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693A -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693A
KR20000038693A KR1019980053770A KR19980053770A KR20000038693A KR 20000038693 A KR20000038693 A KR 20000038693A KR 1019980053770 A KR1019980053770 A KR 1019980053770A KR 19980053770 A KR19980053770 A KR 19980053770A KR 20000038693 A KR20000038693 A KR 2000003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inforcing material
retaining wall
fixing
sp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139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1998005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1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기구에 관한 것으로, 옹벽벽체(20) 내면에 돌출형성된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서 보강재(10)가 동일한 길이로 중간부에서 접혀져 걸림부(35) 바로 선단에서 볼트(12)와 너트(13)로 구성된 체결수단(11)에 의해 두겹의 보강재(10)가 결속되어져 그 후단에서 당김기구(100)에 의해 양방향으로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당김기구(100)에 의해 물린 보강재(10)의 후단부터 유효거리(L)부까지 보강재(10) 중심부의 고정공(15)에 일정한 간격으로 와셔(14)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17)을 다수 박아 보강토체(50)에 고정시킨 후에 성토 작업과 다짐작업이 이루어지는 보강재 시공방법과, 스파이크(110)가 부착된 발판(105)과 가이드 부재(120), 이동부재(130) 및 조작핸들(134)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0)의 당김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30)의 선단과 물림턱(132)사이에는 상기 물림턱(132)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회동부재(140)가 구비되고, 발판(105) 상부의 가이드부재(120)좌·우측 양단에는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스파이크 고정너트(117)를 발판(105)에 관통되도록 돌출형성시키고, 상단부에 볼트부(119)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뽀족한 스파이크(110)가 형성된 보조스파이크(118)를 상기 스파이크 고정너트(117)에 분해·결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당김기구를 제공하여 조립식 옹벽벽체의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옹벽지지용 보강재의 실시예로는 지오그리드(geogrid, 또는 tensar- grid)등의 망형 보강재가 있으나, 이는 사용범위가 블록식 옹벽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 띠 보강재로서 이는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의 철판 표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을 시행한 것으로서, 이는 인장력에 대한 신뢰성은 높으나 고가이며 금속재이므로 단위중량이 커서 보강재 설치작업시 취급 및 운반이 불편하고, 보강토 옹벽 벽체와의 연결방법 및 연결형태가 다양하지 못하며, 연결부위에 핀이나 볼트로 일일이 결속을 시켜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실시예로는, 로울형 띠 섬유 보강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여러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폴리에틸렌으로 피복성형된 것으로, 100∼150m정도의 긴 띠가 두루마리상태로 감겨져 있어 보강재의 설치작업시 보강재를 손으로 당겨서 풀어야 하고 보강재를 보강토체 전방부인 보강토 옹벽 벽체의 연결부와 연속하여 핀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결속시켜 주기위해 보강토체 후방부엔 상기 전방부인 옹벽벽체와 평행하게 45㎝이상의 다수의 임시고정핀을 박아 임시고정바를 설치하여야 하는 인력 및 자재의 손실이 있었으며, 그리고 보강재 연결 후 발생되는 각 접힌 부분들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해 다수의 작업인원들이 보강재를 손으로 감싸잡고 당겨야 했었으며, 이때 보강재를 손으로 감싸잡고 당길 수 있는 크기 이상의 보강재의 두께 및 폭증대는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고점착 폴리에틸렌에 유착피복되어 보강재의 인장강도와 마찰력을 결정하는 내부의 섬유질 폴리에스테르의 두께와 양의 증대는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보강재 내부의 섬유질 보호 및 각종 화학적 침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피복재인 폴리에틸렌의 두께 및 폭의 증대도 제한을 받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롤형 띠 섬유 보강재는 상기 보강토체 유효거리부분에서의 보강재 상·하 겹침과 보강토체 전방부인 옹벽벽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방향이 일률적이지 못하며, 보강재 이음시 겹이음을 2m이상 확보해주어야 하므로써 옹벽 벽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와 비교할 때, 보강재의 길이에 비해 요구로 하는 인장력과 마찰력의 효과가 감소되므로 불필요한 보강재의 낭비가 뒤따르는 문제점 등이 있었으며, 보강재 설치시 보강재를 지그재그로 깔아 당기는 작업을 한쪽 방향이나 한 곳에서 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옹벽 벽체마다 연결된 보강재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한 당김작업시 인력에 의존하여 당겨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당긴후의 느즈러짐 잔류분과 또한 보강재마다 일정한 장력을 가해 똑같이 당기지 못하므로써 옹벽 벽체의 변형 및 부분적인 뒤틀림이 극심하였다.
