호가 상기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도록 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식별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이 향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리모콘에 구비된 키버튼 조작을 이용하여 특정기능 선택을 위한 위치변경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 도 5에 도시됨)이 향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으로 특정기능 선택을 위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는 에지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는 도광판(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도광판(5) 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5)은 상기 광원부(4)로부터 공급되는 광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도광판(5)의 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도광판(5)의 측면 측에서 상기 제1광원모듈(41)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광원모듈들은 열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상기 광원모듈들이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3)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위치별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100)은 상기 액정표시장치(10) 및 위치신호획득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 액정표시패널(11), 수신부(12), 및 영상제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주파수발진기(2), 구동부(3), 및 광원부(4)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발진기(2)는 복수개의 반송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송파신호들을 상기 구동부(3)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제1구동모듈(31) 및 제2구동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주파수발진기(2)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반송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들은 상기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구동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들은 상기 구동부(3)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제1광원모듈(41) 및 제2광원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듈(31)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광원모듈(41)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모듈(41)로부터 상기 제1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41)은 상기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41a,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듈(32)은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광원모듈(4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모듈(42)로부터 상기 제2광신호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42a,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모듈(42)은 상기 제1광원모듈(41)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구동모듈들에 대응되는 개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직하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 또는 에지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직하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으로 상기 광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열방향(X축 방향), 횡방향(Y축 방향), 또는 열방향(X축 방향) 및 횡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에지형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1)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일면 측에 위치되는 도광판(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는 상기 도광판(5) 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5)은 상기 광원부(4)로부터 공급되는 광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들은 상기 도광판(5)의 일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횡방향(Y축 방향) 또는 열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은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타면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은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1기판(111),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2기판(112), 및 상기 제1기판(111)과 상기 제2기판(112) 사이에 위치되는 액정(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광신호는 상기 제1기판(111), 상기 액정(113), 및 상기 제2기판(112)을 투과하여 영상신호로 방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리모콘(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음향 변경 등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미도시)을 상기 수신부(12)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는 상기 수신모듈과는 별개로 상기 수신부(1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한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복수개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1블럭(11a) 및 제2블럭(11b)으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럭(11a) 또는 상기 제2블럭(11b)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제1블럭(11a) 또는 상기 제2블럭(11b)에 상기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영상은 상기 영상신호와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기호, 문자, 도형, 색채 등일 수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블럭들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제어부(13)는 상기 광원모듈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블럭들로 구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1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 식별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리모콘에 구비된 키버튼 조작을 이용하여 특정기능 선택을 위한 위치변경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100)은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으로 특정기능 선택을 위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신호획득부(20)는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신호획득부(20)는 획득된 위치신호를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신호획득부(20)는 상기 리모콘(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신호획득부(20)는 수광부(21), 반송파신호획득부(22), 반송파신호비교부(23), 및 송신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21)는 상기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방출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수광부(21)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21)는 상기 리모콘(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는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반송파신호들을 획득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수광부(2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는 밴드패스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밴드패스필터들에 의해 추출된 반송파신호들을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는 제1반송파신호획득모듈(221) 및 제2반송파신호획득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송파신호획득모듈(221)은 상기 수광부(21)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제1반송파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1반송파신호획득모듈(221)은 제1밴드패스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패스필터는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제1반송파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송파신호획득모듈(222)은 상기 수광부(21)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제2반송파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2반송파신호획득모듈(222)은 제2밴드패스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밴드패스필터는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제2반송파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반송파신호획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21)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모듈들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모듈들은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반송파신호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수광부(21)가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은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특정 위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수광부(21)에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광원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다른 광신호들에 비해 큰 크기로 수광된다. 이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수광부(21)가 향하는 위치,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블럭들에 대해 상기 수광부(21)가 이루는 각도, 상기 액정표시패널(11)의 블럭들과 상기 수광부(21) 간의 거리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제1블럭(11a), 제2블럭(11b), 제3블럭(11c), 및 제4블럭(11d)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가 방출되고, 상기 리모콘(200)이 상기 제1블럭(11a)을 향하는 경우이면, 상기 수광부(21)에는 상기 제1블럭(11a)으로부터 방출된 반송파신호가 가장 큰 크기로 수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수광부(21)가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에 대해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는 반송파신호추출부(231) 및 위치신호생성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추출부(231)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은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위치신호생성부(232)는 상기 추출된 반송파신호에 해당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신호생성부(232)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반송파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신호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위치신호생성부(23)는 상기 저장부에 저정된 위치신호들로부터 상기 추출된 반송파신호에 대응되는 위치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부(2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23)는 증폭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233)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증폭시킨다.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은 상기 반송파신호획득부(2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폭기(233)는 상기 증폭된 반송파신호들을 상기 반송파신호추출부(23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갖는 세기 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반송파신호추출부(231)가 더 정확하게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송신부(24)는 상기 위치신호를 상기 수신부(12)에 송신한다. 상기 송신부(24)는 상기 위치신호를 적외선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1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 식별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콘(200)이 향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포인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Claims (10)

