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42B1 -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42B1
KR102591042B1 KR1020220153051A KR20220153051A KR102591042B1 KR 102591042 B1 KR102591042 B1 KR 102591042B1 KR 1020220153051 A KR1020220153051 A KR 1020220153051A KR 20220153051 A KR20220153051 A KR 20220153051A KR 102591042 B1 KR102591042 B1 KR 10259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tension
anchor rod
compression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근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15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helically or spirally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앵커봉 연결소켓과 연결관 및 앵커봉의 유기적 결합관계를 통해 앵커봉의 선단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의 시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자유장인 앵커봉가 인접 장소에서 다른 구조물 공사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는, 선단 헤드(20)와;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연결관(30)과; 상기 선단 헤드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앵커봉 연결소켓(40)과; 나사선부가 구비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거식의 앵커봉(10)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은 상기 선단 헤드에 상기 연결관과 함께 연결되거나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의 뒤쪽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관이 2개 이상 연결될 때 상기 연결관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앵커봉을 압축 또는 인장 또는 압축과 인장 복합형의 위치로 하면서 제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A temporary or permanent anchor capable of tensile and compression and complex of grout materials and of removing tension material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반이나 구조물(흙막이벽, 댐, 건축물) 보강을 위한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을 선택하여 시공하고 사용 후 자유장인 긴장재를 제거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공법은 사면이나 구조물(토목, 건축, 흙막이벽 등)을 안정화(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면의 경우 사면에 앵커공을 굴착하고 상기 앵커공 안에 앵커를 삽입하여 정착한 후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 등으로부터 사면이나 구조물을 안정화시킨다.
그라운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앵커는 사용기간에 따라 영구앵커와 가설앵커로 분류되며, 또 정착지반의 지지방식에 따라 인장형 앵커, 압축형 앵커 및 복합형(인장과 압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장형 앵커는 긴장 시 진행성 파괴에 의해 인발 저항력이 앵커의 길이에 비례하지 않고 상당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고, 압축형 앵커는 그라우트 품질 불량 시 인발 저항력이 저하되고 토사 지반에 설치 시 슬라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시공하면 그라우트에 대한 불량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복합형이며, 등록특허 제10-0729667호는 하단에는 인장앵커를 형성시키고 상단에는 압축앵커를 형성시켜 인장앵커와 압축앵커의 중앙부를 보호관으로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앵커로 구성시켜 복합형 앵커로 됨을 특징으로 한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이며, 인장형과 압축형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제거도 되지 않는다.
등록특허 제10-1158417호는 자유장 구간에 도입되어 긴장력을 제공하는 인장재; 상기 인장재의 선단부를 파지하여 인장력을 도입하며 인장력 해제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한 웨지조립체와, 상기 웨지조립체를 내부에 끼워 지지하는 블록몸체를 포함하는 앵커정착체; 상기 앵커정착체의 블록몸체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매개수단; 상기 연결매개수단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슬리브; 및 상기 그립슬리브에 끼워져 고정되며, 정착장 구간에서 허용앵커력을 발휘하는 영구 앵커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이며, 인장과 압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
등록특허 제10-0729667호 등록특허 제10-115841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따라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을 선택하여 시공하고 또한, 정착장에 비해 상당한 길이의 자유장인 긴장재(앵커봉)를 제거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는, 선단 헤드와;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선단 헤드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앵커봉 연결소켓과; 나사선부가 구비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거식의 앵커봉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을 상기 선단 헤드 또는 전후로 배열되는 2개의 연결관들 사이 또는 연결관의 뒤쪽에 연결되어 앵커봉의 선단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앵커봉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은 길이방향의 양쪽인 앞쪽과 뒤쪽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앵커봉의 위치에 따라 앞뒤가 뒤집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앵커봉 연결소켓과 연결관 및 앵커봉의 유기적 결합관계를 통해 앵커봉의 선단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의 시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앵커의 효용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 앵커를 각각 취급하는데 따른 단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자유장인 앵커봉을 제거하여 인접 장소에서 다른 구조물 공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앵커로 인한 민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제1모드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제2모드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제3모드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사시도 및 단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이하 '앵커'라 약칭함)(100)는, 긴장재인 앵커봉(10), 앵커봉(10)과 연결되며 앵커봉(10)을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의 위치로 하기 위하여 유기적 결합관계를 갖고 있는 선단 헤드(20)와 1개 이상의 연결관(30) 및 앵커봉 연결소켓(40)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도 1 내지 도 3은 제1모드, 도 4 내지 도 6은 제2모드, 도 7 내지 도 9는 제3모드를 도시한 것인데,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구성(10,20,30,40)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앵커(100)는 가설 앵커와 영구 앵커로 사용되며, 가설과 영구는 토목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앵커(100)는 사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방법, 흙막이벽의 수직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방법, 지반 보강을 위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앵커봉(10)은 앵커봉 연결소켓(40)에 연결 및 분리(제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11)가 포함된다.