한편, 이와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설치 작업시 발생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출원 제98-38249호의‘조립식 보강토 옹벽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를 출원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다수 해결할 수 있는 작업방법과 그 기구 및 옹벽지지장치를 제공한 바 있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발명에 개시된 보강재 당김기구는 한 번에 한 개씩의 보강재(10) 당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보강재(10)를 무는 물림턱(132)이 당김기구의 이동부재(130) 전방에 고정 부착되어 있어 실제 사용할 때 지면에 대하여 물림턱(132)이 뜨게 되어 보강재(10) 고정작업시 불편함이 있었으며, 옹벽벽체(20)에 매립된 연결구(30)의 재료 및 가공단가가 다소 상승되는 점과, 또한 옹벽벽체(20)의 연결구(30)에 보강재(10)를 미리 결속·거치하여 성토 및 다짐작업을 실시한 후 당김작업을 하기까지에 있어서 보강재(10)의 접혀지는 부위들의 느즈러짐과 아울러 연결구(30)의 걸림부로부터의 흘러내리는 현상 및 길이방향으로 절반이 접혀서 연결되어지는 양단이 길이방향쪽의 유동성에 의해 양단의 길이변동이 발생되는 단점들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고 보강재(10)의 결속방법과 보강재(10)와 보강토체(5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기 출원된 본 출원인의 발명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재와 연결구와 결속을 신속·간단하게 하고, 옹벽벽체에 일부 매몰되어 내면에 돌출된 연결구에 보강재를 미리 결속시켜 옹벽벽체의 상부에 거치하여 성토 및 다짐작업을 실시한 후 보강재를 펼쳐 당김작업을 하기까지에 있어서 옹벽벽체의 연결구에 결속시나 옹벽벽체 상부에 거치시 보강재의 접혀지는 부위들의 느즈러짐과 아울러 연결구 걸림부로부터의 흘러내리는 현상 및 길이방향으로 절반이 접혀져 이루어진 양단이 길이방향쪽의유동성에 의해 발생되는 양단의 길이변동과 같은 단점을 배제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보강재와 보강토체와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켜 보강재 설치후 성토작업시 보강재의 유동을 방지하여 옹벽벽체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한 번에 두 가닥씩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강재의 폭과 두께에 관계없이 당김작업이 가능하고, 지면의 고르기 및 강도에 관계없이 당김작업이 가능한 당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옹벽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의 걸림부에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띠형 보강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결속시키고, 이를 보강토체 위에 옹벽벽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사선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보강재 후단에서 당김기구를 사용하여 보강재가 팽팽히 유지되도록 당겨준 상태에서 고정못으로 보강재를 고정시키고 그 위에 보강토체를 깔아 다짐작업을 실시하여 옹벽벽체의 부분적인 뒤틀림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연결구의 걸림부에서 동일한 길이로 중간부에서 접혀져 걸림부 바로 선단에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에 의해 두겹의 보강재가 결속되어져 그 후단에서 당김기구에 의해 양방향으로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동일하게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당김기구에 의해 물린 보강재의 후단부터 상기 보강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기 시작한 유효거리부까지 보강재의 고정공에 일정한 간격으로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을 다수 박아 보강토체에 고정시킨 후에 성토 작업과 다짐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옹벽벽체의 완벽한 시공이 가능한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의 걸림부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띠형 보강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결속시키며, 보강재 후단에서 당김기구를 사용하여 보강재가 팽팽히 유지되도록 당겨준 상태에서 고정못으로 보강재를 고정시키고 그 위에 보강토체를 깔아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연결구의 걸림부에서 일차로 감겨져 한 쪽 끝단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단계와; 상기 결속된 보강재를 연결구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핀을 외감하도록 하여 보강재의 다른쪽 끝단을 보강토체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강토체 상부에 위치한 보강재의 후단에서 