  1. 복수개의 반송파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발진기;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구동모듈, 및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어 광신호를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제1광원모듈, 및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주파수발진기로부터 제공된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해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1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1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구동모듈, 및 상기 반송파신호들 중 제2반송파신호와 정전류신호를 합성하여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광신호를 방출하는 제1광원모듈, 및 상기 제2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광신호를 방출하는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일면으로부터 상기 광신호들이 공급되고 타면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방출하며;
    상기 제1광원모듈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광원모듈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일면 측에서 상기 제1광원모듈 옆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일면으로부터 상기 광신호들이 공급되고 타면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방출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일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광원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측에서 상기 제1광원모듈 옆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반송파신호들과 정전류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복수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신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광신호들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신호들이 포함된 영상신호를 방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리모콘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해 리모콘이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신호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송신하는 위치신호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식별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포인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신호획득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반송파신호들을 획득하는 반송파신호획득부;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해 상기 수광부가 향하는 위치에 관한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반송파신호비교부; 및
    상기 위치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포인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추출하는 반송파신호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반송파신호에 해당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포인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신호비교부는
    상기 획득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반송파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세기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추출하는 반송파신호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반송파신호에 해당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포인팅 시스템.
KR1020090127634A 2009-12-21 2009-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KR10157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4A KR101579718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4A KR101579718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59A true KR20110071159A (ko) 2011-06-29
KR101579718B1 KR101579718B1 (ko) 2015-12-23

Family

ID=4440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34A KR101579718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7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724A (ko) * 1996-08-31 1998-06-05 구자홍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KR20000039283A (ko) * 1998-12-09 2000-07-05 채광묵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KR20040094055A (ko) * 2003-05-01 2004-11-09 삼성오엘이디 주식회사 효율적인 발진기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WO2006011515A1 (ja) * 2004-07-28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724A (ko) * 1996-08-31 1998-06-05 구자홍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KR20000039283A (ko) * 1998-12-09 2000-07-05 채광묵 원격제어가가능한위치지시시스템
KR20040094055A (ko) * 2003-05-01 2004-11-09 삼성오엘이디 주식회사 효율적인 발진기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WO2006011515A1 (ja) * 2004-07-28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718B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5420A1 (en) Display identific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JP5513892B2 (ja) イントリンシックフラックス検知
JP5036552B2 (ja) 表示装置
JP4377395B2 (ja) 光源駆動装置、発光システムおよび光源の輝度均一性を改善する方法
CN100474797C (zh) 包括通信装置的场致发光二极管照明装置和包括该装置的装备
KR101075747B1 (ko) 휴대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실내 조명 장치
EP279553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optical information
CN100367328C (zh) 投射型影像显示装置
JP200631954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可視光送受信システム
EP1780461A4 (en) BACKLIGHTING DEVICE AND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259067A1 (en) Method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09041574A1 (ja) 表示装置
US20110074666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ulti-screen display
US7847785B2 (en) Backlight device
EP246123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US201802394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stylus
KR101632330B1 (ko) 디스플레이장치와 백라이트유닛
US20060125770A1 (en) Light-merging control units
KR10157971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포인팅 시스템
US903062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EP400195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integrated illumination element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TW200743851A (en) Back light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incorporating the same
KR20140027013A (ko) 표시 장치 식별 시스템 및 표시 장치
US20100141154A1 (en) Backlight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luminance of the backlight module
TW200520249A (en) Light emitting diode and backligh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