앵커봉(10)은 나사선 철근 또는 나사선이 가공된 철근, 나사선이 가공된 강봉, 강연선(나사선이 있는 소켓이 결합) 등이 사용된다.
나사부(11)는 앵커봉(10)의 외주면에 전체에 형성되거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고 그 구조는 앵커봉 연결소켓(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42)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선단 헤드(20)는 앵커(100)의 선단부(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앵커공의 안쪽에 배치)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단 헤드(20)는 앵커공의 안에서 지반에 삽입되어 정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두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30)은 내부에 앵커봉(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외형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형도 가능하고, 앵커공 안에서 견고하게 정착되도록 외주면은 요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30)은 길이방향의 양쪽에 각각 제1,2나사부(31,32)가 형성되는데, 제1나사부(31)는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제2나사부(32)는 반대쪽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관(30)의 제1,2나사부(31,32)가 다른 면에 형성된 것은 선단 헤드(20) 및 앵커봉 연결소켓(40)과 유기적 결합관계를 갖고 형성된 것이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32)는 선단 헤드(20)의 나사부(21)와 결합을 위한 것이고,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31)는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제1나사부(41)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선단 헤드(2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외주면의 제1나사부(31)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선단 헤드(20)가 적용되지 않으면서 제2나사부(32)가 형성되지 않고 제1나사부(31)만 형성되는 경우에도 앵커봉 연결소켓(40)은 선단쪽과 뒤쪽 모두 적용 가능하고, 이는 연결관(30)의 앞뒤를 뒤집어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즉, 앵커봉 연결소켓(40)과 연결되는 제1나사부(31)를 앞쪽으로 하거나 뒤쪽으로 함으로써 앵커봉 연결소켓(40)을 앞쪽과 뒤쪽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단, 본 발명은 연결관(30)은 2개 이상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선단 헤드(20)의 유무와 관계없이 2개 이상의 연결관(30)을 서로 연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2나사부(31,32)가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2나사부(31,32)를 갖는 부분은 외경이 달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나사부(32)쪽이 제1나사부(31) 안쪽에 삽입되면서 나사 체결된다.
앵커봉 연결소켓(40)은 원통형이며 내주면에는 제1나사부(41)가, 외주면의 앞쪽과 뒤쪽에는 제2나사부(42)가 형성되며, 제1나사부(41)는 앵커봉(10)의 나사부(11)가 나사 체결되는 곳이고, 제2나사부(42)는 선단 헤드(20)의 나사부(21) 또는 연결관(30)의 제1나사부(31)가 나사 체결되는 곳이다.
제2나사부(42)는 이웃하는 2개의 연결관(30)을 나사 체결하기 위한 폭이며 즉, 연결관(30)의 제1나사부(31)의 폭의 2배 이상이다.
앵커봉 연결소켓(40)은 외경이 서로 다른 대경부(43)와 소경부(44)가 연속되는 구조이면서 대경부(43)의 외주면에 제2나사부(42)가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앵커봉 연결소켓(40)을 연결관(30)의 내부에 삽입하여 연결관(30)이나 선단 헤드(20)에 나사 체결할 때 간섭을 방지한다.