당김기구에 의해 팽팽히 유지되도록 잡아당긴 후에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을 보강재의 고정공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박아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를 균일한 장력으로 당겨주기 위하여 보강토체 지면에 박혀 고정 지지되도록 하면에 스파이크가 부착된 발판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물림턱과 랙기어부가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랙기어부상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조작핸들과, 이 조작핸들을 전·후로 젖힐 때 상기 피니언기어를 타고넘어 다음 기어홈에 걸리거나 피니언기어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와 동시에 회전 또는 이탈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1래칫과 제 2래칫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당김기구에 있어서, 상기 발판 상부의 가이드부재 좌·우측 양단에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스파이크 고정너트를 돌출형성시켜 발판하부를 통하여 상단부에 볼트부가 형성된 보조스파이크가 상기 고정너트 하부로 결합·분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과 물림턱 사이에는 상기 물림턱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회동부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이동부재 선단에 형성된 새클과, 이 새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물림턱 후단에 형성된 연결로드와, 이 연결로드를 상기 새클에 결착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보강재 당김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보강재 당김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보강재 당김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제 1실시예의 시공상태 평면도 및 일부 확대사시도,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제 2실시예의 시공상태 평면도, 일부확대 사시도 및 일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옹벽설치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제 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제 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 당김기구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ℓ : 무효거리 L : 유효거리
r : 보강재 간격 10 : 보강재
11 : 체결수단 12 : 볼트
13 : 너트 14 : 와셔
15 : 고정공 17 : 고정못
19 : 와셔 20 : 옹벽벽체
30 : 연결구 35 : 걸림부
40 : 연결핀 50 : 보강토체
100 : 당김기구 105 : 발판
110 : 스파이크 112 : 미끄럼 방지홈
117 : 스파이크 고정너트 118 : 보조스파이크
119 : 볼트부 120 : 가이드부재
130 : 이동부재 132 : 물림턱
134 : 조작핸들 140 : 회동부재
142 : 새클 146 : 연결로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시공방법에 대한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옹벽벽체 지지장치 및 시공방법의 일반적인 내용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국내특허출원 제98-38249호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내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옹벽벽체(20)의 보강재 시공방법은 옹벽벽체(20)의 내면에 돌출된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 보강재(10)가 동일한 길이로 중간부에서 접혀져 2겹으로 하여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시키고 보강재(10) 후단에 설치한 당김기구(100)에 의해 보강재(10)가 양방향으로 팽팽히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양단의 보강재(10)가 연결구(30)의 걸림부(35) 바로 전단의 상호 교차부위에서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1)에 의해 결속되어지되, 결속부의 상·하 보강재(10) 사이에는 걸림부(35)의 직경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당김기구(100)에 의해 당겨지는 후단부위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벌어진 상태에서 보강재(10)가 느즈러짐 없는 상태가 될 때까지 일정한 장력으로 당긴 후에, 보강재(10) 상방에 형성된 고정공(15)에 고정못(17)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박아서 보강재(10)를 임시 고정시키며, 이때 당김기구(100)에 인접한 후단부를 일차로 고정하고 전단부쪽으로의 고정은 당기 당김기구(100)를 해체한 이후에 이차적으로 고정을 하여도 무관하다.
상기의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 상부를 고정할 때 상기 보강재(10)는 연결구(30)의 걸림부(35)선단에서 교차되므로 보강재(10)의 전방부가 일정거리만큼 교차하게 되는데, 이 교차되는 부위의 보강재(10)상에는 고정못(17)을 박아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상기 보강재(10)가 서로 교차되어 일정한 각이 형성되는 부위까지만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못(17)은 보강재(10)상에 끼워진 후 보강재(10)의 펄럭임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19)가 일체로 형성되고 와셔(19)의 머리부가 다소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를 고정시킨 후, 당김기구(100)의 물림턱(132)을 해제시키고 지면에 박혀 있는 발판(105)을 들어 올려 다른 보강재(10)측으로 옮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재(10)를 당겨 임시 고정시킨 후에 다음 공정인 보강토체(50)를 깔고 다짐작업을 실시해주면 되기 때문에 보강재(10)의 연결작업을 더욱 신속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재(10) 상부에 성토작업시 보강재(10)가 보강토체(50) 상면에 떠서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고 느즈러짐이 없도록 하여 보강토체(50)와의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된 연결구(30)는 상기 보강재(10)를 옹벽벽체(20)에 결속시키기 위해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진 강봉을 폐쇄고리 형태가 되도록 하여 옹벽벽체(20)내부에 매몰된 지지용 철근에 고정한 것으로, 연결구(30)의 단순화를 통해 자재비 및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시공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보강재(10)가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서 일단 감겨져 한 쪽 끝단이 체결수단(11)에 의해 결속되고, 결속된 보강재(10)를 상기 연결구(30) 상단에 위치시킨 연결핀(40)에 외감되도록 하여 보강재(10)의 다른쪽 끝단을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시키고, 보강재(10)의 후단에서 당김기구(100)에 의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잡아당긴 후에 와셔(19)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17)을 보강재(10)의 고정공(1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박아 고정시킨 후에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토체(50)를 깔고 다짐작업을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0) 상단에 연결핀(40)을 위치시키고 보강재(10)의 당김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비와 같이 상기 연결핀(40)은 보강재(1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구(30)의 걸림부(35)측에 긴밀히 밀착되어 보강재(10)의 연결구(30)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시키며, 보강재(10)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옹벽벽체(20)의 지지작업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옹벽벽체(20)의 내면에 설치된 연결구(30)에는 옹벽벽체(20)의 설치전이나 설치 후 보강토체(50)를 성토 및 다짐작업하기 전에 미리 연결구(30)에 보강재(10)를 절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연결구(30)의 걸림부(35)바로 전단에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1)을 결속시킨 후에 옹벽벽체(20)상단에 보강재(10)를 올려놓고 보강토체(50)의 성토 및 다짐작업을 하고, 성토 및 다짐작업이 끝난 부위부터 보강재(10)를 보강토체(50)상부에 위치시키고 당김기구(100)의 물림턱(132)에 보강재(10)를 물려 당김작업을 한 후에 와셔(19)가 구비된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 고정작업을 하면 된다.
또한, 도 7에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벽체(20)의 보강재 설치단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두겹에 의해 설치된 보강재(10)의 후단은 옹벽벽체(20)의 저단이나 상단 모두 동일한 보강재간격(r)이 유지되며, 하단부분에서부터 상단부분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옹벽벽체(20)를 지지하는 보강재(10)의 선단부분은 보강재(10)의 전 설치길이에 대해 상·하단부가 동일한 비율의 무효거리(ℓ)가 유지되고, 보강재(10)의 후단부는 두겹의 보강재(10)가 펼쳐져서 보강토체(50)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유효거리(L) 또한 보강재(10)의 전 길이에 상·하단이 동일한 비율로 설치된다. 상기의 무효거리(ℓ)는 보강재(10)가 상호 겹쳐지고 보강토체(50)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단지 옹벽벽체(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유효거리(L)는 두겹의 보강재(10)에 의해 증대된 마찰력을 발생시켜 옹벽벽체(20)를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상기 옹벽벽체(20) 내부에 형성된 연결구(30)에 연결핀(40)을 개재시켜 보강재(10)를 결속하도록 한 것으로, 연결구(30)의 걸림부(35) 선단에는 별도의 체결수단(11)을 구비하지 않고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된 보강재(10)를 당김기구(100)에 의해 인장시킬 때 보강재(1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핀(40)이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 더욱 견고히 밀착됨으로써 보강재(10)의 결속력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즉, 도 9에 도시된 보강재 설치방법은 상기 보강재(10)의 중심부를 접어 걸림부(35)에 걸고 다시 연결구(30) 상에 위치한 연결핀(40)을 외감하도록 한 후에 걸림부(35) 선단에서 체결수단(11)에 의해 결속됨이 없이 두겹의 보강재(10) 양단을 동일하게 하여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시키고, 당김기구(100)에 의해 당겨지는 부위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보강재(10)의 양단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당겨지도록 한 후에 양단의 보강재(10) 상부에 고정못(17)을 사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 