대경부(43)와 소경부(44)의 구조에 따르면, 앵커봉 연결소켓(40)의 내부 즉, 대경부(43)와 소경부(44)의 사이에 턱(45)이 형성되고, 이 턱(45)은 앵커봉(10)의 단부를 지지하여 앵커봉(10)의 단부를 앵커봉 연결소켓(40)에 연결되도록 한다.
선단 헤드(20)와 연결관(30)의 내주면에도 턱(45)과 동일한 목적으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앵커봉(10)의 제거 시 앵커봉 연결소켓(40)이 같은 방향으로 돌면서 함께 제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앵커봉(10)은 앵커봉 연결소켓(40)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결속이 되며, 연결소켓(40)외주면의 나사부와 연결관(30)은 반대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결속이 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앵커봉(10)을 제거를 위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연결소켓(40)과 연결관(30)은 잠기는 결과를 보이므로 앵커봉(10)의 안전한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시공 방법은 인장형과 압축형 및 복합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인장형(도 1 내지 도 3 참고).
가. 조립.
앞쪽에서부터 선단 헤드(20) - 연결관(30) - 앵커봉 연결소켓(40)을 연결하여 정착장을 구성하고, 상기 정착장의 뒤쪽 즉 앵커봉 연결소켓(40)에 앵커봉(1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단 헤드(20)의 나사부(21)에 연결관(30)의 단부를 삽입하여 제2나사부(32)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한다. 앞쪽의 연결관(30)의 제1나사부(31)와 뒤쪽의 연결관(30)의 제2나사부(32)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한다. 뒤쪽의 연결관(30)의 제1나사부(31)에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제2나사부(42)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한다. 앵커봉(10)의 단부를 앵커봉 연결소켓(40)의 내부에 삽입하면서 나사부(11)를 제1나사부(41)에 나사 체결하여 결합하며 이 때 앵커봉(10)의 단부가 턱(45)에 지지하도록 결합한다.
도면에서 연결관(30)을 2개로 도시하였으나 1개인 것, 3개 이상인 것도 가능하다.
나. 설치.
지중에 앵커공을 굴착 시공하고, 상기 앵커공 안에 앵커(100)를 삽입한다. 앵커(100)의 정착장 주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한다.
이 때, 자유장이면서 제거되는 부분인 앵커봉(10)의 둘레부에는 앵커봉(10)을 그라우트재로부터 단절시키는 쉬스관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앵커봉(10)은 단부가 정착장의 뒤쪽으로 앵커공의 바닥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된다.
다. 긴장.
지상에서 앵커봉(10)에 인장기를 연결하고 상기 인장기를 통해 앵커봉(10)을 긴장한다.
이 때, 앵커(100)의 두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긴장재인 앵커봉(10)을 통해 그라우트로 전달되고, 정착장을 통해 지반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정착장에는 인장력, 자유장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라. 앵커봉 제거.
앵커봉(10)의 제거 시 앵커봉(10)을 돌리면 앵커봉(10)과 앵커봉 연결소켓(40)의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되고, 앵커봉(10)을 앵커봉 연결소켓(40)에서 분리한 후 앵커공에서 지상으로 인발하여 제거한다. 이 때, 선단 헤드(20)와 연결관(30)이 그라우팅부에 정착되기 때문에 앵커봉(10)만 제거한다.
2. 압축형(도 4 내지 도 6 참고).
가. 조립.
선단 헤드(20)의 뒤에 연결관(30)을 결합하는데, 이들(20,30)은 앵커봉 연결소켓(40)을 매개로 하여 결합한다.
연결관(30)의 앞뒤를 뒤집어 제1나사부(31)를 선단 헤드(20)쪽으로 하고, 여기에 앵커봉 연결소켓(40)을 삽입하면서 연결관(30)의 제1나사부(31)와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제2나사부(42)를 나사 결합하고 이 때,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제2나사부(42) 중 절반은 선단 헤드(20)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남겨 둔다. 선단 헤드(20)의 내부에 앵커봉 연결소켓(40)을 삽입하면서 나사부(21)와 제2나사부(42)를 통해 나사 체결하여 조립한다.