박아 고정시킨 후에 보강토체(50)의 성토작업 및 다짐작업을 하면 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의 당김기구(100)를 도시한 결합사시도로, 주요부로는 발판(105), 가이드 부재(120), 이동부재(130), 회동부재(140), 조작핸들(134)로 구성된 것으로, 세부 구성내용은 상기한 본인의 기 특허출원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서 설명을 하면, 발판(105)의 하면 네 모서리부 하단부에 설치된 스파이크(110)와 더불어 가이드부재(120) 좌·우측 양단에 상기 발판(105)에 관통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스파이크 고정너트(117)를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발판(105) 하단으로 상단부에 볼트부(119)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스파이크(110)가 형성된 보조스파이크(118)를 나사결합되거나 분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당김기구(100)의 발판(105) 하부에 추가 스파이크(110)가 구비되도록 하여 당김기구(100)가 보강토체(50)에 더욱 견고히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재(130)의 선단에는 보강재(10)를 물리는 물림턱(132)을 폭과 너비를 증대하여 보강재(10)의 물림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으며, 물림턱(132)이 이동부재(130)와 별도로 핀결합되어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강재(10) 당김작업시 보강토체(50)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보강재(10)가 느즈러짐이 없이 당겨질 수 있도록 하며, 이와같이 보강재(10)의 당김작업시 상기 물림턱(132)은 자체의 무게로 보강토체(50) 상면과 맞닿은채로 당김작업이 되기 때문에 보강재(10) 의 느즈러짐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재 자체가 옹벽벽체에 매설된 폐쇄고리형태의 연결구에 감겨져 고정되므로 옹벽 벽체에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보강재를 옹벽벽체에 결속시키는 작업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보강재를 동일한 길이로 중간부를 접어 상기 연결구의 걸림부에 감아 걸림부 바로 전단의 상호 교차부위에서 걸림부의 직경만큼 간격이 유지되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옹벽벽체의 연결구에 결속시나 옹벽벽체 상부에 거치시 접혀지는 부위들의 느즈러짐 및 연결구 걸림부로부터의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인한 옹벽벽체 후단부분의 부실하였던 성토 및 다짐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절반이 접혀져 이루어진 양단이 길이방향쪽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었던 길이변동과 같은 단점을 배제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를 반으로 접어 보강재의 끝단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하여 인장함으로써 보강재의 후단폭이 더욱 일정하게 유지되고, 보강재의 상단에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박아 밀착고정시킴으로써 보강토체 성토작업시 보강재가 펄럭이지 않고 보강재의 느즈러짐이 발생되지 않아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켜 옹벽벽체를 견고히 지지하여 보강재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당김기구의 발판 상부의 가이드부재 좌·우측 양단에는 스파이크 고정너트가 발판을 관통되도록 돌출형성시켜 보조스파이크가 발판하부에서 분해·결합되도록 이루어져 보강토체 지면의 강도에 따라 스파이크 수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강재가 물리는 물림턱의 크기가 크고, 상·하 회전되도록 하여 보강재를 한 번에 여러가닥 물릴 수 있고,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스파이크가 지면에 완전히 박히지 않아도 보강재를 무는 믈림턱이 항상 지면에 일치됨으로써 보강재의 인장·밀착·고정작업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됨으로써 경제적이고 견고한 시공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옹벽벽체(20)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고정공(15)이 다수 형성된 띠형 보강재(10)를 각각 개별적으로 결속시키고, 보강재(10)후단에서 당김기구(100)를 사용하여 보강재(10)가 팽팽히 유지되도록 당겨준 상태에서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를 고정시키고 그 위에 보강토체(50)를 깔아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는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서 동일한 길이로 중간부에서 접혀져 걸림부(35) 바로 선단에서 볼트(12)와 너트(13)로 구성된 체결수단(11)에 의해 두겹의 보강재(10)가 결속되는 단계;
    상기 결속된 보강재(10)의 후단에서 당김기구(100)에 의해 양방향으로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동일하게 팽팽히 당겨지는 인장단계;
    상기 인장된 보강재(10)의 후단부터 상기 보강재(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기 시작하는 유효거리(L)부까지 보강재(10) 중심부의 고정공(15)에 일정한 간격으로 와셔(14)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17)을 다수 박아 보강토체(50)에 고정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2. 옹벽벽체(20)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고정공(15)이 다수 형성된 띠형 보강재(10)를 각각 개별적으로 결속시키고, 보강재(10)후단에서 당김기구(100)를 사용하여 보강재(10)가 팽팽히 유지되도록 당겨준 상태에서 고정못(17)으로 보강재(10)를 고정시키고 그 위에 보강토체(50)를 깔아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가 연결구(30)의 걸림부(35)에서 일차로 감겨져 한 쪽 끝단이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1)에 의해 결속되는 단계;