앵커봉(10)은 앵커봉 연결소켓(40)에 미리 결합하거나 마지막 조립 과장에서 연결관(3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제1나사부(41)에 나사 결합한다.
나. 설치.
설치 공정은 지중에 앵커공을 굴착 시공하고, 상기 앵커공 안에 앵커(100)를 삽입한다. 앵커(100)의 정착장 주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한다.
이 때, 자유장이면서 제거되는 부분인 앵커봉(10)의 둘레부에는 앵커봉(10)을 그라우트재로부터 단절시키는 쉬스관이 적용될 수 있다.
앵커봉(10)은 단부가 앵커공의 바닥(공저부)에 있게 된다.
다. 긴장.
지상에서 앵커봉(10)에 인장기를 연결하고 상기 인장기를 통해 앵커봉(10)을 긴장한다.
이 때, 앵커(100)의 두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앵커봉(10)이 연결관(30) 및 쉬스관(PE 파이프 또는 주름관 등)에 의해 보호되므로 앵커(100) 선단을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압축형 앵커의 그라우트 전장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라. 앵커봉 제거.
앵커봉(10)의 제거 시 앵커봉(10)을 돌리면 앵커봉(10)과 앵커봉 연결소켓(40)의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되고, 앵커봉(10)을 앵커봉 연결소켓(40)에서 분리한 후 앵커공에서 지상으로 인발하여 제거한다. 이 때, 선단 헤드(20)와 연결관(30)이 그라우팅부에 정착되기 때문에 앵커봉(10)만 제거한다.
3. 복합형(도 7 내지 도 7 참고).
가. 조립.
선단 헤드(20)에 연결관(30)을 연결하고, 연결관(30)의 뒤쪽에 다른 연결관(30)을 앵커봉 연결소켓(40)을 매개로 하여 연결한다.
앵커봉(10)은 앵커봉 연결소켓(40)의 위치를 통해 정착장의 양쪽 끝의 사이에 배치된다.
나. 설치.
앵커(100)를 앵커공 안에 삽입한 후 그라우팅한다.
다. 긴장.
지상에서 앵커봉(10)에 인장기를 연결하고 상기 인장기를 통해 앵커봉(10)을 긴장한다.
이때, 복합형 앵커는 일부구간은 앵커봉(10)이 연결관(30) 및 쉬스관(PE 파이프 또는 주름관 등)에 의해 보호되고 일부는 연결소켓(40)과 연결관(30)으로 구성되어 앵커 두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연결소켓(40)을 기준으로 전방에서는 인장력이 후방에서는 압축력이 분산되어 발생한다.
라. 앵커봉 제거.
앵커봉(10)을 돌려 앵커봉 연결소켓(40)에서 분리한 후 지상으로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앵커봉(10)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표면이 에폭시, 아연도금, PVC 및 PE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코팅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앵커봉(10)을 앵커공의 중앙에 배치하기 위하여 간격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재는 내부에 앵커봉(10)이 결합되고 둘레부가 앵커공의 내벽에 지지되는 구조를 통해 앵커봉(10)을 중앙에 배치하고 1개 이상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지반이나 구조물(흙막이벽, 댐, 건축물, 옹벽, 교대 및 교각 기초, 지중구조물, 하천, 호안) 보강을 위한 앵커로 사용되며, 특히, 수압판(절토부 옹벽, 십자형 블록, 격자형 블록, 사각블럭, 섬유대 거푸집 몰탈 블록, 식생블럭, 호안블럭 중 선택된 어느 하나)과 함께 사용되고, 현장에서 부분 보수시 앵커봉(10)의 제거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용이한 공법에 적용된다.