    상기 결속된 보강재(10)를 연결구(3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핀(40)을 외감하도록 하여 보강재(10)의 다른쪽 끝단을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토체(50) 상부에 위치한 보강재(10)의 후단에서 당김기구(100)에 의해 팽팽히 유지되도록 잡아당긴 후에 와셔(14)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못(17)을 보강재(10)의 고정공(1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박아 고정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3. 스파이크(110)가 부착된 발판(105)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20)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물림턱(132)과 랙기어부가 형성된 이동부재(130)와, 상기 랙기어부상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조작핸들(134)과, 이 조작핸들(134)을 전·후로 젖힐 때 상기 피니언기어를 타고넘어 다음 기어홈에 걸리거나 피니언기어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와 동시에 회전 또는 이탈되어 상기 이동부재(130)를 이동시키는 제 1래칫과 제 2래칫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지지용 보강재의 당김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30)의 선단과 물림턱(132)사이에는 상기 물림턱(132)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회동부재(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당김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30)는 이동부재(130)선단에 형성된 새클(142)과, 이 새클(1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물림턱(132) 후단에 형성된 연결로드(146)와, 이 연결로드(146)를 상기 새클(142)에 결착시키는 고정핀(1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당김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5) 상부의 가이드부재(120)좌·우측 양단에는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스파이크 고정너트(117)를 발판(105)에 관통되도록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스파이크고정너트(117)에는 상단부에 볼트부(119)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스파이크(110)가 형성된 보조스파이크(118)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당김기구.
KR1019980053770A 1998-12-08 1998-12-08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KR10030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70A KR100302139B1 (ko) 1998-12-08 1998-12-08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70A KR100302139B1 (ko) 1998-12-08 1998-12-08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93A true KR20000038693A (ko) 2000-07-05
KR100302139B1 KR100302139B1 (ko) 2001-10-29

Family

ID=1956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70A KR100302139B1 (ko) 1998-12-08 1998-12-08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28B1 (ko) * 2001-04-27 2003-10-30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보강재 당김기구
KR20220140930A (ko) *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82B1 (ko) * 2002-06-20 2004-10-20 보강기술주식회사 보강 밴드의 인장기
KR100801480B1 (ko) 2007-01-30 2008-02-12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옹벽의 지오그리드 결합구조
KR101993403B1 (ko) 2018-08-09 2019-06-26 강현재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28B1 (ko) * 2001-04-27 2003-10-30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보강재 당김기구
KR20220140930A (ko) *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139B1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17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캔틸레버부 무지보 시공방법
US3650112A (en) Method of shoring and apparatus therefor
KR20000038693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CN109577636A (zh) 锚固组件、悬挑脚手架型钢锚固结构及施工方法
KR100328621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KR20000015749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US6669172B1 (en) Post puller
KR20050114302A (ko) 강재 및 열경화성 수지 정착구와 긴장장치 및 이에 의한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보강방법
JP3130216B2 (ja) Pc鋼棒ユニット、及び該pc鋼棒ユニットを用いたセメント硬化物の緊締方法
JP3803730B2 (ja) 鋼管杭用鉄筋接続具
JP2000192469A (ja) 二重締切り工法で使用する締切り装置および二重締切り工法
JP4948142B2 (ja) 地下道の構築方法
US5848776A (en) System for holding down underground storage tanks and method of using
EP197815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dichten Betonierfugen in Schlitzwänden
JP5387959B2 (ja) 山留め用の杭圧入装置
CN1246568A (zh) 暂时预应力混凝土管桩
KR20000012630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CN221118478U (zh) 一种输电杆拉线锚地装置
KR102016113B1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연결고정수단과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KR102591042B1 (ko)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2225233U (zh) 一种洞口止水装置
KR20230035902A (ko) 강관 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JP4059751B2 (ja) トンネル覆工内面保護・補強用のセグメント及びトンネル覆工内面保護・補強構造
US5604946A (en) Multi-purpose fence building tool
KR100287020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