10 : 앵커봉, 11 : 나사부
20 : 선단 헤드, 21 : 나사부
30 : 연결관, 31,32 : 제1,2나사부
40 : 앵커봉 연결소켓, 41,42 : 제1,2나사부
43 : 대경부, 44 : 소경부
45 : 턱,

Claims (8)

1개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앵커봉 연결소켓과;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거식의 앵커봉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은 상기 연결관의 앞쪽 또는 뒤쪽 또는 연결관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앵커봉을 압축 또는 인장 또는 압축과 인장 복합형의 위치로 하면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선단 헤드와;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선단 헤드와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앵커봉 연결소켓과;
나사선부가 구비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거식의 앵커봉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은 상기 선단 헤드에 상기 연결관과 함께 연결되거나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의 뒤쪽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관이 2개 이상 연결될 때 상기 연결관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앵커봉을 압축 또는 인장 또는 압축과 인장 복합형의 위치로 하면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은 원통형으로서,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앵커봉이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선단 헤드 또는 연결관이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은 서로 다른 외경의 대경부와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사부는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길이방향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나사부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나사부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연쇄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선단 헤드에 연결되거나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이 연결되고,
상기 선단 헤드는 내주면의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앵커봉 연결소켓 또는 상기 연결관의 제1나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는, 지반 또는 구조물로서 흙막이벽, 댐, 건축물, 옹벽, 교대와 교각 하부 기초, 지중구조물, 하천 또는 호안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며, 판넬식 옹벽, 수압판, 절토부 옹벽, 마이크파일, 십자형 블록, 격자형 블록, 사각블럭, 섬유대 거푸집 몰탈 블록, 식생블럭 또는 호안블럭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봉은 철근, 강연선, 강봉형 앵커 또는 강봉형 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청구항 1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지중에 앵커공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앵커공 안에 상기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를 삽입하고 그라우팅으로 정착하는 제3단계와;
상기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앵커봉을 긴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앵커봉을 지상으로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앵커봉 연결소켓의 위치를 상기 연결관의 앞쪽 또는 뒤쪽 또는 연결관들 사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의 시공 방법.
KR1020220153051A 2022-11-15 2022-11-15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59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051A KR102591042B1 (ko) 2022-11-15 2022-11-15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051A KR102591042B1 (ko) 2022-11-15 2022-11-15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42B1 true KR102591042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051A KR102591042B1 (ko) 2022-11-15 2022-11-15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379Y1 (ko) * 2002-10-24 2003-03-28 이광재 회수가 용이한 해체 제거식 네일 장치
KR100609150B1 (ko) * 2003-12-06 2006-08-09 박병곤 앵커
KR100729667B1 (ko) 2005-08-23 2007-06-18 주식회사 에스에스씨컨설턴트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1158417B1 (ko) 2009-09-10 2012-06-2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97675B1 (ko) * 2014-06-19 2015-03-03 주식회사 대성방재기술 인장형 제거식 네일 및 이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379Y1 (ko) * 2002-10-24 2003-03-28 이광재 회수가 용이한 해체 제거식 네일 장치
KR100609150B1 (ko) * 2003-12-06 2006-08-09 박병곤 앵커
KR100729667B1 (ko) 2005-08-23 2007-06-18 주식회사 에스에스씨컨설턴트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1158417B1 (ko) 2009-09-10 2012-06-2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97675B1 (ko) * 2014-06-19 2015-03-03 주식회사 대성방재기술 인장형 제거식 네일 및 이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118B1 (ko)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934608B1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그 조립방법
KR20090020770A (ko) 하중에 따라 길이가 다른 정착체스틸파이프를 구비한영구형 앵커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2591042B1 (ko)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102108410B1 (ko)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1047085B1 (ko)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AU2010200459B2 (en) Composite and self-centralizing soil nails and methods
JP4181192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806326B1 (ko)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2220735B1 (ko) 하이브리드형 영구 앵커
KR101935544B1 (ko)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KR20080086254A (ko) 강연선을 이용한 자립형 제거 및 비제거식 차수벽 흙막이공법
KR200378292Y1 (ko) 인장식 쏘일네일 강화구
KR20150050012A (ko)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WO2016208990A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1165579B1 (ko) 싱글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101074085B1 (ko)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39260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스식 쏘일 네일링 구조
KR20110016223A (ko)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와 배수장치를 이용한 상향식 지반보강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